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193A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193A
KR20030063193A KR10-2003-0003351A KR20030003351A KR20030063193A KR 20030063193 A KR20030063193 A KR 20030063193A KR 20030003351 A KR20030003351 A KR 20030003351A KR 20030063193 A KR20030063193 A KR 20030063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cover frame
positioning
clos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677B1 (ko
Inventor
네바시미츠히코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1916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6319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2Scales and indicators, e.g. for determining sid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프린터 유닛은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압반을 인쇄헤드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 1위치결정기구와 제 2위치결정기구를 포함한다. 제 1위치결정기구는 압반의 위치변화를 잠금핀과 같은 제 1위치결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로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제 2위치결정기구는 제 1위치결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압반의 선회를 잠금레버 스핀들과 같은 제 2위치결정지점에 닿음에 의해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커버 프레임상에 구비된 압반(platen)을 본체 프레임상에 구비된 인쇄헤드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롤 용지(rolled paper)와 같은 연속지(continuous paper)를 수납하고, 연속지를 뽑아내면서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식의 프린터에 있어서, 연속지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연속지를 수동으로 뽑아내고 소정의 용지 경로를 따라 연속지를 꺼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쇄헤드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압반이 연속지 교환구(exchange port)를 개폐하는 프린터의 커버측에 구비되어 용지 경로가 커버를 개방하는 조작과 함께 개방된다.
또한, 인쇄헤드가 도트 임팩트 방식(dot impact type) 또는 잉크젯방식(ink jet type)인 경우에는, 인쇄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인쇄헤드와 압반 사이에 소정의 간극(압반간극)이 유지되고 압반이 인쇄헤드의 인쇄선(print line)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프린터는 커버 프레임상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된 잠금레버(lock lever)와 본체 프레임상에 구비된 잠금핀(lock pin)의 맞물림에 의해 위치된다. 그러므로, 본체 프레임에 대한 커버 프레임의 느슨한 장착(attachment looseness)의 영향에 의해 압반에서의 위치정밀도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커버 프레임상에 구비된 압반이 본체 프레임에 상에 구비된 인쇄 헤드에 대해 고정밀도로 위치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밀도는, 본체 프레임에 대한 커버 프레임의 느슨한 장착의 영향을 제거하여 인쇄헤드와 압반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유지될 수 있는 인쇄 헤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압반이 인쇄헤드의 인쇄선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인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구비된 인쇄헤드, 개폐작동을 자유롭게 수행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에 구비된 커버 프레임, 커버 프레임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쇄헤드와 대향하는 압반,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에 대해 압반을 위치결정하여 압반의 위치 변화를 제 1위치결정지점(first positioning fulcrum)을 중심으로하는 선회로 한정하는 제 1위치결정기구(first positioning mechanism), 및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에 대해 압반을 위치결정하여 제 1위치결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압반의 선회를 제 2위치결정지점으로의 닿음(abutment)에 의해 제한하는 제 2위치결정기구를 포함하는 프린터를 제공한다.
또한, 제 1위치결정지점은, 인쇄헤드의 인쇄위치를 지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인쇄헤드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압반의 표면에 대해 실질상 수직인 제 1 가상선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쇄선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제 1위치결정지점은,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인쇄헤드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압반의 표면에 대해 실질상 수직으로 된다.
이 경우, 압반의 선회에 의해 야기된 압반 간극의 변화량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압반 간극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인쇄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 1위치결정기구는,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제 1위치결정지점으로서 작동하는 잠금핀, 잠금레버 스핀들을 통해 압반 또는 커버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커버프레임의 개폐작동을 잠그기 위해 잠금핀과 맞물리며, 압반 또는 커버 프레임에 구비되고 제 2위치결정지점으로서 작동하는 스핀들인 잠금레버, 및 압반 또는 커버 프레임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압반의 위치 변화를 잠금핀의 외주를 따라 잠금핀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로만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제 1위치결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래 기술의 잠금레버기구에 제 1위치결정홈을 추가하는 것과 같은 변경에 의해 제 1위치결정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프린터의 구조가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제 2위치결정기구는,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홈 내부 에지부의 잠금레버 스핀들의 닿음에 의해 잠금핀을 중심으로 하는 압반의 선회를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제 2위치결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위치결정기구는 잠금레버 스핀들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구조가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제 1위지결정지점과 제 2위치결정지점 사이의 거리가 잠금레버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압반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본체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 중 한 곳에 구비된 용지 공급롤러와, 본체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 중 다른 한 곳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혀있을 때 용지 공급롤러에 접하는 용지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고, 제 1위치결정지점은 측면에서 보아 용지 공급롤러와 용지 가압롤러의 중심을 지나는 제 2가상선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위치결정지점은 용지 공급롤러의 축선과 용지 가압롤러의 축선에 의해 형성된 면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용지 가압롤러에 작용하는 반발력(reaction force)에 의해 제 1위치결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압반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제 2위치결정지점과 제 2위치결정홈의 접하는 위치가 지정되어 압반에서의 위치 정밀도가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용지 가압롤러를 용지 공급롤러측으로 밀치는(urging)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일정 반발력(스프링 힘)이 용지 가압롤러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일정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압반에 확실하게 가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유닛의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린터 유닛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이 열린(반개(half-open))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프린터 유닛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이 열린(전개(full-open))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프린터 유닛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프린터 유닛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프린터 유닛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프린터 유닛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을 닫는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1의 프린터 유닛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이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
도 9는 도 1의 프린터 유닛에 있어서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주요부 종단면도;
도 10은 도 1의 프린터 유닛의 압반(platen)을 뒤쪽에서 본 사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유닛의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P:연속지L1:제 1가상선
L2:제 2가상선10:프린터 유닛
11:하우징13:용지 공급롤러
14:용지 가압롤러15:인쇄헤드
15a:인쇄위치16:압반
16c:인쇄헤드 대향면16g:제 1위치결정홈
20:본체 프레임20a:사이드 프레임
20b:제 2위치결정홈21:커버 프레임
22:제 1위치결정기구23:제 2위치결정기구
24:잠금핀25:잠금레버 스핀들
26:잠금레버27:스프링
29:롤러 홀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커버 프레임이 열린(반개(half-open))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커버 프레임이 열린(전개(full-open))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프린터 유닛(10)은 프린터를 구성하기 위한 소정의 하우징과 결합되어있다. 프린터 유닛(10)은 롤 형상의 연속지(P)가 수납되어 있는 하우징(11)을 포함하고, 하우징(11)에 선회가능하게 유지된 연속지(P)의 일단측은 용지 경로(12)를 통해 프린터 유닛(10)의 상부에서 뽑힌다. 용지 경로(12)는, 연속지(P)를 이송하는 용지 공급롤러(13), 연속지(P)를 용지 공급롤러(13)에 대해 밀치는 용지 가압롤러(14), 연속지(P)에 인쇄를 수행하는 도트임팩트방식 인쇄헤드(15), 및 인쇄헤드(15)의 대향위치에서 연속지(P)의 이면(back face)을 유지하는 압반(16)을 구비하고 있다.
인쇄헤드(15)는 횡방향(용지 경로(12)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 (carrriage)(17)에 구비되어 있다. 잉크리본(ink ribbon)은 잉크리본카세트(ink ribbon cassete)(18)로부터 인쇄헤드(15)의 이동영역으로 공급된다. 인쇄헤드(15)의 임팩트 핀(impact pin)은 인쇄헤드(15)와 연속지(P) 사이에 잉크리본이 구비된 상태에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연속지(P)상에 도트매트릭스 인쇄(dot matrix printing)가 수행된다.
하우징(11) 위에는 연속지(P)를 교환하기 위한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좌우측에는 본체 프레임(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20a)이 세워져 있고, 하우징(19)은 사이드 프레임(20a)의 후방부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커버 프레임(21)에 의해 개폐된다. 커버 프레임(21)의 선단부에는 압반(16)과 용지 가압롤러(14)가 포함 또는 수용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21)이 개방되면, 압반(16)과 용지 가압롤러(14)가 후퇴하여 용지 경로(12)가 개방된다. 즉, 연속지(P)를 교환하려 할 때, 커버 프레임(21)이 개방되어 하우징(11)에 연속지(P)를 수납한 뒤, 연속지(P)의 일단측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뽑힌다. 그 후, 커버 프레임(21)이 닫혀 연속지(P)가 용지 경로(12)를 따라 배치된다. 용지 공급롤러(13)를 구동하는 모터(30)는 사이드 프레임(20a) 중 한 쪽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30)의 동력을 용지 공급롤러(13)에 전달하는 기어열(gear train)(31)은 동 사이드 프레임(20a)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커버 프레임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및 도 6은 커버 프레임을 타나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16)은, 커버 프레임(21)의 선단측 하부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장착면(16a), 인쇄헤드(15)의 하류측에서 연속지(P)를 안내하는 하류측 안내면(16b),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쇄헤드(15)와 대향하는 인쇄헤드 대향면(압반 작동면)(16c), 및 인쇄헤드(15)의 상류측에서 연속지(P)를 안내하는 상류측 안내면(16d)을 포함한다. 인쇄 가압롤러(14)는 압반(16)의 후방에 선회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류측 안내면(16d)에 형성된 롤러 돌출구멍(16e)으로부터 돌출된 용지 가압롤러(14)는 용지 공급롤러(13)에 닿아 있다.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 대향면(16c)은 인쇄헤드(15)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고 인쇄헤드(15)의 인쇄선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압반(16)을 인쇄헤드(15)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 1위치결정기구(22) 및 제 2위치결정기구(23)를 설명한다.
도 7은 커버 프레임이 닫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8은 커버 프레임이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주요부종단면도, 및 도 9는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프린터 유닛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치결정기구(22)는, 사이드 프레임(20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잠금핀(제 1위치결정지점)(24), 압반(16)의 좌우 측판부(16f)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잠금레버 스핀들(25), 잠금레버 스핀들(25)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잠금레버(26), 및 압반(16)의 좌우 측판부(16f)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제 1위치결정홈(16g)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잠금레버(26)는 연결부(26a)를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부(26a)와 용지 가압롤러(14)의 축부 사이에서 압축상태로 구비된 스프링(27)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있다. 잠금레버(26)의 선단부에는 결합후크홈(engagement hook groove)(26b)과 테이퍼부(taper portion)(26c)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테이퍼부(26c)는 커버 프레임(21)이 닫힌 위치에 이르기 전에 잠금핀(24)과 닿게 된다. 잠금핀(24)은 테이퍼부(26c)를 안내하여 커버 프레임(21)이 닫힘에 따라 잠금레버(26)가 전방으로 선회되도록 한다(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21)이 닫힌 위치에 이르면, 테이퍼부(26c)가 잠금핀(24)을 넘겨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해 잠금레버(26)가 후방(도 9의 화살표 A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이 때, 결합후크홈(26b)은 잠금핀(24)과 맞물려 커버 프레임(21)을 개폐하는 작동이 잠궈진다. 잠금레버 스핀들(25)의 일단부에는 잠금해제 레버(28)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자가 잠금해제 레버(28)를 후방으로 선회시키면 잠금레버(26)가 전방(도 9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선회되어 커버 프레임(21)의 개폐 잠금이 해제된다.
제 1위치결정홈(16g)은 하측이 팬(fan)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측판부(16f)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제 1위치결정홈(16g)의 홈 내측 에지 중 한 곳이 잠금핀(24)과 접하여 압판(16)이 위치결정되고 안내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21)이 닫힌 위치에 이르면, 제 1위치결정홈(16g)의 홈 상단(16h)이 잠금핀(24)과 맞물려 압반(16)이 위치결정된다. 잠금핀(24)과 잠금레버(26)의 맞물림에 의해 이러한 상태가 유지된다. 제 1위치결정홈(16g)의 홈 상단(16h) 및 잠금레버(26)의 결합후크홈(26b) 모두 잠금핀(24)의 외주를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위치결정홈(16g)의 홈 상단(16h)과 잠금레버(26)의 결합후크홈(26b)이 잠금핀(24)과 맞물리는 전폐상태(full-closing state)에서는, 압반(16)의 위치 변화가 잠금핀(24)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선회만으로 한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치결정기구(22)의 위치결정지점으로 되는 잠금핀(24)은 측면으로부터 보아 제 1가상선(L1)상에 구비된다. 제 1가상선(L1)은 인쇄헤드(15)의 인쇄위치(15a)를 지나고, 측면으로부터 보아, 압반(16)의 인새ㅗ헤드 대향면(16c)에 거의 수직이다. 잠금핀(24)은 제 1가상선(L1)상에 구비되어 압반(16)의 선회에 따른 압반 간극의 변화량이 최소화된다.
본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인쇄헤드(15)는 9개의 와이어(wire)가 용지 이송방향 상에 배열되는 것과 같은 도트 임팩트 방식 프린터에 사용된다. 제 1가상선(L1)을 정의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위치(15a)가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 사이의 중심이라고 가정한다.
제 2위치결정기구(23)는, 잠금레버 스핀들(제 2위치결정지점)(25)과 좌우 사이드 프레임(20a)상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제 2위치결정홈(20b)를 포함한다. 제 2위치결정홈(20b)은 상측이 팬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사이드 프레임(20a)의 하단에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잠금레버 스핀들(25)의 좌우 양단이 제 2위치결정홈(20b)의 홈 내측 에지 중 한 곳과 접하여 압반(16)이 위치결정되고 안내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21)이 닫힌 위치에 이르면, 잠금레버 스핀들(25)의 양단이 제 2위치결정홈(20b)의 협폭부(narrow portion)(20c)으로 진입한다. 협폭부(20c)는 잠금레버 스핀들(25)의 직경보다 조금 큰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잠금레버 스핀들(25)이 협폭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잠금레버 스핀들(25)이 제 2위치결정홈(20b)의 홈 내측 에지에 닿아서 잠금핀(24)을 중심으로 하는 압반(16)의 선회가 제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16)의 후방에는 용지 가압롤러(14)와 스프링(27)을 지지하는 롤러 홀더(29)가 구비되어 있다. 롤러 홀더(29)는 잠금레버 스핀들(25)과 결합되어 있고, 따라서, 롤러 돌출구멍(16e)은 압반(16)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롤러 홀더(29)는 용지 가압롤러 축(14a)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홈(29a)과 스프링(27)을 지지하는 돌기(29b)가 구비하도 있다. 롤러 지지홈(29a)은 슬롯(slot)형상이고 용지 가압롤러 축(14a)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용지 가압롤러 축(14a)을 용지 공급롤러(13)와 용지 가압롤러(14)의 중심을 지나는 제 2가상선(L2)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돌기(29b)는 횡방향으로 향한 굴곡편(bent piece)이고, 스프링(27)은 그 일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2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레버(26)을 후방으로 밀치고, 또한, 용지 가압롤러 축(14a)을 하방으로 밀치며,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해 용지 가압롤러(14)가 롤러 돌출구멍(16e)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용지 가압롤러(14)가 용지 공급롤러(13)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 즉, 커버 프레임(21)이 열린 상태에서는, 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용지 가압롤러 축(14a)의 양단이 압반(16)의 배면에 닿아서 용지 가압롤러(14)의 더 이상의 돌출이 제한된다. 한편, 커버 프레임(21)이 닫힌 상태에서는, 용지 가압롤러(14)가 용지 공급롤러(13)에 닿고 압반(16)의 후방으로 후퇴한다. 이 때, 용지 공급롤러(13)는 일정한 힘(스프링(27)의 가압력)으로 용지 가압롤러(14)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용지 가압롤러(14)에는 용지 공급롤러(13)으로부터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상당하는) 일정한 반발력이 가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치결정지점으로 되는 잠금핀(24)은, 측면에서 보아, 제 2가상선(L2)으로부터 소정량 오프셋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로 인해, 용지 가압롤러(14)에 작용하는 반발력에 의해 잠금핀(24)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의 모멘트가 압반(16)에 작용한다. 즉, 모멘트가 압반(16)에 작용하여 지점으로 되는 잠금핀(24)을 중심으로 압반이 일정 방향으로 선회된다. 그러므로, 잠금레버 스핀들(25)과 제 2위치결정홈(20b)이 접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제 2위치결정기구(23)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유닛의 커버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도 10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도 11에서의 참조부호는동일 요소를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용지 공급롤러(13)과 용지 가압롤러(14)는 용지 경로(12)에서 인쇄헤드(15)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헤드(15)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돌출구멍(16e)은 압반(16)의 하류측 안내면(16b)에 구비되고 그 곳으로부터 용지 공급롤러(14)가 돌출되어 잇다. 용지 가압롤러(14)는 사이드 프레임(20a)의 상측 일부에 선회가능한 조건으로 지지되어 있고, 커버 프레임(21)이 닫힐 때 압력에 의해 롤러 돌출구멍(16e)으로부터 돌출된 용지 공급롤러(13)와 접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연속지(P)가 인쇄위치(15a)를 향해 상류측으로부터 밀려와 이송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지(P)가 인쇄위치(15a)의 하류측으로부터 당겨져 이송된다.
또한, 도 1∼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용지 공급롤러(13)가 본체 프레임(20)측에 구비되고 용지 가압롤러(14)가 커버 프레임(21)측에 구비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공급롤러(13)가 커버 프레임(21)측에 구비되고 용지 가압롤러(14)가 본체 프레임(20)측에 구비된다. 이로 인해, 기어(도시 안됨)가 용지 공급롤러(13)의 스핀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21)이 닫힌 상태에서 기어열(31)과 맞물려 모터(30)의 동력이 용지 공급롤러(13)에 전달된다.
또한, 도 1∼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27)이 잠금레버(26)를 후방으로 가압하고 용지 가압롤러(14)가 용지 공급롤러(13)의 전방으로 가압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 가압롤러(14)가 판스프링(leaf spring)(271)에 의해 용지 공급롤러의 전방으로 가압되고 잠금레버(26)가 코일스프링(coiled spring)(272)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된다.
도 9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도, 제 1위치결정지점으로 되는 잠금핀(24)이, 측면으로부터 보아, 용지 가압롤러(14)와 용지 공급롤러(13)의 중심을 지나는 제 2가상선(L2)으로부터 소정량만큼 오프셋된다. 그러므로, 용지 가압롤러(14)에 작용하는 반발력에 의해 잠금핀(24)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압반(16)에 가해진다. 따라서, 제 2위치결정기구(23)에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 유닛(10)은, 본체 프레임(20)에 구비된 인쇄헤드(15), 개폐작동을 자유롭게 수행하도록 본체 프레임(20)에 구비된 커버 프레임(21), 커버프레임(21)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인쇄헤드(15)와 대향하는 압반(16),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15)에 대해 압반(16)을 위치결정하고 압반(16)의 위치 변화를 제 1위치결정지점(잠금핀(24))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로(만) 제한하는 제 1위치결정기구(22), 및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15)에 대해 압반을 위치결정하고 제 2위치결정지점(잠금레버 스핀들(25))으로의 닿음에 의해 압반(16)의 선회를 제 1위치결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로 제한하는 제 2위치결정기구(23)를 포함한다. 즉, 압반(16)의 위치변화는 제 1위치결정기구(22)에 의한 선회만으로 제한되고 그 선회는 제 2위치결정기구(23)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므로, 본체 프레임(20)에 대한 커버 프레임(21)의 느슨한 장착의 영향에 관계없이, 압반(16)을 인쇄헤드(15)에 대해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결국, 인쇄헤드(15)와 압반(16)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고 압반(16)을 인쇄헤드(15)의 인쇄선과 평행하게 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봤을 때, 제 1위치결정지점(잠금핀(24))은 인쇄헤드(15)의 인쇄위치(15a)를 지나고, 압반(16)의 인쇄헤드 대향면(16c)에 거의 수직인 제 1가상선(L1)상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압반(16)의 선회에 따른 압반 간극의 변화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국, 압반 간극의 정밀도를 높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위치결정기구(22)는, 본체 프레임(20)에 구비되고 제 1위치결정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잠금핀(24), 잠금레버 스핀들(25)을 통해 압반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커버 프레임(21)을 개방하는 작동을 잠그기 위해 잠금핀(24)과 맞물리는 잠금레버(26), 및 압반(16)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압반의 위치 변화를 잠금핀(24)의 외주를 따라 잠금핀(24)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로 제한하는 제 1위치결정홈(16g)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잠금레버기구에 제 1위치결정홈(16g)을 추가하는 정도의 간단한 변경으로 제 1위치결정기구(22)를 구성할 수 있다. 결국,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프린터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제 2위치결정기구(23)는, 압반(16)에 구비되고 제 2위치결정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잠금레버 스핀들(25)과, 본체 프레임(20)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홈 내측 에지상에서의 잠금레버 스핀들(25)의 닿음에 의해잠금핀(24)을 중심으로 하는 압반의 선회를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제 2위치결정홈(20b)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 2위치결정기구(23)는 잠금레버 스핀들(25)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국,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위치결정지점과 제 2위치결정지점 사이의 거리는 잠금레버(26)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압반(16)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20)에는 용지 공급롤러(13)가 배치되고 커버 프레임(21)에는 용지 가압롤러(14)가 배치되며 커버 프레임(21)이 닫혔을 때 용지 공급롤러(13)에 접한다. 잠금핀(24)(제 1위치결정지점)은, 측면으로부터 보아, 용지 공급롤러(13)와 용지 가압롤러(14)의 중심을 지나는 제 2가상선(L2)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용지 가압롤러(14)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잠금핀(24)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압반(16)에 가해진다. 결국, 잠금레버 스핀들(25)(제 2위치결정지점)과 제 2위치결정홈(20b)의 접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반(16)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압(urging) 또는 편향(biasing) 수단, 예를 들면, 용지 가압롤러(14)를 용지 공급롤러(13)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7, 271)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반발력(스프링 힘)이 용지 가압롤러(14)에 가해질 수 있다. 결국, 일정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압반(16)에 확실하게 가해져 제 2위치결정기구(23)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주지의 기술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변경 및 응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커버 프레임에 구비된 압반이 본체 프레임에 구비된 인쇄헤드에 대해 위치결정되고, 본체 프레임에 대한 커버 프레임의 느슨한 장착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인쇄헤드에 대해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결국, 인쇄헤드와 압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압반이 인쇄헤드의 인쇄선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인쇄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8)

  1.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에 구비된 인쇄헤드;
    개폐작동을 자유롭게 수행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된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압반;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상기 압반을 상기 인쇄헤드에 대해 위치결정하고 상기 압반의 위치변화를 제 1위치결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로 제한하는 제 1위치결정기구;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상기 압반을 상기 인쇄헤드에 대해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 1위치결정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압반의 선회를 제 2위치결정지점상의 닿음에 의해 제한하는 제 2위치결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치결정지점은 상기 인쇄헤드의 인쇄위치를 지나는 제 1가상선상에 구비되고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상기 압반의 표면에 실질상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제 1위치결정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잠금핀;
    잠금레버 스핀들을 통해 상기 압반과 상기 커버 프레임 중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상기 커버 프레임을 개폐하는 작동을 잠금기 위해 상기 잠금핀과 맞물리는 잠금레버; 및
    상기 압반과 상기 커버 프레임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상기 압반의 위치 변화를 상기 잠금핀의 외주를 따라 상기 잠금핀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로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제 1위치결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 스핀들은 상기 압반과 상기 커버 프레임 중 하나에 구비되고 제 2위치결정지점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 2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홈 내부 에지부상의 잠금레버 스핀들의 닿음에 의해 상기 잠금핀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압반의 선회를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제 2위치결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중 하나에 구비된 용지 공급롤러; 및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상기 용지 공급롤러에 접하는 용지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위치결정지점은 상기 용지 공급롤러 및 상기 용지 가압롤러의 중심을 지나는 제 2가상선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압롤러를 상기 용지 공급롤러측으로 밀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헤드를 장착하고 상기 압반에 평행한 인쇄선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선과 제 1위치결정지점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인쇄헤드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상기 압반의 표면에 대해 실질상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중 하나에 구비된 용지 공급롤러; 및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이 닫혔을 때 상기 용지 공급롤러에 접하는 용지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위치결정지점은 상기 용지 공급롤러의 축선과 상기 용지 가압롤러의 축선에 의해 형성된 면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3-0003351A 2002-01-18 2003-01-17 프린터 KR100452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10699 2002-01-18
JPJP-P-2002-00010699 2002-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93A true KR20030063193A (ko) 2003-07-28
KR100452677B1 KR100452677B1 (ko) 2004-10-14

Family

ID=1919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351A KR100452677B1 (ko) 2002-01-18 2003-01-17 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93419B2 (ko)
EP (1) EP1329328B1 (ko)
KR (1) KR100452677B1 (ko)
CN (1) CN1195635C (ko)
DE (1) DE60300868T2 (ko)
ES (1) ES2243808T3 (ko)
HK (1) HK1057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013B1 (ko) * 2004-04-16 2006-03-03 주식회사 빅솔론 회전식 플라텐을 구비한 도트 프린터
JP4508937B2 (ja) * 2005-05-12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082749B2 (ja) 2007-10-15 2012-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5109616B2 (ja) * 2007-11-20 2012-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5126528B2 (ja) * 2008-05-08 2013-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転軸のロ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WO2019212491A1 (en) * 2018-04-30 2019-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ll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6251A (ja) 1987-10-20 1989-04-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ータ転送制御方式
US5139351A (en) * 1987-10-22 1992-08-18 Ricoh Company, Ltd. Thermal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platen roller
KR0133931B1 (ko) * 1988-11-30 1998-04-20 오가 노리오 프린터
JPH03108575A (ja) * 1989-09-22 1991-05-08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US5631690A (en) * 1994-02-03 1997-05-20 Seikosha Precision Inc. Recording apparatus
CN1093800C (zh) * 1995-09-19 2002-11-0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带有自动切纸器的打印装置
WO1997018087A1 (en) * 1995-11-13 1997-05-22 Eltron International, Inc. Thermal printer with spring biased drive roller/platen
DE69607292T2 (de) * 1995-11-21 2000-08-31 Seiko Epson Corp Drucker mit Schneid- und Schutzvorrichtung
US5993093A (en) * 1997-11-04 1999-11-30 Schoennauer; Larry Joseph Printer
US6102590A (en) * 1998-03-12 2000-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ver-platen opening mechanism
JP3654008B2 (ja) 1998-10-02 2005-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用プリンタ
JP3614314B2 (ja) 1999-03-25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00326530A (ja) 1999-05-20 2000-11-28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3885564B2 (ja) * 2001-11-16 2007-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57513A1 (en) 2004-04-08
KR100452677B1 (ko) 2004-10-14
DE60300868D1 (de) 2005-07-28
US6997623B2 (en) 2006-02-14
US20030156873A1 (en) 2003-08-21
EP1329328B1 (en) 2005-06-22
US6793419B2 (en) 2004-09-21
US20050063748A1 (en) 2005-03-24
DE60300868T2 (de) 2006-05-11
CN1195635C (zh) 2005-04-06
CN1432475A (zh) 2003-07-30
EP1329328A1 (en) 2003-07-23
ES2243808T3 (es)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208B1 (ko) 매체 이송 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를 갖는 프린터
US7118208B2 (en) Printer
US6099179A (en) Image recording device having a cassette that pivots feed rollers into nipping position
US5393152A (en) Printing device having opening and shutting mechanism
JP4107261B2 (ja) カッタ機構を備えたプリンタ
KR102541304B1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4529363B2 (ja) プリンタ
KR100452677B1 (ko) 프린터
US641299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laten with a plurality of impact surfaces
EP2368717B1 (en) Printer
JP4595089B2 (ja) 印画位置決め機構及びプリンタ
JP4032951B2 (ja) プリンタ
CN112078257B (zh) 打印装置
JPH06226684A (ja) カッター機構
US20070274756A1 (en) Ink ribbon cassette and printer including ink ribbon
JP3567929B2 (ja) カッター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US11090961B2 (en) Head pressurizing mechanism and tape printing apparatus
JP3780613B2 (ja) ウエッブロール収納カセット
US4961657A (en) Record media drive mechanism for dot matrix printer
JP4478395B2 (ja) プリンタおよび紙押さえ機構
JPH0453786A (ja) プリンタにおけるリボンマスク開放機構
JPH10278369A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装填機構
JP2002370419A (ja) プリンタ
JP2001030593A (ja) インパクトドットプリンタと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