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354Y1 - 철근 간격 유지구 - Google Patents

철근 간격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354Y1
KR200146354Y1 KR2019960032671U KR19960032671U KR200146354Y1 KR 200146354 Y1 KR200146354 Y1 KR 200146354Y1 KR 2019960032671 U KR2019960032671 U KR 2019960032671U KR 19960032671 U KR19960032671 U KR 19960032671U KR 200146354 Y1 KR200146354 Y1 KR 200146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ebar
reinforcing bar
spacing
mai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988U (ko
Inventor
박병재
Original Assignee
강석재
주식회사진흥스페이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재, 주식회사진흥스페이서 filed Critical 강석재
Priority to KR2019960032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354Y1/ko
Publication of KR970001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거푸집내부에 설치되는 철근과 상기 거푸집과의 일정한 간격유지 및 철근의 고정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철근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몸체상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홈부에 수평철근을 삽입한 후 입구에 있는 마늘을 절곡하여 고정한 상태로 거푸집내부에 설치하여 거푸집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철근과 이에 엇배근위치로 수직철근을 철사로 함께 감아 고정하도록 된 철근간격유지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몸체의 요홈부에 수평철근을 삽입고정시 마늘을 절곡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그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상기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감아 고정하는 철사가 몸체상에서 이완 또는 슬립되어 견고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몸체를 열십자형으로 하되 중앙에서 양단으로 옮겨지면서 완만한 라운드로 하고, 철근지지구는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역지고정리브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철근의 삽입후에는 단단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몰탈의 투여후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응착력을 극대화하여 작업성 및 견고성이 우수하게 되는 철근간격유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철근 간격 유지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단면 처리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6 : 철근지지구 7,8 : 반원형요홈
9,9' : 고정리브 20,20' : 거푸집판넬
50 : 철근간격유지구
본 고안은 소정의 벽면 담, 옹벽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거푸집내부에 설치되는 철근과 상기 거푸집과의 일정한 간격유지 및 철근의 고정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철근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소정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거푸집과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는 세파레타와, 시멘트 콘크리트 타설후 구조물 외측으로 철근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구가 별도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거푸집간의 간격 및 거푸집과 철근과의 간격유지가 각각 별도의 부품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부품 및 설치비용이 상승됨은 물론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몸체상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홈부에 철근을 삽입한 후 입구에 있는 마늘을 절곡하여 고정한 상태로 거푸집내부에 설치하여 거푸집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철근과 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함께 철사로 감아 고정하도록 된 철근간격 유지구였다.
그러나 이러한 철근간격유지구는 몸체의 요홈부에 철근을 삽입고정시 마늘을 절곡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그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상기 철근과 수직철근을 감아 고정하는 철사가 몸체상에서 이완 또는 슬립되어 견고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출원인에 의하여 안출되어 1996년 실용신안출원 제1613호를 제공한바 있다.
이는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몸체상에 협지구를 갖는 철근지지구를 설치하여 상기 철근지지구에 철근을 압입함에 의해 고정하게 되고 또한 상기 몸체상에 형성된 고정홈에 철사를 끼워 수평철근과 수직철근을 감아 고정하게 되므로 철근의 고정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견고성이 우수하게 되는 철근간격 유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몸체를 라운드화 하였으나 철근의 하중 및 콘크리트몰탈이 투여될 때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휨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라운드된 몸체이면에 콘크리트 몰탈이 채워지지 아니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철근의 직경크기, 즉 통상 사용되는 13mm, 10mm의 철근을 선택적으로 설치사용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몰탈의 흐름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몰탈과의 응착력을 크게 하여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철근간격유지구는,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의 몸체(1)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를 단면 십자형으로 구성하되 중앙에서 양단으로 옮겨지면서 양단의 너비가 일정하게 좁아지는 상태로 완만한 라운드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철근지지구(5)(6)를 일체로 설치하되, 상기 철근지지구(5)(6)는 각각 몸체(1)에 형성된 반원형요홈(7)(8)과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 대향되는 한쌍의 역지 고정리브(9)(9'),(10)(10')를 반원형요홈(7)(8)방향인 역지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본 고안의 철근간격유지구(50)를 구성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근간격유지구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철근간격유지구(50)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크기에 따른 거푸집판넬(20)(2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의 것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의 양끝단이 거푸집판넬(20)(20')에 미친 상태에서 몸체(1)에 형성된 압축단으로부터 항상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택된 철근을 상기 몸체(1)상에 형성 철근지지구(5)(6)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철근지지구(5)(6)에 수평철근(15)(16)을 삽입하게 되는데 철근지지구(5)(6)를 구성하는 역지고정리브(9)(10)에 의해 고정되는 철근은 그 직경의 크기가 작은 수평철근(18)을 사용가능하게 되고, 역지고정리브(9')(10')에 의해 고정되는 철근은 그 직경의 크기가 큰 수평철근(19)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때에는 상기 역지고정리브(9)(9'),(10)(10')의 형성방향이 철근삽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의 이탈우려없이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직경크기가 큰 수평철근(19)을 사용할 시에는 고정리브(9)(10)의 끝단이 안쪽으로 강제적으로 꺽이게 되는데 이는 직경크기가 큰 수평철근(19)을 강제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꺽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수평철근(15)(16)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수직철근(24)(25)이 사용도 가능한데 이는 본 고안의 철근간격유지구(50)의 사용위치, 즉 철근지지구(5)(6)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한 수평철근의 사용과 동일한 형태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을 투입하게 되면, 몸체(1)가 열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철근의 하중과 콘크리트 몰탈의 몸체(1)가 중앙에서 끝단으로 완만하게 라운드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몰탈의 유통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콘크리트 몰탈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그만큼 콘크리트몰탈과의 응착력이 높게되고, 또한 철근지지구(5)(6)를 구성하는 역지 고정리브(9)(9'),(10)(10')가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역지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콘크리트몰탈이 철근에 충격을 가해도 철근은 철근지지구(5)(6)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철근간격유지구는 거푸집 사이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거푸집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줌과 동시에 수평철근이나 수직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설치함에 따른 작업성 및 견고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철근간격유지구에 있어서, 단면 십자형으로 구성하되 중앙에서 양단으로 옮겨지면서 양단의 너비가 일정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완만한 라운드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철근지지구(5)(6)를 일체로 설치하되, 상기 철근지지구(5)(6)는 각각 몸체(1)에 형성된 반원형요홈(7)(8)과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 대향되는 한쌍의 역지 고정리브(9)(9'),(10)(10')를 반원형요홈(7)(8)방향인 역지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간격유지구.
KR2019960032671U 1996-10-04 1996-10-04 철근 간격 유지구 KR200146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671U KR200146354Y1 (ko) 1996-10-04 1996-10-04 철근 간격 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671U KR200146354Y1 (ko) 1996-10-04 1996-10-04 철근 간격 유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88U KR970001988U (ko) 1997-01-24
KR200146354Y1 true KR200146354Y1 (ko) 1999-06-15

Family

ID=1946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671U KR200146354Y1 (ko) 1996-10-04 1996-10-04 철근 간격 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3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3A (ko) * 2000-10-19 2001-01-05 이상진 철근 간격유지구
KR20180003005U (ko)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탐진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220014320A (ko) * 2020-07-28 2022-02-04 이정열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418B (zh) * 2019-05-22 2024-04-09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钢筋精确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3A (ko) * 2000-10-19 2001-01-05 이상진 철근 간격유지구
KR20180003005U (ko)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탐진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220014320A (ko) * 2020-07-28 2022-02-04 이정열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KR102462359B1 (ko) * 2020-07-28 2022-11-03 이정열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88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0938B1 (en) Box lintel
KR101000820B1 (ko) 지수판 및 상기 지수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46354Y1 (ko) 철근 간격 유지구
KR20190017509A (ko)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200395694Y1 (ko) 철근간격유지구
US6367209B1 (en) Box lintel
JP5947105B2 (ja) PCa型枠の固定構造
KR960006903Y1 (ko) 철근 지지구
KR200210601Y1 (ko) 철근 간격 유지구
KR200282342Y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CN214940425U (zh) 一种建筑底部定位钢筋安装结构
KR200273535Y1 (ko) 스위치 및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200273400Y1 (ko) 벽체에 매설되는 전기배관용 박스고정판
KR20023122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간격 유지구
JP4297397B2 (ja) 耐震スリット材とその施工方法
CN214575118U (zh) 一种门过梁增强结构
KR20110103025A (ko) 벽체용 스페이서
KR102355995B1 (ko) 탄성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철근에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스페이서
KR200210569Y1 (ko) 철근 스페이서
JP3824892B2 (ja) コンクリート埋設物装置、配線用ボックス及びバー材
KR100510779B1 (ko) 벽체용 철근 스페이서 개구부 억제구조
KR200305351Y1 (ko) 상,하부근 겸용 바 스페이서
CN216587712U (zh) 一种适用于铝模体系的管线预埋装置
KR200237719Y1 (ko) 철근 간격유지구
KR960002106Y1 (ko) 콘크리트용 철근 심체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