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427A -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 Google Patents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427A
KR20030046427A KR10-2003-7003239A KR20037003239A KR20030046427A KR 20030046427 A KR20030046427 A KR 20030046427A KR 20037003239 A KR20037003239 A KR 20037003239A KR 20030046427 A KR20030046427 A KR 20030046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ndling
lifting
tilt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5108B1 (ko
Inventor
도단느뽈
Original Assignee
데지아 도단느 쟝 에 아쏘씨에 데지아 크리스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지아 도단느 쟝 에 아쏘씨에 데지아 크리스뗄 filed Critical 데지아 도단느 쟝 에 아쏘씨에 데지아 크리스뗄
Publication of KR2003004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Prosthes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루(2)의 내부 가장자리(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개구(5)를 구비하고 있으며 직경 방향에서 대향되게 외향으로 향한 2개의 자루(2) 형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루(2) 위로 적절히 맞추어지고 단열 재료로 제조된 한 쌍의 착탈가능한 셀(10)을 포함하고, 셀(10) 각각은, 내부 공동(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원형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자루(2)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공동(11) 내부에 수용될 때에 자루(2)에 있는 개구(5)와 함께 적절히 협동하는 내부 고정/고정 해제 장치(2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DETACHABLE DEVICE FOR GRIPPING, LIFTING, HANDLING AND TILTING COOKING UTENSILS WITH TWO HANDLES}
자루의 개구부는 자루의 림과 함께 공동 작용하기 위한 훅을 포함하는 스틱 형태인 착탈가능한 손잡이의 이중 경사 캐치(dual-slope catch)와 공동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이 조리 기구는 착탈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팬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자루는 별다른 기능 없이 사용된다.
또한 이 조리 기구는 난로 위와 오븐 안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2개의 손잡이가 있는 포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손잡이가 금속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만약 맨손을 이용하여서 뜨거운 기구를 잡거나 들어올린다면 심한 화상을 입게될 수 있다. 또한 뜨거운 조리 기구를 들어올리기 위해서 착탈가능한 손잡이를 사용하는 것은, 기구가 많은 양의 음식을 포함할 경우에 손잡이에 미치게 될 비트는힘(torque)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발생시킬 수 있는 비트는 힘의 최대 양보다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절대로 데지 않고 양손으로 2개의 자루를 쥘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프랑스 출원 공개 FR A 2 416 677호에는 조리 기구를 취급할 목적으로 열적으로 절연체인 쉽게 착탈할 수 있는 노브(knob)를 포함하는 자루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자루는 밖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을 하고 있고, 노브는 대응하는 형상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그루브 및 각 자루의 부속 부분은 종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대상물의 수평면에서 원호를 점유한다. 노브의 그루브와 그와 함께 공동 작용하는 자루의 일부는 꼭 들어맞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헌에는, 자루 위에 노브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 제공되어 있지 않아서, 자루는 착탈가능한 손잡이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자루의 내부 가장자리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직경 방향에서 대향되게 외향으로 향한 2개의 자루 형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조리 기구 자루 위의 그의 고정 위치에 있는 본 발명 장치의 셀을 관통하는 수직 대칭면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에 대한 수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고정/고정 해제 장치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수직 대칭면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셀에 대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의 자루를 이용하여서 뜨거운 조리 기구를 잡거나 혹은 들어올리는 사용자의 손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루 위로 적절히 맞추어지고 단열 재료로 제조된 한 쌍의 착탈가능한 셀(shell)들을 포함하고, 상기 셀 각각은, 내부 공동이 형성되어 있고 타원형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자루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공동 내부에 수용될 때에 자루에 있는 개구와 함께 적절히 협동하는 내부 고정/고정 해제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고정/고정 해제 장치는 타원형 오리피스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피벗 샤프트(pivot shaft)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장착되고 상응한 셀 내부에 형성된 공극 챔버 내에 수용되고 플레이트가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 사이에서 경사질 수 있게 적용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플레이트 단부 중의 하나가 플레이트가 그의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응한 셀이 체결되는 자루의 개구부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돌출 캐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는 고정 위치를 향하여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하려는 탄성 수단에 의해 발휘된 비트는 힘에 대항하여 타단부 위에 수동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캐치를 빼내기 위해서 그의 고정 해제 위치로 플레이트를 사용자가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접근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용 공극 챔버는 공동의 중간 부분 위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전방 영역과 실질적으로 플레이트에 수직한 상응한 셀 내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안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후방 영역을 포함하며, 열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플레이트의 타단부가 체결되고, 이 타단부는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제어가능하며 셀로부터 어떠한 방향으로도 돌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탄성 수단은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고 플레이트용 공극 챔버의 전방 영역 내부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하우징의 단부 벽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캐치는 플레이트의 고정 위치에서 타원형 오리피스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그의 전면 위에는, 캐치가 셀이 자루 위의 적소에 배치되는 동안 캐치를 빼낼 수 있는 둥근 홈(chamfer)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고 있는 실시예를 통해서 제공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기구의 주변부(4)만을 갖춘 자루(2)의 형태인 조리 기구 손잡이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리 기구는 직경 방향에서 대향되게 있는 2개의 유사한 자루(2)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자루(2)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조리 기구의 측벽에 고정된 그의 내부 가장자리(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개구(5)를 포함한다. 각각의 자루(2)는 기구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내부 가장자리(6)와 평행한 외부 가장자리(7)를 구비하고 있다.
조리 기구의 2개의 자루(2)를 이용하여 뜨거운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열 재료로 만들어진 2개의 셀(10)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셀들은 착탈가능하고 그 각각은 자루(2) 중 하나 위에 적합하게 맞추어진다.
자루(2)의 수평 단면 및 두께보다 상당히 두꺼운 수평 단면 및 두께로 이루어진 각 셀(10)은 셀(10)의 전방 측면(12)에 있는 타원형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밖으로 개방하는 내부 공동(1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측면은 사용시 자루(2)의 내부 가장자리(6)를 향하여 지향된다. 내부 공동(11)의 크기는 자루(2)가 타원형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그 내부에 삽입될 때에, 자루(2)가 공동(11) 내부에서 상당히 흔들리지 않게 하면서 그 최대 범위에 걸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서 자루(2) 위로 맞추어진 셀(10)에 의해서 조리 기구를 들어올리는 사용자의 손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사용 위치에서는, 마찬가지로 개구가 공동(11) 내부에 거의 완전히 수용된다.
셀(10)은 내부 공동(11)을 형성하는 상부 벽을 포함하고 있는 실질적으로 정중앙의 수평 결합 평면(14)에서 마주치는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도 5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셀(10)은 공동(11)이 형성된 하부 셀(10a)과 상부 셀 (10b)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제조된다. 하부 셀에는 고정 나사들이 관통하는 관통구 (15a, 15b)가 있고, 이러한 나사들의 나사산이 상부 셀(10b)에 형성된 태핑과 공동으로 작용한다.
그의 두께에 있어서, 셀(10)은 또한 고정/고정 해제 장치(20)를 포함한다.이러한 장치는 피벗 베어링을 구성하기 위해서 단단한 플레이트로부터 측면으로 단부(22a, 22b)가 돌출하는 횡단 피벗 샤프트(22)에 고정된 단단한 플레이트(21)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횡단 피벗 샤프트(22)는 셀(10a, 10b) 내에서 서로 마주하고 결합 평면(14) 내부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2개의 반원통형 그루브(23a) 내에 수용된다. 단지 하부 셀(10a)의 그루브(23a)만이 도 5에 도시되었다. 2개의 셀(10a, 10b)이 서로 조립될 때, 2개의 반원통형 그루브는 타원형 오리피스(13)에 평행한 피벗 샤프트(22)용 하우징을 서로 구성한다. 도 1 및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루브(23a)는 "전방"과 "후방"이 조리 기구를 향하여 지향된 전방 측면(12)에 관계하여 형성되어 있는 공동 (11) 뒤에 적절히 배치된다.
그의 전방 단부에서, 플레이트(21)는 그의 전면 위에 둥근 홈(25)을 나타내고 있는 하향 만곡한 캐치(24)를 구비하고 있다. 캐치(24)는 셀(10)이 상기 자루 (2) 위에 맞추어질 때 자루(2)의 개구(5)로 관통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레이트(21)가 그의 횡단 피벗 샤프트(22)에 관계하여 피벗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공극 챔버(26)가 셀(10) 내부에 제공되고 플레이트(21)를 수용한다.
공극 챔버(26)의 전방 영역(26a)은 상부 셀(10b)에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 영역(26a)은 공동(11)의 중간 영역 위의 밖으로 개방하고, 특히 피벗 샤프트(22)로부터 떨어져서 분기(分岐)하는 2개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데, 상기 벽들 중 하나는 하부 셀(10a)의 상면에 있고 다른 하나의 벽(27b)은 상부 셀(10b)에 형성된다.
공극 챔버의 후방 영역(26b)은 하부 셀(10a)과 상부 셀(10b)에 형성된다. 이는 결합 평면(14)과 하부 셀(10a)에 형성된 경사진 벽(27a)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셀(10a, 10b)은 후방 영역(26b)이 밖으로 개방하고 플레이트(21)의 후방 단부(29)가 수용되는 배열로 구멍(28a, 28b)을 관통하여 마주한다.
또한 상부 셀(10b)은 공극 쳄버의 전방 영역(26a) 내부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하우징(30)을 구비한다. 이러한 하우징의 단부 벽은 다른 하나의 단부가 플레이트 (21)의 전방 상면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압축 스프링(31)의 일단부를 위한 베어링 표면으로써 이용된다.
압축 스프링(31)은 플레이트(21)를 고정 위치를 향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고정 위치에서, 캐치(24)는 자루 그 자체가 공동(11)에 수용됨에 따라서 자루(2)의 개구(5)에 수용된다. 후방 단부(29)는 상부 셀(10a)의 상부 구멍(28a) 내부로 엄지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플레이트(21)의 상기 후방 단부(29) 위를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서 장치(20)가 고정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압축 스프링(31)으로부터 발생되는 힘에 대항하기 위해서 충분한 힘을 발휘한다. 처음에 결합 평면(14)에 평행한 플레이트(21)는 샤프트(22)와는 경사를 이루고 경사진 벽 (27a, 27b)에 대항하여 지탱하게 되고, 그 다음에 캐치(24)가 공극 챔버(26)의 전방 영역(26a)으로 수축된다. 그 후에 2개의 셀(10)은 적은 양의 외향으로 향한 방사상 힘의 적용에 의하여 2개 모두를 함께, 그렇지 않으면 한 번에 하나씩 빼낼 수 있다. 열원으로부터, 심지어는 고정 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29)가 구멍 (28a, 28b)의 내부에 놓여지기 때문에, 단부(29)는 작동하기 위해서 손잡이가 충분한 여분을 가지는데 있어서 어떠한 장애도 발생시키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고정 해제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부러 또는 잘못하여 셀을 고정하지 않아서 아이들에게 발생하게 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셀(10)은 반대 절차에 의해 적소에 놓이게 된다. 이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하향으로 향한 힘을 단부(29) 위에 발휘하게 함으로써 공극 쳄버(26)의 전방 영역(26a) 내부로 처음으로 캐치(24)가 수축하게 되는 것을 전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만약 플레이트(21)가 타원형 오리피스(13) 내부로 자루(2)의 외부 가장자리(7)를 삽입하기에 앞서 그의 고정 위치에 있게 된다면, 그 다음에 외부 가장자리 (7)는 둥근 홈(25)과 공동으로 작용할 것이고 공동(11) 내부로 삽입될 자루(2)를 허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21)를 경사지도록 할 것이다.
셀(10a, 10b)은 열경화성 절연 재료를 몰딩함으로써 제조된다.
셀(10)은, 플레이트(21)가 하부 셀(10a)에 놓이고, 그 다음에 스프링(31)이 적소에 투입된 후, 조립체가 상부 셀(10b)로 덮히고 2개의 셀(10a, 10b)이 구멍 (15a, 15b)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극 챔버(26)의 전방 영역(26a) 및 후방 영역(26b)은 분기하는 표면(14, 27a, 27b)에 의해 피벗 샤프트(22)로부터 떨어져서 형성된다.
공극 챔버(26)는 수평 결합 평면(14)과 경사진 벽(27a)을 포함하는 분기하는 표면에 의해 그의 전방 영역(26a)에 형성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공극 챔버(26)는 수평 결합 평면(14)과 경사진 벽(27b)을포함하는 분기하는 표면에 의해 그의 후방 영역(26b)에 형성된다.

Claims (9)

  1. 자루(2)의 내부 가장자리(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개구(5)를 구비하고 있으며 직경방향에서 대향되게 외향으로 향한 2개의 자루(2) 형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자루(2) 위로 적절히 맞추어지고 단열 재료로 제조된 한 쌍의 착탈가능한 셀 (10)을 포함하고; 상기 셀(10) 각각은, 내부 공동(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원형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자루(2)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공동(11) 내부에 수용될 때에 자루(2)에 있는 개구(5)와 함께 적절히 협동하는 내부 고정/고정 해제 장치(2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고정 해제 장치(20)는 타원형 오리피스(13)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피벗 샤프트(22)에 관하여 경사지도록 장착되고, 상응한 셀(10) 내부에 형성된 공극 챔버(26) 내에 수용되고, 플레이트(21)가 고정 위치와 고정 해제 위치 사이에서 경사질 수 있게 적용된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단부 중의 하나는 플레이트(21)가 그의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응한 셀(10)이 체결되는 자루(2)의 개구(5)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돌출 캐치(24)를 구비하고, 고정 위치를 향하여 플레이트(21)를 경사지게 하려는 탄성 수단(31)에 의해 발휘된 비트는 힘에 대항하여 타단부(29) 위에 수동 압력을 가함으로써 캐치(24)를 빼내기 위해서 그의 고정 해제 위치로 플레이트(21)를 사용자가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플레이트(21)의 타단부(29)를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플레이트(21)용 공극 챔버(26)는 공동(11)의 중간 부분 위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전방 영역(26a)과 실질적으로 플레이트(21)에 수직한 상응한 셀(10) 내에 형성된 오리피스(28a, 28b)를 관통하여 안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후방 영역(26b)을 포함하며, 열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플레이트(21)의 타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타단부는 오리피스(28a)를 관통하여 제어가능하고 셀(10)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샤프트(22)가 자루(2)를 수용하기 위해서 공동 (11) 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 챔버(26)의 전방 영역(26a)과 후방 영역(26b)이 분기하는 표면(14, 27a, 27b)에 의해 피벗 샤프트(22)로부터 떨어져 이동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플레이트(21)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플레이트(21)용 공극 챔버(26)의 전방 영역(26a) 내부에서 밖으로 개방하는 하우징(30)의 단부 벽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있는 스프링(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1)의 고정 위치에서, 캐치(24)가 타원형 오리피스(13)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24)는 셀(10)이 자루 (2) 위의 적소에 놓이는 동안 캐치가 빼내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그의 전면 위에 둥근 홈(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셀(10)이 플레이트(21)의 피벗 샤프트를 포함하는 결합 평면(14)에서 마주치는 2개의 부품(10a, 1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KR1020037003239A 2000-09-04 2001-09-03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KR100785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1224 2000-09-04
FR0011224A FR2813516B1 (fr) 2000-09-04 2000-09-04 Dispositif amovible pour saisir, soulever, manipuler et verser des ustensiles de cuisson ayant deux anses
PCT/FR2001/002726 WO2002019882A1 (fr) 2000-09-04 2001-09-03 Dispositif amovible pour saisir, soulever, manipuler et verser des ustensiles de cuisson ayant deux an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427A true KR20030046427A (ko) 2003-06-12
KR100785108B1 KR100785108B1 (ko) 2007-12-12

Family

ID=885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239A KR100785108B1 (ko) 2000-09-04 2001-09-03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666132B2 (ko)
EP (1) EP1315440B1 (ko)
JP (1) JP4313569B2 (ko)
KR (1) KR100785108B1 (ko)
CN (1) CN1173660C (ko)
AT (1) ATE303745T1 (ko)
AU (2) AU2001289984B2 (ko)
CA (1) CA2421252C (ko)
DE (1) DE60113280T2 (ko)
DK (1) DK1315440T3 (ko)
EA (1) EA004557B1 (ko)
ES (1) ES2248392T3 (ko)
FR (1) FR2813516B1 (ko)
HK (1) HK1058613A1 (ko)
WO (1) WO20020198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834B1 (ko) * 2011-12-21 2013-11-28 이숙자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2074B1 (fr) * 1999-12-13 2002-03-01 Dja Dodane Jean Et Associes Dispositif de prehension pour ustensile de cuisson
US20050145637A1 (en) * 2003-12-26 2005-07-07 Cheng-Shun Lin Removable handle for pot
JP2006173331A (ja) * 2004-12-15 2006-06-29 Miraial Kk 収納容器
DE202008008299U1 (de) 2008-02-07 2008-10-16 Allinox Nv Vorrichtung zum Greifen eines Kochgeschirrs
DE102009013046A1 (de) * 2009-02-11 2010-08-12 Gero Vertriebs-Gmbh Gefäß mit lösbar befestigbarem Handgriff
FR2970634B1 (fr) * 2011-01-20 2013-12-27 Cristel Dispositif amovible de prehension d'un ustensile de cuisson.
US8899145B2 (en) * 2011-01-31 2014-12-02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Grill inserts and tool for the same
DE102011075204B4 (de) * 2011-05-04 2014-05-22 Baumgarten handle systems KG Beschlagteil zur Befestigung an einem Koch- oder Bratgefäß
KR101231906B1 (ko) * 2012-03-28 2013-02-08 주식회사 로이첸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가열되는 조리용기
USD677517S1 (en) 2012-05-18 2013-03-12 Hy Cite Enterprises LLC Pan
USD677979S1 (en) 2012-05-18 2013-03-19 Hy Cite Enterprises LLC Pan lid
USD677518S1 (en) 2012-05-18 2013-03-12 Hy Cite Enterprises LLC Pan
KR101304960B1 (ko) * 2012-11-30 2013-09-06 문제구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KR101403653B1 (ko) 2012-11-30 2014-06-05 문제구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0468783Y1 (ko) 2013-01-26 2013-09-06 장미성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CN105559648A (zh) * 2014-10-08 2016-05-11 宁波成誉电器模具有限公司 一种锅
US20170280940A1 (en) * 2016-03-31 2017-10-05 Justin Quinn Culinary vessels with quick release detachable handles
FR3051652A1 (fr) * 2016-05-30 2017-12-01 Cristel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pour anse, en forme d'oreille, d'ustensile de cuisine
US11034485B2 (en) 2019-05-29 2021-06-15 Raytheon Company Universal handle attachment tool for manipulating different containers
KR102481879B1 (ko) * 2021-06-15 2022-12-26 정명주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4552A (en) * 1921-01-04 Detachable handle for saucepans and other cooking utensils
US2106391A (en) * 1936-07-06 1938-01-25 Duraj Stanley Plate lifter
US2370860A (en) * 1944-06-21 1945-03-06 William T Hanke Utensil handle
US2450193A (en) * 1946-08-02 1948-09-28 Ind Ideas Inc Pot handle
FR1361405A (fr) * 1963-04-03 1964-05-22 Poignée amovible pour récipient à oreilles
US3203029A (en) * 1963-06-21 1965-08-31 Anthony W Serio Detachable handle apparatus
US3306648A (en) * 1965-03-17 1967-02-28 Anthony W Serio Detachable handle apparatus
US3438082A (en) * 1966-06-23 1969-04-15 Youngstown Steel Door Co Detachable handle
CH617080A5 (ko) * 1977-07-18 1980-05-14 Zug Verzinkerei Ag
DK148493C (da) 1978-02-10 1985-12-23 Richard Bent Nissen Beholder med hank forsynet med letaftagelig fastholdte varmeisolerende holdegreb.
DE3805231A1 (de) * 1988-02-19 1989-08-31 Baumgarten Heinrich Kg Gefaess mit abnehmbarem griffteil
US5373608A (en) * 1994-03-17 1994-12-20 Welch Distributing Company Cooking vessel handle
FR2723570B1 (fr) * 1994-08-10 1996-09-27 Seb Sa Dispositif pour fixer une queue a un recipient culinaire et recipient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2739772B1 (fr) * 1995-10-17 1997-12-26 Seb Sa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pour recipient
US5802960A (en) * 1997-11-26 1998-09-08 Graj & Gustavsen Ergonomic cookware
FR2788956B1 (fr) * 1999-01-28 2001-03-30 Seb Sa Ustensile culinaire a manche de prehension amovible
KR200166154Y1 (ko) * 1999-07-30 2000-02-15 남경호 조리용기의 접이식 손잡이
US6298775B1 (en) * 2001-04-06 2001-10-09 Ching-Fu Chen Pan with a foldable hand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834B1 (ko) * 2011-12-21 2013-11-28 이숙자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08081A (ja) 2004-03-18
US20030183088A1 (en) 2003-10-02
HK1058613A1 (en) 2004-05-28
DK1315440T3 (da) 2006-01-16
CA2421252A1 (en) 2002-03-14
DE60113280D1 (de) 2005-10-13
CN1173660C (zh) 2004-11-03
WO2002019882A1 (fr) 2002-03-14
EA004557B1 (ru) 2004-06-24
CA2421252C (en) 2008-02-26
CN1452469A (zh) 2003-10-29
EP1315440B1 (fr) 2005-09-07
US6666132B2 (en) 2003-12-23
ATE303745T1 (de) 2005-09-15
DE60113280T2 (de) 2006-07-06
AU2001289984B2 (en) 2006-06-08
ES2248392T3 (es) 2006-03-16
KR100785108B1 (ko) 2007-12-12
FR2813516A1 (fr) 2002-03-08
AU8998401A (en) 2002-03-22
EA200300208A1 (ru) 2003-10-30
JP4313569B2 (ja) 2009-08-12
FR2813516B1 (fr) 2002-12-27
EP1315440A1 (fr) 200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108B1 (ko)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US10959578B2 (en) Cookware article
US5887751A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JP3169455U (ja) 調理器具用取手
KR200323762Y1 (ko)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200264123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JP6955247B2 (ja) 調理器具の耳状保持部材のための脱着可能な把持具
JP2012080995A (ja) 調理容器用片手ハンドル
KR101842049B1 (ko) 분리가능한 조리 용기 홀딩 장치
KR101141739B1 (ko) 조리용기의 넘침 방지장치
KR100820908B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용 안전장치
EP4032443A1 (en) Device for heating food
KR200313874Y1 (ko) 용기 손잡이
KR101931980B1 (ko) 조리 용기의 연소방지 손잡이
KR0126953Y1 (ko) 가스오븐렌지용 오븐손잡이의 착탈장치
KR200297807Y1 (ko) 조리용기운반용 착탈식 단열 손잡이 구조
KR200278445Y1 (ko) 냄비용 손잡이 구조
JPH0748179Y2 (ja) 断熱調理器の調理用内鍋
KR200264122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910002631Y1 (ko) 구이용 화덕
JP2931886B2 (ja) 加熱調理機のグリル構造
KR930001182Y1 (ko) 남비 및 프라이팬 손잡이
JPH062098B2 (ja) 炊飯器
JP2001204624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