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879B1 -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879B1
KR102481879B1 KR1020210077438A KR20210077438A KR102481879B1 KR 102481879 B1 KR102481879 B1 KR 102481879B1 KR 1020210077438 A KR1020210077438 A KR 1020210077438A KR 20210077438 A KR20210077438 A KR 20210077438A KR 102481879 B1 KR102481879 B1 KR 10248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ing
handle
cooking vesse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984A (ko
Inventor
정명주
Original Assignee
정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주 filed Critical 정명주
Priority to KR102021007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8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구에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용기(21)의 테두리에 구성된 결합구(27)에 손잡이(11)에 구성된 결합홈(17)이 끼워져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착탈되도록 구성되되, 조리용기(21) 및 손잡이(11)의 착탈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COOKING PAN WITH DETACHABLE HANDLE}
본 발명은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구에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용기(21)의 테두리에 구성된 결합구(27)에 손잡이(11)에 구성된 결합홈(17)이 끼워져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착탈되도록 구성되되, 조리용기(21) 및 손잡이(11)의 착탈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냄비나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는 조리 과정에서 화구에 의해 가열된 조리용기를 다루기 위하여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조리용기의 손잡이는 화구의 화기에 가열되지 않도록 한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는데 이로 인한 부피로 인하여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실용신안등록 제200183391호와 같이 조리용기의 테두리를 집는 집게형 조리용기 손잡이로 조리용기에서 손잡이가 착탈되도록 구성하거나, 특허 제101545265호와 같이 조리용기에 구성된 브라켓에 손잡이가 착탈되는 손잡이 착탈형 조리용기가 개발되어 있는데, 집게형 조리용기 손잡이는 조리용기에 대한 지지력이 취약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착탈형 조리용기 손잡이도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손잡이(11) 착탈식 조리용기(21)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조리용기(21)에 대한 손잡이(11)의 지지력은 확보하면서도, 손잡이(11)의 착탈이 간편하여, 보관시 보관 공간을 최소로 차지하면서 편의성을 확보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간편하게 손잡이를 조리용기 착탈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에 있어서, 조리용기(21)의 테두리에는 손잡이(11)의 결합홈(17)과 맞닿도록 돌출된 결합구(27)가 구성되되, 결합구(27)에는 고리(15)가 체결되는 체결턱(25)이 형성된 체결편(28)이 구성되고, 손잡이(11)는 일측단에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끼워져 맞닿는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레버홈(12)이 형성되되, 레버홈(12)에 삽입된 레버(13)는 하부 중앙에 레버축(16)이 구성되고, 레버(13) 하부의 일측에는 체결턱(25)에 체결되는 고리(15)가 형성되며, 레버(13)의 고리(15) 타측과 레버홈(12) 사이에는 레버축(16)을 축으로 회동되는 레버(13)의 고리(15)가 하강 위치로 회동된 상태로 탄성있게 지지하는 스프링(14)이 구성되어,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손잡이(11)의 결합홈(17)이 맞닿도록 이동시키면, 레버(13)에 구성된 고리(15)가 체결턱(25)에 체결되면서 레버홈(12)과 결합구(27)가 맞닿아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결합되고, 레버(13)를 누르면 스프링(14)이 압축되면서 고리(15)가 체결턱(25)에서 이탈되어 조리용기(21)에서 손잡이(11)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와,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에 있어서, 조리용기(21)의 테두리에는 손잡이(11)의 결합홈(17)과 맞닿도록 돌출된 결합구(27)가 구성되되, 결합구(27)에는 고리(15)가 체결되는 체결턱(25)과 대응고리(35)가 체결되는 대응체결턱(26)이 형성된 체결편(28)이 구성되고, 손잡이(11)는 일측단에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끼워져 맞닿는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레버(13)와 대응고리(35)가 삽입되는 레버홈(12) 형성되되, 레버(13)는 하부 중앙에 레버축(16)이 구성되고, 레버(13) 하부의 일측에는 체결턱(25)에 체결되는 고리(15)가 형성되며, 레버(13)의 고리(15) 타측과 레버홈(12) 사이에는 레버축(16)을 축으로 고리(15)가 하강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탄성있게 지지하는 스프링(14)이 구성되며, 레버축(16)을 감싸는 레버(13)에는 대응기어(38)와 맞물리는 기어(18)가 형성되고, 고리(15) 하부의 대응고리(35)는 고리(15)와 대칭형으로 대응기어(38)를 축으로 회동도록 구성되되, 대응고리축(36)을 감싸는 대응고리(35) 외면에는 기어(18)와 맞물리는 대응기어(38)가 형성되어,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손잡이(11)의 결합홈(17)이 맞닿도록 이동시키면 레버(13)에 구성된 고리(15)가 체결턱(25)에 체결됨과 동시에 대응고리(35)가 대응체결턱(26)에 체결되면서 레버홈(12)과 결합구(27)가 맞닿아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결합되고, 레버(13)를 누르면 스프링(14)이 압축되면서 고리(15)가 체결턱(25)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대응고리(15)가 대응체결턱(26)에서 이탈되어 조리용기(21)에서 손잡이(11)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간단하게 착탈되되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비가 절감되고, 단순한 구성으로도 견고하게 간편하게 착탈되며, 손잡이 분리시 적은 공간에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주요부의 사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주요부의 사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 및 손잡이의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레버의 고리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레버의 고리가 체결편에 맞닿아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리가 체결턱에 체결되면서 조리용기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리가 체결턱에서 이탈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조리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 및 손잡이의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고리 및 대응고리가 체결판에 맞닿아 대칭으로 회동된 후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리가 체결턱에 체결되고 동시에 대응고리가 대응체결턱에 체결되면서 조리용기에 손잡이가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리가 체결턱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대응고리가 대응체결턱에서 이탈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조리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는 크게 조리용기(21)와 조리용기(21)에 체결되는 손잡이(11)로 구성되는데, 먼저 조리용기(21)에 대해 설명하면 조리용기(21)의 테두리 일측에는 손잡이(11)의 결합홈(17)에 삽입되어 맞닿도록 돌출된 결합구(27)가 구성되고, 결합구(27)에는 손잡이(11)의 레버(13)에 구성된 고리(15)가 체결되어 손잡이(11)가 조리용기(21)에 결합 되도록 체결턱(25)이 형성된 반원반 형태의 체결편(28)이 구성된다.
손잡이(11)는 일측단에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끼워져 맞닿는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손잡이(11)의 상부에는 레버(13)가 삽입되는 레버홈(12)이 형성된다.
레버홈(12)에 삽입된 레버(13)는 하부 중앙에 레버(13)가 시소처럼 회동되도록 레버축(16)이 구성되고, 레버(13) 하부의 결합구(17) 쪽에는 손잡이(11)가 조리용기(2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체결편(28)에 맞닿아 레버(13)를 회동시키다가 체결턱(25)에 체결되도록 안내면(19)이 형성된 고리(15)가 구성되며, 레버(13)의 고리(15) 타측과 레버홈(12) 사이에는 레버축(16)을 축으로 고리(15)가 하측으로 탄성있게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14)이 구성된다.
따라서 레버(13)는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레버축(16)을 축으로 하여 고리(15) 쪽의 레버(13)는 레버홈(12)에 삽입되고, 고리(15) 반대쪽의 레버(13)는 레버홈(12)에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8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3은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조리용기(21)의 테두리 일측에는 돌출된 결합구(27)가 구성되고, 결합구(27)에는 체결턱(25)이 형성된 체결편(28)이 구성되며, 손잡이(11)의 레버(13)는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레버축(16)을 축으로 하여 고리(15) 쪽 레버(13)는 레버홈(12)에 삽입되고, 스프링(14) 쪽 레버(13)는 레버홈(12)에서 돌출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를 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11)의 결합홈(17)에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가 삽입되도록 끼워넣으면 고리(15)의 안내면(19)이 체결편(28)과 맞닿아 고리(15)가 승강되면서 레버축(16)을 축으로 레버(13)가 회동되어 스프링(14)이 압축되고, 도 5에서와 같이 고리(15)의 하단이 체결편(28) 상부와 맞닿은 상태로 체결턱(25) 방향으로 손잡이(11)가 이동되다가,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고리(15)가 체결턱(25)에 위치되면 압축된 스프링(14)이 팽창되면서 레버축(16)을 축으로 레버(13)가 회동되어 고리(15)가 체결편(28)에 체결되고, 동시에, 결합홈(17)과 결합구(27)가 맞닿아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은 분리된 손잡이(11)의 일측을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로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결합되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반대로 조리용기(21)에서 손잡이(1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손잡이(11)의 레버홈(12)에 돌출된 레버(13) 부분을 누르면 스프링(14)이 압축되고 레버축(16)을 축으로 레버(13)가 회동되면서 고리(15)가 승강되어 체결턱(25)에서 이탈되는데, 도 8에서와 같이 손잡이(11)를 조리용기(21)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조리용기(21)에서 손잡이(11)가 간단히게 분리되므로 손잡이(11)의 착탈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착탈되되, 상기 구성의 손잡이(11)의 보다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도 9 내지 도 13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는 조리용기(21)와 손잡이(11)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조리용기(21)의 테두리 일측에는 손잡이(11)의 결합홈(17)이 삽입되어 맞닿도록 돌출된 결합구(27)가 구성되고, 결합구(27)에는 반원반 형태의 체결편(28)이 구성되며, 체결판의 상하면에는 각각 고리(15) 및 대응고리(35)의 체결에 의해 손잡이(11)가 조리용기(21)에 결합 되도록 체결턱(25) 및 대응체결턱(26)이 형성된다.
손잡이(11)는 일측단에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끼워져 맞닿는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손잡이(11)의 상부에는 레버(13) 및 대응고리(35)가 삽입되는 레버홈(12)이 형성된다.
레버홈(12)에 삽입된 레버(13)는 하부 중앙에 레버(13)가 시소처럼 회동되도록 레버축(16)이 구성되고, 레버(13) 하단의 결합홈(17) 쪽에는 고리(15)가 구성되는데, 고리(15)는 손잡이(11)가 조리용기(2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체결편(28)에 맞닿을 때, 레버(13)를 회동시키면서 체결턱(25)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레버(13)의 고리(15) 타측과 레버홈(12) 사이에는 레버축(16)을 축으로 고리(15)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레버(13)를 지지하는 스프링(14)이 구성되고, 레버축(16)을 감싸는 레버(13) 외면에는 대응고리(35)의 대응기어(38)와 맞물리는 기어(18)가 구성된다.
고리(15)의 하측에는 고리(15)와 대칭형태로 마주보는 대응고리(35)가 구성되는데, 대응기어(38)를 감싸는 대응고리(35) 외면에는 기어(18)와 맞물리는 대응기어(38)가 구성된다.
따라서 레버축(16)을 축으로 고리(15)가 회동될 때, 기어(18)와 맞물리는 대응기어(38)에 의해 대응고리(35)는 고리(15)와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9 및 도 11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서와 같이 조리용기(21)와 손잡이(11)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 10에서와 같이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를 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11)의 결합홈(17)에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가 삽입되도록 끼워넣으면, 고리(15)와 대응고리(35)가 체결편(28)에 동시에 맞닿아 고리(15)는 레버축(16)으르 축으로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레버(13)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4)을 압축시키고, 대응고리(35)는 대응기어축(36)을 축으로 하측으로 회동되는데, 이때 레버(13)의 기어(18)와 맞물린 대응고리(35)의 대응기어(38)에 의해 고리(15)와 대응고리(35)가 서로 대칭방향의 회동되어 고리(15)와 대응고리(35)가 벌어진 상태로 이동된다.
이후, 도 11에서와 같이 고리(15)는 체결턱(25)에 위치되고 대응고리(35)는 대응체결턱(26)에 위치되면 압축된 스프링(14)이 팽창되면서 레버축(16)을 축으로 레버(13)가 회동되고 동시에 레버(13)의 기어(18)와 맞물린 대응기어(38)에 의해 대응고리(35)는 대응기어(38)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고리(15)는 체결턱(25)에 체결되고 대응고리(35)는 대응체결턱(26)에 체결되며, 결합홈(17)과 결합구(27)가 맞닿아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체결턱(25)에 체결된 고리(15)와, 대응체결턱(26)에 체결된 대응고리(15)에 의해 체결력이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조리용기(21)에서 손잡이(1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손잡이(11)의 레버홈(12)에 돌출된 레버(13) 부분을 누르면 스프링(14)이 압축되고, 고리(15)는 레버축(16)을 축으로 레버(13)가 승강되어 체결턱(25)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대응고리(35)는 레버(13)의 기어(18)와 맞물린 대응기어(38)에 의해 대응기어(38)를 축으로 하강되어 대응체결턱(26)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도 13에서와 같이 손잡이(11)를 조리용기(21)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조리용기(21)에서 손잡이(11)가 간단히게 분리되므로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의 착탈이 매우 간편하다.
11 : 손잡이
12 : 레버홈
13 : 레버
14 : 스프링
15 : 고리
16 : 레버축
17 : 결합홈
18 : 기어
19 : 안내면
21 : 조리용기
25 : 체결턱
26 : 대응체결턱
27 : 결합구
28 : 체결편
35 : 대응고리
36 : 대응고리축
38 : 대응기어

Claims (2)

  1.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에 있어서,
    조리용기(21)의 테두리에는 손잡이(11)의 결합홈(17)과 맞닿도록 돌출된 결합구(27)가 구성되되, 결합구(27)에는 고리(15)가 체결되는 체결턱(25)과 대응고리(35)가 체결되는 대응체결턱(26)이 형성된 체결편(28)이 구성되고,
    손잡이(11)는 일측단에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끼워져 맞닿는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레버(13)와 대응고리(35)가 삽입되는 레버홈(12)이 형성되되, 레버(13)는 하부 중앙에 레버축(16)이 구성되고, 레버(13) 하부의 일측에는 체결턱(25)에 체결되는 고리(15)가 형성되며, 레버(13)의 고리(15) 타측과 레버홈(12) 사이에는 레버축(16)을 축으로 고리(15)가 하강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탄성있게 지지하는 스프링(14)이 구성되며, 레버축(16)을 감싸는 레버(13)에는 대응기어(38)와 맞물리는 기어(18)가 형성되고,
    고리(15) 하부의 대응고리(35)는 고리(15)와 대칭형으로 대응기어(38)를 축으로 회동도록 구성되되, 대응고리축(36)을 감싸는 대응고리(35) 외면에는 기어(18)와 맞물리는 대응기어(38)가 형성되어,
    조리용기(21)의 결합구(27)에 손잡이(11)의 결합홈(17)이 맞닿도록 이동시키면 레버(13)에 구성된 고리(15)가 체결턱(25)에 체결됨과 동시에 대응고리(35)가 대응체결턱(26)에 체결되면서 레버홈(12)과 결합구(27)가 맞닿아 조리용기(21)에 손잡이(11)가 결합되고, 레버(13)를 누르면 스프링(14)이 압축되면서 고리(15)가 체결턱(25)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대응고리(15)가 대응체결턱(26)에서 이탈되어 조리용기(21)에서 손잡이(11)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2. 삭제
KR1020210077438A 2021-06-15 2021-06-15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KR10248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38A KR102481879B1 (ko) 2021-06-15 2021-06-15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38A KR102481879B1 (ko) 2021-06-15 2021-06-15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84A KR20220167984A (ko) 2022-12-22
KR102481879B1 true KR102481879B1 (ko) 2022-12-26

Family

ID=8454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438A KR102481879B1 (ko) 2021-06-15 2021-06-15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8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108B1 (ko) * 2000-09-04 2007-12-12 데지아 도단느 쟝 에 아쏘씨에 데지아 크리스뗄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KR101403653B1 (ko) * 2012-11-30 2014-06-05 문제구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108B1 (ko) * 2000-09-04 2007-12-12 데지아 도단느 쟝 에 아쏘씨에 데지아 크리스뗄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KR101403653B1 (ko) * 2012-11-30 2014-06-05 문제구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84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751A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US20150201801A1 (en)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JP2003503087A (ja) 取り外しできる取っ手を備えている料理用具
KR102481879B1 (ko)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기
US67639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upporting a utensil cover
WO2021088716A1 (zh) 一种可放置锅铲的平底锅
US3939760A (en) Percolator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EP3213664B1 (en) Cooking vessel having detachable handle
KR101377823B1 (ko) 주방용품 받침
KR102117899B1 (ko) 기능성 손잡이를 갖는 프라이팬
US4029940A (en) Percolator
CN211270129U (zh) 一种炒菜机
WO2012150496A1 (en) A controlled emptying kitchen saucepan
US2822747A (en) Skillet
KR20230138658A (ko) 조리용냄비 뚜껑 손잡이 구조
US3926333A (en) Percolator top fastening means
CN208318996U (zh) 一种多功能锅盖
CN213605769U (zh) 一种使用寿命长的炒锅
JPS6035463Y2 (ja) 鍋の蓋と杓子受スタンド
CN210433344U (zh) 带有多功能提手的锅盖
CN216932860U (zh) 连接组件和烹饪器具
CN218738427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N210643716U (zh) 一种咖啡壶
CN210018965U (zh) 液体加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