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05Y1 -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05Y1
KR200237605Y1 KR2020010009748U KR20010009748U KR200237605Y1 KR 200237605 Y1 KR200237605 Y1 KR 200237605Y1 KR 2020010009748 U KR2020010009748 U KR 2020010009748U KR 20010009748 U KR20010009748 U KR 20010009748U KR 200237605 Y1 KR200237605 Y1 KR 200237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bracket
pedestal
upper s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대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근보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근보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9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05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길게 형성된 수평지지대(1)와 수평지지대(1)의 중간 하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받침대(2)의 사이에 다수의 나사관(3)이 형성되어 이 나사관(3)에 수평지지대(1)의 상측으로부터 브라켓(4)이 끼워지고, 조절너트(8)에 의해 브라켓(4)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에 의해, 슬라브형틀의 제작에 있어서 수직이나 수평의 조절이 별도의 자재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시간과 인력의 절감과 그에 따른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안전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suppoting device for a construcion mold}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 슬라브형틀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할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등을 건축하였으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슬라브형틀을 제작하기 위하여는 수직 비임이나 수직형틀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형틀을 횡으로 제작하였다.
일례로서, 건축의 기초공사시에 일정간격으로 수직 타설된 H비임을 기초하여 지하층의 외주보를 형성할 때에는 슬라브형틀을 수직비임에 지지시켜서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슬라브형틀을 지지시키는 일반적인 종래기술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금속막대로 되고, 수평지지대(101)와 이 수평지지대(10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받침대(102)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수평지지대(101)와 받침대(102)의 각 단부를 수직비임(112)에 볼트로서 고정시키고, 수평지지대의 상측으로 슬라브형틀(114)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작업에 상당한 불편과 숙련이 요구되는 것으로서, 즉, 슬라브형틀의 설치는 전체적으로 수직과 수평이 정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각 부분마다 그에 따른 오차가 상이하여 각 지지대마다 별도의 조절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를 위해, 받침대와 수직비임의 조립부분에는 별도의 목편(木片;115)을 덧대어서 수직비임에 대한 수직상태를 조절하게 되며, 수평지지대의 상측으로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나무막대 즉, 각목(113)을 적층하여 슬라브형틀의 높이를 조절하고, 또, 수평지지대의 상측에서 부분적으로 다시 목편을 끼워넣어서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등 작업이 일관됨이 없이 상황에 따라 적절히 땜질을 하는 불안정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더욱이, 수평지지대에 적층된 나무막대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위한 발판으로 이용되기도 하여 나무막대의 파손이나 변형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마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 후, 슬라브형틀을 분리할 때에는 작업이 더욱 번거로운 것으로서, 슬라브형틀에 밀착된 나무막대나 목편 등을 쉽게 분리시키기 어려워서 해머 등을 사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목재나 지지대가 파손되어 재 사용이 어려운 등 자재의 손실과 인력의 손실이 막대한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상기와 같이 예시된 부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슬라브형틀을 제작하는 건축작업의 각 부분에 모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 그리고 자재의 낭비와 비효율적인 작업으로 인한 건축비용의 증가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로 지적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축용 슬라브형틀을 제작함에 있어서, 작업이 편리하고 수평과 수직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여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전을 도모하면서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길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에 조립편이 부착되어 있는 수평지지대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하측 중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단부에 조립편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와 받침대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수평지지대의 상측으로 관통되고, 측면에 수직으로 장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조절너트가 조립되어 있는 다수의 나사관과; 측단면이 요(凹)형으로 되고, 하측으로 축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관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며, 나사관의 장홈으로부터 측방으로 핀이 조립되어 상기 조절너트의 상측으로 얹혀져서 지지되며, 양 측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평지지대와 받침대의 각 조립편을 수직비임이나 기타의 측벽 등에 볼트에 의해 고정시킨 다음, 브라켓의 요부에 각목을 재치하여 그 상측으로 슬라브형틀을 형성하게 되며, 각 조절너트에 의해 브라켓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 - 종래 브라켓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 종래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평지지대 2 ; 받침대
3 ; 나사관 4 ; 브라켓
5,6 ; 조립편 7 ; 장홈
8 ; 조절너트 9 ; 축
10 ; 핀 11 ; 구멍
12 ; 수직비임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일부를 단면한 측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대별하여 수평지지대(1)와, 받침대(2) 그리고, 나사관(3) 및 브라켓(4)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평지지대(1)와 받침대(2)는 길게 형성된 금속막대로 이루어지며, 수평지지대(1)의 일측 단부에는 판형의 조립편(5)이 형성되어서 수직비임이나 측벽 등에 밀착시켜서 볼트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받침대(2)는 수평지지대(1)의 하측 중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단부에 수평지지대(1)의 조립편(5)과 동일 수직면을 가지는 조립편(6)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지지대(1)와 받침대(2)의 사이에는 두 개 이상의 나사관(3)이 일체로 용착되어 있는데, 나사관(3)의 측면에는 수직으로 장홈(7)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조절너트(8)가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관(3)의 내경은 수평지지대(1)의 상측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다르게는 나사관(3)이 수평지지대(1)를 상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수평지지대(1)의 상측에서 나사관(3)의 외측면에 장홈이 형성되고 또, 조절너트(8)가 수평지지대(1)의 상측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이 나사관(3)에는 브라켓(4)이 끼워지는데, 브라켓(4)은 요(凹)형의 측단면을 가지며, 밑면으로부터 축(9)이 연장되어 이 축(9)이 나사관(3)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고, 나사관(3)에 끼워진 상태에서 장홈(7)으로부터 핀(10)이 끼워져서 축(9)에 고정되며, 상기 핀(10)이 조절너트(8)의 상측으로 얹혀져서 전체적인 브라켓(4)이 조절너트(8)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4)에는 각목이 요(凹)부에 수납되어 얹혀지는데, 이 각목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못박음 구멍(11)이 양측으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고안은 수직비임(12)에 설치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하고 있는 바, 수평지지대(1)와 받침대(2)의 각 조립편(5,6)을 수직비임(12)의 측면에 밀착하여 볼트에 의해 조립 고정시키고, 브라켓(4)의 요(凹)부에 각목(13)을 수납하여 브라켓(4)의 측면으로부터 못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 때, 각목(13)은 브라켓(4) 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목(13)의 상측으로 슬라브형틀을 형성하게 되며, 조절너트(8)를 조절하여 브라켓(4)을 상ㆍ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브형틀의 수평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 후, 슬라브형틀의 분리시에도 조절너트(8)를 조절하여 브라켓(4)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브형틀을 쉽게 분리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대(1)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금속막대로서,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종래 각목에 의존하여 작업하는 것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수평지지대(1)와 받침대(2)에 형성된 조립편(5,6)은 동일 수직면이 아닌 수직오차를 가질 수도 있으며, 그 방향을 달리 할 수도 있다. 또한, 나사관(3)이 수평지지대(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거나, 조절너트(8)가 수평지지대(1)의 상측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여러 가지의 변경은 작업환경이나 용도에 따라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길게 형성된 수평지지대(1)와 수평지지대(1)의 중간 하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받침대(2)의 사이에 다수의 나사관(3)이 형성되어 이 나사관(3)에 수평지지대(1)의 상측으로부터 브라켓(4)이 끼워지고, 조절너트(8)에 의해 브라켓(4)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에 의해, 슬라브형틀의 제작에 있어서 수직이나 수평의 조절이 별도의 자재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시간과 인력의 절감과 그에 따른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안전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길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에 조립편(5)이 부착되어 있는 수평지지대(1)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1)의 하측 중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단부에 조립편(6)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2)와;
    상기 수평지지대(1)와 받침대(2)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수평지지대(1)의 상측으로 관통되고, 측면에 수직으로 장홈(7)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조절너트(8)가 조립되어 있는 다수의 나사관(3)과;
    측단면이 요(凹)형으로 되고, 하측으로 축(9)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관(3)에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며, 나사관의 장홈(7)으로부터 측방으로 핀(10)이 조립되어 상기 조절너트(8)의 상측으로 얹혀져서 지지되며, 양 측으로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KR2020010009748U 2001-04-07 2001-04-07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KR200237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48U KR200237605Y1 (ko) 2001-04-07 2001-04-07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48U KR200237605Y1 (ko) 2001-04-07 2001-04-07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05Y1 true KR200237605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748U KR200237605Y1 (ko) 2001-04-07 2001-04-07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56Y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CN108756241B (zh) 一种剪力墙外侧悬挑楼板模板支设装置
KR100887366B1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JP4108092B2 (ja) 作業足場支持装置および作業足場設置方法
KR100774553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0237605Y1 (ko)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CN210976593U (zh) 一种木模板的支撑座
JP2006200162A (ja) ジャッキベース及び型枠支保工の施工方法
JP2634571B2 (ja) コンクリートの型枠装置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331403Y1 (ko)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KR100637861B1 (ko)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651130B1 (ko)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KR10074672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시스템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CN219509179U (zh) 一种梁底面支模辅助工具
EP0416690B1 (en) Mason's adjusting profile
KR102207334B1 (ko)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CN220953506U (zh) 一种新型承台预制板连接结构
KR100276864B1 (ko) 거푸집용 코너 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GB2048334A (en) Stool for in situ cast beam
KR200414936Y1 (ko) 거푸집 설치용 합판 받침대
KR102276631B1 (ko) n형 결합부재와 너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