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542Y1 -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 Google Patents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542Y1
KR970005542Y1 KR2019940008650U KR19940008650U KR970005542Y1 KR 970005542 Y1 KR970005542 Y1 KR 970005542Y1 KR 2019940008650 U KR2019940008650 U KR 2019940008650U KR 19940008650 U KR19940008650 U KR 19940008650U KR 970005542 Y1 KR970005542 Y1 KR 970005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ynthetic resin
horizontal
body por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633U (ko
Inventor
김경상
김배근
Original Assignee
김경상
김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상, 김배근 filed Critical 김경상
Priority to KR2019940008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542Y1/ko
Publication of KR950030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의 일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를 이용하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의 설치상태 및 슬라브 타설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가)(나)는 패널과 받침대의 조립과정을 보인 부분 사시도
제5도는 패널과 받침대의 조립과정을 보인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를 일반 거푸집 패널과 결합한 상태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8도는 본 고안을 일반 거푸집 패널과 결합한 상태 단면도
제9도(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의 금속심재와 합성수지몸체의 분리과정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2 : 합성수지몸체
3 : 세로몸체부4 : 가로몸체부
4a : 걸림턱5 : 보강심재
6 : 세로심재부7 : 가로심재부
8, 8a : 관통공9 : 못타입 겸 절단안내홈
본 고안은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 패널은 물론 일반 패널과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날로 고갈되어가는 목재의 사용을 억제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거푸집은 나무판재로 된 패널과 이 패널에 못등으로 고정설치되는 가로멍에와, 이 가로멍에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세로멍에("받침대"라고도 함)로 구성된다.
가로멍에는 패널에 고정된 상태로 취급되며, 세로멍에는 건축현장에서 거푸집을 조립할 때 결합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은 패널에 가로멍에를 못으로 고정한 것이므로 사용에 따라 패널과 가로멍에가 분리되어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슬라브나 옹벽을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조립할 때마다 패널과 받침대를 못을 박아서 조립하여야 하며, 또한 슬라브나 옹벽을 타설하고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못을 빼어 패널과 받침대를 분해한 후 사용처로 옮겨 다시 못을 박아 조립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거푸집의 조립 및 분해가 반복됨에 따라 패널과 받침대가 파손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등 유지관리가 어렵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국내 목재 자원의 고갈과 세계적인 자연보호 차원에서 목재의 입수가 어려워지는 실정을 감안하여 볼 때 이에 대체할 수 있는 거푸집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로멍에 또는 세로멍에에 상당하는 받침대를 목재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심재와 합성수지로 성형함으로써 조립식 거푸집 패널과는 클램프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 거푸집 패널과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날로 고갈되고 있는 목재자원에 대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변형된 경우 금속심재와 합성수지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각각 폐자재로서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로몸체부와 이 세로몸체부의 양단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가로몸체부를 가지는 합성수지몸체와, 상기 세로몸체부에 결합되는 세로심재부와 이 세로심재부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된 가로심재부를 가지는 보강심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를 이용하여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의 설치상태 및 슬라브 타설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가)(나)는 패널과 받침대의 조립과정을 보인 부분 사시도, 제5도는 패널과 받침대의 조립과정을 보인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를 일반 거푸집 패널과 결합한 상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거푸집 받침대(1)는, 세로몸체부(3)와 이 세로몸체부(3)의 양단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걸림턱(4a)를 가지는 가로몸체부(4)를 가지는 합성수지몸체(2)와, 이 합성수지몸체(2)의 세로몸체부(3)내 매설되는 세로심재부(6)와 가로몸체부(4)에 매설되는 가로심재부(7)를 가지는 보강심재(5)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수지몸체(2)의 가로몸체부(4)에는 다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살빼기 겸 절단용 관통공(8)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례에서는 중앙의 하나)가 관통공(8)은 그 내부에 상기 보강심재(5)의 가로심재부(7)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관통공(8)에 대하여 보강심재(5)의 가로심재부(7)의 일부가 관통공(8)의 반경보다 작은 현(弦)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몸체(2)의 가로몸체부(4) 표면에는 일반적인 목재로 된 거푸집 패널에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 못을 타입하기 위한 못타입 겸 절단안내홈(9)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심재(5)로서는 I 형강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는 건축용 거푸집을 조립함에 있어서 세로멍에 또는 가로멍에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사용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본 출원인이 출원한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487호에서 안출한 바 있는 조립식 거푸집에 사용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10은 걸림턱(12)을 가지는 보강 겸 결합용 돌조(11)가 형성된 패널이고, 20은 이 패널(10)을 본 고안의 받침대에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로서 패널(10)의 걸림턱(12)에 걸리는 걸고리부(26)를 가지는 클램프몸체(21)와 받침대(1)의 걸림턱(4a)에 걸리는 걸고리부(27)을 가지는 가동걸림부재(22)및 클램프몸체(21)에 선단부가 힌지핀(24)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동걸림부재(22)가 힌지핀(25)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임레버(23)로 구성된다.
본 사용예에서는 상기 패널(10)을 필요한 면적에 따라 다수개를 배열하고 그 보강 겸 결합용 돌조(11)에 본 고안의 받침대(1)를 가로질러 그의 일측 가로몸체부(4)가 보강 겸 결합용 돌조(11)에 밀착되게 한 다음, 클램프(20)으로 패널(10)과 받침대(1)를 고정결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클램프(20)에 의해 패널(10)과 받침대(1)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제4도(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클램프(20)의 조임레버(23)를 풀림방향으로 돌려 클램프몸체(21)의 걸고리부(26)와 가동걸림부재(22)의 걸고리부(27)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한 상태에서 받침대(1)의 가로몸체부(4)에 형성된 걸림턱(4a)에 클램프몸체(21)의 걸고리부(26)을 걸고 가동걸림부재(22)의 걸고리부(27)를 패널(10)의 걸림턱(12)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제4도(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임레버(23)을 조임방향으로 돌리면 조임레버(23)가 클램프몸체(21)에 대해 힌지핀(2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조임레버(23)에 힌지핀(25)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가동걸림부재(22)가 당겨져서 걸고리부(26, 27)간의 거리가 짧아지면서 상기 힌지핀(24, 25)의 상대위치가 사정(Dead Point)를 넘을 때 걸고리부(26, 27)가 걸림턱(4a, 12)을 당기게 되어 패널(10)과 받침대(1)가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패널(10)과 받침대(1)가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1)를 하층 슬라브(S1)에 세워고정되는 지지대(30)의 상단에 설치된 지지편(31)상에 안착시킴으로써 슬라브용 거푸집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거푸집의 조립이 완료되면 패널(10)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소정 두께 만큼 주입하여 양생시키며, 양생이 완료되면 패널(10)과 받침대(1)및 지지대(30)를 분해하는 것에 의해 슬라브(S2)의 타설이 완료되는 것이다.
조립된 거푸집을 분해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조립시와 역순으로 수행하면 되며, 동일한 크기의 슬라브를 연속적으로 타설하는 경우에는 패널(10)과 받침대(1)를 분해하지 않고 이들을 조립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W는 옹벽이다.
한편,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식 패널(10)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목재로 된 패널(4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받침대(1)의 가로몸체부(4)에 형성된 못타입 겸 절단안내홈(9)에 맞춰 못(P)을 타입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합성수지몸체(1)의 세로부(2) 양측면에 밀착되는 세로심재부(6)와 이 세로심재부(6)의 상단에 외측을 향해 절곡형성된 가로심재부(7)를 가지는 채널(Channnel)형강과 같은 부재로 된 한쌍의 보강심재(5)로서 사용하며, 합성수지몸체(2)의 세로몸체부(3)에도 관통공(8a)을 천공한 것이며,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1)를 장기간 반복 사용함에 따라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에는 제9도(가)(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못타입 겸 절단안내홈(9)에 톱을 대고 관통공(8)을 향해 절단하면, 가로몸전체부(4)가 보강심재(5)의 가로심재부(7)로부터 벗겨지므로 합성수지몸체(2)와 보강심재(5)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이와같이 분리된 합성수지몸체(2)와 보강심재(5)는 각각 페자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7도및 제8도의 실시례의 경우에는 세로몸체부(3)에도 관통공(8a)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이 관통공(8a)들을 통과하도록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 합성수지몸체(2)와 보강심재(5)의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9(가)(나)에서 G는 톱에 의해 절단된 틈새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로멍에 또는 세로멍에에 상당하는 받침대를 목재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심재와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받침대로서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조립식 거푸집의 패널은 물론 못을 타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일반 거푸집 패널과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날로 고갈되고 있는 목재자원에 대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변형된 경우 합성수지몸체의 가로부를 절단함으로써 금속심재와 합성수지몸체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각각 폐자재로서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슬라브 타설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옹벽 타설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세로몸체부(3)와 이 세로몸체부(3)의 양단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걸림턱(4a)이 형성된 가로몸체부(4)를 가지는 하성수지몸체(2)와 ,상기 세로몸체부(3)에 결합되는 세로심재부(6)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된 가로심재부(7)를 가지는 보강심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심재(5)는 그 세로심재부(6)가 합성수지몸체(2)의 세로몸체부(3)에 매설되며 그 가로심재부(7)가 합성수지몸체(2)의 가로몸체부(4)에 매설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심재(5)는 그 세로심재부(6)가 합성수지몸체(2)의 세로몸체부(3) 양측면에 밀착결합되며 그 가로심재부(7)가 합성수지몸체(2)의 가로몸체부(4)에 매설되고, 합성수지몸체(2)의 세로몸체부(3)에 관통공(8a)을 천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몸체(2)의 가로몸체부(4)에는 다수개의 관통공(8)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8)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그 내부에서 보강심재(5)의 가로심재부(7)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몸체(2)의 가로몸체부(4)에는 못타입 겸 절단안내홈(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KR2019940008650U 1994-04-22 1994-04-22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KR970005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650U KR970005542Y1 (ko) 1994-04-22 1994-04-22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650U KR970005542Y1 (ko) 1994-04-22 1994-04-22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33U KR950030633U (ko) 1995-11-20
KR970005542Y1 true KR970005542Y1 (ko) 1997-06-05

Family

ID=1938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650U KR970005542Y1 (ko) 1994-04-22 1994-04-22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5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33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970005542Y1 (ko) 건축용 거푸집의 받침대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717156B1 (ko) 마감판부착 트러스 벽
KR10069482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97000553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JPH1114822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の締結金具
KR100440066B1 (ko)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0370437B1 (ko) 유로폼 거푸집용 스페이서
KR200168575Y1 (ko) 건축용 철근 고정구
KR100397580B1 (ko)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970005533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231271Y1 (ko) 합성바닥구조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스페이서
KR970005534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JP2002070317A (ja) スラブ駄目穴の施工及び養生方法
KR200166886Y1 (ko) 강콘크리트 구조
KR0114180Y1 (ko) 거푸집 조임장치
KR20100057991A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361278Y1 (ko)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JPH07268881A (ja) 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型枠装置
KR100453717B1 (ko)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195846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대
KR200235131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