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788A -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 Google Patents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788A
KR20030063788A KR1020020004098A KR20020004098A KR20030063788A KR 20030063788 A KR20030063788 A KR 20030063788A KR 1020020004098 A KR1020020004098 A KR 1020020004098A KR 20020004098 A KR20020004098 A KR 20020004098A KR 20030063788 A KR20030063788 A KR 2003006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circular body
front surfac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삭례
안이성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서삭례
안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삭례, 안이성 filed Critical 서삭례
Priority to KR102002000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788A/ko
Publication of KR2003006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58Feed means of scre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서 식품 재료의 분쇄시 투입되는 식품 재료의 양이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을 넘어서는 경우에도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서 정체되지 않고 하류로 이송되도록 그리고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 밀접하게 끼여 마찰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량한 분쇄 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Improved pulverizing means of rotating and shearing type crusher}
본 발명은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분쇄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서 식품 재료의 분쇄시 투입되는 식품 재료의 양이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을 넘어서는 경우에도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서 정체되지 않고 하류로 이송되도록 그리고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 밀접하게 끼여 마찰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량한 분쇄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간에 투입구(10a)가 형성된 하우징(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감속모터(11) 및 압출다이(12)를 구비하고 있다. 감속모터(11)에는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이송스크류(20)가 연결되어 회전하므로 투입된 식품 재료를 압출다이(12) 측으로 밀어 보낸다.
이송스크류(20)의 하류단에는 일정 길이에 걸쳐 단면이 각진 회전축(20a)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의 내주면 하단에는 걸림턱(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스크류(20)의 회전축(20a) 상에는 분쇄 수단으로서 복수의 고정판(31 내지 37)과 회전판(41 내지 46)이 번갈아 배치된다. 고정판(31 내지 37)은, 그 원형 본체의 중앙에 회전축(20a)의 대각선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심공을 구비하며 그 원형 본체의 외주면에 하우징(10)의 걸림턱(10b)에 상응하는 형상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절결부가 걸림턱(10b)에 상에 끼워지면서 그 중심공이 회전축(20a) 상에 간섭하지 않게 끼워진다. 반면, 회전판(41 내지 46)은 회전축(20a)에 각형 단면에 상응하는 중심공을 본체의 중앙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회전축(20a)과 맞물려 함께 회전한다.
또한, 회전판(41 내지 46)은 그 원형 본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있고, 고정판(31 내지 37)은 그 원형 본체의 중간에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송스크류(20)에 의해 밀려진 식품 재료는 하우징(10)에 고정된 고정판(31 내지 37)과 회전축(20a)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41 내지 46)을 거치면서 분쇄된다. 도 1에서는 회전판의 절단부의 개수와 고정판의 통공의 개수가 하류 쪽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므로, 식품 재료가 하류쪽으로 미세하게 분쇄된다.
회전축(20a)의 말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는 마지막고정판(37) 다음에 교반날(50)을 끼운 후 나사로 고정하면 된다. 다음, 하우징(10)의 개구에 압출다이(12)를 맞닿게 위치시킨 후 조절링(60)을 끼우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러한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분쇄 수단, 즉 회전판과 고정판은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회전판을 부재번호 110으로 표시하였으며 고정판을 부재번호 120으로 표시하였다. 회전판(110)의 원형 본체(111)의 중심에는 회전축의 각형 단면에 상응하는 중심공(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본체(111)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5개의 절단부(112)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120)의 원형 본체(121)의 중심에는 회전축의 대각선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심공(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본체(121)의 중간에는 복수의 통공(122)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 본체(121)의 외주면에는 절결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110)은 화살표 C로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절단부(112)는 전후방면(112a, 112b)과 양측면(112c, 112d)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방면 중 전방면(112a)은 회전판(110)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 중 회전방향 측면(112c)은 회전판(110)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쇄 수단은, 회전판(110)의 회전방향 측면(112c)이 그 중심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품 재료가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에 의해 밀려져 회전판(110)의 바로 앞의 고정판의 통공을 통과할 때, 회전판(110)이회전하면서 절단부(112)의 회전방향 측면(112c)은 그 후단 절단선에서 식품 재료를 절단한 후 절단된 식품 재료를 고정판들 사이에서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만 회전시킬 뿐 하류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못한다. 즉, 종래에는, 식품 재료가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에 의해서만 하류쪽으로 이송되었다. 회전판(110)의 절단부(112)에 의해 절단된 식품 재료는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에 의해 이송되어 고정판(120)의 통공(122)을 통과하면서 분쇄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투입되는 식품 재료의 양이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을 넘어설 정도로 많은 경우에, 이러한 식품 재료는 하류로 이송되지 않고 고정판들 사이에서 정체된다. 이렇게 식품 재료가 고정판들 사이에서 정체되면, 회전판이 계속 회전하므로 고정판들 사이의 식품 재료는 온도가 상승하여 그 맛과 향이 손상된다.
또한, 종래의 회전판(110)은 고정판(120)의 본체(121)의 후방면(121a)과 맞닿는 절단부(112)의 전방면(112a)이 본체(111)의 전방면(111a)과 동일 평면 상에 있으므로, 절단부(112)의 전방면(112a)과 고정판(120)의 후방면(121a)이 밀접한 상태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절단부(112)의 전방면(112a)과 고정판(120)의 후방면(121a) 사이에 식품 재료가 밀접하게 끼이게 되면, 회전판이 계속 회전하므로 식품 재료는 절단부(112)의 전방면(112a)과 고정판(120)의 후방면(121a) 사이에서 마찰되므로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그 맛과 향이 더욱 손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서 식품 재료의 분쇄시 투입되는 식품 재료의 양이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을 넘어서는 경우에도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서 정체되지 않고 하류로 이송되도록 그리고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 밀접하게 끼여 마찰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량한 분쇄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쇄 수단이 적용되는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분쇄 수단의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수단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은, 상부 중간에 투입구(10a)가 형성된 하우징(10)의 일단에는 감속모터(11)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모터(11)에는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이송스크류(20)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스크류(20)의 하류단에는 일정 길이에 걸쳐 단면이 각진 회전축(20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 하단에는 걸림턱(10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0a) 상에는 분쇄 수단으로서 복수의 고정판과 회전판이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원형 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0a)의 대각선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원형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걸림턱(10b)에 상응하는 형상의 절결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원형 본체의 중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형 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0a)에 상응하는 직경의 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형 본체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의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0a)의 말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마지막 고정판 다음에 교반날(50)을 끼운 후 나사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단 개구에 압출다이(12)를 맞닿게 위치시킨 후 조절링(60)을 끼워 이루어지는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 수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인 회전판(210)의 원형 본체(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부(212)는 전후방면(212a, 212b)과 양측면(212c, 212d)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단부(212)의 전후방면 중 전방면(212a)은 상기 회전판(210)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212)의 양측면 중 회전방향 측면(212c)은 상기 전방면(112a)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210)의 회전방향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은 상기 본체(211)의 전방면(211a)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도록 소정 깊이로 절삭되고, 상기 분쇄 수단을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인 고정판(220)의 원형 본체(221)의 후방면(221a)에는 복수개의 오목부(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분쇄 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분쇄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서 분쇄 수단은 회전판(210)과 고정판(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전판(210)의 원형 본체(211)의 중심에는 회전축의 각형 단면에 상응하는 중심공(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본체(211)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절단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210)은 화살표 C로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절단부(212)는 전후방면(212a, 212b)과 양측면(212c, 212d)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후방면 중 전방면(212a)은 회전판(210)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 중 회전방향 측면(212c)은 전방면(112a)에 대하여 회전판(210)의 회전방향쪽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정의 경사 각도는 35°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며, 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판(220)의 원형 본체(221)의 중심에는 회전축의 대각선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심공(225)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 본체(221)의 중간에는 복수의 통공(222)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 본체(221)의 외주면에는 절결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분쇄 수단에 의하면, 회전판(210)의 회전방향 측면(212c)이 전방면(112a)에 대하여 회전판(210)의 회전방향쪽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식품 재료가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에 의해 밀려져 회전판(210)의 바로 앞의 고정판의 통공을 통과할 때, 회전판(210)이 회전하면서 절단부(212)의 경사진 회전방향 측면(212c)은 그 후단 절단선에서 식품 재료를 절단한 후, 절단된 식품 재료를 경사면에 의해 하류쪽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되는 식품 재료의 양이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을 넘어설 정도로 많은 경우에도, 식품 재료는 고정판들 사이에서 정체되지 않고 하류로 이송되므로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그 맛과 향이 그대로 보존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판(210)은 고정판(220)의 본체(221)의 후방면(221a)과 맞닿는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을 소정 깊이로 절삭하여,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이 본체(211)의 전방면(211a)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게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이 본체(211)의 전방면(211a)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는 소정 깊이는 1mm 내지 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쇄 수단에 의하면,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과 고정판(220)의 후방면(221a)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있으므로,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과 고정판(220)의 후방면(221a) 사이에 식품 재료가 끼이게 되더라도,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과 고정판(220)의 후방면(221a) 사이의 식품 재료는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더욱 미세하게 분쇄된다. 즉, 식품 재료의 맛과 향이 그대로 보존될 뿐만 아니라 식품 재료의 입자가 보다 미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220)의 후방면(221a)에 복수개의 오목부(223)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오목부(223)에 의하면, 보다 많은 식품 재료가 오목부(223) 내에 수용되므로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과 고정판(220)의 후방면(221a) 사이에서 식품 재료가 분쇄되는 효율이 더욱 증가된다.
부가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회전판(210)의 절단부(212)는 원형 본체(211)에 대하여 회전판(210)의 회전방향 쪽으로 소정 각도 치우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절단부(212)의 기단부의 원형 본체(21)에 대한 접선의 중심에서 외측 직각으로 이은 법선과 상기 접선의 중심에서 절단부(212)이 말단부의 중심까지 이은 직선이 회전판(210)의 회전방향 쪽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하면, 회전판(210)의 회전시 식품 재료는 절단부(212)의 바깥쪽으로 쏠리지 않고 중심쪽으로 쏠리게 되어 식품 재료가 골고루 분쇄된다. 이 소정의 각도는 10°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서는, 분쇄 수단의 식품 재료를 밀어내는 수단으로서 이송스크류를 사용하였지만 이송스크류 대신 모노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개량된 분쇄 수단에 의하면,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서 식품 재료의 분쇄시 투입되는 식품 재료의 양이 이송스크류의 이송력을 넘어서는 경우에도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서 정체되지 않고 하류로 이송되고 그리고 식품 재료가 분쇄 수단 사이에 밀접하게 끼여 마찰되지 않으므로 식품 재료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고 식품 재료의 맛과 향이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 중간에 투입구(10a)가 형성된 하우징(10)의 일단에는 감속모터(11)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모터(11)에는 외면에 나선이 형성된 이송스크류(20)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스크류(20)의 하류단에는 일정 길이에 걸쳐 단면이 각진 회전축(20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 하단에는 걸림턱(10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0a) 상에는 분쇄 수단으로서 복수의 고정판과 회전판이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원형 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0a)의 대각선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원형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걸림턱(10b)에 상응하는 형상의 절결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원형 본체의 중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형 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0a)에 상응하는 직경의 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형 본체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의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0a)의 말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마지막 고정판 다음에 교반날(50)을 끼운 후 나사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타단 개구에 압출다이(12)를 맞닿게 위치시킨 후 조절링(60)을 끼워 이루어지는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 수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인 회전판(210)의 원형 본체(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부(212)는 전후방면(212a, 212b)과 양측면(212c, 212d)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단부(212)의 전후방면 중 전방면(212a)은 상기 회전판(210)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212)의 양측면 중 회전방향 측면(212c)은 상기 전방면(112a)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210)의 회전방향쪽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은 상기 본체(211)의 전방면(211a)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도록 소정 깊이로 절삭되고,
    상기 분쇄 수단을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인 고정판(220)의 원형 본체(221)의 후방면(221a)에는 복수개의 오목부(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분쇄 수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12)의 회전방향 측면(212c)이 상기 전방면(112a)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210)의 회전방향쪽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소정 각도는 35°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수단.
  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12)의 전방면(212a)이 상기 본체(211)의 전방면(211a)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는 소정 깊이는 1mm 내지 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수단.
KR1020020004098A 2002-01-24 2002-01-24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KR20030063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98A KR20030063788A (ko) 2002-01-24 2002-01-24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98A KR20030063788A (ko) 2002-01-24 2002-01-24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88A true KR20030063788A (ko) 2003-07-31

Family

ID=3221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98A KR20030063788A (ko) 2002-01-24 2002-01-24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7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398B1 (ko) * 2009-10-09 2011-06-27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무늬 도료용 분쇄기
KR20190038120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출 성형기
WO2019156647A1 (en) * 2018-02-09 2019-08-15 Proface Yazilim Bilisim Makine Techizat Sanayi Iml. Ve Ihr. Tic. Ltd. Sti. Chopper / shredder for food products and tobacco
KR20220049292A (ko) 2020-10-14 2022-04-21 그린아이코트 주식회사 개폐형 헤드를 구비하는 도료용 분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255A (en) * 1976-02-20 1976-11-23 Speco, Inc. Meat grinder cutter blade of the radial arm type
KR960003075A (ko) * 1994-06-30 1996-01-26 배순훈 자동 음량 제어장치
US5511729A (en) * 1994-08-15 1996-04-30 Yeomans Chicago Corporation Waste comminutor and cutter elements therefor
KR200228707Y1 (ko) * 2000-12-05 2001-07-04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용 커터
KR200246776Y1 (ko) * 2001-05-22 2001-10-15 김소당 동물사체 분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255A (en) * 1976-02-20 1976-11-23 Speco, Inc. Meat grinder cutter blade of the radial arm type
KR960003075A (ko) * 1994-06-30 1996-01-26 배순훈 자동 음량 제어장치
US5511729A (en) * 1994-08-15 1996-04-30 Yeomans Chicago Corporation Waste comminutor and cutter elements therefor
KR200228707Y1 (ko) * 2000-12-05 2001-07-04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용 커터
KR200246776Y1 (ko) * 2001-05-22 2001-10-15 김소당 동물사체 분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398B1 (ko) * 2009-10-09 2011-06-27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무늬 도료용 분쇄기
KR20190038120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출 성형기
WO2019156647A1 (en) * 2018-02-09 2019-08-15 Proface Yazilim Bilisim Makine Techizat Sanayi Iml. Ve Ihr. Tic. Ltd. Sti. Chopper / shredder for food products and tobacco
KR20220049292A (ko) 2020-10-14 2022-04-21 그린아이코트 주식회사 개폐형 헤드를 구비하는 도료용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953B2 (ja) 合成樹脂材料の製造用の装置
JP4698439B2 (ja) 粉粒体の解砕整粒装置
US3847360A (en) Food chopper
US5820041A (en) Food cutting apparatus
US3536115A (en) Food grinder
KR20030063788A (ko) 회전식 전단형 파쇄기의 개량된 분쇄 수단
JP4113222B2 (ja) 粉粒体の解砕整粒装置
KR101710352B1 (ko) 생강 절단장치
KR101665592B1 (ko) 곡물 분쇄유닛 및 이를 갖는 가정용 곡물 분쇄기
KR200242099Y1 (ko) 고추 분쇄기
JP2004148342A (ja) スクリュープレス
CN109906117B (zh) 超细粉碎机
JP3983684B2 (ja) 野菜切截機の丸刃体
JP3983678B2 (ja) 野菜細切り機の拍子木切り及び千切り用送りロール
KR200444953Y1 (ko) 향신료 분쇄장치
KR200349208Y1 (ko) 식품 분쇄기
KR200204228Y1 (ko) 고추 분쇄기
CN220236716U (zh) 研磨组件及料理机
KR200255866Y1 (ko) 가축사료제조용 분쇄기
CN216987979U (zh) 一种利于榨汁的进料机构及使用其的椰肉粉碎机
KR200303094Y1 (ko) 곡물용 분쇄기
KR200252157Y1 (ko) 고추 분쇄기의 분말 이송장치
KR200284150Y1 (ko) 고추 분쇄기의 분말 이송장치
KR200338260Y1 (ko) 둥근 생선 토막 절단기
KR870001727Y1 (ko) 종이재의 원료인 펄프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