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400Y1 -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 Google Patents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400Y1
KR200273400Y1 KR2019990010598U KR19990010598U KR200273400Y1 KR 200273400 Y1 KR200273400 Y1 KR 200273400Y1 KR 2019990010598 U KR2019990010598 U KR 2019990010598U KR 19990010598 U KR19990010598 U KR 19990010598U KR 200273400 Y1 KR200273400 Y1 KR 200273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fixing
wall
ro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984U (ko
Inventor
이종례
Original Assignee
이경희, 장련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장련,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filed Critical 이경희, 장련
Publication of KR20000018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40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A)는 단순히 양측단을 절곡시켜서 고정홀을 갖춘 고정부를 형성하여 거푸집의 내면에 밀착시켜서 못을 박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벽체의 골격인 철근작업을 하고 필히 일측의 거푸집을 설치한 후 고정판을 고정시켜야 되는 작업상의 문제점과 거푸집을 제거했을 때 벽면에 못이 돌출되어 있어 후 처리를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B)는 단순히 고정판에 고정봉을 설치하므로써 벽면으로부터 고정봉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없는 상태에서 수직철근에 고정하게되나 이것은 철근을 안쪽으로 밀리게 하여, 철근변위로 인한 건축구조 훼손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벽체(34)에 매설되는 고정판(10)의 양단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켜서 연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2)에 관통홀(14)을 형성하여 고정봉(16)을 끼워넣어 일체를 이루게 하여 매설되는 철근(31)에 고정봉(16)의 단부를 결합시켜서 벽면으로부터의 일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받침쐐기(30)로 지지함으로서, 벽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작업과 동시에 전기배관용 고정판을 설치하고 동시에 배관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판(10)을 철근(31)에 고정시킴으로서, 거푸집(36)을 제거한 후 벽체(34)의 후처리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Box fixing plate for electric pipe embadded in the wall.}
본 고안은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에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벽체에 매설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측면에 고정봉을 설치하여 일정위치(표면으로 부터 약3㎝ 깊이)에 매설되는 철근과 결합시켜서 전기배관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는데, 전기를 사용하는데 용이하도록 일정높이와 위치에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박스고정판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전기콘센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 1 의 (가)는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판(A)의 사시도로서,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부(2)와 부착부(3)를 갖춘 평판형의 고정판(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2)는 고정판(1)의 양 단부가 'ㄴ'자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한 쌍의 고정홀(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3)에는 등간격으로 한 쌍의 부착홀(5)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판(1)에는 도 2 의 (가)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3)에 콘센트(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콘센트박스(6)가 부착되는데, 상기 콘센트박스(6)는 부착부(3)의 부착홀(5)과 보울트결합을 이루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판(1)을 벽체(7)에 매설시키는 것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3 의 (가)(나)(다)(라)에 표현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벽체(7)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8)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일측의 거푸집(8)을 설치하여 그 내면의 일정위치에 고정판(1)의 고정부(2)를 밀착시키고 고정부(2)의 고정홀(4)에 못을 박아 고정시킨 후 전기배관을 하게된다.(도면상 거푸집에 고정부가 밀착된 상태로 나타나 있으나 대부분 약 1㎝정도 간격을 갖고 고정시킴)
이어서, 거푸집(8)의 다른 일측을 설치하여 그 공간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시켜고 경화시킨 후 양측의 거푸집(8)을 제거하는 것으로 벽체(7)는 형성이 되고 이렇게 형성된 벽체(7)의 일정위치에 콘센트박스(6)가 부착된 고정판(1)이 매설되어 간단하게 전기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시도 1의 (나)는 철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다른 고정판(B)의 사시도로서,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부착부(63)과 고정홈(64)를 갖춘 고정판(61)으로 이루어저 있고, 상기 부착부(63)에는 등간격으로 한 쌍의 부착홀(65)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판(61)은 도 2 의 (나)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63)에 콘센트(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콘센트박스(6)가 부착되는데, 상기 콘센트박스(6)는 부착부(63)의 고정홈(64)에 고정봉이 삽입되어 부착홀(65)과 보울트결합을 이루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판(61)을 벽체(7)에 매설시키는 것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4 의 (가)(나)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정상위치의 수직철근(31)에 고정봉(76)을 묶어 고정판(61)를 고정시키고 배관을 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면, 수직철근은 벽체 중앙쪽으로 변위(현장작업시 실측한 결과약 40㎜∼60㎜ 정도)를 일으켜 건축구조를 훼손하게 되며,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고정판(61)이 매설되어 전기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배관용 고정판(A)은 단순히 양측단을 절곡시켜서 고정홀(4)이 형성된 고정부(2)를 일측의 거푸집(8)의 내면에 밀착시키고, 고정홀(4)에 못(9)을 박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벽체(7)를 형성시키는 작업공정에 있어 일측의 거푸집(8)이 먼저 설치되고, 설치된 거푸집(8)의 내면에 콘센트박스(6)가 부착된 고정판(1)을 고정시킨 후 전기배관작업이 실시되며, 이어서 다른 일측의 거푸집(8)이 설치되는 작업상의 번거로운 문제점과, 상기 거푸집(8)을 제거했을 때 벽면에 못(9)이 돌출되어 있어 돌출된 못(9)을 처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의 전기배관용 고정판(B)는 단순히 박스후면의 일자고정판에 고정봉을 설치하므로써 벽면으로부터 고정봉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없는 상태에서 수직철근에 연결하여 고정하게되나 철근을 안쪽으로 밀리게 하여, 철근변위로 인한 건축구조 훼손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벽체에 매설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측면에 고정봉을 설치하여 일정위치(표면으로 부터 약3㎝ 깊이)에 매설되는 수직철근(31)과 결합시켜서 전기배관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고정봉 설치로 인한 수직철근(31)의 변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을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에 매설하는 전기배관용 박스 고정판의 측면 양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의 길이와 고정봉 홀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봉의 거푸집으로부터 이격거리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연결부를 갖추게 하고, 상기 연결부에 고정봉을 일체를 이루게하여 벽체의 수직철근에 고정봉의 일단을 결합시켜서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쐐기와 일체화된 스페이서(받침대), 또는 전용스페이서로 고정판 양단을 받치게하여 박스전면을 거푸집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작업을 한 후, 이어서 전기배관용 고정판을 설치하고, 바로 전기 배관작업을 실시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기 전에 완료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판을 철근에 고정시킴으로서, 거푸집을 제거한 후 벽면의 후처리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성의 향상되고, 고정판의 연결부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정위치(벽체의 표면으로 부터 약3㎝깊이)에 설치됨으로 건축구조를 훼손하지 않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전기배관용 고정판에 관한 것으로, (가)는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판(A)의 사시도이고, (나)는 철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다른 고정판(B)의 사시도,
도 2 의 (가)와 (나)는 일반적인 콘센트 박스가 도 1 의 (가)와 (나)에 표현된 고정판(A)와 고정판(B)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의 (가)(나)(다)(라)는 종래의 전기배관용 고정판(A)이 매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4 의 (가)와(나)는 종래의 전기배관용 고정판(B)이 매설되어 철근의 변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사시도,
도 6 의 (가)(나)(다)(라)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이 벽체에 매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다른 예시도로서, 고정봉을 분리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8 의 (가)와 (나)는 박스고정판에 고정봉을 고정시키는 받침쐐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벽체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의 (가)(나)(다)(라)는 도 9 의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이 벽체에 매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의 (가)는 도 10 의 사용상태도 이고, (나)는 도 10 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판, 12 - 연결부,
14 - 관통홀, 16 - 고정봉,
18 - 접합면 20 - U형홈부
22 - 고정브라켓, 24 - 끼움홈,
28 - 받침부,
30 - 받침쐐기, 32 - 쐐기부.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벽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38)가 부착된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에 있어서, 고정판(10)의 양단부를 다수 절곡하여 'ㄷ'자 형상의 연결부(12)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12)는 고정판(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관통홀(14)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4)에 원봉형 또는 다각형봉의 고정봉(16)을 끼워넣고 받침쐐기(30)를 박아 고정봉(16)을 고정하며 받침쐐기(30)에 의해 벽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14)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는 고정봉(16)의 일단부가 벽체에 매설된 철근(31)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12)는 고정판(10)의 양단부를'ㄴ'자 형상으로 절곡시켜서 횡방향의 접합면(18)을 형성하고, U형홈부(20)를 갖춘 고정브라켓(22)을 형성하여 접합면(18)과 끼움결합을 이루게 하되,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일측에 받침부(28)를 형성시켜서 거푸집(36)과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12)의 관통홀(14)에 끼워진 고정봉(16)을 고정시키는 받침쐐기(30)는 고정봉(16)을 고정판(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일측에 형성된 받침부(28)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조정(원형의 단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4는 벽체이고, 36는 벽체(34)를 형성시키는데 있어 설치되는 거푸집이며, 38은 고정판(10)에 부착되는 콘센트박스, 40은 콘센트박스(36)를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판(10)의 부착홀 이다.
예시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사시도이고, 도 6 의 (가)(나)(다)(라)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이 벽체에 매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다른 예시도로서, 고정봉을 분리하여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이고, 예시도 8 의 (가)와 (나)는 박스고정판에 고정봉을 고정시키는 받침쐐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벽체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 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의 양단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연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2)에 고정판(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관통홀(14)을 다수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14)에 원봉형 또는 다각형봉의 고정봉(16)을 끼워넣어 받침쐐기(30)를 끼워서 일체를 이루게 하여 매설되는 철근(31)에 고정판(10)은 결합이 된다.
이때, 받침쐐기(30)는 고정봉(16)과 연결부(12) 사이에 끼워지는 쐐기부(42)와 고정판(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거푸집(36)을 지지하며 이격시키는 받침부(28)로 구성되어 고정봉(16)을 연결부(12)에 고정하는 기능과 고정판(10)을 뒤쪽 거푸집(36)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시키면서 전기배관용 박스(38)의 전면을 앞쪽 거푸집(36)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받침쐐기(30)은 필요에 따라 받침부(28)을 제거하여 단순히 쐐기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고정판(10)을 벽체(34)에 매설시키는 것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6 의 (가)(나)(다)(라)에 표현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벽체(34)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36)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거푸집(36)을 설치하기에 앞서 벽체(34)에 매설되기 위해 설치된 철근(31)과 철근(31)사이에 고정판(10)이 위치하도록 하고, 고정판(10)의 연결부(12)에 고정봉(16)을 끼워넣어 고정봉(16)의 단부를 철근(31)에 용접하거나 철사로 묶어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판(10)에는 전기배관용 콘센트박스(38)를 미리 보울트로 결합시켜서 고정시키고, 이어서 전기배관작업을 실시한 후, 거푸집(36)을 설치하게 되는데 설치되는 거푸집(36)은 그 내면이 콘센트박스(38)와 밀착(콘센트박스가 부착된 고정판이 약간 밀려들어가는 정도)되도록 설치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시켜서 경화시킨 후 양측의 거푸집(36)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36)을 제거하면 고정판(10)은 벽체(36)의 일정위치(벽체의 표면으로 부터 약3㎝ 깊이)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가 되면서 수직으로 설치된 철근(31)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게 되어 수직 철근(31)이 안쪽으로 쏠려 건축구조를 훼손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의 (가)와 (나)는 박스고정판에 고정봉을 고정시키는 받침쐐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벽체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며, 도 9 와 도 10 의 (가)(나)(다)(라)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매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로서, 고정판(10)의 양단부인 'ㄷ'자 형상의 연결부(12)를 보다 짧게하면서 콘세트박스(38)가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절곡시키고, 양측의 연결부(12)에 하나의 고정봉(16)을 끼워넣어 일체를 이루게 한 상태에서 작업현장에 따라 고정판(10)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직(도면상)으로 설치된 앞쪽 철근(31)에 고정봉(16)을 결합시켜서 전기배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과 도 12 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설치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은 양단부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접합면(18)을 갖춘 연결부(12)와 U형홈부(20)와 끼움홈(24)을 갖추고 일측에 받침부(28)을 갖춘 고정브라켓(22)으로 이뤄지되, 상기 U형홈부(20)에 고정봉(16)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접합면(18)의 상하단에 끼움홈(24)이 끼워지도록 고정브라켓(22)을 연결부(12)에 끼워넣어 보울트결합을 이루고, 고정브라켓(22)의 일측에 형성된 받침부(28)에 의해, 고정판(10)은 벽체(34)의 일정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매설된다.
여기서 고정판(10)의 연결부(12)는 도 5·7·9·1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의 외측으로 절곡된 것으로 도시하고 이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연결부(12)를 고정판(10)의 내측으로 절곡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 연결부(12)가 고정판(1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도 그 목적과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벽체(34)에 매설되는 고정판(10)의 양단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켜서 연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2)에 관통홀(14)을 형성하여 고정봉(16)을 끼워넣어 일체를 이루게 하여 매설되는 철근(31)에 고정봉(16)의 단부를 결합시켜서 일정위치에 수직철근(31)의 변위를 일으키지 않은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벽체(34)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작업과 동시에 전기배관용 고정판을 설치하여 전기배관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판(10)을 철근(31)에 고정시킴으로서, 거푸집(36)을 제거한 후 벽체(34)의 후처리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성의 향상과 건축구조 훼손방지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벽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38)가 부착된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에 있어서, 고정판(10)의 양단부를 다수 절곡하여 'ㄷ'자 형상의 연결부(12)를 형성하되 연결부(12)의 길이는 수직철근(31)과 고정봉(16)의 위치를 감안 조정하며, 상기 연결부(12)는 고정판(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관통홀(14)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4)에 원봉형 또는 다각형의 고정봉(16)을 끼워넣어 일체를 이루게 하며, 상기 관통홀(14)에 끼워져 일체를 이루는 고정봉(16)의 일단부가 벽체에 매설된 철근(31)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4)에 끼워진 고정봉(16)과 연결부(12) 사이에는 받침쐐기(30)가 끼워지되, 상기 받침쐐기(30)는 역톱니형(또는 톱니형, 요철형, 민자형등도 포함)의 접합면을 갖춘 쐐기부(42)와 연결부(12)에 끼울 수 있도록 공간을 갖춘 삽입부(44)와 받침쐐기(30)를 거푸집으로부터 지지하여 이격시키는 받침부(28)로 이루어져 고정봉(16)을 안정된 상태로 연결부(12)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판(10)을 뒤쪽 거푸집(36)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시키면서 전기배관용 박스의 전면이 앞쪽 거푸집(36)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12)는 고정판(10)의 양단부를 'ㄴ'자 형상으로 절곡시켜서 횡방향으로 접합면(18)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면(18)에 끼워넣어 보울트결합을 이루며 U형홈부(20)와 끼움홈(24)을 갖춘 고정브라켓(22)을 형성하여 끼움결합을 이루게 하며,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일측에 받침부(28)가 끼워져 일체를 이루도록 한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KR2019990010598U 1999-03-31 1999-06-15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KR20027340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5198 1999-03-31
KR2019990005198 199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84U KR20000018984U (ko) 2000-10-25
KR200273400Y1 true KR200273400Y1 (ko) 2002-04-25

Family

ID=5476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598U KR200273400Y1 (ko) 1999-03-31 1999-06-15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4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18B1 (ko) * 2003-11-28 2006-1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구조용 용접철망을 이용한 벽체매립형 전기설비 선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84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820B1 (ko) 지수판 및 상기 지수판을 이용한 시공방법
JP2008075251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部材同士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KR200273400Y1 (ko)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CN216840213U (zh) 一种预埋穿线管结构及蒸压加气混凝土墙板
KR200408599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커넥터
KR200146354Y1 (ko) 철근 간격 유지구
KR102293304B1 (ko) 앵커볼트 고정구
KR100859543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200157465Y1 (ko) 거푸집고정용 앵커
KR200273535Y1 (ko)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102355995B1 (ko)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KR200426159Y1 (ko) 슬래브 매입형 배관 연결장치
KR200253360Y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 조인트
KR20010002009U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을 조적하기 위한 연결보강장치
KR102705504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매립 시공용 앙카 볼트 설치장치
CN215594922U (zh) 水平作动器埋件面板槽的支模结构
KR100501613B1 (ko) 옹벽구조 및 옹벽의 시공방법
KR200349999Y1 (ko) 거푸집의 휨방지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트
KR200175230Y1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KR100408735B1 (ko)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KR20000050021A (ko) 철근의 화학적인 고정 연결관
KR200291994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0232635Y1 (ko) 조립식 기초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