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946A -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946A
KR20030067946A KR1020020007696A KR20020007696A KR20030067946A KR 20030067946 A KR20030067946 A KR 20030067946A KR 1020020007696 A KR1020020007696 A KR 1020020007696A KR 20020007696 A KR20020007696 A KR 20020007696A KR 20030067946 A KR20030067946 A KR 2003006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iode region
type
region
type photodiod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670B1 (ko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670B1/ko
Priority to US10/345,852 priority patent/US6734471B2/en
Priority to JP2003032897A priority patent/JP2003282858A/ja
Publication of KR2003006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946A/ko
Priority to US10/806,489 priority patent/US70639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Pixel iso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7Wafer leve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 다이오드의 전자 수용 능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포토 다이오드의 감도 특성 및 접합 누설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는, 반도체 기판의 선택된 영역에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계면과 접하도록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에 보다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작음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Image sensor having photo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토 다이오드의 전자 수용 능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포토 다이오드의 감도 특성 및 접합 누설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핀드 포토 다이오드(pinned Photo diode)는 씨모스(CMOS) 공정으로 제작되는 이미지 센서(이하,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가 외부로 부터 빛을 감지하여 광전하를 생성 및 집적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핀드 포토 다이오드는 기판 내부에 매립된 PNP(또는 NPN) 접합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베리드(buried) 포토 다이오드라고 불리운다. 여기서, CMOS 이미지 센서는 CCD 이미지 센서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적고, CCD 이미지 센서에 비하여 단순한 공정으로 형성되며, 신호 처리 회로와 원칩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이미지 센서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핀드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CMOS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은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 회로도로서,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pix)는 1개의 포토 다이오드(PD)와, 4개의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토 다이오드에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소오스(또는 드레인)가 연결되고,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드레인(또는 소오스)에는 리셋 트랜지스터(Rx)의 소오스가 연결된다.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드레인과 리셋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사이에는 플로팅-확산 캐패시터(Cfd)가 형성된다. 또한, 리셋 트랜지스터(Rx)의 소오스에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D)의 게이트가 연결되고,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D)의 소오스에는 셀렉트 게이트의 소오스의 드레인(또는 소오스)이 연결된다. 이때, 리셋 트랜지스터(Rx)의 드레인과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D)의 드레인에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단위 화소(pix) 외곽의 셀렉트 게이트의 소오스(또는 드레인)에는 부하 트랜지스터(Vb)가 연결되고, 셀렉트 게이트의 소오스가 이미지 센서의 출력이 된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를 반도체 기판에 집적한 도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포토 다이오드,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및 리셋 트랜지스터에 대하여만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공지의 방식에 따라 소자 분리막(11)을 형성한다. 그후,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12) 및 도전층(14)을 증착한다음, 이들을 소정 부분 패터닝하여 트랜스퍼 게이트(Tg)와 리셋 게이트(Rg)를 형성한다.
다음,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일측의 드레인 영역(혹은 소오스 영역)에 P 타입 불순물 예를들어 보론(B) 이온을 주입하여,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15)을 형성한다. 이어서,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15) 하부에 N형의 불순물 예를들어, 비소(As) 또는 인(P)등과 같은 5족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20)을 형성한다. 이에따라, P형 및 N형 포토 다이오드가 완성된다. 그후, 트랜스퍼 게이트(Tg)의 양측벽 및 리셋 게이트(Rg)의 양측벽에 스페이서(22)를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스페이서(22)의 양측에 N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공통 소오스 영역(24) 및 리셋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26)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N 타입 포토 다이오드 영역(20)은 비소 또는 인과 같은 단일의 이온들을 주입하여 형성되므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우선, 비소를 주입하여 N 타입 포토 다이오드 영역(20)을 형성하는 경우, 비소 이온은 투사 거리(△Rp) 및 확산도(diffusivity)가 작기 때문에, 공핍 길이가 짧아져서 단위 면적당 고농도를 유지하게 되어, 접합 캐패시턴스가 증대된다. 이에따라, 포토 다이오드의 전자 수용 능력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소 이온은 상기한 바와 같이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작으므로 인하여, 대면적으로 형성하기 어려워, 포토 다이오드의 감도 특성이 저하되고, 접합 프로파일이 완만하지 않아, 접합 누설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한편, 인을 이온 주입하여 N 타입 포토 다이오드(20)를 형성하는 경우, 인 이온은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크기 때문에, 대면적 포토 다이오드를 형성하는데 유리하여 감도 향상에는 기여할 수 있으며, 접합 계면의 프로파일을 완화시켜 접합 누설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인 이온은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큼으로 인하여, 공핍 길이가 길어져서 단위 면적당 농도가 낮아지게 되어 접합캐패시턴스가 작아진다. 이로 인하여, 포토 다이오드의 전자 수용 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포토 다이오드의 전자 수용 능력을 개선함과 동시에, 포토 다이오드의 감도 특성 및 접합 누설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비소 또는 인)의 횡방향(a-a') 도핑 프로 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N형 포토 다이오드(비소 및 인)의 횡방향 도핑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종래의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비소 또는 인 이온)의 종방향 도핑 프로 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비소 및 인 이온)의 종방향 도핑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반도체 기판 135,245 :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
145,255 :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 155,235 :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
본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그의 다른 목적 및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 도면에 의하여 명료해질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된 발명중, 대표적 특징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견지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는, 반도체 기판의 선택된 영역에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계면과 접하도록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에 보다 투사거리 및 확산도가 작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비소(As) 이온이고,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인(P) 이온일 수 있으며,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보론(B) 이온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은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는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트랜스퍼 게이트 및 리셋 게이트가 형성된다.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의 일측에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와 리셋 게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통 소오스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리셋 게이트의 타측에는 리셋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은, 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반도체 기판 표면에 형성된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과,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계면과 접하도록,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및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에 보다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작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다른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반도체 기판상의 소정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트랜스퍼 게이트와 리셋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의 일측 영역이 노출되도록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 영역에 P형 불순물을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를 가지고 주입하여,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제 1 N형 불순물을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를 가지고 주입하여,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제 2 N형 불순물을 제 3 이온 주입 에너지를 가지고 주입하여,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형 불순물은 보론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 1 N형 불순물은 비소일 수 있고, 상기 비소 이온은 1×1012/㎠∼9×1012/㎠의 농도로 이온 주입되고, 상기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는 상기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에 비하여 크다.
또한, 상기 제 2 N형 불순물은 인 이온일 수 있고, 상기 인 이온은 5×1011/㎠∼9×1011/㎠의 농도로 이온 주입하며, 상기 제 3 이온 주입 에너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에 비하여 크다.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 및리셋 게이트의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와 리셋 게이트 사이 및 상기 리셋 게이트의 일측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접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고,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한다.
이에따라,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과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접합면에서 접합 캐패시턴스가 크게 증대되어, 포토 다이오드의 전자 수용 능력이 개선된다.
또한,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접합 계면에서의 도핑 프로파일이 완만해져서 접합 누설이 감소된다. 또한,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형성되므로, 감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층이 다른층 또는 반도체 기판의 "상"에 있다라고 기재되는 경우에, 어떤 층은 상기 다른 층 또는 반도체 기판에 직접 접촉하여 존재할 수 있고, 또는, 그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1)
첨부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 역시, 이미지 센서의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리셋 트랜지스터 및 포토 다이오드 영역만을 나타낸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100) 예를들어, P형의 실리콘 기판 상부에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소자 분리막(110)을 형성한다. 소자 분리막(110)은 예를들어, STI(shallow trench isolation) 혹은 로코스(LOCOS)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자 분리막(110)에 의하여 액티브 영역이 한정된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115) 및 도전층 예를들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12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그리고나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 산화막을 소정 부분 패터닝하여 트랜스퍼 게이트(Tg)와 리셋 게이트(Rg)를 형성한다.
그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 게이트의 일측(예를들어 드레인 영역), 즉, 포토 다이오드 예정 영역이 노출되도록 공지의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의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25)을 형성한다. 이어서, 노출된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P형 불순물, 예를들어 보론(B)을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로 이온 주입한다. 이때,보론은 반도체 기판(100) 표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낮은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됨이 바람직하다. 그후, 반도체 기판(100)내에 이온 주입된 보론 이온을 활성화시켜서,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135)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도 3c에서와 같이, 노출된 포토 다이오드 예정 영역에 제 1 N형 불순물을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한다. 이때, 제 1 N형 불순물로는 투사 거리(△Rp) 및 확산도가 작은 비소(As) 이온(140)을 사용하고, 예를 들어, 1×1012/㎠∼9×1012/㎠의 농도로 이온 주입된다. 아울러, 비소 이온(140)은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135)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보다 큰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하며,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기판(10) 표면으로 부터 약 0.5㎛ 투사 거리로 주입한다. 그후,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135) 하부에 이온 주입된 비소 이온(150)을 활성화시켜서,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145)을 형성한다. 이때, 비소 이온은 이온 특성상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적으므로,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145)은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135)의 경계와 맞닿으면서 비교적 좁은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135) 및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145)에 제 2 N형 불순물 예를들어, 인(P) 이온(150)을 제 3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한다. 이때, 인 이온(150)은 약 5×1011/㎠∼9×1011/㎠ 정도의 농도로 이온 주입한다. 아울러, 인 이온(150)은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145) 하부 및 측부를 감쌀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보다 큰 제3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인 이온(150)은 반도체 기판(100) 표면으로 부터 약 1 내지 1.5㎛의 투사 거리로 주입됨이 바람직하다. 그후,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145) 하부에 이온 주입된 P 불순물(150)을 활성화시켜서, P 포토 다이오드 영역(155)을 형성한다. 이때, P 이온은 비소 이온에 비하여 투사 거리도 길고 확산도 역시 매우 크므로, P 포토 다이오드 영역(155)은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145)을 감싸안으면서 비교적 넓은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그후,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125)을 공지의 플라즈마 에슁(plasma ashing) 방식으로 제거한다. 그리고나서, 트랜스퍼 게이트(Tg) 및 리셋 게이트(Rg)의 양측벽에 공지의 방식으로 스페이서(160)를 형성한다. 이어서, 포토 다이오드 영역(135,145,155) 영역을 제외한 게이트(Tg,Rg) 양측의 반도체 기판(100) 영역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및 리세트 트랜지스터의 공통 소오스 영역(165a)과, 리세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165b)을 형성한다. 이에따라,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가 완성된다.
여기서, 도 4a는 종래의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비소 또는 인)의 횡방향(a-a') 도핑 프로 파일을 나타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N형 포토 다이오드(비소 및 인)의 횡방향 도핑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4a에 의하면, 비소 이온(혹은 인 이온)만이 주입??으므로, 접합 계면이 급경사를 이룸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소 이온과 인 이온을 순차적으로 모두 주입하면, 인 이온에 비하여 비소 이온의 농도가 더 크므로, 접합면에서의 도핑 프로파일이 계단형을 이루며 완만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5a는 종래의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비소 또는 인 이온)의 종방향 도핑 프로 파일을 나타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비소 및 인 이온)의 종방향 도핑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5a에 의하면, B 영역 하부에 비소 이온 영역만이 존재하고, 비소 이온이 확산도가 작으므로 좁은 영역에 걸쳐 비소 이온 영역이 형성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소 이온과 P 이온을 모두 주입하면, P이온이 비소 이온에 비하여 확산도가 크므로, 비소 하부에 넓게 퍼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접합 캐패시턴스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C ∝Nd
여기서, C는 접합 캐패시턴스를 나타내고, Nd는 접합 영역 즉,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농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식에서와 같이, 접합 캐패시턴스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농도에 비례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과 같이 공핍 길이가 짧으면서 고농도를 유지하는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보론 다이오드 영역의 하부에 배치시키면 접합 캐패시턴스가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큰 인 이온을 주입하면,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면서 비교적 넓은 영역으로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포토 다이오드의 감도가 향상되고, 접합된 부분에서 도핑 프로파일이 완만하여 접합 누설이 감소된다.
(실시예 2)
첨부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200) 예를들어, P형의 실리콘 기판 상부에 소자 분리막(210)을 형성한다. 소자 분리막(110)에 의하여 액티브 영역이 한정된 반도체 기판(200)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215) 및 도전층 예를들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22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그리고나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 산화막을 소정 부분 패터닝하여 트랜스퍼 게이트(Tg)와 리셋 게이트(Rg)를 형성한다. 그 다음, 트랜스퍼 게이트의 일측(예를들어 드레인 영역), 즉, 포토 다이오드 예정 영역이 노출되도록 공지의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의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225)을 형성한다. 이어서, 노출된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투사도 및 확산도가 큰 제 1 N형 불순물, 예를들어, 인 이온(230)을 이온 주입한다. 이때, 인 이온(230)은 포토 다이오드 영역으로 한정된 반도체 기판(100)내에 넓고, 깊게 주입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한다. 그후, 인 이온(230)을 활성화시켜,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230)을 형성한다.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225)에 의하여 노출된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235)의 표면에 P형의 불순물인 보론 이온을 상기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보다 적은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로 이온 주입한다. 그후, 기판(100)내에 이온 주입된 보론 이온을 활성화시켜,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245)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도 6c에서와 같이, 노출된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245) 저부에, 인 이온에 비하여 투사거리 및 확산도가 작은 제 2 N형 불순물 예를들어, 비소 이온(250)을 제 3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한다. 이때, 비소 이온은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235)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245) 저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보다는 작고,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보다는 큰 제 3 이온 주입 에너지로 주입할 수 있다. 다음, 이온 주입된 비소 이온을 활성화시켜, 비소 불순물 영역(255)을 형성한다. 그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도 3e에서와 같이, 공지의 방법으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고,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한 후,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 및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였지만, 이들 순서를 바꾸어 형성하여도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고,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한다.
이에따라, 보론 포토 다이오드 영역과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접합면에서 접합 캐패시턴스가 크게 증대되어, 포토 다이오드의 전자 수용 능력이 개선된다.
또한,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비소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접합 계면에서의 도핑 프로파일이 완만해져서 접합 누설이 감소된다. 또한, 인 포토 다이오드 영역이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형성되므로, 감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0)

  1.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의 선택된 영역에 형성되는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계면과 접하도록,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및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에 보다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비소(As)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인(P)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보론(B)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은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6.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트랜스퍼 게이트 및 리셋 게이트와,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과,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와 리셋 게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통 소오스 영역, 및 상기 리셋 게이트의 타측에 형성되는 리셋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로서,
    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은,
    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반도체 기판 표면에 형성된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계면과 접하도록,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및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에 보다 투사 거리 및 확산도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의 이미지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비소(As)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인(P)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구성하는 불순물은 보론(B)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은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11. 반도체 기판상의 소정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트랜스퍼 게이트와 리셋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의 일측 영역이 노출되도록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 영역에 P형 불순물을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를 가지고 주입하여,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하부에 제 1 N형 불순물을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를 가지고 주입하여,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감싸도록, 제 2 N형 불순물을 제 3 이온 주입 에너지를 가지고 주입하여,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불순물은 보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N형 불순물은 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소 이온은 1×1012/㎠∼9×1012/㎠의 농도로 이온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는 상기 제 1 이온 주입 에너지에 비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N형 불순물은 인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 이온은 5×1011/㎠∼9×1011/㎠의 농도로 이온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온 주입 에너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온 주입 에너지에 비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N형 포토 다이오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 및 리셋 게이트의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와 리셋 게이트 사이 및 상기 리셋 게이트의 일측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2-0007696A 2002-02-09 2002-02-09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45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96A KR100450670B1 (ko) 2002-02-09 2002-02-09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0/345,852 US6734471B2 (en) 2002-02-09 2003-01-16 Image sensor having photo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032897A JP2003282858A (ja) 2002-02-09 2003-02-10 フォトダイオードを有する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06,489 US7063998B2 (en) 2002-02-09 2004-03-23 Image sensor having photo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96A KR100450670B1 (ko) 2002-02-09 2002-02-09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946A true KR20030067946A (ko) 2003-08-19
KR100450670B1 KR100450670B1 (ko) 2004-10-01

Family

ID=2765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696A KR100450670B1 (ko) 2002-02-09 2002-02-09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734471B2 (ko)
JP (1) JP2003282858A (ko)
KR (1) KR1004506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12B1 (ko) * 2006-10-25 2007-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화질 cmos 이미지 센서 및 포토 다이오드
KR100872989B1 (ko) * 2007-09-27 2008-12-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9728016A (zh) * 2017-10-27 2019-05-07 佳能株式会社 光电转换器件、其制造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2903B2 (ja) * 2002-06-24 2010-02-1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US7472831B2 (en) * 2003-11-13 2009-01-06 Metrologic Instruments, Inc. System for detecting image light intensity reflected off an object in a digital imaging-based bar code symbol reading device
KR101026616B1 (ko) 2004-05-06 2011-04-04 크로스텍 캐피탈, 엘엘씨 시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6041237A (ja) * 2004-07-28 2006-02-09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100630704B1 (ko) 2004-10-2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평면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cmos 이미지 센서및 그 제조 방법
DE102005051485B4 (de) * 2004-10-20 201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Bildsensorbauelement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0660275B1 (ko) * 2004-12-29 2006-12-2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화소의 전달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94470B1 (ko) * 2005-07-11 2007-03-1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 제조 방법
US20060255372A1 (en) * 2005-05-16 2006-11-16 Micron Technology, Inc. Color pixels with anti-blooming isolation and method of formation
US7141836B1 (en) * 2005-05-31 2006-1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ixel sensor having doped isolation structure sidewall
KR100672688B1 (ko) * 2005-06-07 2007-01-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698090B1 (ko) * 2005-06-07 2007-03-2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699844B1 (ko) * 2005-06-10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US20070023803A1 (en) * 2005-07-26 2007-02-01 Dongbu Electronics Co., Ltd.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60348B1 (ko) * 2005-12-28 2006-12-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688024B1 (ko) * 2005-12-28 2007-02-27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JP5157259B2 (ja) 2007-05-29 2013-03-0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2009038309A (ja) * 2007-08-03 2009-02-19 Sharp Corp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KR20090090776A (ko) * 2008-02-22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8951826B2 (en) * 2012-01-31 2015-02-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for increasing photodiode full well capacity
KR101834927B1 (ko) 2012-05-07 2018-03-06 (주)바텍이우홀딩스 엑스선 영상감지장치
JP2017085067A (ja) * 2015-10-30 2017-05-18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CN105953823B (zh) * 2016-04-21 2018-12-18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环境光滤除电路、光电传感器及应用其的光电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882B2 (ja) * 1986-12-23 1996-07-24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H039565A (ja) * 1989-06-07 1991-01-17 Matsushita Electron Corp 固体撮像装置
JP2662062B2 (ja) * 1989-12-15 1997-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JP2964541B2 (ja) * 1990-05-10 1999-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縦型オーバーフロードレイン型固体撮像素子
JPH04355964A (ja) * 1990-12-21 1992-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61958A (ja) * 1993-12-09 1995-06-23 Nec Corp 固体撮像装置
US5563429A (en) * 1994-06-14 1996-10-08 Nikon Corp. Solid state imaging device
US5686857A (en) * 1996-02-06 1997-11-11 Motorola, Inc. Zero-crossing triac and method
KR100386609B1 (ko) * 2000-04-28 2003-06-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FR2820883B1 (fr) * 2001-02-12 2003-06-13 St Microelectronics Sa Photodiode a grande capaci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12B1 (ko) * 2006-10-25 2007-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화질 cmos 이미지 센서 및 포토 다이오드
US7741665B2 (en) 2006-10-25 2010-06-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igh-quality CMOS image sensor and photo diode
KR100872989B1 (ko) * 2007-09-27 2008-12-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9728016A (zh) * 2017-10-27 2019-05-07 佳能株式会社 光电转换器件、其制造方法和装置
CN109728016B (zh) * 2017-10-27 2023-03-17 佳能株式会社 光电转换器件、其制造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670B1 (ko) 2004-10-01
US20040180458A1 (en) 2004-09-16
US7063998B2 (en) 2006-06-20
JP2003282858A (ja) 2003-10-03
US6734471B2 (en) 2004-05-11
US20030151076A1 (en)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670B1 (ko) 포토 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7772624B2 (en) Image sensor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6486521B2 (en) Optimized floating P+ region photodiode for a CMOS image sensor
US6329679B1 (en) Photodiode with increased photocollection area for image sensor
KR100619396B1 (ko) 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7524695B2 (en) Image sensor and pixel having an optimized floating diffusion
KR100595907B1 (ko) 반도체이미지센서를형성하는방법과구조
KR100760913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20094419A1 (en) Cmos image sens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884976B1 (ko)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JP2000031451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02177A1 (en) Photo sens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50039167A (ko) 시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S6018957A (ja) 固体撮像素子
KR100275125B1 (ko) 스택형 핀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센서
KR100870823B1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788483B1 (ko) 이미지 센서의 픽셀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27498A (ko) 암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100617064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922930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100298200B1 (ko) 핀드 포토다이오드를 갖는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100730470B1 (ko)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449952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790286B1 (ko)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KR100644523B1 (ko) 암신호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