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113Y1 -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 Google Patents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13Y1
KR970006113Y1 KR2019940006765U KR19940006765U KR970006113Y1 KR 970006113 Y1 KR970006113 Y1 KR 970006113Y1 KR 2019940006765 U KR2019940006765 U KR 2019940006765U KR 19940006765 U KR19940006765 U KR 19940006765U KR 970006113 Y1 KR970006113 Y1 KR 970006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pacers
concrete slab
steel reinforcing
reinforcing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697U (ko
Inventor
박형주
홍순근
Original Assignee
선경건설 주식회사
정순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경건설 주식회사, 정순착 filed Critical 선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6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113Y1/ko
Publication of KR950027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6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속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속구2 : 행거
2a : 선단걸림턱3 : 쐐기형조이너
4 : 스페이서4a : 결합구멍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시 배근되는 철근을 일정한 높이로 받쳐주기 위한 스페이서가 제위치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철근과 스페이서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서(Spacer)란 배근된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철근을 배근할때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설치하여 일정한 높이로 철근을 받쳐 주도록 하는 간격재(間隔材)를 말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스페이서를 설치할때 작업자들이 철근의 배근작업을 할때 요소 요소에 직접 끼워 넣었던 것이며, 철근이 스페이서 위에 올려 놓인 상태만으로 작업을 끝내는 것이어서 다른 작업도중에 스페이서가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렇게 되면 스페이서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스페이서의 이탈방지를 위해 철근과 스페이서를 별도의 철선으로 묶어주는 방법도 실시되고 있으나 이는 철선 결속을 위한 별도의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서 그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것이었다.
또한, 근자에는 철근의 배근 작업을 건설현장에서 직접 실시하지 않고 다른 장소에서 미리 설계된대로 배근한 단위조립체(구조용 용접철망 Unit)들을 현장으로 이동시켜 조립하는 철근선조립공법(鐵筋先組立工法)을 채택하고 있는바, 배근도니 단위 조립체들은 중량물이며 대형이기 때문에 기존의 스페이서를 사용할 경우 스페이서를 끼우기 위해 이미 설치된 단위 조립체를 인력으로 들어 올려야 하는데 이것이 불가능하며, 기중기등을 사용하는 경우 단위 조립체를 완전히 내려놓지 않은 상태에서 스페이서를 먼저 제위치에 맞추어 설치해야 하므로 단위 조립체가 들려진 상태로 기계장비를 장시간 대기시켜야 하는 등 비효율적인 면이 큰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철근의 배근작업시 이를 받쳐 주거나, 미리 배근된 단위조립체를 현장에 조립설치코자 할때 스페이서를 먼저 부착 고정시킨 다음 조립설치하므로서 스페이서의 이탈방지 및 손쉬운 부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에 있어서 "Y"자형의 결속구(1)상단을 역 U자형으로 만곡시켜 선단걸림턱(2a)(2a)을 가진 두갈래의 행거(2)(2)가 일체로 연설되게 하여 이를 철근의 교차지점에 걸어주게 하고, 하단에 일체로 절곡 연설시킨 쐐기형 조이너(3)는 스페이서(4)의 일측에 형성시킨 결합구멍(4a)에 긴밀하게 끼워 조립시켜서 되는 스페이서의 결속구조인 것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5는 철근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페이서(4)의 결합구멍(4a)에 쐐기형 조이너(3)가 끼워진 결속구(1)의 행거(2)를 단위조립체의 철근(5)교차부위에 감싸듯이 걸어주는 동작만으로 스페이서(4)의 결속이 완료되는 것으로, 스페이서(4)의 설치가 매우 신속간편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이렇게 스페이서(4)들을 미리 결속부착시킨 상태에서 단위조립체를 현장으로 이동하여 그대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므로 이에 따른 시간과 노력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됨은 물론 장비를 장시간 대기시켜야 하는 등의 비효율성을 제거하여 주게되는 것이다. 또한, 한번 설치된 스페이서(4)는 행거(20)에 의해 견고히 결속되어 있게 되므로 작업도중 임의로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Claims (1)

  1. "Y"자형 결속구(1)의 상단을 역 U자형을 만곡시켜 선단걸림턱(2a)(2a)을 가진 두갈래의 행거(2)(2)가 일체로 연설되게 하고, 하단에는 쐐기형 조이너(3)를 일체로 연설하여 이를 스페이서(4)의 결합구멍(4a)에 끼워 조립하여서 되는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KR2019940006765U 1994-03-31 1994-03-31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KR970006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765U KR970006113Y1 (ko) 1994-03-31 1994-03-31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765U KR970006113Y1 (ko) 1994-03-31 1994-03-31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697U KR950027697U (ko) 1995-10-18
KR970006113Y1 true KR970006113Y1 (ko) 1997-06-19

Family

ID=1938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765U KR970006113Y1 (ko) 1994-03-31 1994-03-31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1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066B1 (ko) * 2002-02-23 2004-07-14 조홍준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697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113Y1 (ko) 철근받침용 스페이서의 결속구조
US6865857B1 (en) Integral reinforcing system for masonry walls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JPH04161542A (ja) 柱と梁の接合工法及びその構造
JP2714763B2 (ja) 鉄筋コンクリ−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H11141134A (ja) 梁用肋筋籠並びに梁鉄筋用金具及び梁鉄筋の組立工法
JPH09189128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基礎の型枠固定構造
EP0859098A1 (en) Integral reinforcing system for masonry walls
JP286728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支保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セパレータ固定具
JP3055508U (ja) 留め具
JP3303973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補強材の支持具
KR200277914Y1 (ko) 긴결재용 클램프
KR200174283Y1 (ko) 파이프 고정구조
JP3008370U (ja) スラブ、壁鉄筋組立金具
KR200151125Y1 (ko) 교량 보강 철근 결착용 클립
JP3123302U (ja) 再使用をする型枠鉄筋スペーサー
JP2507594Y2 (ja) 柱鉄筋ユニットの吊上げ治具
KR200234843Y1 (ko) 인서트가 결합된 바 스페이서
JPH0978684A (ja) Pcバルコニー部材及びバルコニーの施工方法
JPH0630991Y2 (ja) 鉄筋組立金具
KR200141835Y1 (ko)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KR0134349Y1 (ko) 철근 고정용 지지구
KR200172618Y1 (ko) 콘크리트 천장 시공용 장선을 걸기 위한 브라켓 일체형패널
JPH04120809U (ja) 耐震壁の鉄筋取付金具
JPH05137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