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02B1 - 조립식 교각 - Google Patents

조립식 교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702B1
KR101973702B1 KR1020160183353A KR20160183353A KR101973702B1 KR 101973702 B1 KR101973702 B1 KR 101973702B1 KR 1020160183353 A KR1020160183353 A KR 1020160183353A KR 20160183353 A KR20160183353 A KR 20160183353A KR 101973702 B1 KR101973702 B1 KR 10197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eceiving
receiving groove
steel bar
concrete
reinforcing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535A (ko
Inventor
이성
Original Assignee
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 filed Critical 이성
Priority to KR102016018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7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미리 제작된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이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됨과 동시에 내진 설계의 반영을 통해 지진 등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교각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고 하단에는 기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1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1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이 돌출되는 기초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초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1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2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2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및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및 상단이 돌출되는 기둥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둥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거더 지지를 위한 코핑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3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둘레에는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이 돌출되는 코핑구조물;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고정철근; 및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 내에 각각 수용되고 충전재에 의해 타설고정되는 내진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교각{ASSEMBLING TYPE PIER}
본 개시내용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량 거더(상판)를 지지하고 교량 거더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교각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교각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량 거더를 지지하고 교량 거더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각은 통상 현장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교각의 시공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기초 터파기 작업 이후에, 기초 철근 및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일정기간 동안의 양생을 거쳐 기초부를 형성한다. 또한 기초부가 양생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철근과 거푸집을 형성해 가면서, 교각을 양생하고, 교각 상부 즉 교량 거더를 받치는 코핑부는 동바리를 받쳐 놓고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1차 또는 2차 공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각을 완성한다.
이러한 현장타설 방식의 교량의 경우에는 거푸집의 설치 및 시공 후 거푸집의 탈형작업 등에 많은 공사기간 및 경비가 소요된다. 또한 교각은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 주변에 교통 혼잡을 초래하거나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시공관리가 어렵고 부실시공의 우려가 상존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최근에는 현장에서 지형 바닥으로부터 기초 터파기를 포함하는 기초부 시공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교각을 미리 단위구조물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방식의 조립식 교각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조립식 교각은 프리캐스트 타입으로 제작된 단위구조물이 사전에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인력 및 품질 관리가 유리하고, 특히, 단위구조물의 프리캐스트 작업이 현장의 기초부 공사와 병행하여 실시가능하므로, 현장타설 방식에 비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조립식 교각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4-0021837호(1994.10.19)에는 구형, 원형, 타원형 단면을 갖고 기둥을 높이에 따라 여러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로 분할 제작된 상부세그먼트의 하단부에는 凸형태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하부세그먼트의 상단부는 凹형태로 하면 상부세그먼트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로 부터의 압축 또는 인장력, 축력, 전단력을 5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전달시키는 전단력를 凸凹부 내부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교각 및 기둥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57108호(2008.06.24. 공개)에는 소정의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소정 높이로 설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절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분절부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및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포켓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키 오목부와, 상기 키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키 볼록부가 형성된 조립식 교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22191호(2000.08.04. 공개)에는 다수개의 앵커볼트가 돌출된 철근 콘크리트 기초 토대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앵커볼트에 각각의 연결구가 고정되며, 그 위에는 내측에 다수개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삽치한 교각용 콘크리트 블럭을 다단으로 쌓은 기둥이 형성되며, 적층된 다단의 기둥 맨 위에도 역시 내측에 다수개의 파이프를 수직으로 삽치한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이 얹어지며, 상기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의 내측에 삽치한 수직파이프 및 교각을 구성하는 다단의 콘크리트 블럭 내측의 수직파이프에는 강봉이 관통 삽입되어지되, 상기 강봉 하단부의 나사산은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한 연결구에 체결 결합되고, 강봉의 상단부 나사산에는 플레이트 및 너트가 체결되어 기초 토대 및 그 위에 적층된 다단의 교각용 콘크리트 블럭 및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이 일체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기초 토대, 교각용 콘크리트 블럭, 교각 상부용 콘크리트 블럭 사이의 접합부위에는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수지 등의 그라우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57514호(2008.06.25. 공개)1에는 상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홈에 설치된 상부 돌기와, 상기 몸체의 바닥에 형성된 하부 돌기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recast segment)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돌기는 상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하부 돌기와 끼움 결합되는 교각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교각은, 단순히 미리 제작된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을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하기 위한 목적에만 기초함에 따라 구조적인 면에서 지진 등에는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미리 제작된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이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됨과 동시에 내진 설계의 반영을 통해 지진 등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교각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고 하단에는 기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1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1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이 돌출되는 기초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초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1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2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2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및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및 상단이 돌출되는 기둥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둥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거더 지지를 위한 코핑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3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둘레에는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이 돌출되는 코핑구조물;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고정철근; 및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 내에 각각 수용되고 충전재에 의해 타설고정되는 내진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고정철근이 노출되는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단 둘레, 상기 기둥구조물의 하단 둘레와 상단 둘레, 그리고 상기 코핑구조물의 하단 둘레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입되는 측면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철근은 상기 측면함입부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미리 제작된 기초구조물, 기둥기조물, 코핑구조물이 콘크리트포켓과 조립돌기에 의해 신속용이하게 적층됨과 동시에 연결고정철근에 의해 연결고정됨에 따라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이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적층조립되는 기초구조물, 기둥기조물, 코핑구조물 사이에 내진스프링이 개재됨에 따라 지진 등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교각의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단면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분해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단면구조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 기초구조물(10), 기둥구조물(20) 및 코핑구조물(30)이 현장에서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기초구조물(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하부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제 1 보강철근(17)에 의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다.
기초구조물(10)의 하단에는 지반에 대한 매입고정을 위한 기부(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기초구조물(10)의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1 콘크리트포켓(13)이 형성된다. 제 1 콘크리트포켓(13)의 내부에는 미양생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라 기둥구조물(20)의 적층조립 시에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에 미양생 콘크리트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이 접합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기초구조물(10)의 상부면 중 제 1 콘크리트포켓(13)의 둘레에는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이 형성된다.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은 차후에 설명될 내진스프링(50)의 하부 수용고정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 사이에 다수개의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제 1 콘크리트포켓(13)의 둘레에 일정 각도간격으로 1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은 또한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 사이에 오직 1개의 내진스프링(50)이 제 1 콘크리트포켓(13)을 둘러싸는 형태로 개재될 수 있도록 제 1 콘크리트포켓(13)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초구조물(10)의 내부에는 제 1 보강철근(17)이 일종의 망상구조체로 배열된다. 차후에 설명될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한 연결고정을 위해 제 1 보강철근(17)의 상단은 기초구조물(10)의 상단 측면 둘레로 휘어져 기초구조물(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전술한 기초구조물(10) 상에는 기둥구조물(20)이 현장에서 조립연결된다. 기둥구조물(2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중앙부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제 2 보강철근(29)에 의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다.
기둥구조물(20)의 하부면에는 기초구조물(10)의 제 1 콘크리트포켓(13) 내로 삽입고정되는 제 1 조립돌기(21)가 돌출형성된다. 제 1 조립돌기(21)는 기초구조물(10)에 대한 기둥구조물(20)의 적층조립 시에 기초구조물(10)의 제 1 콘크리트포켓(13) 내로 삽입되면서 제 1 콘크리트포켓(13) 내에 채워진 미양생 콘크리트가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에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콘크리트포켓(1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구조물(20)의 하부면 중 제 1 조립돌기(21) 둘레에는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23)이 기초구조물(10)의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23)은 기초구조물(10)의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과 조합되어 내진스프링(50)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기둥구조물(20)의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2 콘크리트포켓(25)이 형성된다. 제 2 콘크리트포켓(25)의 내부에는 미양생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라 기둥구조물(20)의 적층조립 시에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의 접합면에 미양생 콘크리트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기둥구조물(20)과 차후에 설명될 코핑구조물(30)이 접합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기둥구조물(20)의 상부면 중 제 2 콘크리트포켓(25)의 둘레에는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이 형성된다.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은 차후에 설명될 내진스프링(50)의 하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의 접합면 사이에 다수개의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될 수 있도록 제 2 콘크리트포켓(25)의 둘레에 일정 각도간격으로 1개씩 형성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은 또한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의 접합면 사이에 오직 1개의 내진스프링(50)이 제 2 콘크리트포켓(25)을 둘러싸는 형태로 개재될 수 있도록 제 2 콘크리트포켓(25)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구조물(20)의 내부에는 제 2 보강철근(29)이 일종의 망상구조체로 배열된다. 차후에 설명될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한 연결고정을 위해 제 2 보강철근(29)의 하단 및 상단은 기둥구조물(20)의 하단 및 상단 측면 둘레로 휘어져 기둥구조물(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전술한 기둥구조물(20) 상에는 코핑구조물(30)이 현장에서 조립연결된다. 코핑구조물(30)은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상부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제 3 보강철근(37)에 의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다.
코핑구조물(30)의 하부면에는 기둥구조물(20)의 제 2 콘크리트포켓(25)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돌기(31)가 돌출형성된다. 제 2 조립돌기(31)는 기둥구조물(20)에 대한 코핑구조물(30)의 적층조립 시에 기둥구조물(20)의 제 2 콘크리트포켓(25) 내로 삽입되면서 제 2 콘크리트포켓(25) 내에 채워진 미양생 콘크리트가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의 접합면에 골고루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2 콘크리트포켓(2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핑구조물(30)의 하부면 중 제 2 조립돌기(31)의 둘레에는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33)이 기둥구조물(20)의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33)은 기둥구조물(20)의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과 조합되어 내진스프링(50)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코핑구조물(30)의 상단에는 교량 거더(상판)의 지지를 위한 코핑부(35)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코핑구조물(30)의 내부에는 제 3 보강철근(37)이 일종의 망상구조체로 배열된다. 차후에 설명될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한 연결고정을 위해 제 3 보강철근(37)의 하단은 코핑구조물(30)의 하단 및 상단 측면 둘레로 휘어져 코핑구조물(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보강철근(17)의 상단과 제 2 보강철근(29)의 하단, 제 2 보강철근(29)의 상단과 제 3 보강철근(37)의 하단은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고정철근(40)은 제 1 보강철근(17)과 제 2 보강철근(29)의 단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기초구조물(10)과 그 상부에 적층된 기둥구조물(20)을 연결고정하고 제 2 보강철근(29)과 제 3 보강철근(37)의 단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기둥구조물(20)과 그 상부에 적층된 코핑구조물(30)을 연결고정하는 것으로, 그 양단은 볼트너트결합, 용접 등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보강철근(17, 29, 37)의 단부에 연결된다.
전술한 기초구조물(10)과 그 상부에 적층된 기둥구조물(20) 사이 그리고 기둥구조물(20)과 그 상부에 적층된 코핑구조물(30) 사이에는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된다.
내진스프링(50)은 기초구조물(10)과 기둥구조물(20) 사이, 그리고 기둥구조물(20)과 코핑구조물(30) 사이의 적층연결부위에 내부탄성을 제공함에 따라 지진 등의 발생 시에 진동을 완충흡수하여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1)의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기초구조물(10)의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15)과 기둥구조물(20)의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23), 그리고 서로 대응되는 기둥구조물(20)의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27)과 코핑구조물(30)의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33) 내에는 수용된 후 그 내부에 타설되는 충전재에 의해 고정된다.
내진스프링(50)은 고하중 지지용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진스프링(50)을 고정하는 충전재는 공지된 그라우팅 공법에 의해 타설 가능하다.
또한 연결고정철근(40)이 노출되는 기초구조물(10)의 상단 둘레, 기둥구조물(20)의 하단 둘레와 상단 둘레, 그리고 상기 코핑구조물(30)의 하단 둘레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입되는 측면함입부(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함입부(60)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메워지면서 연결고정철근(40)와 제 1, 제 2 및 제 3 보강철근(17, 29, 37)의 연결단부의 외기노출을 방지하여 녹 발생 등에 의한 연결강도의 약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함입부(60)는 도 2에 상당한 깊이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는 100 내지 150mm 깊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함입부(60)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은 숏크리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은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미리 제작된 기초구조물(10) 기둥기조물(20), 코핑구조물(30)이 미양생 콘크리트가 타설된 제 1 콘크리트포켓(13)과 제 1 조립돌기(21), 그리고 미양생 콘크리트가 타설된 제 2 콘크리트포켓(25)과 제 2 조립돌기(31)에 의해 신속용이하게 적층됨과 동시에 제 1, 제 2 및 제 3 보강철근(17, 29, 37)의 연결단부가 연결고정철근(40)에 의해 연결고정됨에 따라 교각의 단위구조물들이 신속용이하게 조립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교각은 서로 적층조립되는 기초구조물(10)과 기둥기조물(20) 사이, 그리고 기둥기조물(20)과 코핑구조물(30) 사이에 내진스프링(50)이 개재됨에 따라 지진 등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내진스프링(50)의 탄성연결구조에 의해 교각의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조립식 교각
10 : 기초구조물
11 : 기부
13 : 제 1 콘크리트포켓
15 :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
17 : 제 1 보강철근
20 : 기둥구조물
21 : 제 1 조립돌기
23 :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
25 : 제 2 콘크리트포켓
27 :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
29 : 제 2 보강철근
30 : 코핑구조물
31 : 제 2 조립돌기
33 :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
35 : 코핑부
37 : 제 3 보강철근
40 : 연결고정철근
50 : 내진스프링
60 : 측면함입부

Claims (3)

  1.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고 하단에는 기부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1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1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이 돌출되는 기초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초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1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홈 형상의 제 2 콘크리트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둘레에는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2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및 상단 둘레에는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및 상단이 돌출되는 기둥구조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기 기둥구조물 상에 조립연결되고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제 2 콘크리트포켓 내로 삽입되는 제 2 조립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립돌기 둘레에는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이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거더 지지를 위한 코핑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3 보강철근이 배열되고 하단 둘레에는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이 돌출되는 코핑구조물;
    상기 제 1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하단, 상기 제 2 보강철근의 상단과 상기 제 3 보강철근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고정철근; 및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1 상부스프링수용홈,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기 제 2 상부스프링수용홈 내에 각각 수용되고 충전재에 의해 타설고정되는 내진스프링;을 포함하는 조립식 교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철근이 노출되는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단 둘레, 상기 기둥구조물의 하단 둘레와 상단 둘레, 그리고 상기 코핑구조물의 하단 둘레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입되는 측면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철근은 상기 측면함입부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그라우팅 공법에 의해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각.
KR1020160183353A 2016-12-30 2016-12-30 조립식 교각 KR10197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53A KR101973702B1 (ko) 2016-12-30 2016-12-30 조립식 교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53A KR101973702B1 (ko) 2016-12-30 2016-12-30 조립식 교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35A KR20180078535A (ko) 2018-07-10
KR101973702B1 true KR101973702B1 (ko) 2019-04-29

Family

ID=6291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353A KR101973702B1 (ko) 2016-12-30 2016-12-30 조립식 교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749A (ko)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노출형 연결구조를 갖는 모듈형 pc교각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186B (zh) * 2019-01-30 2020-10-27 北京工业大学 防止桥墩撞击损伤的自动触发型伞式防护装置
CN109898409B (zh) * 2019-04-12 2021-01-08 新疆北新路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抗震式预制桥墩结构
CN110258304A (zh) * 2019-06-26 2019-09-20 中铁二十三局集团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制钢筋混凝土墩或柱的接头结构
CN111501536A (zh) * 2020-04-14 2020-08-07 中铁二十四局集团江苏工程有限公司 抗震型高铁桥梁支座及其施工方法
CN111622084A (zh) * 2020-06-11 2020-09-04 大连交通大学 一种防跌落的桥梁抗震用限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37B1 (ko) * 2005-10-27 2007-04-06 김태균 프리캐스트 수중조립식 교각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579B2 (ja) * 1992-08-20 1997-02-05 株式会社ピー・エス 筒状構造物の構築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37B1 (ko) * 2005-10-27 2007-04-06 김태균 프리캐스트 수중조립식 교각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749A (ko) 2020-10-22 2022-05-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노출형 연결구조를 갖는 모듈형 pc교각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35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702B1 (ko) 조립식 교각
KR101973701B1 (ko) 조립식 교각
KR101131679B1 (ko)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KR100662811B1 (ko) 양단이 결합된 철근콘크리트속채움 비합성복합강관기둥의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63557B1 (ko) 조립식 중공 세그먼트 교각
JP2000248526A (ja) 桟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339946B1 (ko)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KR10120404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교대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140109587A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JP2008075425A (ja) 杭と柱の接合構造
KR101183785B1 (ko) 기둥 주각부 고정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기초판 접합구조
JP2006104883A (ja) 免震建物
JP3799036B2 (ja) 建物の基礎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101892073B1 (ko) 강관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5865567B2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JP2017057642A (ja) フーチング基礎構造
KR20080103260A (ko)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210090100A (ko) 지하구조물이 벽식구조인 건물에서 가설전이구조물을 이용하여 조기지상골조 착수가 가능한 공기단축형 역타공법 및 구조
KR10059976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합성 중공 교각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0017880A (ja) Pc貯槽の側壁
AU2016210740B2 (en) An Improved Cast-In Member
JP2020056252A (ja) 仕口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