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834B1 -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 Google Patents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834B1
KR101333834B1 KR1020110139453A KR20110139453A KR101333834B1 KR 101333834 B1 KR101333834 B1 KR 101333834B1 KR 1020110139453 A KR1020110139453 A KR 1020110139453A KR 20110139453 A KR20110139453 A KR 20110139453A KR 101333834 B1 KR101333834 B1 KR 101333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handle
cove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949A (ko
Inventor
이숙자
Original Assignee
이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자 filed Critical 이숙자
Priority to KR102011013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8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1)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부착되는 탈착손잡이(50)가 구성되고, 상기 탈착손잡이(50)는, 상기 용기(10)의 측방으로 부착되는 삽입판(100)과, 상기 삽입판(100)에 탈착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판(100)은 관통되는 홀(110)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속에 내장되어 상기 홀(110)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용기(10)가 뜨겁게 달구어진 상태에서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맨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Pan having desorption handle}
본 발명은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부착되는 삽입판과, 상기 삽입판에 탈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므로, 데워진 냄비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관한 것이다.
냄비(1, 프라이팬도 포함)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측방에 달린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용기(10)에 넣고 가열하여 조리한 후, 상기 손잡이(20)를 잡고서 들어올린 후, 식탁으로 옮기게 된다.
상기 배경 기술에 의한 용기가 가열되면 손잡이도 열전도 되어 화상을 입을 만큼 뜨겁게 달구어지므로 맨손으로는 손잡이를 잡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주나 수건으로 손잡이를 씌운 후, 상기 손잡이를 잡든지, 장갑을 착용하고 상기 손잡이를 잡고 들어올리게 된다.
그러나, 행주나 수건 내지는 장갑도 고열이 전도되어 손에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상기 행주나 수건 내지는 장갑이 연소하면서 타는 냄새가 발생하게 되어 식탁에서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행주나 수건 내지는 장갑은 직물지이기 때문에 난슬립 수단이 강구되지 않은 관계로 냄비 손잡이를 잡았을 때, 냄비가 손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므로 조리된 음식물로 인해서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용기의 측방으로 튀어나온 관계로 야영이나 이사를 목적으로 이동할 때에 수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측면에 부착되는 탈착손잡이가 구성되고, 상기 탈착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측방으로 부착되는 삽입판과, 상기 삽입판에 탈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판은 관통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속에 내장되어 상기 홀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판의 홀에 끼워지기도 하고 빠지기도 하는 공이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공이가 상기 삽입판의 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도록 하는 해제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해제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형인 상기 바닥판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관통된 슬로트와, 상기 슬로트의 후방 종단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후방(길이방향의 중심 이후의 임의지점)에 형성된 노치와, 상기 측판에서 전방(길이방향의 중심 이전의 임의지점)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되고 후술하는 안내바가 끼워지는 안내홀과, 상기 측판에 형성되고 좌우로 관통되고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버튼의 돌기가 끼워지는 슬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홀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홀과, 상기 수직홀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이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방의 좌우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치에 삽입되는 돌기와, 상기 커버의 전방 종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는 걸림부와, 상기 커버에 관통되어 형성된 슬로트와,상기 슬로트의 후방 종단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이 수용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홀에 끼워지며 상기 커버의 상면에 위치하는 안내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슬로트의 길이방향의 변이 끼워지도록 측방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인 슬라이더와, 상기 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압박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전방에서 손으로 누르는 판 형상으로서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좌우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로트에 끼워지는 돌기와, 상기 커버판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바의 종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돌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걸림홈과, 상기 누름판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압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는, 용기가 뜨겁게 달구어진 상태에서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맨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판을 짧게 설계한다면, 손잡이를 분리한 상태에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야영이나 이사 때문에 배낭이나 박스에 수용하기가 쉬운 효과가 있다. 물론, 찬장에 수용할 때에도 손잡이를 분리하여 용기에 넣게 된다면 적은 부피로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삽입판과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삽입판과 손잡이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작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작동부를 절개하여 삽입판이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삽입판이 작동부로 진입하여 레버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프레임에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버튼을 눌러서 잠김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삽입판과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삽입판과 손잡이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작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에 구성되는 작동부를 절개하여 삽입판이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삽입판이 작동부로 진입하여 레버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프레임에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버튼을 눌러서 잠김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1)로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탈착손잡이(50)를 부착하여 구성하므로, 데워진 냄비(1)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탈착손잡이(50)는, 상기 용기(10)의 측방으로 부착되는 삽입판(100)이 구성되며, 상기 삽입판(100)에 탈착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판(100)은 관통되는 홀(110)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속에 내장되어 상기 홀(110)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형의 바닥판(311)과, 상기 바닥판(311)의 길이방향의 좌우측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316)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임(3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310)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판(100)의 홀(110)에 끼워지기도 하고 빠지기도 하는 공이(3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0)에 장착되어 상기 공이(320)가 상기 삽입판(100)의 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도록 하는 해제수단(330)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310)에 장착되어 상기 해제수단(330)이 작동되도록 하는 버튼(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10)은, 상기 바닥판(31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관통된 슬로트(313)가 구성되고, 상기 슬로트(313)의 후방 종단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압축스프링(333)이 끼워지는 돌기(31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316)의 상단에서 후방(길이방향의 중심 이후의 임의지점)에 형성된 노치(317)가 구성되며, 상기 측판(316)에서 전방(길이방향의 중심 이전의 임의지점)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되고 후술하는 안내바(328)가 끼워지는 안내홀(31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316)에 형성되고 좌우로 관통되어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노치(317)와 상기 안내홀(319) 사이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상기 버튼(340)의 돌기(345)가 끼워지는 슬로트(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홀(319)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홀(T)과, 상기 수직홀(T)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홀(S)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ㄴ형상이 된다. 상기 수직홀(T)에서 전방을 향하는 전방변(K)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전진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안내바(328)가 용이하게 상기 전방변(K)을 따라 하강한 후, 수평홀(S)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이(320)는, 상기 프레임(310)의 상부를 덮는 판 형상의 커버(321)와, 상기 커버(321)의 후방의 좌우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치(317)에 삽입되는 돌기(32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21)의 전방 종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판(100)의 홀(110)에 삽입되는 걸림부(32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321)에 관통되어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로트(324)와, 상기 슬로트(324)의 후방 종단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압축스프링(326)이 끼워지는 돌기(32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325)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326)이 구성되며, 상기 압축스프링(326)이 수용되는 파이프(327)와, 상기 파이프(327)의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홀(319)에 끼워지는 안내바(3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바(328)는 상기 커버(321)의 상면에 위치하여 압축스프링(326)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해제수단(330)은, 상기 슬로트(313)의 길이방향의 양쪽 대응되는 변(L)이 끼워지도록 양 측방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인 슬라이더(33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315)에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더(331)를 전방으로 압박하는 압축스프링(3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331)의 후방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으로 압축스프링(333)이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슬라이더(331)의 후방으로 상기 압축스프링(333)이 끼워지는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331)는 상기 바닥판(311)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판(110)의 전방종단부에 맞닿아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튼(340)은, 상기 프레임(310)의 전방을 가리는 판 형상으로서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311)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누름판(34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341)의 좌우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316)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커버판(343)이 구성되며, 상기 커버판(343)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로트(314)에 끼워지는 돌기(34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34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331)를 가압하는 압축판(3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누름판(34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210)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3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349)는 손가락으로 눌러서 버튼(340)을 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판(343)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바(328)의 종단부(G)가 수용되고 상기 돌기(345)의 전방에 위치하는 걸림홈(346)이 구성된다. 상기 걸림홈(346)은 압축판(347)이 슬라이더(331)에 밀려서 버튼(340)이 전진한 상태에서, 안내바(328)가 수직홀(T)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안내바(328)의 종단부(G)를 수용하며,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331)가 후진하여 안내바(328)가 하강하면서 전진하므로 수평홀(S)의 전방 종단부에 상기 안내바(328)가 걸려 있더라도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바(328)가 하강한 상태에서 버튼(340)을 후방으로 누르게 되면, 걸림홈(346)의 전방 종단부가 안내바(328)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수직홀(T)의 상부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작동부(300)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것으로서 열전도율이 낮은 내열성의 합성수지 내지는 목재 등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1)로부터 손잡이(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에 식재를 넣은 후 열을 가해서 조리한다. 상기 손잡이(200)를 분리하는 이유는 용기(10)가 가열될 때 열전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조리가 끝나면 상기 손잡이(200)에서 버튼(340)의 하부로 상기 삽입판(100)이 끼워지도록 한다. 그러면, 삽입판(100)의 전방 종단부가 상기 슬라이드(331)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압축스프링(333)을 후방으로 압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바닥판(311)에 형성된 슬로트(313)의 전방은 슬라이드(331)가 후진한 상태이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공이(320)에 장착된 압축스프링(326)이 파이프(327)를 전방으로 밀어붙이므로 상기 안내바(328)는 상기 안내홀(319)의 수직홀(T)의 전방변(K)을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변(K)은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전진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안내바(328)는 용이하게 하강하게 되며 나중에는 수평홀(S)의 전방까지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안내바(328)가 하강하므로 상기 커버(321)를 누르게 되므로 상기 걸림부(323)는 삽입판(100)의 홀(11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331)는 상기 걸림부(323)에 차단되어 전방 이송이 저지된다. 상기 공이(320)는 돌기(322)가 상기 측판(316)의 노치(317)에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상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삽입판(100)에 손잡이(200)가 조합되면, 상기 손잡이(200)를 잡고서 용기(10)를 들어올려서 원하는 위치로 옮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판(100)은 열전도 되어 뜨거운 상태이지만, 손잡이(200)에 의해서 열전도가 차단되므로 맨손으로 손잡이(200)를 잡고서 용기(10)를 옮길 수 있다.
상기 용기(10)에서 손잡이(20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버튼(340)을 후방으로 누른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349)를 손가락으로 누른 후 후방으로 당길 수도 있고, 상기 누름판(341)을 후방으로 누를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커버판(343)에 형성된 돌기(345)가 상기 측판(316)의 슬로트(314)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걸림홈(346)의 전방 종단부가 안내바(328)의 종단부(G)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압축스프링(326)은 압축되면서 상기 파이프(327)에, 상기 슬로트(324)에 형성된 돌기(325)가 끼워진다.
그리고, 안내바(328)는 후방으로 밀려서 수직홀(T)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326)의 팽창력에 의해서 파이프(327)는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돌기(325)가 끼워진 관계로 커버(321)도 들어올리게 되어, 상기 걸림부(323)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상기 삽입판(100)의 홀(110)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삽입판(100)으로부터 손잡이(200)를 이탈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331)가 압축스프링(333)의 팽창력에 의해 전진하면 서 상기 걸림부(323)를 받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10)가 뜨겁게 달구어진 상태에서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맨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삽입판(100)을 짧게 설계한다면, 손잡이(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야영이나 이사 때문에 배낭이나 박스에 수용하기가 쉬운 이점이 있다. 물론, 찬장에 수용할 때에도 손잡이(200)를 용기(10)에 넣게 된다면 적은 부피로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1: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10: 용기
50: 탈착손잡이 100: 삽입판
110: 홀 200: 손잡이
210: 하우징 300: 작동부
310: 프레임 311: 바닥판
313: 슬로트 315: 돌기
316: 측판 317: 노치
314: 슬로트 319: 안내홀
T: 수직홀 K: 전방변
S: 수평홀 320: 공이
321: 커버 322: 돌기
323: 걸림부 324: 슬로트
325: 돌기 326: 압축스프링
327: 파이프 328: 안내바
G: 종단부 330: 해제수단
331: 슬라이더 333: 압축스프링 340: 버튼 341: 누름판 343: 커버판 345: 돌기 346: 걸림홈 347: 압축판 349: 상부커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부착되는 탈착손잡이(50)가 구성되고,
    상기 탈착손잡이(50)는, 상기 용기(10)의 측방으로 부착되는 삽입판(100)과,
    상기 삽입판(100)에 탈착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판(100)은 관통되는 홀(110)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속에 내장되어 상기 홀(110)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300)는, 바닥판(311)과 상기 바닥판(311)의 좌우측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316)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판(100)의 홀(110)에 끼워지기도 하고 빠지기도 하는 공이(320)와,
    상기 프레임(310)에 장착되어 상기 공이(320)가 상기 삽입판(100)의 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도록 하는 해제수단(330)과,
    상기 프레임(310)에 장착되어 상기 해제수단(330)이 작동되도록 하는 버튼(3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310)은,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형인 상기 바닥판(31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관통된 슬로트(313)와,
    상기 슬로트(313)의 후방 종단부에 형성된 돌기(315)와,
    상기 측판(316)의 상단에서 후방(길이방향의 중심 이후의 임의지점)에 형성된 노치(317)와,
    상기 측판(316)에서 전방(길이방향의 중심 이전의 임의지점)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관통되고 후술하는 안내바(328)가 끼워지는 안내홀(319)과,
    상기 측판(316)에 형성되고 좌우로 관통되고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버튼(340)의 돌기(345)가 끼워지는 슬로트(3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홀(319)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홀(T)과,
    상기 수직홀(T)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홀(S)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이(320)는 상기 프레임(310)의 상부를 덮는 커버(321)와,
    상기 커버(321)의 후방의 좌우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노치(317)에 삽입되는 돌기(322)와,
    상기 커버(321)의 전방 종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홀(110)에 삽입되는 걸림부(323)와,
    상기 커버(321)에 관통되어 형성된 슬로트(324)와,
    상기 슬로트(324)의 후방 종단부에 형성된 돌기(325)와,
    상기 돌기(325)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이 수용되는 파이프(327)와,
    상기 파이프(327)의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홀(319)에 끼워지며 상기 커버(321)의 상면에 위치하는 안내바(32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제수단(330)은, 상기 슬로트(313)의 길이방향의 변(L)이 끼워지도록 측방으로 홈이 형성된 블록인 슬라이더(331)와,
    상기 돌기(315)에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더(331)를 전방으로 압박하는 압축스프링(3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31)는 상기 바닥판(311)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튼(340)은 전방에서 손으로 누르는 판 형상으로서 상기 바닥판(311)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누름판(341)과,
    상기 누름판(341)의 좌우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316)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커버판(343)과,
    상기 커버판(343)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로트(314)에 끼워지는 돌기(345)와,
    상기 커버판(343)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바(328)의 종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돌기(345)의 전방에 위치하는 걸림홈(346)과,
    상기 누름판(34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331)를 가압하는 압축판(34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34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210)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34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KR1020110139453A 2011-12-21 2011-12-21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KR101333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53A KR101333834B1 (ko) 2011-12-21 2011-12-21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53A KR101333834B1 (ko) 2011-12-21 2011-12-21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49A KR20130071949A (ko) 2013-07-01
KR101333834B1 true KR101333834B1 (ko) 2013-11-28

Family

ID=4898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453A KR101333834B1 (ko) 2011-12-21 2011-12-21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7727A (zh) * 2019-03-05 2019-05-07 北京黄记煌餐饮管理有限责任公司 一种金属与石材复合锅及其烹饪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427A (ko) * 2000-09-04 2003-06-12 데지아 도단느 쟝 에 아쏘씨에 데지아 크리스뗄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427A (ko) * 2000-09-04 2003-06-12 데지아 도단느 쟝 에 아쏘씨에 데지아 크리스뗄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49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246B2 (en) Removable toaster basket with handle
US11399665B2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US7744026B2 (en) Food mill including a removable blade assembly
KR100971872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101312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EP2859819A1 (en) Dispensing device of capsule coffee machine
KR20110137493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30096845A (ko) 분리 가능한 가압 냄비 손잡이
KR101388869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33834B1 (ko) 탈착손잡이가 부착된 냄비
KR101570707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10000210U (ko) 조리용기 손잡이
EP3399894A1 (en) A toaster
KR102227627B1 (ko) 탈부착형 손잡이
US6230702B1 (en) Baking oven with adjustable baking space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CN2794395Y (zh) 锅具之分离式锅把结构
KR101644365B1 (ko) 프라이팬용 착탈식 손잡이
KR100429416B1 (ko) 그릴
KR20100028676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JP3235375U (ja) 電気加熱調理器
KR101600412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및 조리용구
KR102340273B1 (ko) 조리용기 손잡이
KR20160075283A (ko)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KR20130008276A (ko)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