KR102229028B1 -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028B1
KR102229028B1 KR1020200137495A KR20200137495A KR102229028B1 KR 102229028 B1 KR102229028 B1 KR 102229028B1 KR 1020200137495 A KR1020200137495 A KR 1020200137495A KR 20200137495 A KR20200137495 A KR 20200137495A KR 102229028 B1 KR102229028 B1 KR 10222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wall
reinforcement
base unit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조지훈
김광수
최인규
Original Assignee
(주)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20013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기초구조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기초유닛; 상기 기초유닛 상에 안착되는 복수의 벽체유닛; 상기 기초유닛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삽입되는 철근망; 및 인접한 상기 복수의 벽체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유닛은, 대향하는 한 쌍의 기초유닛측판 및 상기 기초유닛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유닛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유닛연결판 상에 상기 벽체유닛이 안착되고, 상기 기초유닛측판과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인 철근망설치부에 상기 철근망이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Hybrid foundation combined with the precast and cast-in-place concre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초구조물은 상부구조물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된다.
종래의 기초구조물은, 공기 및 공사비 절감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기초구조물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다양한 상부구조물을 수용하기 어렵고, 하부지반의 현장 여건의 변동성에 대한 대응성이 열악하다는 점에서 대부분 현장타설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을 혼합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바닥판 철근과 수직벽체의 철근이 프리캐스트에 매립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내측면 거푸집 착탈시에 시공성이 열악해지고, 여전히 현장 여건의 변동성에 대한 대응성이 열악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공법이 갖는 현장 적용성의 단점과 현장타설 공법이 갖는 열악한 공기, 시공 안전성, 편의성을 모두 해소하기 위한 개선된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한 공기 단축, 시공 안전성 향상, 편의성 향상의 장점과, 현장타설 공법에 의한 현장 적용성 향상의 장점을 모두 달성하기 위한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기초유닛; 상기 기초유닛 상에 안착되는 복수의 벽체유닛; 상기 기초유닛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삽입되는 철근망; 및 인접한 상기 복수의 벽체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유닛은, 대향하는 한 쌍의 기초유닛측판 및 상기 기초유닛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유닛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유닛연결판 상에 상기 벽체유닛이 안착되고, 상기 기초유닛측판과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인 철근망설치부에 상기 철근망이 설치되는, 기초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공법을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공기 단축, 시공 안전성 향상, 편의성 향상 및 현장 적용성 향상의 장점을 모두 달성할 수 있고, 직접기초 공법뿐만 아니라 말뚝기초 공법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유닛 상부에 벽체유닛을 임시 거치하고, 벽체의 정렬상태를 확인 후 벽체유닛 배치의 수정이 가능함에 따라 곡선부 기초에 적용 시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종래 상부구조물이 기초구조물에 거치될 때 시공오차가 빈번히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외단주철근이 인접 주철근에 밀착된 상태를, 도 4(b)는 외단주철근이 인접 주철근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유닛을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본 것을, 도 7은 벽체유닛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유닛을 나타낸 것으로, 도 8 및 도 9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본 것을, 도 10은 벽체유닛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유닛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조물이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기 위한 기초구조물의 배치형태를 나타내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조물이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기 위한 기초구조물의 상부구조물안착부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종방향은 복수의 기초유닛이 연결되는 방향을 지칭하며, 횡방향은 상기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유닛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유닛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외단주철근이 인접 주철근에 밀착된 상태를, 도 4(b)는 외단주철근이 인접 주철근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물(1)은 상부구조물(10) 및 하부구조물(20)을 포함한다.
구조물(1)은 예를 들어, 교량과 지중구조물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생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구조물(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치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구조물(20)은 상부구조물(10)을 저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구조물(10)의 하중에 의한 응력집중 현상으로 특정 위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낮은 변형률로 구조적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하는 동시에, 시공 시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 중 안전성과 편의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시공오차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20)에 대한 아이디어를 착안하게 되었고, 이에 최적화된 구조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 끝에 후술하는 구조의 기초구조물(20)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기초구조물(20)은, 기초유닛(100), 벽체유닛(200), 철근망(300), 및 커넥터(4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초유닛(100)은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기초유닛측판(110) 및 기초유닛연결판(120)을 포함한다.
기초유닛측판(110)은 기초유닛연결판(120)을 사이로 한 쌍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현장타설 시 거푸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기초유닛연결판(120)은,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30)가 마련된다. 돌출부(130)는 후술하는 벽체유닛(200)이 안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돌출부(130)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벽체유닛안착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기초유닛연결판(120)은, 종방향으로 철근이 매립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부매립철근(150) 및 하부매립철근(160)이 각각 기초유닛연결판(120)의 상부 및 하부에 매립될 수 있다. 상부매립철근(150) 및 하부매립철근(160)은 후술하는 철근망(300)과 연결되도록 하여 철근망(300)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대한 전단연결재 기능을 수행하여,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초구조물(20)에 최소 한 개의 기초유닛(100)이 포함될 수 있고, 단일한 기초유닛(100)에 최소 한 개의 기초유닛연결판(120)이 마련될 수 있다.
기초유닛연결판(120)과 기초유닛측판(11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인 철근망설치부(140)가 마련되어, 후술하는 철근망(300)이 철근망설치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단일한 기초유닛(100)에 한 개의 기초유닛연결판(120)이 마련되는 경우, 철근망설치부(140)는 인접한 기초유닛(100)의 기초유닛측판(110) 및 기초유닛연결판(12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이 철근망설치부(14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초유닛(100)은 와이어매쉬(미도시)가 매립되어 운반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벽체유닛(200)은 벽체유닛측판(210) 및 하부돌출철근(230)을 포함한다.
벽체유닛(200)은 기초유닛(100)과 상부구조물(10) 사이에 배치되기 위해, 전술한 벽체유닛안착부(131)에 안착되고, 벽체유닛(200) 상부에 상부구조물안착부(240)가 마련될 있다. 상부구조물안착부(240)는, 상부구조물(10)의 하단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벽체유닛(200) 상단에서 소정 깊이가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벽체유닛측판(21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콘크리트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돌출철근(230)은 일부가 벽체유닛측판(210)에 매립되고 일부가 벽체유닛측판(210)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기초유닛(100)으로서 모멘트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철근망(300)은 철근망설치부(140)에 삽입되어, 기초구조물(2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철근망(300)은, 주철근(310), 상부배력철근(320), 하부배력철근(330), 및 보조철근(340)을 포함한다.
주철근(310)은 종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철근망(300)의 형태 및 설치 면적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철근(310)은 대략 ㅁ형태를 가질 수 있고,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배력철근(320) 및 하부배력철근(330)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배력철근(320) 및 하부배력철근(330)은 주철근(3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용접, 철사의 꼬임, 접착제, 걸침부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 설명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철근망(300)이 기초유닛(100)의 철근망설치부(140) 내에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배력철근(320)이 상부매립철근(160)에 연결되고, 하부배력철근(330)이 하부매립철근(160)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철근(340)은 주철근(310)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서 상부배력철근(320) 및 하부배력철근(330) 보다 외곽방향에 설치되어 복수의 주철근(310)이 상호 지지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철근(340)은 주철근(310)의 각 모서리 인근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주철근(310)이 소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철근망(300)에서 종방향 단부에 설치된 외단주철근(311)은 보조철근(340), 상부배력철근(320), 하부배력철근(330)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단주철근(311)을 인접 주철근(3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철근망설치부(140)에 설치함으로써 상부매립철근(15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삽입할 수 있고, 이후 외단주철근(311)을 다시 인접 주철근(310)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 시킴으로써 주철근(310) 배치를 위한 소정 간격 확보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400)는 인접한 복수의 벽체유닛(2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다.
커넥터(400)는 걸침부(420) 및 걸침부(420)의 양 말단에서 굴곡되어 연장되는 삽입부(4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400)는 U형 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유닛을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본 것을, 도 7은 벽체유닛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유닛을 나타낸 것으로, 도 8 및 도 9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본 것으로, 도 10은 벽체유닛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돌출철근(230)은 하부로 연장되다가 횡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부(232)는 기초유닛측판(110)이 마련된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벽체유닛측판(210) 내에 다수의 하부돌출철근(230)이 인접하여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돌출철근(230)은, 한 쌍의 벽체유닛측판(210) 각각에 매립된 부분을 연결하는 벽체유닛연결철근(2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외측의 하부돌출철근(230)과 벽체유닛연결철근(231)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유닛연결철근(231)는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단일한 벽체유닛(200) 내에서 복수 개의 하부돌출철근(230)이 종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된 인접한 벽체유닛연결철근(231) 사이로 정의되는 공간 인 커넥터삽입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유닛(200)은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여 연속되도록 기초유닛(100) 상에서 배치될 수 있는데, 한 쌍의 벽체유닛(200)이 상호 연결될 때, 커넥터(400)의 삽입부(410)가 커넥터삽입부(250)에 삽입되어 벽체유닛(200) 각각의 말단에 설치되는 벽체유닛연결철근(231)에 커넥터(400)의 걸침부(420)가 걸쳐짐으로써 한 쌍의 벽체유닛(20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유닛(200)은 한 쌍의 벽체유닛측판(210) 사이를 연결하는 벽체유닛연결판(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400)의 삽입부(410)가 벽체유닛연결판(220) 및 벽체유닛연결철근(23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부(410)가 삽입된 공간으로 현장타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유닛연결판(220)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바라볼 때 말단부가 아치형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400)가 움직일 수 있는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벽체유닛(2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연속배치 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유닛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전술한 기초유닛(100)을 지반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져진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 위치에 복수의 기초유닛(100a, 100b)을 연속되도록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초유닛(100a, 100b)은 인접한 기초유닛측판(110)이 상호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고, 일 예로, 와이어메쉬(미도시)가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철근망(300)을 철근망설치부(14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망(300)은 공장 또는 현장에서 선 조립된 후 철근망설치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망(300)을 설치하는 것은, 외단주철근(311)을 인접한 주철근(310) 방향으로 밀착시키고, 철근망(300)을 철근망설치부(140)에 설치하고, 외단주철근(311)을 인접한 주철근(310)에서 이격시키고, 상부배력철근(320)을 기초유닛연결판(120)에 종방향으로 매립된 상부매립철근(150)에 연결하고, 하부배력철근(330)을 상부매립철근(150) 하부에서 기초유닛연결판(120)에 종방향으로 매립된 하부매립철근(160)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초유닛연결판(120) 상에 복수의 벽체유닛(2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벽체유닛(200)이 벽체유닛안착부(13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벽체유닛측판(210)의 종방향 말단부가 벽체유닛안착부(131)에 안착될 수 있다.
굴곡부(232)의 길이는 철근망(300)의 상부배력철근(320) 및 보조철근(340) 사이의 거리 보다 짧도록 제작하여, 벽체유닛(200) 설치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유닛(200)을 벽체유닛안착부(131)에 안착되도록 한 후 하부돌출철근(230)과 철근망(300)을 연결하여 현장타설 시 철근망(300)의 위치가 변동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벽체유닛(200)을 설치한 후 주철근(310) 상부에 상단종철근(500)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망(130) 거치를 위해 소요 개수 보다 적게 배치된 상부배력철근(320)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단종철근(500)을 추가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종철근(500)을 철근망(300) 상에서 벽체유닛(200) 및 기초유닛측판(110) 사이에 안착시킨 후, 철근망(3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넥터(400)를 전술한 커넥터삽입부(250)에 설치하여, 인접한 복수의 벽체유닛(20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400)의 삽입부(410)를 커넥터삽입부(250)에 삽입시키고, 인접한 벽체유닛(200) 각각의 인접한 말단에 설치되는 벽체유닛연결철근(231)에 걸침부(420)를 걸침으로써 인접한 한 쌍의 벽체유닛(2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를 철근망설치부(140)에 타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를 커넥터삽입부(250)를 통해 타설할 수 있다. 이때,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기초유닛(100), 벽체유닛(200)이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거푸집 설치가 불필요함으로써 시공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조물이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기 위한 기초구조물의 배치형태를 나타내 것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구조물이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기 위한 기초구조물의 상부구조물안착부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복수의 기초유닛(100)은, 벽체유닛안착부(131) 중심의 종방향 연장선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유닛(100)이 연결되는 연결부(170)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간격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벽체유닛안착부(131) 중심의 종방향 연장선(A, B)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10)이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곡선 형태의 상부구조물(10)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곡선구간에 기초유닛(100)을 설치할 때 기초유닛(100) 간 이격되는 연결부(170)가 형성된 구간에는 현장 타설 시 별도의 거푸집을 기초유닛측판(110) 외측면에 설치함으로써, 곡선구간에서도 현장타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한 기초유닛(100c)에 복수의 벽체유닛안착부(131)가 종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고, 각 벽체유닛안착부(131) 중심의 종방향 연장선(K, L, M)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연장선은 상호 일치하지 않은 수평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10)이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곡선 형태의 상부구조물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 연속되어 배열되는 각 벽체유닛안착부(131)의 형태 및 위치는 도면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심의 종방향 연장선(K, L, M)의 간격도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각 벽체유닛안착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공법을 혼합하되, 이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기초구조물(20)을 적용하여 현장 시공의 유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부구조물(10)이 직선 구간을 갖는 경우뿐만 아니라 곡선 구간을 갖는 경우에도 시공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제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구조물
10: 상부구조물
20: 기초구조물
100, 100a, 100b, 100c: 기초유닛
110: 기초유닛측판
120: 기초유닛연결판
130: 돌출부
131: 벽체유닛안착부
140: 철근망설치부
150: 상부매립철근
160: 하부매립철근
170: 연결부
200: 벽체유닛
210: 벽체유닛측판
220: 벽체유닛연결판
230: 하부돌출철근
231: 벽체유닛연결철근
232: 굴곡부
240: 상부구조물안착부
250: 커넥터삽입부
300: 철근망
310: 주철근
311: 외단주철근
320: 상부배력철근
330: 하부배력철근
340: 보조철근
400: 커넥터
410: 삽입부
420: 걸침부
500: 상단종철근

Claims (15)

  1.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기초유닛;
    상기 기초유닛 상에 안착되는 복수의 벽체유닛;
    상기 기초유닛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삽입되는 철근망; 및
    인접한 상기 복수의 벽체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유닛은, 대향하는 한 쌍의 기초유닛측판 및 상기 기초유닛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유닛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유닛연결판 상에 상기 벽체유닛이 안착되고,
    상기 기초유닛측판과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인 철근망설치부에 상기 철근망이 설치되며,
    상기 기초유닛은, 상기 철근망과 연결되기 위해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에 종방향으로 매립된 상부매립철근 및 하부매립철근을 포함하는, 기초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유닛은, 상기 기초유닛연결판 상부에 마련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상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유닛이 안착되는 벽체유닛안착부를 포함하는, 기초구조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유닛은,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유닛측판 및 상기 벽체유닛측판 하부로 돌출된 하부돌출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철근은 하부로 연장되다가 횡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기초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체유닛은,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측판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벽체유닛연결철근 및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측판 사이를 연결하는 벽체유닛연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벽체유닛연결철근이 상기 하부돌출철근의 최외측 철근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돌출철근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된 인접한 상기 벽체유닛연결철근 사이로 정의된 공간 인 커넥터삽입부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는, 걸침부 및 상기 걸침부의 양 말단에서 굴곡되어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벽체유닛이 상호 연결될 때, 상기 삽입부가 상기 커넥터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유닛 각각의 말단에 설치되는 상기 벽체유닛연결철근에 상기 걸침부가 걸쳐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이 연결되는, 기초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은,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주철근, 상기 주철근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배력철근, 및 상기 주철근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배력철근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배력철근은 상기 상부매립철근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배력철근은 상기 하부매립철근에 연결되는, 기초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구조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기초유닛측판 및 상기 기초유닛측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유닛연결판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기초유닛을 제작하고;
    복수의 상기 기초유닛을 종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기초유닛측판 및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인 철근망설치부에 철근망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유닛연결판 상에 복수의 벽체유닛을 안착시키고;
    인접한 상기 벽체유닛을 커넥터로 연결하고; 및
    상기 철근망설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
    을 포함하되,
    상기 철근망은,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주철근, 상기 주철근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배력철근 및 상기 주철근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배력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망을 설치하는 것은,
    외단주철근을 인접한 상기 주철근 방향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철근망을 상기 철근망설치부에 설치하고;
    상기 외단주철근을 인접한 상기 주철근에서 이격시키고; 및
    상기 상부배력철근을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에 종방향으로 매립된 상부매립철근에 연결하고, 상기 하부배력철근을 상기 상부매립철근 하부에서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에 종방향으로 매립된 하부매립철근에 연결하는 것;
    을 포함하는, 기초구조물의 제작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벽체유닛을 안착시키는 것은, 상기 기초유닛연결판 상부에 마련된 돌출부 상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벽체유닛안착부에 안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기초구조물의 제작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벽체유닛을 안착시킨 후, 상기 주철근 및 상기 기초유닛연결판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상단종철근을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초구조물의 제작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벽체유닛은,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유닛측판 및 상기 벽체유닛측판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하부돌출철근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돌출철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측판 각각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된 벽체유닛연결철근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돌출철근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된 인접한 상기 벽체유닛연결철근 사이로 정의된 공간 인 커넥터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는, 걸침부 및 상기 걸침부의 양 말단에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상기 벽체유닛을 커넥터로 연결하는 것은, 상기 삽입부를 상기 커넥터삽입부에 삽입시키고, 인접한 상기 벽체유닛 각각의 인접한 말단에 설치되는 상기 벽체유닛연결철근에 상기 걸침부를 걸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벽체유닛을 연결하는, 기초구조물의 제작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은, 상기 벽체유닛에서 상기 커넥터가 삽입된 영역에 타설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초구조물의 제작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기초유닛을 종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은, 상기 벽체유닛안착부 중심의 종방향 연장선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이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초구조물의 제작방법.

KR1020200137495A 2020-10-22 2020-10-22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22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95A KR102229028B1 (ko) 2020-10-22 2020-10-22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95A KR102229028B1 (ko) 2020-10-22 2020-10-22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028B1 true KR102229028B1 (ko) 2021-03-18

Family

ID=7523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95A KR102229028B1 (ko) 2020-10-22 2020-10-22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0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747B1 (ko) 2022-06-14 2022-11-09 이형훈 스트립기초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881A (ja) * 1994-03-30 1995-10-17 Daishiyuu Kensetsu:Kk 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型枠装置
JP2981009B2 (ja) * 1991-04-22 1999-11-2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基礎構造
KR101212619B1 (ko) * 2011-05-13 2012-12-14 장광윤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KR101696552B1 (ko) * 2015-09-11 2017-01-18 현대건설주식회사 프리캐스트 벽 패널을 이용하는 수중 연속 구조물 및 이의 가설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1009B2 (ja) * 1991-04-22 1999-11-2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基礎構造
JPH07268881A (ja) * 1994-03-30 1995-10-17 Daishiyuu Kensetsu:Kk 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型枠装置
KR101212619B1 (ko) * 2011-05-13 2012-12-14 장광윤 중공박스형 기초구조
KR101696552B1 (ko) * 2015-09-11 2017-01-18 현대건설주식회사 프리캐스트 벽 패널을 이용하는 수중 연속 구조물 및 이의 가설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747B1 (ko) 2022-06-14 2022-11-09 이형훈 스트립기초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3795B1 (en) Composite structural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11576619B (zh) 高强混凝土后浇的装配式框架体系生产方法
CN108625356A (zh) 一种预制预应力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KR102229028B1 (ko)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혼합형 기초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CN114319977A (zh) 一种钢管混凝土排柱式连接预制剪力墙结构及施工方法
CN212453065U (zh) 装配式建筑框架结构构件
KR100984249B1 (ko) 합성거푸집 패널과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0413995Y1 (ko) 철판을 이용한 커플링 보의 보강구조
CN107178149B (zh) 树杈形钢骨混凝土组合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80103260A (ko)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KR101814750B1 (ko) 상부 충전 플랜지 튜브를 갖는 하이브리드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KR102206777B1 (ko) 개구형 단경간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107317A (ko)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이중벽체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CN209837333U (zh) 用于后浇带位置的钢筋混凝土诱导带结构
KR20070081812A (ko) 에이치 형강이 삽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및 그의제작방법
CN210562997U (zh) 一种预制柱组件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CN106088433B (zh) 一种双向受力叠合板及其施工方法
CN110984367A (zh) 装配式建筑框架结构构件及其施工方法
CN104975714A (zh) 厂房混凝土楼板预留暗牛腿模板装置及施工方法
KR102553230B1 (ko) 프리캐스트 내진중공슬래브 및 그 연결방법
KR100619233B1 (ko) 포스트-텐션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 및 시공방법
CN115198882B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00531B1 (ko) 하이브리드 모듈형 슬래브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