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835Y1 -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 Google Patents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835Y1
KR200141835Y1 KR2019960001563U KR19960001563U KR200141835Y1 KR 200141835 Y1 KR200141835 Y1 KR 200141835Y1 KR 2019960001563 U KR2019960001563 U KR 2019960001563U KR 19960001563 U KR19960001563 U KR 19960001563U KR 200141835 Y1 KR200141835 Y1 KR 200141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fixing
formwork
slab formwor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001U (ko
Inventor
김장남
Original Assignee
김장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남 filed Critical 김장남
Priority to KR2019960001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835Y1/ko
Publication of KR970052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 거푸집을 가설 시공시 벽거푸집 상단측면에 고정된 장대측방으로 세로받침보를 가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고정대를 길게 형성되고 사각단면을 갖는 금속제의 관체로 구성하여 관체 중앙과 양측에 각각 한쌍의 제1, 제2고정못을 적정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제2고정못은 못머리와 중간에 와셔를 접합하여 못 박는 깊이를 조절하여 고정대를 용이하게 분리토록 하였고, 제1, 제2고정못 사이에는 다수의 못 삽입구를 수직으로 관통 형성하여 벽두께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벽거푸집위에 작업자가 못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슬라브 거푸집 시공시간을 줄였으며, 고정대를 쉽게 분리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건축재료의 낭비를 줄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고정대를 이용한 슬라브 거푸집 설치과정을 보이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체 2,3 : 제1,제2고정못
4 : 와셔 5 : 합판패널
6 : 벽거푸집 7 : 장대
8,9 : 못 삽입구 10 : 가로받침보
11 : 지주 12 : 슬라브거푸집
13 : 세로받침보 100 : 고정대
본 고안은 건축공사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건물의 슬라브 시공시 벽상단 측방으로 설치되는 슬라브 거푸집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된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다세대주택, 빌라등의 건축공사시 토공사와 기초공사가 완료되면 기둥을 세우고 그위로 슬라브 시공하게 되며, 기둥과 벽을 동시에 세운 뒤 벽을 기초로하여 그위에 슬라브를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슬라브 시공에 있어서, 슬라브 거푸집을 가설하기 위해 종래에는 벽거푸집의 상단 측방으로 장대를 기본으로 설치하고, 거푸집 부재인 합판패널을 장대의 측방으로 배열하기 위해 목재로된 고정대를 장대에 대못을 박아 고정시킨후 고정대 단부에 세로받침보를 대고 다시 대못으로 박은 다음 그 밑으로는 가로받침보를 직각방향으로 받쳐서 지주로서 가로 및 세로받침보를 지지시킨후 그위에 합판패널을 배열하여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상술한 세로받침보를을 벽거푸집과 고정대로서 고정하는 과정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걸려 작업자는 벽거푸집 위에서 작업하게 되므로서 벽상면위로 솟아있는 철근에 의해 작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목재로된 고정대는 적정길이로 잘라서 사용해야하므로 불필요한 작업공정소요로 효율적이지 못하였고, 목재에 옹이나 이물질이 있는 경우 못질이 잘되지 않고 쪼개지거나 부러져 떨어지므로써 밑에있는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목재의 대부분은 수입목을 사용하고, 한번 쓴 목재고정대는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한편,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한사람이 벽위에 올라간 작업자가 못통과 망치등을 가지고 고정대를 장대에 못질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밑에서는 두명의 작업자가 세로받침보를 받친 상태에서 고정대 단부에 못과 망치를 파지하여 못질을 해야하는 어려운 작업등으로 인해 위아래 작업자 모두 위험부담이 있었으며 작업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못하였다.
한편, 슬라브 거푸집을 가설한 후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고정대를 제거해야 하는데, 목재 고정대에 박힌 못들은 다시 빼내기가 매우 어렵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모되었다. 이에따라 작업자들은 못주위의 목재고정대와 윗면을 쳐서 못을 약간 튀어 나오게하여 망치뒷부분으로 재쳐서 빼내야 했으므로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고정대가 파손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브 거푸집 시공시 벽거푸집 측방으로 세로받침보를 설치할 때 고정대를 벽거푸집 상단측면에 설치되는 장대에 못질하여 고정하는 작업과 단부를 세로받침보와 못질로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슬라브 거푸집 시공후 고정대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함은 물론 못질작업성을 향상시켜 슬라브 거푸집시공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고정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길게 형성되어 사각단면을 가진 금속제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이 관체의 중앙에서 한쌍의 제1고정못이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관체와 접합되어 있으며, 관체의 양단에는 수직으로 관통설치되고 상측단부와 외면중간에 접합된 와셔에 의해 관체내부에서 상하이동이 제한되는 한쌍의 제2고정못이 구비되어 있고, 제1, 제2고정못 사이에는 다수의 못삽입구가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의 외관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A-A선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길게형성되어 사각단면을 가진 금속제의 관체(1)로 구성되어 외면에 망치질을 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된다.
이러한 관체(1)의 중앙과 양측에는 한쌍의 제1, 제2고정못(2, 3)이 구비되는바, 제1고정못(2)은 관체(1)의 중앙에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못의 머리와 중간부가 관체(1)와 용접으로 접합되며, 못 끝은 밑으로 돌출된다. 제2고정못(3)은 관체(1)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못의 머리와 외면 중간에는 와셔(4)가 용접으로 접합되어 관체(1)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것을 제한토록하고 못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제2고정못(3) 하부에 세로받침보(13)를 대면 못의 머리가 자동적으로 수직으로 솟아올라와 있어서, 망치질 하기가 용이하며 못머리의 와셔(4)에 의해 망치질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못을 일정깊이 박으면 관체(1) 내에 있는 와셔(4)에 의해 더 이상 박히지 않아 차후에 고정못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고정못(2)(3)은 콘크리트못으로 이루어져 모든 목재에 잘 박힐 수 있도록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고정대(100)에 있어서 제1, 제2고정못(2, 3)의 적정간격을 설명하면 벽 두께가 18cm인 경우 벽거푸집(6)과 장대(7)가 결합된 것을 감안하여 제1고정못(2)의 간격은 40cm로 해야 못이 장대(7)의 중앙에 위치되며 벽두께가 15cm나 20cm인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관체(1) 길이는 110cm로 하여 제2고정못(3)이 슬라브 거푸집의 세로받침보(13)의 중앙에 위치된다.
한편, 제1, 제2고정못(2, 3) 사이에는 다수의 못삽입구가 형성되는데 제1고정못(2) 내측에는 한쌍의 제1못삽입구(8)가 형성되고 각 제2고정못(3)의 내측으로는 제2못삽입구(9)가 형성된다. 이 제1못삽입구(8)는 간격을 22cm로 형성하면 15cm 벽과 18cm 벽에 사용될 때 못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2못삽입구(9)는 제2고정못(3)에 대해 각각 9cm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벽걸이가 4m 이상 길게 설계된 곳에 12자짜리 장대용 각재가 부족할 때 이어서 쓰는 경우 일반 못을 덕박아 못머리부를 구부려서 사용하고 못을 쉽게 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를 이용한 슬라브 거푸집 설치과정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거푸집(6) 일측에 장대(7)를 고정설치하고 그위에 본 고안의 고정대(100)를 올려놓는다. 이때 제1고정못(2) 선단이 장대(7)의 중앙에 위치되므로 작업자는 종래와 같이 못과 고정대를 잡고서 망치질하지 않고 고정대에 이미 못이 접합되어 있어서 못 머리부를 망치질하면 고정대(100)가 장대에 고정된다. 이상태에서 고정대(100) 단부에 구비된 제2고정못 하부에 밑에 작업자가 세로받침보(13)을 위치시켜 위에 있는 작업자가 제2고정못(3)을 박아주면 장대(7) 세로방향으로 세로받침대가 가고정된다. 이러한 작업은 벽거푸집(6) 전체에 걸쳐 슬라브 거푸집(12)을 이루도록 다수개 설치된다.
또한, 세로받침보(13) 하측에는 다수의 가로받침보(10)를 적정간격으로 대고 가로받침보 밑에는 적정간격으로 지주(11)를 받쳐서 가로 및 세로받침보(10), (13)를 전체적으로 지지시킨다.
가로받침보(10)와 세로받침보(13)를 설치하여 지주(11)에 의해 지지되어 완성되면 그 위에 합판패널(5)를 배열하도록 고정대(100)를 분리시켜야 하는바, 세로받침보(13)에 박힌 제2고정못(3)은 못머리가 와셔에 의해 약간 돌출된 상태이므로 망치의 뒷부분으로 빼내면되고, 제1고정못(12)은 고정대(100) 관체(1) 상면을 망치로 치면 그 반발력에 의해 장대(7) 및 벽거푸집(6) 상면과 간격이 생김에 따라 지렛대 원리로 고정구(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고정대(100)를 분리한 후에는 합판패널(5)을 받침보위에 배열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므로써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고정대에 의하면 슬라브 거푸집을 가설하기 위해 벽거푸집 측방으로 세로받침보를 지지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질 뿐 아니라 철근이 솟아나와있는 벽거푸집 위에 있는 작업자가 못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빠르게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어서 그만큼 안전사고 발생률을 줄이게되며, 슬라브 거푸집의 전체 시공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대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건축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등 본 고안은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길게 형성되어 사각단면을 가진 금속제의 관체(1)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체(1)의 중앙에서 한쌍의 제1고정못(2)이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관체(1)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관체(1)의 양단에는 수직으로 관통설치되고 상측단부와 외면중간에 접합된 와셔(4)에 의해 상기 관체(1) 내부에서 상하이동이 제한되는 한쌍의 제2고정못(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고정못(2, 3) 사이에는 다수의 못삽입구(8, 9)가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설치용 고정대.
KR2019960001563U 1996-02-01 1996-02-01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KR200141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563U KR200141835Y1 (ko) 1996-02-01 1996-02-01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563U KR200141835Y1 (ko) 1996-02-01 1996-02-01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001U KR970052001U (ko) 1997-09-08
KR200141835Y1 true KR200141835Y1 (ko) 1999-06-01

Family

ID=1945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563U KR200141835Y1 (ko) 1996-02-01 1996-02-01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8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001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9420A1 (en) Temporary bracing system for insulated wall form and method
CN105421748A (zh) 一种悬挑脚手架的锚固装置
JP4108092B2 (ja) 作業足場支持装置および作業足場設置方法
US2916245A (en) Adjustable scaffold bracket
KR200141835Y1 (ko)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JPH094166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KR20020036198A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20190123408A (ko) 합벽지지대 고정장치
KR200172618Y1 (ko) 콘크리트 천장 시공용 장선을 걸기 위한 브라켓 일체형패널
KR200162948Y1 (ko) 거푸집 지지대의 고정부재
KR200197017Y1 (ko) 슬리퍼형 피에스강선정착장치(1)
SU63795A1 (ru)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го укреплени консольной плиты на стене
JP3098214U (ja) 大引きバタ受
JP286728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支保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セパレータ固定具
JPH044456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支持装置のタイ金具およびセパレータ
JP2577145Y2 (ja) 住宅基礎用のベース型枠施工用の巾止め用部材
JPS638260B2 (ko)
KR200216231Y1 (ko) 슬리퍼형 피에스강선정착장치(1) 및 이를 이용한바닥슬래브(10) 보강 방법
KR20240070894A (ko) 두꺼운 기둥과 보 연결부의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20240070895A (ko) 동일 폭의 기둥과 보 연결부의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200237605Y1 (ko)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US8859107B2 (en) Formwork spacer and tie used as an anchor for concret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