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084A - 법면보호블록 - Google Patents

법면보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084A
KR20030062084A KR1020020002506A KR20020002506A KR20030062084A KR 20030062084 A KR20030062084 A KR 20030062084A KR 1020020002506 A KR1020020002506 A KR 1020020002506A KR 20020002506 A KR20020002506 A KR 20020002506A KR 20030062084 A KR20030062084 A KR 2003006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cover
shap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3037B1 (ko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호 filed Critical 윤성호
Priority to KR10-2002-000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037B1/ko
Priority to CNU022955542U priority patent/CN2599071Y/zh
Publication of KR2003006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상에 설치되는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토의 취부공간이 형성된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며, 식생블록의 상면에는 식생망을 구비하는 식생커버를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법면구조물을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발생하는 토사유실을 최소화하여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며,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와 취부된 식생토의 완벽한 보호를 가능하게 하여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1)상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법면(1)의 녹화를 가능하게 한 법면보호블록(10)에 있어서, 상기 법면보호블록(10)은 "ㄱ"자형의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2)과 일자형블록(23)이 사각형태로 연결되는 외곽프레임(20)과,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이 격자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30)과, 상기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과, 상기 식생블록(40)의 상면에 끼움 고정되는 식생망 형태의 식생커버(50)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ㄱ"자형의 모서리블록(25)과 마감블록(27) 및 일자형의외곽블록(26)이 사각형태로 연결되는 외곽프레임(20)과, "Χ"자형의 A,B형 커버블록(33)(34)이 육각별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30)과, 상기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고정되는 원형의 식생블록(40)과, 상기 식생블록(40)의 상면에 끼움 고정되는 부채꼴 형태의 식생커버(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법면보호블록{Slope cover block}
본 발명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상에 설치되는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토의 취부공간이 형성된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며, 식생블록의 상면에는 식생망을 구비하는 식생커버를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법면구조물을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발생하는 토사유실을 최소화하여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며,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와 취부된 식생토의 완벽한 보호를 가능하게 하여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법면(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법면으로 조성하게 되며,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법면이 조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깍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법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므로서 번번히 법면의 복구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법면 표면이 붕괴되어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법면상에 별도의 보호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법면을 녹화시키므로서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법면보호공법으로는 토사가 성토된 법면상에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블록을 보호구조물로서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각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에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을 심어 생육시키므로서 법면을 녹화시키도록 한 콘크리트 격자공법과, 법면상에 녹화시트와 같은 부직포를 덮어서 설치한 다음, 이와 같이 설치된 부직포의 상면에 그물 형태의 네트(Net)를 깔아서 법면을 일차적으로 보호시키고, 상기 네트의 상면에 잔디육성묘판을 앵커나 못으로 고정시키므로서 묘판에서 생육되는 잔디에 의하여 법면을 녹화시키도록 한 잔디묘판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법면보호공법 중에서 전자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격자공법은,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 법면상에 콘크리트 블록을 격자 형태로 타설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격자 형태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어 굳어지기까지 빗물에 의한 표면유실, 하중이나 충격에 의한 콘크리트의 오손 및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매우 엄격하게 보호,관리하여야 하므로서,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법면상에 직접 타설하지 않고, "K-블록"이라 불리우는 격자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이를 법면상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 또한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블록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운반시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설치시에도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법면을 따라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의 무게에 의하여 법면 하단부에 설치된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이 무너져 내리게 되면, 그 주변의 다른 콘크리트 블록까지 같이 무너져 내리게 되므로서 시공성과 안전성의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 후에는 법면의 녹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사이에 잔디를 식재시켜야 하는 데, 이와 같이 식재되는 잔디는 재배지에서 인력에 의한 떼뜨기 작업을 하여 현장까지 운반시킨 다음 법면상에 일일이 인력으로 도포시켜야 하므로서, 잔디의 재배와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잔디의 떼뜨기와 식재에 소요되는 인건비에 의하여 법면의 녹화에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우천시에는 콘크리트 블록을 따라 흐르는 빗물에 의하여 잔디를 지지하여야 할 토사가 매우 쉽게 유실되므로서 수시로 이에 대한 하자보수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법면의 안정된 녹화가 상당한 기간동안 지연되고, 법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블록에 의하여 자연의 전체적인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법면보강공법 중에서 후자에 해당하는 잔디묘판공법은, 잔디묘판 자체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잔디묘판을 법면상에 고정하는 작업을 거의 인력에 의존하여야 하므로서, 법면보호체인 부직포와 네트의 설치비용과 함께 법면의 녹화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잔디묘판의 케이스는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되는 데 반하여, 잔디묘판의 내부에는 약 5cm 두께의 토사와 2cm 두께의 식생토 및 잔디가 저장되어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잔디묘판의 안전한 운반과 취급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법면의 하단부측에 고정되는 잔디묘판이 그 상부의 잔디묘판 무게에 의하여 쉽게 찌그러지는 것과 같이, 소요비용의 관점에서 그 시공성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적용되는 예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토의 취부공간이 형성된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며, 식생블록의 상면에는 식생망을 구비하는 식생커버를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법면구조물을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발생하는 토사유실을 최소화하여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며, 식생토의 용이한 취부와 취부된 식생토의 완벽한 보호를 가능하게 하여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상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법면의 녹화를 가능하게 한 법면보호블록에 있어서, 상기의 법면보호블록은 "ㄱ"자형의 모서리블록과 T자형블록과 일자형블록이 사각형태로 연결되는 외곽프레임과, 십자형블록과 일자형블록이 격자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곽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식생블록과, 상기 식생블록의 상면에 끼움 고정되는 식생망 형태의 식생커버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ㄱ"자형의 모서리블록과 마감블록 및 일자형의 외곽블록이 사각형태로 연결되는 외곽프레임과, "Χ"자형의 A,B형 커버블록이 육각별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곽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는 원형의 식생블록과, 상기 식생블록의 상면에 끼움 고정되는 부채꼴 형태의 식생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각 블록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곽프레임과 식생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커버프레임과 식생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블록과 식생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블록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감블록의 종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법면 2 : 식생토 10 : 법면보호블록
11 : 앵커볼트 12 : 체결볼트 13 : 나사
20 : 외곽프레임 21,25 : 모서리블록 22 : T자형블록
23 : 일자형블록 26 : 외곽블록 27 : 마감블록
30 : 커버프레임 31 : 십자형블록 33 : A형 커버블록
34 : B형 커버블록 40 : 식생블록 40a : 격자형살
40b : 식생망 40c : 취부공간 41 : 테두리부
41a : 나사공 42 : 보강살 42a : 앵커공
50 : 식생커버 50a : 격자형돌기 50b : 식생망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각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곽프레임과 식생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커버프레임과 식생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블록과 식생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법면 가장자리측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외곽프레임(20)과,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커버프레임(30)과,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형 공간에 삽입되어 커버프레임(30)과 함께 법면 전체를 덮게 되는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은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에 고정되는 4개의 모서리블록(21)과, 상기 모서리블록(21)에 연결되어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일자형블록(23)과,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에 고정되고 상기 일자형블록(23)을 서로 연결하는 T자형블록(22)에 의하여 사각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각 블록(21~23)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1~23)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은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2)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십자형블록(31)과, 상기 십자형블록(31)을 수평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십자형블록(31)과 T자형블록(2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일자형블록(2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법면을 지지하는 격자 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 및 T자형블록(22)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2)(23)(31)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커버프레임(30) 또한 외곽프레임(20)과 함께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식생블록(40)은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형 공간에 삽입되는 사각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상에 고정되고, 몸체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나사(1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21)(22)(23)(31) 측면상에 고정 설치되므로서 각각의 프레임(20)(30)과 함께 법면의 전체면을 덮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에서 각각의 프레임(20)(30)을 구성하는 블록(21)(22)(23)(31)과 식생블록(40)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모서리블록(21)은 도 2의 (가)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10)가 모서리의 형상에 맞도록 "ㄱ"형태로 절곡되어 그중앙에 앵커공(213)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21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21a)이 관통된 연결홈(211)이 몸체(21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며, 몸체(210)의 절곡부 측면상에는 나사공(21b)이 관통된 받침대(21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12)를 지지하는 보강살(214)이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T자형블록(22)은 도 2의 (나)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20)가 "T"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중앙에 앵커공(223)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22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22a)이 관통된 연결홈(221)이 몸체(22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며, 몸체(220)의 각 절곡부 측면상에는 나사공(22b)이 관통된 받침대(22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22)를 지지하는 보강살(224)이 몸체(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구성하는 십자형블록(31)은 도 2의 (다)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310)가 "十" 형태로 절곡되어 그 중앙에 앵커공(313)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31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31a)이 관통된 연결홈(311)이 몸체(31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며, 몸체(310)의 각 절곡부 측면상에는 나사공(31b)이 관통된 받침대(31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312)를 지지하는 보강살(314)이 몸체(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주된 구성요소인 일자형블록(23)은 도 2의 (라)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상면에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Η"형 단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30) 양단에는 상기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2) 및 십자형블록(31)의 각 연결홈(211)(221)(3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단부(231)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고, 몸체(230)의 양측면상에는 나사공(23b)이 관통된 받침대(23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32)를 지지하는 보강살(234)이 몸체(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식생블록(4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테두리부(41) 내측에 십자형의 보강살(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41)와 보강살(42)의 내부에는 격자형살(40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격자형살(40a)의 하측에는 식생망(40b)이 일체로 형성되어 격자형살(40a)과 식생망(40b)에 의한 취부공간(40c)이 형성되어 있으며, 식생블록(40) 또한 그 전체적인 재질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식생블록(40)의 테두리부(41)에는 상기한 각 블록(21)(22)(23)(31)의 받침대(212)(222)(232)(312)에 형성된 나사공(21b)(22b)(23b)(31b)에 대응하는 나사공(41a)이 관통 형성되고, 식생블록(40)의 보강살(42) 중앙에는 앵커공(4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생블록(40)에서 격자형살(40a)과 식생망(40b)에 의하여 형성되는 취부공간(40c)은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의 씨앗이 함유된 식생토가 취부되는 공간으로서, 법면의 녹화에는 대부분 잔디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잔디의 발아율이 80% 정도로 매우 우수하게 되는 식생토의 최적 두께가 1cm 내외이므로, 취부공간(40c)의 깊이(즉, 격자형살의 높이)는 잔디의 높은 발아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1cm ~ 1.5cm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생블록(40)의 상면에는 격자형살(40a)의 내부로 끼움되는 격자형돌기(50a)를 식생망(50b)의 하측에 형성시킨 플라스틱 재질의 식생커버(50)가 결합되며, 상기의 식생커버(50)는 취부공간(40c)의 내부에 1cm 정도의 비교적 얇은 두께로 취부되는 식생토가 빗물이나 각종 원인에 의하여 취부공간(40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테두리부(41)와 십자형 보강살(42)에 의하여 4구역으로 분할되는 식생블록(40)의 각 분할면에 하나씩 총 4개의 식생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의 식생커버(50) 또한 사각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의 돌기(50a)와, 그 돌기(50a)의 상면에 형성된 식생망(50b)에 의하여 식생토의 취부공간이 형성되므로서, 식생커버(50)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50a)를 식생블록(40)의 각 격자형 공간에 끼워맞춤식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식생블록(40)의 식생망(40b)과 식생커버(50)의 식생망(50b) 사이에 식생토의 취부공간 및 초본식물 뿌리의 활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식생커버(50)의 결합에 따른 취부공간(40c)의 협소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격자형돌기(50a)의 높이는 격자형살(40a) 높이의 1/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각 블록(21)(22)(23)(31)의 조합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법면(1)의 폭과 높이,그리고 현장여건에 따라 블록(21)(22)(23)(31)간의 조합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법면보호블록(10)을 설치할 법면(1)의 폭과 높이를 계산하여 법면보호블록(10)에 사용될 각 블록(21)(22)(23)(31)의 종류와 개수를 결정하므로서 법면보호블럭(10)의 설치를 위한 설계를 완료한 다음, 이와 같이 설계된 법면보호블럭(10)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사각형태의 기초터를 법면(1)상에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의 기초터는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 블록(21)(22)(23)의 전체적인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만큼 인력에 의한 터파기 작업을 통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초터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블록(21)을 배치하고, 이와 같이 배치된 각 모서리블록(21)의 사이에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이루는 일자형블록(23)을 T자형블록(22)에 의하여 연결한 다음, 각 블록(21~23)의 연결홈(211)(221)과 연결단부(231)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2)에는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므로서 외곽프레임(20)이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을 기초터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한 다음에는, 외곽프레임(20)의 각 T자형블록(22)과 마주보는 위치에 십자형블록(31)을 기초터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와 같이 배치된 각 십자형블록(31)과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2)을 일자형블록(23)으로 각각 연결시키게 되면,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23)(31)을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2)과 커버프레임(30)의 일자형블록(31)을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게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으로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커버프레임(30)의 십자형블록(31)에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게 되면, 커버프레임(30)이 외곽프레임(20)과 함께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설치한 다음에는,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3)(31)의 받침대(212)(222)(232)(312)에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을 올려놓고, 받침대(212)(222)(232)(312)에 형성된 나사공(21b)(22b)(23b)(31b)과 식생블록(40)의 테두리부(41)에 형성된 나사공(41a)을 대응시켜 각각의 나사공에 나사(13)을 체결시키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사이에 식생블록(40)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게 되며, 나사(13)의 체결시 각 받침대(212)(222)(232)(312)의 하측에 형성된 보강살(214)(224)(234)(314)이 나사(13)의 체결력을 지지하게 되므로서 나사(1)의 체결과정에서 받침대(212)(222)(232)(312)가 찌그러지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식생블록(40)의 조립 설치시에는, 외곽프레임(20)의 좌측 또는 우측하단부터 식생블록(40)을 하나씩 옆으로 조립해 나가므로서 외곽프레임(20)의 내부하측에 하나의 식생블록(40)층을 이루도록 조립한 다음, 그 상측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하나의 식생블록(40)층을 이루는 식으로 단계적으로 조립해 나가며, 식생블록(40)의 설치 과정에서 기초터파기 작업를 통하여 얻은 토사를 잘 간추려 식생망(40b)의 하측면 높이까지 토사를 뒷채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식생블록(40)의 하측면까지 뒷채움시키게 되면, "H"형 단면을 가지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의 몸체(310)(230) 하측 부분과,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의 각 받침대(314)(234)가 토사와 함께 묻히게 되므로서, 커버프레임(30)을 법면(1)상에 더욱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을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 다음에는, 식생블록(40)의 전방면을 통하여 식생토(2)를 격자형살(40a)의 내부로 취부시킨 후, 식생블록(40)의 전방면에 상기한 식생커버(50)를 끼움 결합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 대신에 원형의 식생블록(40)을 사용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의 세부적인 형태에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고, 법면보호블록(10)을 이루는 전체적인 조립관계나 설치관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와 거의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의 형태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감블록의 종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법면(1) 가장자리측에 설치되는 외곽프레임(20)과,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외곽프레임(20)과 일체로 설치되는 커버프레임(30)과,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원형 공간에 삽입되어 커버프레임(30)과 함께 법면 전체를 덮게 되는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4개의 모서리블록(25)과, 상기 모서리블록(25)에 연결되어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장변부)을 형성하는 일자형태의 이음블록(26)과, 상기 모서리블록(25)에 연결되어 외곽프레임(20) 세로변(단변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감블록(27)에 의하여 사각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각각의 블록(25)(26)(27)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5)(26)(27)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Χ"자 형태의 A,B형 커버블록(33)(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블록(33)(34)의 각 단부측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커버블록(33)(34)과 일체로 연결되므로서 육각별 형태로 연이어진 구도로 형성되며,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3)(34)이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을 이루는 외곽블록(26)과 겹쳐지지는 부분에서 나사(13) 체결에 의하여 연결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커버프레임(30) 또한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식생블록(40)은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원형의 테두리부(41)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블록(4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상에 고정되고, 몸체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나사(1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5)(26)(27)(33)(34)의 측면상에 고정 설치되므로서 각각의 프레임(20)(30)과 함께 법면(1)의 전체면을 덮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에서 각각의 프레임(20)(30)을 구성하는 블록(25)(26)(27)(33)(34)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의 각 블록(25)(26)(27)(33)(34)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몸체가 모두 "H"형 단면을 가지고 그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이루는 모서리블록(25)은 도 8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ㄱ" 형태로 절곡된 몸체(250)의 중앙부에 앵커공(254)이 관통 형성되며, 몸체(250)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공(25a)이 관통된 연결홈(251)이 몸체(25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250)의 타측 단부에는 체결공(25a)이 관통된 연결단부(25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250)의 절곡부 측면에는 나사공(25b)이 관통된 사분원 받침대(25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53)를 지지하는 보강살(255)이 몸체(2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블록(26)은 도 8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연장된 몸체(260)의 일측단에 체결공(26a)이 관통된 연결홈(261)이 몸체(260)의 내부 하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260)의 타측단에는 체결공(26a)이 관통된 연결단부(26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볼록하게 융기된 몸체(260)의 일측면에는 나사공(26b)이 관통된 연결받침대(26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연결받침대(263)를 지지하는 보강살(265)이 몸체(260)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양측으로 나사공(26b)이 관통된 보조받침대(2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곽블록(26)의 연결받침대(263)는 하기에 설명되어지는 A,B형 커버블록(33)(34)의 사분원 받침대(333')가 상부로 겹쳐져서 연결되는 부분이고, 보조받침대(263')는 상기의 식생블록(40)이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A,B형 커버블록(33)(34)의 사분원 받침대(333')와 외곽블록(26)의 보조받침대(263')에 의하여 식생블록(40)이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연결받침대(263)의 높이는 보조받침대(263')의 높이에 비하여 받침대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A형 커버블록(33)은 도 8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자 형태의 몸체(330) 내부에 한 쌍의 앵커공(334)이 관통 형성되며, 몸체(330)의 상측 단부에는 체결공(33a)이 관통된 한 쌍의 연결홈(331)이 몸체(330)의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330)의 하측 단부에는 체결공(33a)이 관통된 연결단부(33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330)의 좌우 측면에는 나사공(33b)이 관통된 반원형 받침대(333)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고,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330)의 상하 측면에는 나사공(33b)이 관통된 사분원 받침대(333')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며, 각 받침대(333)(333')의 하측에는 받침대(333)(333')를 지지하는 보강살(335)이 몸체(3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B형 커버블록(34)은 도 8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형 커버블록(33)에서 하측 단부에 형성된 연결단부(332)만이 잘려나간 것을 제회하고는 A형 커버블록(3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모서리블록(25)과 일자형블록(26) 및 A,B형 커버블록(33)(34)을 사용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형성시킬 경우,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측에서 모서리블록(25)과 A형 커버블록(33)이 바로 연결되지 못하고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데, 이와 같은 공간에 마감식으로 설치되어 모서리블록(25)과 A형 커버블록(33) 연결시켜주는 마감블록(27)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가지의 종류로 형성된다.
먼저, 도 9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상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ㄱ"자 형태로 절곡된 몸체(270)의 일측단부에는 모서리블록(25)의 연결단부(252)가 삽입되는 연결홈(271)이 몸체(270)의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270)의 타측단부에는 A형 커버블록(33)의연결홈(331)에 삽입되는 연결단부(272)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되고, 연결홈(271)과 연결단부(272)에는 체결공(27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70)의 절곡부 측면에는 나사공(27b)이 관통된 팔분원 받침대(27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받침대(273)를 지지하는 보강살(275)이 몸체(270)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270)의 타측면에는 나사공(27b)이 관통된 보조받침대(273')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우측상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몸체(270)의 단부측에 모서리블록(25)과 A형 커버블록(33)의 각 연결홈(251)(331)에 삽입되는 연결단부(272)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가)에 도시된 마감블럭(27)과 좌우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9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몸체(270)의 일측 단부에는 A형 커버블록(33)의 연결단부(332)가 삽입되는 연결홈(271)이 형성되고, 몸체(270)의 타측 단부에 모서리블록(25)의 연결홈(251)에 삽입되는 연결단부(272)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가)에 도시된 마감블럭(27)과 상하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9의 (라)에 도시되어 있는 마감블록(27)은, 도 7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우측하단에 설치된 모서리블록(25)과 커버프레임(30)의 A형 커버블록(33)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몸체(270)의 각 단부측에 모서리블록(25)과 A형커버블록(33)의 연결단부(252)(332)가 삽입되는 연결홈(271)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가)에 도시된 마감블록(27)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 블록(25)(26)(27)(33)(34)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법면(2)상에 설치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차이가 있는 점은 모서리블록(25)과 외곽블록(26)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을 상하로 먼저 조립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외곽프레임(20)의 하측 가로변에 B형 커버블록(34)을 외곽블록(26)에 연결 설치하며, 이와 같이 설치된 B형 커버블록(34)의 상측에 A형 커버블록(33)을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30)의 조립 설치가 완료되도록 한 다음,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측에 상기한 마감블록(27)을 설치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식생블록(40)을 설치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단지 차이가 있는 점은 각 블록(25)(26)(27)(33)(34)의 받침대(253)(273)(333)(333')와 보조받침대(263')(273') 상에서 나사(13)로 고정된 식생블록(40)의 전방면을 통하여 식생토(2)를 취부시킨 다음, 보강살(42)에 의하여 4부분으로 분할되는 각 분할면에 부채꼴 형태의 식생커버(50)를 끼움 결합시킨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부채꼴 형태의 식생커버(50) 또한 그 외관적인 형태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커버(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측에서 마감블록(27)과 A형 커버블록(33)에 의하여 고정된 반원형의 식생블록(40)은 원형의식생블록(40)을 절반으로 절단시킨 것으로서, 이는 원형의 식생블록(40)과 유사한 형태와 재질을 가지는 자재를 마감처리에 사용하여 법면보호블록(10)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이 부분에 기초터파기 작업을 통하여 얻은 토사를 다져서 채워 넣거나 또는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마감처리를 하더라도 법면보호블록(10)의 전체적인 설치강도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배수로를 이루는 각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각 프레임(20)(30)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식생블록(40)을 프레임(20)(30)과 일체로 형성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에 의하여 우수한 법면보호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매우 빠르고 손쉽게 법면(1)상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상기한 각각의 블록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그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각 블록의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시에도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테두리 형태의 외곽프레임(20)을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그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토사의 뒷채움과 함께 순차적으로 조립해 나가며, 이 과정에서 "H"형 단면을 가지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이 몸체(310)(230)의 하단부와 보강살(314)(234)에 의하여 토사와 함께 법면(1)상에 지지됨과 동시에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십자형블록(31)과 식생커버(40)가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법면보호블록(10)의 시공과정에서 각 블록이 토사와 함께 흘러내리는 것과 같은 시공상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시공된 법면보호블록(10)이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토사와 함께 무너져 내리는 것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을 법면(1)상에 견고하게 설치한 후에는,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의 씨앗을 함유하는 식생토(2)를 격자형살(40a)과 식생망(40b)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블록(40)의 취부공간(40c)으로 취부시키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식생토(2)의 취부작업을 기계에 의한 살포작업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취부된 식생토(2)가 식생커버(50)에 의하여 취부공간(40c)의 내부에서 거의 완벽하게 보호된다.
또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에 의하여 법면(1)의 표면이 완전히 덮혀져 있는 상태에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이 법면보호블록(10) 전체에 걸쳐 배수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우천시나 폭우시에도 빗물의 흐름이 배수로측으로 유도되어 법면(1)의 표면으로부터 토사가 거의 유실되지 않게 되고, 식생블록(40)에 취부된 식생토(2) 또한 식생커버(50)에 의하여 별다른 유실없이 거의 완벽하게 보호되므로서, 식생토(2)에 함유된 초본식물의 씨앗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자연 발아되어 법면(1)의 조기녹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본식물이 자연 발아되면, 발아된 초본식물의 뿌리는 식생블록(40)의 식생망(40b)과 서로 얽히면서 식생블록(4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발아된 줄기나 잎은 식생커버(50)의 식생망(50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성장하게 되므로서, 초본식물이 식생블록(40)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성장하는 초본식물에 의하여 법면보호블록(1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20)(30)이 완전히 가려지게 되므로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면서도 각종 동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용 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과 식생블록에 의하여 우수한 법면보호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매우 빠르고 손쉽게 법면상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의 블록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블록의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법면보호블록의 설치시에도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외곽프레임을 법면상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놓은 다음, 그 내부에서 앵커볼트에 의한 고정작업과 토사의 뒷채움 작업을 병행하여 커버프레임과 식생블록을 법면상에 설치하므로서, "H"형 단면을 가지는 블록의 하측부와 받침대가 토사에 묻히도록 하여 커버프레임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 블록이 토사와 함께 흘러내리는 것과 같은 시공상의 문제점과, 시공된 법면보호블록이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토사와 함께 무너져 내리는 것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식생토의 취부작업을 기계에 의한 살포작업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각 블록의 조합으로 형성된 배수로 및 식생커버에 의하여 우천시나 폭우시 발생하는 토사와 식생토의 유실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시키므로서, 법면의 녹화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발아된 초본식물이 식생블록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초본식물의 이탈없는 성장으로 도모하므로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면서도 각종 동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1)상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법면(1)의 녹화를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
    "ㄱ"자형의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2)과 일자형블록(23)이 사각형태로 연결되는 외곽프레임(20)과,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3)이 격자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30)과, 상기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2) 및 십자형블록(31)은 "Η"형 단면을 가지는 몸체(210)(220)(310)의 중앙에 앵커공(213)(223)(313)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210)(220)(31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21a)(22a)(31a)이 관통된 연결홈(211)(221)(311)이 내부로 단지게 형성되고, 몸체(210)(220)(310)의 각 절곡부 측면에는 나사공(21b)(22b)(31b)이 관통된 받침대(212)(222)(31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보강살(214)(224)(31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일자형블록(23)은 "Η"형 단면을 가지는 몸체(230)의 양단에 체결공(23a)이 관통된 연결단부(231)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고, 몸체(230)의 양측면에는 나사공(23b)이 관통된 받침대(232)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보강살(23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식생블록(40)은 나사공(41a)이 관통된 테두리부(41)와 앵커공(42a)이관통된 십자형 보강살(42)의 내부에 식생망(40b)에 의한 취부공간(40c)을 구비하는 격자형살(40a)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격자형살(40a)의 내부로 끼움되는 격자형돌기(50a)가 식생망(50b)의 하측에 형성된 식생커버(5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보호블록.
  2.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1)상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법면(1)의 녹화를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
    "ㄱ"자형의 모서리블록(25)과 마감블록(27) 및 일자형의 외곽블록(26)이 사각형태로 연결되는 외곽프레임(20)과, "Χ"자형의 A,B형 커버블록(33)(34)이 육각별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프레임(30)과, 상기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고정되는 원형의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모서리블록(25)은 "Η"형 단면을 가지는 몸체(250)의 중앙부에 앵커공(254)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25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25a)이 관통된 연결홈(251)과 연결단부(252)가 형성되고,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250)의 절곡부 측면에는 나사공(25b)이 관통된 사분원 받침대(25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보강살(25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외곽블록(26)은 "Η"형 단면을 가지는 몸체(260)의 양단에 체결공(26a)이 관통된 연결홈(261)과 연결단부(262)가 형성되고, 볼록하게 융기된 몸체(260)의 일측면에는 나사공(26b)에 의하여 상기 A,B형 커버블록(33)(34)이 연결되는 연결받침대(26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보강살(26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A형 커버블록(33)은 "Η"형 단면을 가지는 몸체(330)에 한 쌍의 앵커공(334)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330)의 각 단부측에는 체결공(33a)이 관통된 한 쌍의 연결홈(331)과 연결단부(332)가 형성되고,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330)의 측면에는 나사공(33b)이 관통된 한 쌍의 반원형 받침대(333)와 사분원 받침대(333')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하측에 보강살(335)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의 B형 커버블록(34)는 A형 커버블록(33)에서 연결단부(332)만이 잘려나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의 마감블록(27)은 "Η"형 단면을 가지는 몸체(270)의 각 단부측에 상기 모서리블록(25)과 A형 커버블록(33)의 단부측에 연결되도록 연결홈(271)과 연결단부(272)가 형성되고, 원호상으로 만곡된 몸체(270)의 측면에는 나사공(27b)이 관통된 사분원 받침대(273)와 보조받침대(273')가 각각 단지게 연장되고, 사분원 받침대(273)의 하측에는 보강살(27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식생블록(40)은 나사공(41a)이 관통된 테두리부(41)와 앵커공(42a)이 관통된 십자형 보강살(42)의 내부에 식생망(40b)에 의한 취부공간(40c)을 구비하는 격자형살(40a)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격자형살(40a)의 내부로 끼움되는 격자형돌기(50a)가 식생망(50b)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부채꼴 형태의 식생커버(5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보호블록.
KR10-2002-0002506A 2002-01-16 2002-01-16 법면보호블록 KR10044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06A KR100443037B1 (ko) 2002-01-16 2002-01-16 법면보호블록
CNU022955542U CN2599071Y (zh) 2002-01-16 2002-12-27 倾斜面保护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506A KR100443037B1 (ko) 2002-01-16 2002-01-16 법면보호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373U Division KR200271898Y1 (ko) 2002-01-16 2002-01-16 법면보호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84A true KR20030062084A (ko) 2003-07-23
KR100443037B1 KR100443037B1 (ko) 2004-08-04

Family

ID=3221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506A KR100443037B1 (ko) 2002-01-16 2002-01-16 법면보호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43037B1 (ko)
CN (1) CN2599071Y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34B1 (ko) * 2006-04-06 2006-12-19 재 술 나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100938571B1 (ko) * 2009-03-10 2010-01-26 (주)한토건 Η파일과 식생부를 이용한 사면안정 및 녹화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101718785B1 (ko) * 2016-10-12 2017-03-24 주식회사 보람 친환경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 축조물
CN109440789A (zh) * 2018-11-29 2019-03-08 李泽朋 高强度钢绞线螺旋网片结构的边坡治理防护装置
KR102142024B1 (ko) * 2019-08-19 2020-08-06 부산항만공사 항만용 블록 및 항만용 블록 시공 방법
CN115152478A (zh) * 2022-07-06 2022-10-11 湖南旭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修复用安装稳固便于拼装的植物种植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66B1 (ko) * 2008-08-13 2013-04-12 (주)엘지하우시스 입면 분할 시스템 창호
CN102286956B (zh) * 2011-07-08 2013-07-24 浙江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 一种柔性防冲刷护面系统及其实施方法
CN105507333B (zh) * 2016-01-01 2017-06-30 三峡大学 一种实现坡面加固及生态恢复功能的植生砖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0509A (en) * 1975-12-09 1977-06-11 Tenryu Giken Kk Method of crib work for face of slope using combined caisson
US4051399A (en) * 1976-06-17 1977-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including gas baffles
JPS57197327A (en) * 1981-05-27 1982-12-03 Tenryu Kogyo Kk Sheathing work and framework therefore
KR870001863B1 (ko) * 1985-06-07 1987-10-17 이근희 비탈면 보호용 조경블록
JPS62233337A (ja) * 1986-03-31 1987-10-13 Taiyo Kogyo Kk 法面の保護構造
JPH0681146B2 (ja) * 1987-04-22 1994-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タバス回路
KR920001776Y1 (ko) * 1989-10-13 1992-03-16 양창호 핀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KR920001116Y1 (ko) * 1989-10-21 1992-02-10 이철우 도로경계석
KR920007982Y1 (ko) * 1990-04-11 1992-10-22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레진콘크리트재 법면 보호용 원형블럭
KR100329202B1 (ko) * 1999-07-09 2002-05-16 민병창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200163563Y1 (ko) * 1999-07-09 2000-02-15 민병창 경사면의속성녹화용블럭
KR100380143B1 (ko) * 2000-07-21 2003-04-21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절취사면의 분할 녹화공법 및 그 장치
KR100423257B1 (ko) * 2001-11-12 2004-03-24 윤성호 법면보호블록
KR200267606Y1 (ko) * 2001-11-30 2002-03-09 윤성호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433496B1 (ko) * 2001-11-30 2004-06-07 윤성호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34B1 (ko) * 2006-04-06 2006-12-19 재 술 나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100938571B1 (ko) * 2009-03-10 2010-01-26 (주)한토건 Η파일과 식생부를 이용한 사면안정 및 녹화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101718785B1 (ko) * 2016-10-12 2017-03-24 주식회사 보람 친환경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 축조물
CN109440789A (zh) * 2018-11-29 2019-03-08 李泽朋 高强度钢绞线螺旋网片结构的边坡治理防护装置
KR102142024B1 (ko) * 2019-08-19 2020-08-06 부산항만공사 항만용 블록 및 항만용 블록 시공 방법
CN115152478A (zh) * 2022-07-06 2022-10-11 湖南旭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修复用安装稳固便于拼装的植物种植框
CN115152478B (zh) * 2022-07-06 2023-09-29 湖南旭晟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修复用安装稳固便于拼装的植物种植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037B1 (ko) 2004-08-04
CN2599071Y (zh)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CN109811776B (zh) 一种装配式格构框架梁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20050096882A (ko) 보강토 옹벽용 친환경 식생블록
KR20100027677A (ko) 법면보호블록
KR100684542B1 (ko)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0271898Y1 (ko) 법면보호블록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JPH09242096A (ja) 補強土擁壁工法
KR100542888B1 (ko)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267606Y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594399B1 (ko) 건축물 비탈면 보호 구조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JPH05295714A (ja) 植生ブロック
KR200304525Y1 (ko)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를 위한 밴드 접합식 조경네트론 설치구조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