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776Y1 - 핀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핀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776Y1 KR920001776Y1 KR2019890014895U KR890014895U KR920001776Y1 KR 920001776 Y1 KR920001776 Y1 KR 920001776Y1 KR 2019890014895 U KR2019890014895 U KR 2019890014895U KR 890014895 U KR890014895 U KR 890014895U KR 920001776 Y1 KR920001776 Y1 KR 9200017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ratchet wheel
- drive shaft
- drive
- claw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권양기의 부분 절개 평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 3 도는 부채꼴기어의 동력 걸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방향에서 본 그림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핸들축 4 : 핸들레버
5 : 베벨기어 5,6' : 부채꼴기어
6a,6a': 산협톱니 6a,6b': 클로오
7 : 구동축 10 : (양면톱니형)래칫휠
20 : 레버 21 : 축
21a: 아암 22 : 링크
23 : 해제간 23c: 정상면
24 : 브레이크밴드 25 : 브레이크드럼
본 고안은 핀 잭(PIN JACK)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에 있어서 그 구동장치와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래칫 휠이 설치된 구동축과 클로오가 달린 핸들 레버로 이뤄지는 통상의 래칫핸들식 구동 장치에 있어서 단위 작동 부하의 감소로 강력하고 손쉽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핸들의 1회 왕복 일량의 증대로서 수문의 권양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운전성도 크게 향상시킬수 있게 한 새로운 구조의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핀 잭을 이용한 종래의 수문용 수동식 권양기에 있어서는 구동축상에 단일 래칫휠이 설치되어 있고 이 래칫휠에 회전력을 걸어 권양에 필요한 구동력을 얻게 조작하는 핸들 레버에는 상기 래칫 휠과 동수의 클로오만이 설치된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같이 래칫 휠과 클로오가 각각 단일 갯수로 형성되다보니 핸들 레버가 한방향으로 각 운동할때에 한해서 구동력이 발생할 밖에 없다.
따라서, 핸들레버를 본래의 위치로 되돌릴때에는 이 핸들 레버의 일량은 같지만 구동력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힘의 손실이 많아 힘겹고 권양에 소요되는 작업시간도 많을뿐아니라 운전 피로감은 상대적으로 더 했다.
본 고안은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핸들레버가 어느 방향으로 각 운동하든지간에 힘이 낭비되지 않고 모두 구동력을 일으키는데 유효하게 쓰이게 구동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기존의 수동식 수문용 권양기에 적용하면 핸들레버가 왕복 운동할 때 구동축은 이에 비례하여 회전이 종전에 비해배중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상기게 적시한 종래의 단점을 모두 개선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 도면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깥끝에 핸들레버(4)가 부착된 핸들축(3)은 프레임(1)상에서 상향 돌출된 브래킷(9)상단에 베어링(2)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축(3)의 안쪽끝에는 베벨기어(5)가 고정 축 끼움되어 있다.
구동기어(8)가 일측단에 고정 축 끼움되어 있는 구동축(7)은 상기 핸들축(3)에 대하여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동시에 그 중심선이 핸들축(3)의 축중심선과 같은 선상에 놓이게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7)에 있어서, 핸들축(3)의 중심선과 만나는 위치에는 래칫휠(10)이 고정축끼움되어 있고, 이 래칫휠(10)을 중심으로 그 양쪽에는 클로오(6b),(6b')가 부착되고 상기 베벨기어(5)에 맞물리는 산형톱니(6a),(6a')가 형성된 부채꼴기어(5),(6')가 헐겁게 축끼움되어 있다.
래칫휠(10)은 양쪽 부채꼴기어(6),(6')의 클로오(6b),(6b')가 모두 걸릴수 있도록 넓은 톱니를 갖거나 또는 양면 톱니형으로써 톱니 사이에는 홈(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10a)사이에는 이후 설명하는 제동간(23)이 끼어들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부채꼴 기어(6)(6')는 동형이고 그 클로오(6b)(6b')의 걸림 방향도 같다.
그리고, 각 클로오(6b)(6b')는 그 끝이 언제나 래칫휠(10)의 톱니를 향해 쏠려 있게 하기 위하여 그 피봇축(6c)(6c')에 평행하게 이것과 같은 방향으로 부착한 핀(11)(11')에 비틀림 스프링(12)(12')을 끼우며 이 스프링(12)(12')의 한쪽끝은 핀(11)(11')에 고정하고, 다른 끝을 클로오(6b)(6b')의 외면에 걸쳐둔다.
제 3 도에 있어서, 핸들레버(4)를 좌선회시키면 좌측 부채꼴 기어(6a)는 화살표 d1방향으로 돌고, 우측 부채꼴 기어(6a')는 화살표 d2방향으로 회전한다.
화살표 d1과 d2는 서로 반대방향이다.
이때에는 좌측 부채꼴 기어(6a)는 구동축(7)상에서 클로오(6b)가 래칫휠(10)의 톱니에 걸리지 않는 공회전하고 우측 부채꼴 기어(6')는 클로오(6b')가 래칫휠(10)의 톱니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우측 부채꼴 기어(6')를 통하여 핸들레버(4)의 운동력이 구동축(7)에 전달되고 이것은 다시 구동기어(8)→제 1 종동기어(29)→제 1 회전축(13)→소기어(14)→제 2 종동기어(15)→제 2 회전축(16)으로 전달되며, 궁극적으로 제 3 회전축(17)(17')과 스프로켓(18)(18')에 이르러 마침내 랙 바(RACK BAR : 19)를 돌리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핸들레버(4)를 우측으로 조작하면 좌측 부채꼴 기어(6)는 화살표 d3방향으로 돌고 우측 부채꼴 기어(6')는 화살표 d4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때는 좌측 부채꼴기어(6)의 클로오(6b)가 래칫휠(10)의 톱니에 걸리므로 이것에 의해 래칫휠(10)은 앞서 설명한 바와같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우측 부채꼴 기어(6')는 구동축(7)상에서 공회전하므로 그 클로오(6b')에 의한 걸림 및 구동력은 발생하지 않으며, 동력전달과정 또한 앞에 말한 바와 같은 전달과정을 거쳐 랙바(19)(19')에 이르는 것이다.
이렇듯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들레버를 좌 또는 우측 어느 쪽으로 조작하든지간에 구동축이 회전하여 랙 바를 위한 구동력이 발생하므로 핸들레버에 대하여 작용되는 힘의 손실이 전혀 없다.
따라서, 결국 핸들레버의 1왕복 운동 모두가 구동력 발생에 유효하게 활용되므로 서상에서 밝혔듯이 단위작동 부하의 감소에 의해 강력하고 손쉽게 권양기 구동력을 얻을수 있고, 또한 수문을 올리는데 드는 시간이 종래에 비해 절반으로 단축되는 것은 물론 운전성도 한결 나아진다.
다음으로 클로오의 걸림해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 및 제 4 도에 있어서, 레버(20)는 프레임(1)상에 상기 구동축(7)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한 축(21)의 일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 축(21)상에는 아암(21a)이 고정축 끼움되어 있다.
그리고모양을 한 해제간(23)의 일단(23a)은 프레임(1)상에서 설치된 브래킷(24)에 피봇 지지되고 타단(23b)은 상기 아암(21a)에 링크(2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해제간(23)의 정상면(23c)은 그 일부가 직선 평활면을 이뤄져 있으며, 이 정상면(23c)는 평상시 클로오(6b)(6b')에 접촉하지 않는다.
제 2 도는 레버(20)가 작동하기 전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레버(20)를 좌측으로 돌리면 아암(21a)이 링크(22)를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해제간(23)은 그 타단(23b)쪽이 링크(22)에 의해 치밀려 올라가므로 해제간(23)전체는 일단(23a)의 피봇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좌선회 한다.
이때 그 정상면(23c)이 래칫휠(10)의 톱니에 걸려 있던 양 클로오(6b)(6b')의 선단에 접촉 밀어 올려주며, 이로써 클로오(6b)(6b')의 선단은 래칫휠(10)의 톱니로부터 벗어나 구동축(7)을 자유롭게 한다. 즉, 클로오(6b)(6b')에 의한 제동 상태가 해제 된다는 것이다.
해제간(23)에 의한 상향 걸림 압력을 받기 쉽게 하기 위해서 클로오(6b)(6b')는 래칫휠(10)의 톱니 보다 넓게 형성하여 그 내측면이 톱니 사이의 홈(10a)쪽을 향해 상당부분 노출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동 상태가 해제되면 올려진 수문은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가 있다.
클로오(6b)(6b')의 걸림을 인위적으로 풀고서 수문을 서서히 내릴 경우에는 브레이크 드럼(25)에 의한 수시임의적 제동으로써 그 하강 속도를 조정하며, 수문이 완전히 내려진 뒤에도 상기 브레이크드럼(25)의 수동조작에 의한 제동으로써 수문의 폐쇄 상태를 현상 고정할 수가 있다.
이 브레이크드럼(25)의 외면쪽에는 브레이크 밴드(24)가 드리워져 있으며, 이 브레이크밴드(30)의 일단은 프레임(1)상에 피봇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7)의 후방에 이것과는 별도로 평행하게 설치한 제동축(2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동축(26c)의 외측단에는 레버(27)가 고정축 끼움되어 있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센트리퓨갈 브레이크 시스템을 응용한 것으로써, 클로오(6b)(6b')에 의한 걸림해제에 따라 역회전이 가능한 구동축(7)에 대하여 그 역회전 속도, 즉, 수문의 하강 속도를 자의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27)가 제동 방향으로 쏠리도록 인장 스프링(28)을 설치해 두면 레버(27)에서 손을 떼는 것만으로 간단히 제동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편리하다. 이러한 센트리퓨갈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하므로서 대기중의 습도 변화에 따라 작동에 지장이 많았던 종래의 페달 브레이크 방식에 비해 제동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 조작성도 한결 좋아진다.
상기, 구동축(7)의 외측단에 래칫휠 핸들을 끼워서 수문 폐쇄시 비상 상태가 돌발할 경우에 이에 대비할 수도 있다.
더하여 구동축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핸들레버(4)를 왕복 조작할 때 그 작동 회수의 감축이 실현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결국 각 동력 전달 계통의 기어의 감소도 비율과도 연관되므로 기어의 치수 감축이 가능하며, 따라서, 권양기 전체의 부피 감소에도 기여하는 등의 부수적 효과도 거둬지는 것이다.
Claims (1)
- 프레임(1)상에 구동기어(8)가 딸린 구동축(7)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으로써 랙바(19)(19')를 회전시키도록 된 핀 잭 방직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7)에 치형의 래칫휠(10)을 고정축 끼움하는 동시에 이 래칫 휠(10)의 양측에는 걸림 방향 쏠리게 장착한 클로오(6b)(6b')와 일부에 산형 톱니(6a)(6a')를 가진 부채꼴기어(6)(6')를 마주보게 헐거운 축 끼움하며, 상기 래칫휠(10)의 촉 중심선상의 전방에는 선단에 상기 부채꼴기어(6)(6')에 동시에 맞물리는 베벨기어(5)가 고정축 끼움되고, 후단에는 핸들레버(4)가 고정 부착된 핸들축(3)을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7)에 평행하게 설치한 축(21)에는 축지지부에 거의 직각 방향으로 짧은 아암(21a)을 고정축끼움하고 또한 그 외측단에는 레버(20)를 설치하며,형 해제간(23)은 래칫 휠(10)의 양측 톱니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단(23a)을 브래킷(24)에 피봇설치하며, 타단(23b)은 링크(22)를 통해 상기축(21)상의 아암(20a)에 연결하며, 그 정상면(23c)이 클로오(6b)(6b')에 대한 걸림해제 수단으로 병용하도록된 팬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4895U KR920001776Y1 (ko) | 1989-10-13 | 1989-10-13 | 핀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4895U KR920001776Y1 (ko) | 1989-10-13 | 1989-10-13 | 핀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7307U KR910007307U (ko) | 1991-05-29 |
KR920001776Y1 true KR920001776Y1 (ko) | 1992-03-16 |
Family
ID=1929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4895U KR920001776Y1 (ko) | 1989-10-13 | 1989-10-13 | 핀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177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3037B1 (ko) * | 2002-01-16 | 2004-08-04 | 윤성호 | 법면보호블록 |
-
1989
- 1989-10-13 KR KR2019890014895U patent/KR9200017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7307U (ko) | 1991-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97181A (en) | Wind-drag type exercise rowing unit | |
NO20024083D0 (no) | Löfteanordning | |
DE2217707B2 (de) | Bremseinrichtung zum Abbremsen der Sägekette an einer tragbaren Motorketten- | |
JPH01162699A (ja) | 荷重を昇降する装置 | |
DE29604779U1 (de) | Aufzugs-Notfallvorrichtung | |
DE3639650A1 (de) | Motorkettensaege | |
KR920001776Y1 (ko) | 핀 잭 방식을 이용한 수문용 권양기의 구동장치 | |
US3843095A (en) | Hydraulic crowd cable take-up system | |
US3984083A (en) | Secondary overspeed brake for cable climber | |
EP1299302B1 (de) |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notbetrieb einer getrieblosen antriebsmaschine eines aufzuges | |
CN215720403U (zh) | 一种电磁刹车的手动释放装置及电动草坪机 | |
JPS58132475A (ja) | 歩行装置 | |
CN1157095A (zh) | 渔具卷线轮的防卡住机构 | |
KR970009261B1 (ko) | 두 매스트 플랫포옴(mast platform)내의 배열 | |
EP0104707B1 (en) | Multiple speed sprocket and activating device | |
KR101982222B1 (ko) | 수문용 케이블 꼬임 방지장치 | |
JPS6348740B2 (ko) | ||
CH372557A (fr) | Appareil ascenseur-descenseur individuel | |
DE468183C (de) | Vorrichtung zum selbsttaetigen Ab- und Einschalten des Antriebs fuer staendig aufgezogene Triebwerke | |
RU2045469C1 (ru) | Ручная лебедка | |
DE674556C (de) | Mit einem Elektromotor vereinigtes Einzelantriebsriemenvorgelege fuer Werkzeugmaschinen, insbesondere Drehbaenke | |
US1702777A (en) | Brake-actuating mechanism | |
US1773066A (en) | Automatic dump for steam shovels | |
KR900001468Y1 (ko) | 덤프트럭의 덤핑와이어 조작레버 | |
EP1460312A3 (de) |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Ausgangsglie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41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