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735B1 -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735B1
KR100408735B1 KR10-2001-0047192A KR20010047192A KR100408735B1 KR 100408735 B1 KR100408735 B1 KR 100408735B1 KR 20010047192 A KR20010047192 A KR 20010047192A KR 100408735 B1 KR100408735 B1 KR 10040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formwork
construction method
joint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943A (ko
Inventor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이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이상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Priority to KR10-2001-004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7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옹벽의 시공이 용이하며, 이어치기에 의한 공사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좌우 측면에 고정철근(42)이나 홀(23)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며, 수평 단면이 아이자형인 기 제작된 옹벽 조인트(20)를 사용하는 것으로, 거푸집 설치가 용이하고, 이어치기에 의해 옹벽을 시공하여도, 철근(41)이나 고정철근(42)이 기 시공된 옹벽과 후에 시공된 옹벽을 결합시켜주므로 이음부위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옹벽 시공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용이하며 이어치기에 의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옹벽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절토 또는 성토된 경사지에서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 옹벽 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옹벽은 기초슬래브(1)를 먼저 타설하고, 거푸집(12)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14) 타설 시에 거푸집(12)이 밖으로 밀리지 않도록 목재나 파이프로 된 지지부재(30)와 철사(13) 등으로 거푸집(12)을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14)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시공방법은 거푸집 설치 시에 전후방 거푸집(12) 외에 측면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가 곤란하고, 공사기간이 연장되며, 이어치기에 의해 옹벽을 길게 시공할 경우 기 타설된 옹벽과 후에 타설된 옹벽 이음부위의 접합력이 떨어져 토압을 이기지 못하고 이음부위에서 옹벽이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음 부위 없이 옹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한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데 수십에서 수백미터에 이르는 옹벽의 경우 실질적으로 옹벽을 한 번에 타설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근된 철근이 콘크리트 타설 시의 압력에 의해 일측으로 쏠릴 수 있어 옹벽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며 이어치기에 의해 옹벽을 시공하더라도 이음부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 옹벽 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초슬래브 2 : 옹벽 벽체
12 : 거푸집 13 : 철사
14 : 콘크리트 20 : 옹벽 조인트
21 : 상부 22 : 볼트
23 : 홀 24 : 너트
25 : 빗면 26 : 측면
30 : 지지부재 41 : 철근
42 : 고정철근 50 : 거푸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옹벽 시공 방법에 있어서, 기초슬래브(1)를 타설하는 제1 단계; 수평단면이 아이자형(21)인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며, 전후방의 빗면(25)에는 상기 빗면(25)에 수직하여 다수의 볼트(22)가 매립되어 고정 설치된 옹벽 조인트(20)를 상기 타설된 기초슬래브(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옹벽 조인트(20) 사이에 철근(41)을 배근하는 제3 단계; 좌우측 종단이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측 종단에는 상기 볼트에 외삽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50)을 상기 옹벽 조인트(20)에 설치하여 너트(24)로 고정하는 제4 단계; 콘크리트(14) 타설 시에 상기 거푸집(50)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30)로 상기 거푸집(50)을 고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옹벽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14)를 타설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 조인트의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종래와는 달리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며, 단면이 아이(I)자 형태를 가지는 콘크리트 합성의 옹벽 조인트(20)를 사용하여 시공한 것으로, 옹벽 조인트(20)는 도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양을 가진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조인트(20)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단면이 아이자형(21)인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며, 전후방의 빗면(25)에는 빗면(25)에 수직하여 다수의 볼트(22)가 매립되어 고정 설치되되,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거푸집(50)의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좌우측 측면(26)에는 철근(41)이 내삽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2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조인트(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조인트(도2a : 20)와 모양이 유사하되 철근(41)이 배근되기 위한 홀(23) 대신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철근(42)이 매립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조인트(20)에는 철사(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철근(41)을 고정철근(42)에 묶어 설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와 같이 기초슬래브(1)를 타설하고(도3a), 옹벽 조인트(20)를 타설된 기초슬래브(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한다.
이후, 철근(41)을 배근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조인트(20)인 경우 철근(41)을 홀(23)에 내삽시켜 설치하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조인트(20)인 경우 철근(41)을 철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철근(42)에 묶어 설치한다.
철근(41)의 배근이 완료되면 거푸집(50)을 설치하게 되는데, 거푸집(50)은 일반 직사각형의 거푸집을 사용해도 되고,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종단이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를 가지며, 좌우측 종단에는 옹벽 조인트(20)의 볼트(22)에 거푸집(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거푸집(50)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거푸집(50)의 설치는 거푸집(50)의 좌우 종단에 형성된 홀에 옹벽 조인트(20)의 볼트(22)를 내삽시키고, 너트(24)를 조여 설치하게 된다(도 3d 참조).
일반적인 직사각형 거푸집을 사용할 경우 옹벽 조인트(20)의 빗면에 거푸집의 일측이 물리게 전후로 위치시키고, 지지부재(30)와 철사로 거푸집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14) 타설 시에 거푸집(50)이 벌어지지 않도록 목재나 파이프 등으로 된 지지부재(30)를 설치하고, 철사(13)와 간격제(도시하지 않음)로 거푸집(50)을 고정한다.
거푸집(50)의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14)를 타설하고, 콘크리트(14)가 양생되면 거푸집(50)을 탈형하여 옹벽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기 제작된 옹벽 조인트(20)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이어치기에 의해 옹벽을 시공하여도, 철근(41)이나 고정철근(42)이 기 시공된 옹벽과 후에 시공된 옹벽을 결합시켜주므로, 이음부위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 제작된 옹벽 조인트(20)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가 용이하고, 이어치기에 의해 옹벽을 시공하여도, 철근(41)이나 고정철근(42)이 기 시공된 옹벽과 후에 시공된 옹벽을 결합시켜주므로, 이음부위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옹벽 조인트(20)가 철근(41)을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14) 타설 시에도 일측으로 쏠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옹벽 시공 방법에 있어서,
    기초슬래브(1)를 타설하는 제1 단계;
    수평단면이 아이자형(21)인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며, 전후방의 빗면(25)에는 상기 빗면(25)에 수직하여 다수의 볼트(22)가 매립되어 고정 설치된 콘크리트 합성의 옹벽 조인트(20)를 상기 타설된 기초슬래브(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옹벽 조인트(20) 사이에 철근(41)을 배근하는 제3 단계;
    거푸집(50)을 상기 옹벽 조인트(20)의 빗면(25)에 물려 설치하는 제4 단계;
    콘크리트(14) 타설 시에 상기 거푸집(50)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30)로 상기 거푸집(50)을 고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옹벽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14)를 타설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벽 조인트(20)는,
    상기 옹벽 조인트(20)의 좌우 측면(26)에 상기 철근(41)이 배근되기 위한 다수의 홀(23) 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고정철근(42)이 매립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50)은,
    좌우측 종단이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측 종단에는 상기 볼트(22)에 외삽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푸집(50)의 홀에 상기 옹벽 조인트(20)의 볼트(22)를 내삽시켜 상기 거푸집(5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KR10-2001-0047192A 2001-08-06 2001-08-06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KR10040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192A KR100408735B1 (ko) 2001-08-06 2001-08-06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192A KR100408735B1 (ko) 2001-08-06 2001-08-06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943A KR20030012943A (ko) 2003-02-14
KR100408735B1 true KR100408735B1 (ko) 2003-12-11

Family

ID=2771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192A KR100408735B1 (ko) 2001-08-06 2001-08-06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487B1 (ko) * 2018-01-25 2020-02-06 유기선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벽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9831A (en) * 1979-03-07 1980-09-13 Aizawa Koatsu Concrete Kk Constructing method for concrete gravity wall
JPS604632U (ja) * 1983-06-17 1985-01-14 一戸コンクリ−ト株式会社 重層式連結擁壁枠
JPH0280763A (ja) * 1988-09-13 1990-03-20 Masaaki Yoshida 型枠
JPH0455524A (ja) * 1990-06-23 1992-02-24 Tsutomu Honma コンクリート製擁壁の施工方法
JPH04185821A (ja) * 1990-11-20 1992-07-02 Tsutomu Honma 重量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9831A (en) * 1979-03-07 1980-09-13 Aizawa Koatsu Concrete Kk Constructing method for concrete gravity wall
JPS604632U (ja) * 1983-06-17 1985-01-14 一戸コンクリ−ト株式会社 重層式連結擁壁枠
JPH0280763A (ja) * 1988-09-13 1990-03-20 Masaaki Yoshida 型枠
JPH0455524A (ja) * 1990-06-23 1992-02-24 Tsutomu Honma コンクリート製擁壁の施工方法
JPH04185821A (ja) * 1990-11-20 1992-07-02 Tsutomu Honma 重量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943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5724B (zh) 使用灌浆法和双向锚固系统的预制混凝土箱涵及其装配结构和方法
JP6691880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0174474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杭とフーチングとの連結構造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101056027B1 (ko) 긴장재를 구비한 변단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복합말뚝과 확대기초의 결합구조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JP2007146641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部の構造並びに該接合部を有す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物及びその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395129B1 (ko) 교량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0665679B1 (ko)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100408735B1 (ko) 반습식 조립식 옹벽 시공 방법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200253360Y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 조인트
KR101017127B1 (ko)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와 프리캐스트 교각의 연결구조 및 연결 시공방법
JP3239151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施工方法
KR20040105940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1201049B1 (ko) 송전 맨홀의 구조
JP3769162B2 (ja) 無アンカ−の耐震補強壁構築方法
JP3029343U (ja) 露出型弾性固定柱脚工法におけるモルタル材注入用型枠具
JPH0315605Y2 (ko)
KR1010269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JP3817386B2 (ja) 地下外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70109423A (ko)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KR100568904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과 거더의 합성 연결구조,연결시공방법 및 연결장치
KR102523001B1 (ko)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JP5548637B2 (ja) 地中梁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