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690A -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690A
KR20030054690A KR1020010085081A KR20010085081A KR20030054690A KR 20030054690 A KR20030054690 A KR 20030054690A KR 1020010085081 A KR1020010085081 A KR 1020010085081A KR 20010085081 A KR20010085081 A KR 20010085081A KR 20030054690 A KR20030054690 A KR 2003005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pass
deviation
width devia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969B1 (ko
Inventor
김영헌
김대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96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22Lateral spread control; Width control, e.g. by edg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12Rolling load or rolling pressure; rol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1/00Mill stand parameters
    • B21B2271/02Roll gap, screw-down position, draf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있어서, 압연롤을 교체한 경우, 압연소재 없이 압연롤을 접촉시키고, 압연롤 하부 실린더에 유압을 가한 후 압연하중(F) 및 유압실린더 위치(SO)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연기 강성계수(M=F/SO)를 계산하는 제1단계(S110,S120); 폭내기 패스인 경우, 각 패스 압연 이전에, 상기 계산한 강성계수(M)를 비롯하여, 패스 스케줄 메인 프로그램(VOB)에서 계산된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두께 및 두께차, 압연하중 및 압연하중 편차, 그리고 고르기 아연전의 소재 전체길이 및 스카핑부의 소재길이를 이용하여 폭편차 발생량을 예측 계산하는 제2단계(S130),S140); 상기 예측한 폭편차 발생량을 적용하여 압연을 실시하는 제3단계(S150); 마지막 패스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 패스가 아니면, 각 패스별로 압연완료후, 상기 계산한 좌우 압연기 강성차, 실적 좌우 압연하중 편차 및 실적 좌우 롤갭차를 이용하여 좌우 하중 편차 실적을 계산하고, 좌우 폭편차 발생량 실적을 계산한후, 스카핑부분의 롤갭 보정값 실적을 계산한후 제2 단계로 진행하고, 마지막 패스일 경우에는 종료하는 제4단계(S160,S170)를 구비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METHOD FOR ESTIMATING AND PREVENTING WIDTH DEVIATION OF STRIP IN STRIP ROLL PROCESS}
본 발명은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폭내기 시컨스의 압연초기 패스부터 마지막 압연완료 패스까지 각 패스별로 발생가능한 폭편차량을, 강성계수(M),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두께 및 두께차, 압연하중 및 압연하중 편차, 그리고 고르기 아연전의 소재 전체길이 및 스카핑부의 소재길이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길이방향의 두께차에 의한 폭편차가 발생하기 이전에 폭편차를 방지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 패스 완료시에는 압연 실적치를 수집하여 예측 폭편차를 보정하도록 하는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은 일반 후강판 공장 압연라인의 개략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일반 후강판 공장 압연라인은 가열로, 압연기, 열간교정기 및 냉각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후강판 압연은 소재의 형상, 폭비, 강종에 따라서 압연방법을 결정하여 작업을 실시하는데 압연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는 RS1(압연방법1 : Rolling Schematic1)로 작업을 하게 되며, 이 경우 소재 표면의 결함에 의하여 소재 폭방향으로 부분적 스카핑(SCARFING)이 실시되었을 경우 스카핑(SCARFING) 정도에 따라서 폭내기 압연 실시후의 폭편차가 통상 20~100mm 정도 발생하여 폭부족을 유발시키게 된다. 여기서 스카핑(SCARFING)은 선 공정에서 소재의 표면에 발생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두께 방향으로 녹여내는 것이다.
도 2는 기존 사행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롤갭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여기서, 측정된 사행량을 근거로 하고, 도 2에서 측정된 좌우 압연하중 편차, 좌우 롤갭(RG:압연기 상하작업롤 사이의 간격)편차, 그리고 좌우 압연기 강성차를 이용하여, 도 2의 프로세스 컴퓨터에서 사행량을 최소로 만들수 있는 좌우 롤갭차를 계산하여 다음 패스 압연시에 적용하는 제어방법이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판의 길이방향 목표량과 실측량과의 오차를 이용하여 롤갭 제어장치에서 피드백제어한다.
도 4는 압연기 좌우 강성을 구하기 위한 하중검출장치, 롤의 배치, 유압장치의 배치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압연기 강성의 계산예이다. 도 6은 종래 좌우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내기 압연방법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을 90° 회전시켜 폭내기 압연기에서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며, 이러한 폭내기 압연을 수행한후 후강판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8은 제1 RS(Rolling Schematic)의 압연방법의 설명도로서, 일반 일반 후판강 압연과정은 고르기 압연, 폭내기 압연, 길이압연을 순서적으로 실시하는데,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폭내기 후의 후판강 폭에 크다란 편차가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 좌우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자동 폭 형상 제어 압연방법이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작업자의 수동 제어를 통하여 폭부족을 유발시키지않도록 폭내기 압연 작업을 실시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작업자는 폭부족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카핑(SCARFING)되어진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수동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였으나 작업자의 경험과 예측을 바탕으로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기 때문에 수동 폭내기 압연의 기준이 되는 스카핑(SCARFING)부분의 폭도 목표폭과 많은 편차를 보이고, 둘째, 스카핑(SCARFING)되어진 부분을 기준으로 폭내기 압연을 하기 때문에 스카핑(SCARFING)되지 않은 부분은 과다 폭내기를 하게되고, 이후 길이내기압연 공정후의 최종 소재 길이부족 유발 및 그에 따른 후공정 처리지연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폭내기 시컨스의 압연초기 패스부터 마지막 압연완료 패스까지 각 패스별로 발생가능한 폭편차량을 강성계수(M),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두께 및 두께차,압연하중 및 압연하중 편차, 그리고 고르기 아연전의 소재 전체길이 및 스카핑부의 소재길이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길이방향의 두께차에 의한 폭편차가 발생하기 이전에 폭편차를 방지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 패스 완료시에는 압연 실적치를 수집하여 예측 폭편차를 보정하도록 하는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 후강판 공장 압연라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기존 사행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롤갭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압연기 좌우 강성을 구하기 위한 하중검출장치, 롤의 배치, 유압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5는 압연기 강성의 계산예이다.
도 6은 종래 좌우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내기 압연방법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좌우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내기 압연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RS(Rolling Schematic)의 압연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기존의 폭내기 압연 전후의 소재 형상 비교도이다.
도 10은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형상 압연 제어방법의 전체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도 10의 강성치 계산과정(WDMC)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10의 좌우 폭편차 발생량 예측과정(PREWID)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도 10의 좌우 폭편차 발생량 실측과정(POSTWID)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는 압연기 전,후면과 좌,우측을 구별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패스(pass)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시컨스(Sequence)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압연하중 검출장치3 : 롤갭 조정장치
4 : 지지롤(Back Up Roll)5 : 작업롤(Work Roll)
6 : 롤 초크(Roll Chock)7 : 유압 실린더(Hydraulic Cylinder)
8 : 압연기 하우징(Mill Housing)9 : 압연기 강성계수(Mill Constant)
10: 압연기 좌측면(Drive Side)11: 압연기 우측면(Work Side)
12: 압연기 전면(Entry Side)13: 압연기 후면(Delivery Side)
WDMC : 강성계수 계산 프로그램
PREWID : 좌우 폭편차 발생량 예측 계산 프로그램
POSTWID : 좌우 폭편차 발생량 실적 계산 프로그램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은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있어서, 압연롤을 교체한 경우, 압연소재 없이 압연롤을 접촉시키고, 압연롤 하부 실린더에 유압을 가한 후 압연하중 및 유압실린더 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연기 강성계수를 계산하는 제1단계; 폭내기 패스인 경우, 각 패스 압연 이전에, 상기 계산한 강성계수를 비롯하여, 패스 스케줄 메인 프로그램에서 계산된 정상부의 예측 압연하중과 주어지는 스카핑부분의 압연하중을 이용하여 폭편차 발생량을 예측 계산하는 제2단계; 상기 예측한 폭편차 발생량을 적용하여 압연을 실시하는 제3단계; 마지막 패스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 패스가 아니면, 각 패스별로 압연완료후, 상기 계산한 좌우 압연기 강성차, 실적 좌우 압연하중 편차 및 실적 좌우 롤갭차를 이용하여 좌우 하중 편차 실적을 계산하고, 좌우 폭편차 발생량 실적을 계산한후, 스카핑부분의 롤갭 보정값 실적을 계산한후 제2 단계로 진행하고, 마지막 패스일 경우에는 종료하는 제4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길이내기 시컨스의 압연초기 패스부터 마지막 압연완료 패스까지 각 패스별로 발생가능한 폭편차 발생량을 예측하여, 길이방향의 두께차에 의한 폭편차가 발생하기 이전에 폭편차 발생을 방지하도록 제어하고, 각 패스 완료시에는 압연 실적치를 수집하여 예측 폭편차 발생량을 보정하도록 함으로서, 폭편차 발생이 없는 안정적인 압연을 실시하여 강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강판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플로우챠트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은 강성치를 구하는 제1단계(S110,S120), 폭편차량을 예측하는 제2단계(S130,S140), 압연을 실시하는 제3단계(S150), 반복 또는 종료를 판단하여 종료되기 전에 각 패스별 폭편차량 실적을 계산한후, 상기 상기한 제2단계에서 제3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4단계(S260,S170)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각 단계는 검출된 두계차, 하중차 및 실린더 위치차를 입력받아 압연을제어하는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S110,S120)에서는 압연롤을 교체한 경우, 압연소재 없이 압연롤을 접촉시키고, 압연롤 하부 실린더에 유압을 가한 후 압연하중(F) 및 유압실린더 위치(SO)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연기 강성계수(M=F/SO)를 계산한다.
이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압연롤 교체직후, 압연기 좌우 강성차를 계산하는데, 이 강성치는 하기 제2단계 및 제4단계에서 사용된다. 압연롤 교체직후, 도 4에서와 같이 압연롤을 서로 접촉시킨(키스 롤 이라 함)후(S121), 압연기 하부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가한다(S122). 이때 측정된 좌우 압연 하중차, 좌우 유압 실린더 위치차를 이용하여 압연기 좌우 강성차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S123). 만약 압연롤 교체가 없을 경우에는 이전의 좌우 강성을 적용한다(S124).
여기서, S0는 유압 실린더 위치(mm), h1는 출측두께(mm), F는 압연하중(Ton), M은 압연기의 강성계수(Ton/mm), a는 압연소재의 소성 계수(Ton/mm)이다.
상기의 수학식 1에서, 압연롤 교체직후의 압연소재 없이 압연롤을 서로 접촉시킨 경우에는 압연소재 출측두께(h1)와 압연소재 소성계수(α)는 모두 "0"이 되므로, 압연기 강성계수(M)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좌우 압연기 강성을 계산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하중과 유압 실린더 위치가 곡선인 구간은 제외하고, 직선구간만 선택하여 최소자승법으로 기울기를 각각 구하고, 이 기울기가 압연기 강성이 된다.
그 다음, 제2단계(S130,S140)에서는 폭내기 패스인 경우, 각 패스 압연 이전에, 상기 계산한 강성계수(M)를 비롯하여, 패스 스케줄 메인 프로그램(VOB)에서 계산된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두께 및 두께차, 압연하중 및 압연하중 편차, 그리고 고르기 아연전의 소재 전체길이 및 스카핑부의 소재길이를 이용하여 폭편차 발생량을 예측 계산하는데, 이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단계(S140)의 제1 과정에서 i 패스의 압연하중 편차량(ΔPi)을 구하고, 압연모델의 패스 스케쥴 모델(VOB)에서 i 패스의 정상부분의 압연하중이 계산되어지며, 이 정상부의 압연하중(Pi)을 기본으로 하여 스카핑(Scarfing) 부분의 압연하중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여 압연하중량을 예측 계산한다.
먼저, 스카핑(Scarfing)부분과 정상부분과의 압연하중량을 예측 계산하는데, 이 예측 게산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한다.
여기서, ΔH 는 스카핑(Scarfing)부분과 정상부분의 두께차, Hi는 정상부분의 두께(정상부>Scarfing부)이며, R은 열간변형저항, Wi는 입측폭, 그리고, α는 롤(Roll) 영향계수(1.0~1.3)이다.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면, i 패스의 압연하중 편차량(ΔPi)은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구한다. 여기서, 고르기 패스수(i pass수)를 2 패스(pass)라고 가정한다.
이때, i 패스의 정상부분의 압연하중은 압연모델의 패스 스케쥴 모델(VOB)에서 계산되어지며, 이 정상부의 압연하중(Pi)을 기본으로 하여 스카핑(Scarfing) 부분의 압연하중은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구한다.
그 다음, 상기 제2 단계(S140)의 제2 과정에서 i 패스후의 정상부분의 압연길이(Li)를 구하는데, 이때, 고르기 i 패스전후의 폭의 변화량은 미미하므로 같다고 가정하고, 따라서, 일정체적의 법칙을 적용하여 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6과 같고, 이를 이용하여 정상부분의 압연길이(Li)는 하기 수학식 7에 의해 각각 구한다.
여기서, L은 고르기압연전의 소재 전체길이, a는 스카핑(Scarfing)부분의 소재길이, ΔH는 정상부와 스카핑(Scarfing)부와의 두께차이량, 그리고, Hi는 정상부의 출측두께이다.
또한, i 패스후의 스카핑(Scarfing)부분의 압연길이(ai)는 하기 수학식 8에 의해 각각 구한다. 이때, 고르기 i 패스전후의 폭은 정상부분과 마찬가지로 변화량은 미미하므로 같다고 가정하며, 따라서, 일정체적의 법칙를 적용하여 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8과 같고, 이를 이용하여 스카핑부분의 압연길이(ai)는 하기 수학식 9에 의해 구한다.
상기 수학식 7과 수학식 9에 의한 압연길이를 사용하여 정상부분과 스카핑부분에 서로 다른 압연하중을 적용하여 압연함으로서 고르기 압연공정의 최종 패스후에는 균일한 두께의 소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계(S140)의 제2 과정에서 스카핑(SCARFING)부분의 롤갭 보정값(ΔSi)을 예측계산 하는데, 여기서, 스카핑부분의 롤갭 보정값(ΔSi) 에측 계산은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압연하중(ΔPi)차와 상기 압연기 좌우 강성차를 구하는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ΔS I는 스카핑부분의 롤갭 보정값(i패스), ΔPi는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압연하중 편차(i패스), Hi는 정상부의 출측두께(i패스)이고, Pi는 정상부의 압연하중(i패스)이다.
참고로, 도 14는 압연기 전,후면과 좌,우측을 구별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14를 참조하면, 드라이버 사이드(Drive Side)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순히 압연기의 좌우를 구별하기 위한 명칭으로 압연롤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위치한 쪽(10)을 가리킨다. 워크 사이드(Work Side)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순히 압연기의 좌우를 구별하기 위한 명칭으로 압연롤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위치한 쪽(10)의 반대쪽(11)을 가리킨다. 압연기 전면은 도 14의 압연기를 기준으로 가열로가 있는 쪽의 롤러 테이블(12)이고, 압연기 후면은 도 14의 압연기를 기준으로 교정기가 있는 쪽의 롤러 테이블(13)이다. 그리고, 패스(pass)는 도 14 및 15의 압연소재가 압연전의 #1 상태에서부터 압연중인 #2 상태를 거쳐 압연완료인 #3 까지의 과정을 1 패스라고 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시컨스(Sequence)는 후강판 압연은 #1 고르기 압연, #2 폭내기 압연, #3 길이내기 압연의 각 단계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압연소재의 회전(Turning)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압연단계를 시컨스라고 한다.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후판강의 압연고정은 압연고르기 시컨스, 폭내기 시컨스 및 길이내기 시컨스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은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판강의 폭내기 시컨스에 관련된다.
그 다음, 제3단계에서는 상기 예측한 폭편차 발생량을 적용하여 압연을 실시하는데, 이는 압연 제어량, 즉 압연롤의 유압실린더의 제어신호에 상기 예측된 폭편차 발생량을 적용하여 압연롤의 압하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제 압연제어 과정은 종래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4단계(160,170)에서는 폭내기 시컨스에서, 마지막 패스(LP: last pass)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 패스가 아니면, 각 패스별로 압연완료후, 상기 계산한 좌우 압연기 강성차, 실적 좌우 압연하중 편차 및 실적 좌우 롤갭차를 이용하여 좌우 하중 편차 실적을 계산하고(S172), 좌우 폭편차 발생량 실적을 계산한후(S173), 스카핑부분의 롤갭 보정값 실적을 계산하며(S174), 이후 제2 단계로 진행하고, 마지막 패스일 경우에는 종료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을 90° 회전시켜 폭내기 압연기에서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폭내기 압연을 수행한후 후강판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폭내기 시컨스의 압연초기 패스부터 마지막 압연완료 패스까지 각 패스별로 발생가능한 폭편차량을 강성계수(M),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두께 및 두께차, 압연하중 및 압연하중 편차, 그리고 고르기 아연전의 소재 전체길이 및 스카핑부의 소재길이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길이방향의 두께차에 의한 폭편차가 발생하기 이전에 폭편차를 방지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 패스 완료시에는 압연 실적치를 수집하여 예측 폭편차를 보정하도록 함으로서, 과다한 폭편차 발생이 없는 안정적인 압연을 실시하여 강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즉, 폭방향으로 부분적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 형상 제어를 위하여 폭내기 시컨스의 초기 압연 패스부터 마지막 완료 패스까지 폭편차 발생량을 예측하여 폭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카핑(SCARFING)부분의 롤갭을 보정함으로서 폭편차 발생량을 제어하여, 소재 폭 부족이 유발되지 않는 양호한 폭 형상의 후강판을 제조하고데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에 있어서,
    압연롤을 교체한 경우, 압연소재 없이 압연롤을 접촉시키고, 압연롤 하부 실린더에 유압을 가한 후 압연하중(F) 및 유압실린더 위치(SO)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연기 강성계수(M=F/SO)를 계산하는 제1단계(S110,S120);
    폭내기 패스인 경우, 각 패스 압연 이전에, 상기 계산한 강성계수(M)를 비롯하여, 패스 스케줄 메인 프로그램(VOB)에서 계산된 정상부와 스카핑부의 두께 및 두께차, 압연하중 및 압연하중 편차, 그리고 고르기 아연전의 소재 전체길이 및 스카핑부의 소재길이를 이용하여 폭편차 발생량을 예측 계산하는 제2단계(S130),S140);
    상기 예측한 폭편차 발생량을 적용하여 압연을 실시하는 제3단계(S150); 및
    마지막 패스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 패스가 아니면, 각 패스별로 압연완료후, 상기 계산한 좌우 압연기 강성차, 실적 좌우 압연하중 편차 및 실적 좌우 롤갭차를 이용하여 좌우 하중 편차 실적을 계산하고, 좌우 폭편차 발생량 실적을 계산한후, 스카핑부분의 롤갭 보정값 실적을 계산한후 제2 단계로 진행하고, 마지막 패스일 경우에는 종료하는 제4단계(S160,S17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140)는
    i 패스의 압연하중 편차량(ΔPi)을 구하고, 압연모델의 패스 스케쥴 모델(VOB)에서 i 패스의 정상부분의 압연하중이 계산되어지며, 이 정상부의 압연하중(Pi)을 기본으로 하여 스카핑(Scarfing) 부분의 압연하중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여 압연하중량을 예측 계산하는 제1 과정;
    i 패스후의 스카핑부분의 압연길이(ai) 및 정상부분의 압연길이(Li)를 각각 구하는 제2 과정; 및
    스카핑(SCARFING)부분의 롤갭 보정값(ΔSi) 예측계산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강 입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 예측 및 방지방법.
KR1020010085081A 2001-12-26 2001-12-26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KR10083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081A KR100832969B1 (ko) 2001-12-26 2001-12-26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081A KR100832969B1 (ko) 2001-12-26 2001-12-26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690A true KR20030054690A (ko) 2003-07-02
KR100832969B1 KR100832969B1 (ko) 2008-05-27

Family

ID=3221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081A KR100832969B1 (ko) 2001-12-26 2001-12-26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9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0502A (zh) * 2011-12-26 2013-06-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热轧粗矫直机带钢对中控制方法
CN107159717A (zh) * 2017-06-09 2017-09-15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定宽机控制方法
KR20190117169A (ko) * 2018-04-06 2019-10-16 김순이 비닐봉투의 두께편차 제거봉대가 설치된 봉투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비닐봉투
JP7393646B2 (ja) 2020-03-02 2023-12-07 日本製鉄株式会社 被圧延材の蛇行制御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48B1 (ko) 2011-02-24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4795B2 (ja) * 1995-06-27 2002-03-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間圧延素材の反り矯正方法及びその矯正装置
KR100368491B1 (ko) * 1999-06-30 2003-01-2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형상검출 및 다이나믹 폭압연 제어방법
KR20020051653A (ko) * 2000-12-23 2002-06-29 이구택 열간압연 온라인 판 폭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0502A (zh) * 2011-12-26 2013-06-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热轧粗矫直机带钢对中控制方法
CN107159717A (zh) * 2017-06-09 2017-09-15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定宽机控制方法
CN107159717B (zh) * 2017-06-09 2019-04-12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定宽机控制方法
KR20190117169A (ko) * 2018-04-06 2019-10-16 김순이 비닐봉투의 두께편차 제거봉대가 설치된 봉투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비닐봉투
JP7393646B2 (ja) 2020-03-02 2023-12-07 日本製鉄株式会社 被圧延材の蛇行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969B1 (ko) 200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8369A (ko) 에지드롭을 저감하는 판재의 압연방법 및 압연기
JP6136743B2 (ja) 冷間タンデム圧延機における走間板厚変更方法
KR20000063033A (ko) 판 압연시의 판 형상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832969B1 (ko) 후판강 압연시의 길이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KR100832968B1 (ko) 후판강 압연시의 폭방향 두께차를 갖는 후강판의 폭편차예측 및 방지방법
KR100530334B1 (ko) 열간 압연 공정에서의 판 꼬임 검출 및 제어 방법
KR100362662B1 (ko) 열간압연강판의 폭방향으로의 형상제어방법
JP3135089B2 (ja) 圧延機におけるキャンバ、蛇行制御方法
KR101439682B1 (ko) 냉연강판 형상 제어장치 및 방법
JP5156151B2 (ja) ロールの研削方法
KR100920574B1 (ko) 박물재의 연속 냉간 압연 방법
KR100832967B1 (ko) 후강판 압연시의 사행현상 예측 및 방지방법
JPH05329520A (ja) 圧延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100314853B1 (ko)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KR100910491B1 (ko)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통한 소재의 목표형상 자동판정방법
JP2993414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プロフィル制御方法
JP4181000B2 (ja) 板圧延機の変形特性同定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板圧延方法
JP3506098B2 (ja) 板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558010B2 (ja) 鋼板の製造方法
JPH1071407A (ja) 圧延ロールのオンライン研削方法
JPH115106A (ja) 圧延ロールのオンライン研削方法
JP2719216B2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2000015315A (ja) ワークロール位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200075568A (ko) 압연기, 압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9206814A (ja)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