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853B1 -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853B1
KR100314853B1 KR1019970074584A KR19970074584A KR100314853B1 KR 100314853 B1 KR100314853 B1 KR 100314853B1 KR 1019970074584 A KR1019970074584 A KR 1019970074584A KR 19970074584 A KR19970074584 A KR 19970074584A KR 100314853 B1 KR100314853 B1 KR 10031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ontrol
roll
rolling mil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718A (ko
Inventor
함병하
정권성
전병재
신길용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7007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8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2Rear end control; Front e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6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3/00Shape of product
    • B21B2263/04Flat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18Roll crown; roll profile
    • B21B2267/19Thermal cr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02Roll bending; vertical bending of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7호 각 압연기별로 압연시에 생성되는 열팽창 크라운의 량을 계산하고 그 열팽창크라운 만큼 롤 벤더력를 계속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압연이 진행되면서 증가되는 열팽창 크라운 즉, 스트립의 중파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에 것으로, 미단부 형상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미단부 형상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단부 롤벤더력 제어량을 계산하여 이를 롤벤더력 설정치로부터 감산하여 최종 롤벤더력 출력치로 하여 압연기의 벤더 실린더를 동작시킨다.

Description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제철소의 열연공장 등에 설치되는 스트립의 형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미단부 사상압연작업시 압연기의 롤사이에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웨이브로 인한 형상불량을 롤벤더의 단계적인 제어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품질이 양호한 완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장치는 목표급준도를 설정하는 급준도설정부(11)와, 롤벤더력의 피이드백 제어시 제어게인을 설정하는 게인설정부(12)와, 롤 벤더력을 설정하는 롤벤더력설정부(13)와, 7호 압연기(F7)의 후단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실적급준도를 계측하는 형상검출부(18)와, 급준도설정부(11)의 목표급준도에서 형상검출부(18)에서 계측된 실적급준도를 감산하여 오차를 출력하는 제1감산기(14)와, 제1감산기(14)의 오차 입력에 대하여 게인설정부의 피이드백 제어게인에 따라 롤 벤더력의 피이드백량을 계산하는 피이드백량계산부(15)와, 롤벤더력설정부(13)에서 설정된 롤 벤더력에서 피이드백량계산부(15)의 롤벤더력의 피이드백량을 감산하여 그 오차를 출력하는 제2감산기(16)와, 제2감산기(16)의 오차신호에 따라 압연기를 제어하는 벤더실린더(17)를 구비하고 있다.
실제로 피이드백 제어가 이루어지는 곳은 제1,2감산기(14,16)와 피이드백량계산부(15)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의 압연전에 각종 데이터 즉, 목표급준도, 롤 벤더력 피드백 제어게인, 초기 롤 벤더력이 설정되고, 압연라인에서 스트립이 압연기를 통과하여 형상검출기(18)에 검출되면 이 형상검출기(18)는 매 100msec 단위로 스트립의 형상 실적(급준도)을 계측하여 제1감산기(14)로 보낸다.
제1감산기(14)는 형상검출기(18)로부터의 실적급준도를 기초로 하여 목표급준도와 편차를 구하고 롤 벤더력 피드백량계산부(15)에서는 이 급준도 편차를 상쇄시키기 위한 롤 벤더력의 피드백량을 계산하여 그 양만큼 4~7호 압연기(F4-F7)에 부착되어 있는 벤더실린더(17)를 동작시켜 목표급준도에 근접시킴으로서 스트립의 형상이 평활하도록 제어를 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스트립 미단부 코일형상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종래의 형상 제어방법에서 각 부분별 제어단계는, 먼저 스트립(2)의 선단부가 압연기(3)에 도착하기 전에 각 설정치 즉, 목표급준도, 롤 벤더력 피드백 제어게인, 초기 롤 벤더력을 미리 설정하고 4~7호 압연기의 롤벤더 압력이 설정된다(21). 그리고 다음단계(22)에서는 스트립(2)이 진행되어 압연기를 통과하고 형상검출기(18)에 스트립(2)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만약 검출신호 없으면 스트립(2)이 검출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다음단계(23)에서는 형상검출부(18)에서 100msec 단위로 계속적으로 급준도 실적이 계측되고, 다음단계(24)에서 이 값과 미리 설정된 목표급준도와의 편차를 기초로 롤벤더력 피드백량을 계산하여 압연기에 부착되어 있는 롤 벤더실린더로 피드백량만큼 실린더를 동작시킨다(25).
이 피드백 작업은 형상검출부(18)에서 형상실적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즉, 스트립(2)의 후단부가 압연기를 빠져나갈 때까지 계속(26) 되어 스트립(2)의 목표와 실적급준도의 편차를 최소화하게 된다.
도 3의 (a)는 작업롤 및 열팽창 크라운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스트립(2)이 압연기(3)를 통해 압연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스트립(2) 자체의 열과 압연에 따른 스트립(2)의 가공발열에 의해 압연종료시까지 작업롤의 중앙부가 계속 열팽창되어 작업롤의 크라운(31)이 생긴다.
도 3의 (b)와 (c)는 일반적인 스트립에서 발생하는 웨이브불량을 도시한 것으로, 스트립(2)의 미단부 압연작업시 작업롤의 크라운(31) 증가에 따라 스트립(2)의 중파(32)가 발생하여 통판성 및 형상품질의 불량이 된다.
도 3의 (d)는 급준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급준도는 발생된 웨이브의 주기에 대한 웨이브의 높이의 비로 정의되며 급준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웨이브의 심하게 생긴 것을 의미한다.
스트립(2)의 선단부부터 미단부로 압연이 행해짐에 따라 열팽창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롤(3)의 열팽창크라운(31)으로 인해 미단부로 갈수록 스트립 중앙부의 연신량이 양단부의 연신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이에 따라 연신량의 차이가 스트립에서 중파(32)로 발생시키므로 통판성 및 형상이 악화되는데, 종래에는 7호 압연기 후면에서 형상검출부(18)에서 이 중파를 검출하여 롤벤더력의 피드백 제어에 의해 중파발생을 방지시킨다.
그러나, 7호 압연기의 작업롤의 열팽창은 형상검출부에 의해 직접 피이드백 제어가 가능하나 4-6호 압연기 후면에는 형상검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트립의 실제 형상실적(급준도)은 알 수 없고, 단지 7호 압연기 후면의 형상검출부에 검출된 형상실적에 의존하여 계산된 값에 의해 형상 피드백제어를 하고 있다. 그래서 스트립이 압연기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 4~7호 압연기 사이에서의 스트립 통판성 및 형상이 정확히 제어가 되지 못하고 형상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4~7호 각 압연기별로 압연시에 생성되는 열팽창 크라운의 량을 계산하고 그 열팽창크라운 만큼 롤벤더를 계속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압연이 진행되면서 증가되는 열팽창 크라운 즉, 스트립의 중파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a)는 작업롤 및 열팽창 크라운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b)와 (c)는 일반적인 스트립에서 발생하는 웨이브불량을 도시한 것이며 (d)는 급준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의 (a)는 스트립의 압연중 발생하는 작업롤 열팽창의 성장곡선을 도시한 것이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단부 롤 벤더력의 제어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미단부 형상제어 파라미터 정보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미단부 형상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2계산부의 구성도이고 (b)는 (a)에서 도시한 카운터의 입출력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급준도설정부 12 ... 게인설정부
13 ... 벤더력설정부 14 ... 제1감산부
15 ... 제1계산부 16 ... 제2계산부
17 ... 벤더실린더 18 ... 형상검출부
41 ... 파라미터설정부 42 ... 제2계산부
43 ... 제3감산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은, 목표급준도, 롤벤더 피드백 제어게인, 롤벤더력 초기치를 스트립이 압연기에 오기 전에 미리 설정하는 1단계와, 미단부 형상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2단계와, 형상검출부에서 스트립의 검출여부를 확인하는 3단계와, 3단계에서 스트립이 검출되면 압연라인으로부터 급준도 실적, 롤벤더력 레퍼런스값 등의 각종 실적데이터를 입력하는 4단계와, 1단계에서 설정된 목표급준도, 롤벤더 피드백 제어게인과 4단계에서 수신한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롤 벤더력 피드백량을 계산하는 5단계와, 2단계에서 설정된 미단부 형상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단부 롤 벤더력 제어량을 계산하는 6단계와, 1단계에서 설정된 롤 벤더력 초기치에서 5단계에서 계산된 롤 벤더력 피드백량과 6단계에서 계산된 미단부 롤 벤더력 제어량을 감산하여 최종 롤 벤더력 출력치를 계산하는 7단계와, 7단계에서의 계산된 롤 벤더력 출력치에 따라 압연기의 롤벤더 실린더를 동작시켜 피드백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8단계와, 형상검출부에 스트립이 검출될 때까지 즉, 스트립의 미단부가 7호 압연기를 빠져 나갈 때까지 4단계에서 8단계 사이의 작업을 계속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장치는 목표급준도를 설정하는 급준도설정부(11)와, 롤 벤더력의 피이드백 제어시 제어게인을 설정하는 게인설정부(12)와, 롤 벤더력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롤벤더력설정부(13)와, 7호 압연기(F7)의 후단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실적급준도를 계측하는 형상검출부(18)와, 급준도설정부(11)의 목표급준도에서 형상검출부(18)에서 계측된 실적급준도를 감산하여 오차를 출력하는 제1감산기(14)와, 제1감산기(14)의 오차 입력에 대하여 게인설정부의 피이드백 제어게인에 따라 롤 벤더력의 피이드백량을 계산하는 제1계산부(15)와, 롤벤더력설정부(13)의 롤 벤더력에서 피이드백량계산부(15)의 롤벤더피이드백량을 감산하여 그 오차를 출력하는 제2감산기(16)와,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41)와,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스트립 미단부 롤 벤더력 제어량을 계산하는 제2계산부(42) 및, 제2감산기(16)의 오차로부터 제2계산부의 제어량을 감산하여 그 오차를 출력하는 제3감산기(43)와, 제3감산기(43)의 오차신호에 따라 압연기를 제어하는 벤더실린더(17)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형상 제어장치(도 1)에 부가하여 파라미터설정부(41)와 제2계산부(42) 및 제3감산기(43)가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파라미터설정부(41)는 미리 정보 테이블에 스트립의 두께, 폭, 강종구분에 해당하는 미단부 형상 제어용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둔다. 설정되는 파라미터로서는 제1단계의 단위시간당 벤더력 감소제어량을 설정하는 제1감소비율(α1), 제2단계 단위시간당 벤더력 감소제어량을 설정하는 제2감소비율(α2), 제1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1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1제어시기(T1), 제2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2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2제어시기(T2)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미단부 형상제어 파라미터 정보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정보 테이블은 스트립의 두께를 8개로 구분(71)하고 각각의 두께에 대하여 스트립의 폭을 12개로 구분(12)하며 각각의 두께와 폭에 대하여 강종을 30개로 구분(73)하고 있다. 따라서 구분된각 두께, 폭, 강종에 해당하는 스트립에 대하여 벤더력의 감소제어에 적용되는 제1,2감소비율(α1,α2)과, 각 감소비율을 사용하여 제어를 시작하는 제1,2제어시기(T1,T2) 및 제어가 적용되는 사용압연기의 정보를 설정한다.
도 6의 (a)는 스트립의 압연중 발생하는 작업롤 열팽창의 성장곡선을 도시한 것으로, 작업롤의 열팽창 및 수축곡선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단부 롤 벤더력의 제어그래프로서 이를 참조하여 각 파라미터의 기능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의 단위시간당 벤더력의 감소제어를 위하여 감소비를 설정하는 제1감소비율(α1)은 압연이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작업롤의 열팽창 크라운만큼 벤더력을 감소시킴으로서 각 압연기별로 효과적으로 중파를 방지하여 압연기 사이에서의 통판성을 확보하고, 최종 압연기 후면에서 스트립의 양호한 형상을 얻기 위함이다. 이 제어파라미터의 설정방법은 압연작업시 축적해둔 4~7호 각 압연기에서 작업롤의 열팽창 크라운량 계산실적 데이터를 각 구분치별로 압연재 30매 이상 확보하고,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1에서 각 열팽창 크라운에 해당하는 롤벤더력 제어량을 구하고 그 압연시간의 평균값도 구한다.
벤더압력(△F)= gk(i) x {△CT(i)}
여기서, gk는 각 압연기(4~7호기)별 형상제어 피드백 게인, △CT(i)는 각 압연기별 열팽창크라운 변화치이다. gk는 크라운값을 벤더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일종의 호나산계수이며 이 게인은 형상의 피드백게인이다.
또한 각 구분치별로 압연시간의 평균값도 구하여 앞에서 구한 롤벤더력 제어량과 압연시간의 평균값으로부터 각각의 구분치마다 단위시간당 롤벤더력 제어량 즉, 제1감소비율(α1)을 설정한다.
제2단계의 단위시간당 벤더력의 감소제어를 위하여 감소비를 설정하는 제2감소비율(α2)은 스트립의 종단부가 각 압연기를 빠져나오는 싯점에서 중파에 의한 스트립의 겹침이나 꼬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2차적으로 롤벤더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트립의 종단부가 각 압연기를 빠져나오는 싯점에서 중파에 의한 스트립의 겹침이나 꼬임의 발생을 방지를 위해 롤벤더를 감소시키는데 감소시키는 량은 통상 압연작업에서 10~20톤 정도로 압연작업 운전자의 경험치를 테이블화 하여 사용한다. 10~20톤 정도로 사용하는 이유는 압연 테일부는 전후단 압연기 사이에 걸리는 장력이 없어지는 불안정한 부위로서 이때 롤 벤더량을 통상 압연작업에서 경험치로 얻은 20톤이상 과다하게 감소시키면 워크롤에 작용하는 벤더력이 작아져서 코일은 양끝(엣지부)이 눌려 압연되어 양파가 발생하여 불량코일이 되고 반대로 10톤이하로 감소시키면 워크롤에 작용하는 벤더력이 커서 코일은 중앙부가 눌려 압연되어 중파가 발생되고 이것은 코일 테일부의 꼬임을 유발하여 연속압연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제1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1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1제어시기(T1)는 스트립의 선단부가 7호 압연기에 치입되고부터 1단계 롤벤더력 제어시작까지의 지연시간을 말한다. 통상 스트립의 선단부는 장력이 걸리지 않는 비정상부위로, 안정된 제어를 위해 제어에서 제외하기 위해 지연시간을 둔다. 이 제어파라미터는 스트립이 7호 압연기에서 스트립의 선단부가 권취기에 진입하는 시간 즉 스트립에 장력이 걸리기까지의 시간인데, 이것은 스트립의 두께, 폭에 따라 스트립의 이동속도가 달라 걸리는 시간이 다르므로 실적 데이터로부터 각 구분치별로 평균시간으로 설정한다.
제2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2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2제어시기(T2)는 스트립의 종단부가 1호 압연기로부터 빠져나오고 부터 제2단계 롤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까지의 지연시간(T2)은, 제1단계 롤벤더력 감소제어후 제2단계 롤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기까지의 지연시간이다. 이 제어파라미터는 통상 1~3초 정도로 운전자의 경험치를 테이블화하여 사용한다. 통상 1~3초 정도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것을 1초미만으로 하면 제어시점이 너무 빨라 코일이 압연기사이에서 장력이 있는 부분에 벤더력을 낮추어 코일에 양파를 발생시켜 품질불량을 만들고 반대로 3초를 초과하면 제어시점이 너무늦어 코일의 테일부가 압연기를 거의 빠져나가므로 당초 목표했던 테일의 벤더력 제어를 할 수 없어 꼬임이 발생하고 연속압연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미단부 형상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2계산부의 구성도이다. 제2계산부(42)는 파라미터설정부(41)로부터 제어 파라미터를 받아 롤벤더력 제어량을 계산하는데, 이 제어량을 제2감산기(16)의 오차출력에서 감산하여 최종적으로 벤더실린더(17)에 인가하여 벤더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제2계산부(42)는 파라미터설정부(41)로부터 계산에 필요한 제어파라미터(α1, α2, T1, T2)를 입력받고, 7호 압연기에 스트립이 진입되는 신호(86)가 오면 T1 만큼 시간지연(84)후 초기에 제어가 시작되기 전 영("0")(83)이었던 제어량이 소프트 스위치(87)에 의해 α1으로 절환되어 카운터(81)에서 α1의 속도로 계속 롤벤더력 제어량을 출력시킨다. 이어서, 스트립의 종단부가 1호 압연기를 빠져나가는 신호(85)가 오면 T2 만큼 시간지연(80)후 소프트 스위치(82)에 의해 α1에서 α2로 절환되고 α2의 속도로 롤벤더력 제어량을 출력시키며, 이 제어는 스트립이 7호 압연기를 빠져나갈 때까지 계속된다.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 도시한 카운터의 입출력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카운터(81)는 매초당 입력된 값에 대하여 α1 또는 α2의 비율로 출력이 증가하는 함수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제어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형상 제어장치에 부가하여 파라미터설정부(41)를 갖고, 여기서 미단부 형상 제어용 롤벤더력 제어량을 계산하기 위해 스트립의 두께, 폭, 강종구분에 따른 파라미터를 정보 테이블로 설정한다. 또한 제2계산부(42)를 부가하여 파라미터설정부(41)에 연결하여 파라미터에 따라 미단부 형상제어 롤벤더력 제어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롤 벤더력의 초기 설정치 및 롤벤더력 피드백량과 가감산하여 최종의 각 압연기의 롤벤더실린더로 전달하여 벤더력을 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립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은, 미단부 형상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S52)하는 단계와, 미단부 롤벤더력 제어량을 계산(S56)하는 단계가 새롭게 추가되어 있다. 먼저 목표급준도, 롤벤더 피드백 제어게인, 롤벤더력초기설정치를 스트립이 압연기에 오기 전에 설정한다(S51).
그리고, 다음에는 본 발명으로 추가된 파라미터설정부에서 선정된 미단부 형상제어 파라미터를 또한 설정한다(S52). 스트립의 두께, 폭, 강종구분에 따라 미단부 형상 제어용 파라미터 즉, 제1단계의 단위시간당 벤더력 감소제어량을 설정하는 제1감소비율(α1), 제2단계 단위시간당 벤더력 감소제어량을 설정하는 제2감소비율(α2), 제1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1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1제어시기(T1), 제2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2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2제어시기(T2)를 설정하여 둔다.
다음으로 형상검출부에 스트립의 검출여부를 확인하고(S53), 확인 결과 응답이 "아니오" 이면 "예"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가 응답이 "예"이면 압연라인으로부터의 각종 실적데이터를 수신한다(S54). S54의 단계에서는 필요한 급준도 실적, 롤벤더력 레퍼런스값 등이 매 100msec 주기로 입력된다.
다음으로 S54의 단계에서의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종래의 형상 피드백 제어에서 피드백량을 계산(S55)하고 S52의 단계에서 설정된 미단부 형상 제어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미단부 롤벤더력 제어량을 계산(S56)한다. S52에서 설정된 제어파라미터(α1, α2, T1, T2)를 기초로 하여 7호 압연기에 스트립이 진입되는 신호가 오면 T1만큼 시간지연후 초기에 제어가 시작되기 전 영("0")이었던 제어량을 소프트 스위치에 의해 α1으로 절환되어 카운터에서 α1의 속도로 계속 롤벤더력 제어량을 출력시키고 이어서, 스트립의 종단부가 1호 압연기를 빠져나가는 신호가 오면 T2 만큼 시간지연후 소프트 스위치에 의해 α1에서 α2로 절환되고 α2의 속도로 롤벤더력 제어량를 출력시킨다.
S51의 단계의 롤 벤더력의 초기치에서 S55의 단계의 피드백량과 S56단계의 제어량을 감산하여 최종 롤 벤더력 출력치로 하여 압연기의 롤벤더 실린더를 동작시켜 피드백 제어가 이루어진다(S57). S54의 단계에서 S57의 단계사이의 작업은 형상검출부에 스트립이 검출될 때까지 즉, 스트립의 미단부가 7호 압연기를 빠져 나갈 때까지 계속 이루어진다(S58).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강과 박물(BP재)에 대해 종래의 방식과 본발명의 방식으로 급준도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1에 도시하였다.
급준도1%이내적중률 단위(%)
강종 종래 본발명
일반강 81 88
BP재 75 85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파 현상의 감소로 인한 급준도 1%이내 적중률이 현저하게 증가됨으로서 통판성 및 품질이 양호한 코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급준도 1%이내 적중률이라 함은 한 코일내의 길이방향으로 0.1초 간격으로 각 점에 대해 급준도를 측정해서 그중 급준도가 1%이하에 해당하는 지점의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은 스트립의 압연이 진행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점차 증가되는 작업롤의 열팽창 크라운을 롤벤더로 압연종료시까지 보정해 줌으로써 스트립의 중파현상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통판성 및 제품의 형상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에 있어서,
    (1) 목표급준도, 롤벤더 피드백 제어게인, 롤 벤더력 초기치를 스트립이 압연기에 오기 전에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2) 미단부 형상 제어용 파라미터, 즉 제1단계의 단위시간당 벤더력 감소제어량을 설정하는 제1감소비율(α1), 제2단계 단위시간당 벤더력 감소제어량을 설정하는 제2감소비율(α2), 제1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1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1제어시기(T1), 제2감소비율을 적용하여 제2단계 벤더력 감소제어를 시작하는 제2제어시기(T2)를 설정하는 단계와,
    (3) 형상검출부에서 스트립의 검출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4) 상기 (3)의 단계에서 스트립이 검출되면 압연라인으로부터 급준도 실적, 롤 벤더력 레퍼런스값 등의 각종 실적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5) 상기 (1)의 단계에서 설정된 목표급준도, 롤벤더 피드백 제어게인과 상기 (4)의 단계에서 수신한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롤 벤더력 피드백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6) 상기 (2)의 단계에서 설정된 제어파라미터(α1, α2, T1, T2)를 기초로 하여 초기에 제어가 시작되기 전 영("0")이었던 제어량을 7호 압연기에 스트립이 진입되는 신호가 오면 T1의 시간만큼 지연후 α1의 속도로 계속 롤 벤더력 제어량를 증가시키고 이어서, 스트립의 종단부가 1호 압연기를 빠져나가는 신호가 오면 T2의 시간만큼 지연후 α2의 속도로 롤 벤더력 제어량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7) 상기 (1)의 단계에서 설정된 롤 벤더력 초기치에서 상기 (5)의 단계에서 계산된 롤 벤더력 피드백량과 상기 (6)의 단계의 미단부 롤 벤더력 제어량을 감산하여 최종 롤 벤더력 출력치로 하고 이에 따라 압연기의 롤벤더 실린더를 동작시켜 피드백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8) 형상검출부에 스트립이 검출될 때까지 즉, 스트립의 미단부가 7호 압연기를 빠져 나갈 때까지 상기 (4)의 단계에서 상기 (7)의 단계 사이의 작업을 계속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의 단계는,
    미단부 형상 제어용 파라미터가 정보 테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정보 테이블은 스트립의 두께를 8개로 구분하고 각각의 두께에 대하여 스트립의 폭을 12개로 구분하며 각각의 두께와 폭에 대하여 강종을 30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두께, 폭, 강종에 해당하는 스트립에 대하여 벤더력의 감소제어에 적용되는 제1,2감소비율(α1,α2)과, 각 감소비율을 사용하여 제어를 시작하는 제1,2제어시기(T1,T2) 및 제어가 적용되는 사용압연기의 정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의 단계는,
    단위시간당 벤더력의 감소제어를 위하여 감소비를 설정하는 제1감소비율(α1)은 4~7호 각 압연기에서 작업롤의 열팽창 크라운량 계산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더압력(△F)= gk(i) x {△CT(i)} ( 여기서 gk는 각 압연기(4~7호기)별 형상제어 피드백 게인이고, △CT(i)는 각 압연기별 열팽창크라운 변화치이다.) 의 식에 의하여 구해지는 각 열팽창 크라운에 해당하는 롤벤더력 제어량과 각 구분치별로 압연시간의 평균값으로부터 각각의 구분치마다 단위시간당 롤벤더력 제어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미단부의 형상 제어방법.
KR1019970074584A 1997-12-26 1997-12-26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KR10031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84A KR100314853B1 (ko) 1997-12-26 1997-12-26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584A KR100314853B1 (ko) 1997-12-26 1997-12-26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718A KR19990054718A (ko) 1999-07-15
KR100314853B1 true KR100314853B1 (ko) 2002-01-17

Family

ID=3753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584A KR100314853B1 (ko) 1997-12-26 1997-12-26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78B1 (ko) * 2002-09-03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타원형/원형 선재 압연시의 열간 스톡 결정 방법
KR100832971B1 (ko) * 2006-12-05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연연속 압연에서 압연롤의 벤더력 제어방법
CN112620356B (zh) * 2020-12-28 2022-04-12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单机架炉卷轧机薄规格卷轧钢板甩尾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9208A (ja) * 1983-02-28 1984-09-08 Sumitomo Metal Ind Ltd ストリツプの平担制御方法
JPH02112810A (ja) * 1988-10-21 1990-04-25 Nkk Corp 冷間圧延機におけるストリップの形状制御方法
JPH0890058A (ja) * 1994-09-21 1996-04-09 Kawasaki Steel Corp 巻取機ピンチロールの制御方法
KR19980031178A (ko) * 1996-10-31 1998-07-25 김종진 스트립 미단부의 권취형상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9208A (ja) * 1983-02-28 1984-09-08 Sumitomo Metal Ind Ltd ストリツプの平担制御方法
JPH02112810A (ja) * 1988-10-21 1990-04-25 Nkk Corp 冷間圧延機におけるストリップの形状制御方法
JPH0890058A (ja) * 1994-09-21 1996-04-09 Kawasaki Steel Corp 巻取機ピンチロールの制御方法
KR19980031178A (ko) * 1996-10-31 1998-07-25 김종진 스트립 미단부의 권취형상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718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192A (en) Controlling the profile of sheet during rolling thereof
KR100604503B1 (ko) 판 압연시의 판 형상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A2173066C (en) Hot-rolling method of steel piece joint during continuous hot-rolling
KR100314853B1 (ko)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JPH11104721A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クラウン・形状制御方法
JP3996976B2 (ja) 冷延反転スタンドの予設定
KR100370471B1 (ko) 열연판의 선단부 두께 제어장치 및 방법
JPH06190422A (ja) 調質圧延方法
KR100362662B1 (ko) 열간압연강판의 폭방향으로의 형상제어방법
JP3230648B2 (ja) リバース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H0615321A (ja) 厚板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3506098B2 (ja) 板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0036626A (ko) 열간사상압연에서의 스트립 형상제어 게인 설정방법
KR19990052681A (ko) 열연 판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고려한 고정도 판 크라운 예측방법
JP3456082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KR100584736B1 (ko)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KR102314633B1 (ko) 형상 제어가 가능한 냉연 강판 압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920896B2 (ja) 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KR100236159B1 (ko) 강판의 평탄도 제어방법
JP2001269708A (ja) 熱間圧延機のレベリング制御方法及び装置
JP3558010B2 (ja) 鋼板の製造方法
JP2004050257A (ja) 圧延機における先進率算出方法
KR20020013269A (ko) 열간 후판 압연에서의 평면형상 제어방법
JP2719216B2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2878060B2 (ja) 熱間自動板厚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