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276A -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276A
KR20130008276A KR1020110068928A KR20110068928A KR20130008276A KR 20130008276 A KR20130008276 A KR 20130008276A KR 1020110068928 A KR1020110068928 A KR 1020110068928A KR 20110068928 A KR20110068928 A KR 20110068928A KR 20130008276 A KR20130008276 A KR 20130008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handle
gripper
water pump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하배
Original Assignee
임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하배 filed Critical 임하배
Priority to KR102011006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8276A/ko
Publication of KR2013000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 방지구조를 갖는 양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물의 동결로 인하여 양수기를 구성하는 챔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파 방지구조를 갖는 양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파 방지구조를 갖는 양수기는, 챔버의 내부에 내벽과 간격을 두고 합성수지와 같이 연성을 갖는 재질로 하부가 개방된 수조를 구성하되, 그 하단에는 양수기 본체와 챔버 사이에 밀폐를 위해 가스켓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며, 본 발명에 의한 동파 방지구조를 갖는 양수기에 의하면, 챔버의 내부에 합성수지와 같은 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수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의 내부에 물이 결빙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경우에도 챔버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양수기 본체와 챔버 사이에 밀폐를 위해 가스켓을 수조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된 동파 방지구조를 갖는 양수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Removable handle of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탈부착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구성하는 파지구를 전후로 작동시키는 구조와, 상기 파지구를 해제시 2단으로 해제되도록 구성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냄비나 프라이팬 등 조리용기에는 사용자가 가열된 조리용기를 쉽게 들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에 부착된 손잡이는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고온으로 장시간 가열하게 되면, 고온의 열이 손잡이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손에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행주나 조리용 장갑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세척시 그 손잡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어 위생상 불결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조리용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조리용기와 별도로 제작하여 필요할 때 조리용기에 착탈시켜 사용하는 착탈식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착탈식 손잡이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파지구를 작동시키는 구조에서 손잡이 하부에 집게식으로 설치된 레버가 작동하여 조리용기를 집어 고정시킬 때 많은 힘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지구를 캠의 원리로 이동시켜 조리용기를 집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캠의 마모에 의해서 파지구 상호 간에 간격이 벌어지기 때문에 손잡이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작동이 잘되지 않는 등 사용시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에서 손잡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파지구를 해제할 때 단번에 해제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버를 돌려주면 파지구가 당겨지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나 스프링을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설치하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파지구를 2단으로 제어하는 구성도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용기 착탈식 손잡이를 구성하는 파지구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간편하게 그리고, 파지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적은 힘으로 파지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며,
또한, 파지구를 해제할 때 파지구가 2단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시 안전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와 상부 커버 사이에 파지구를 갖는 슬라이드편과 상기 슬라이드편을 이동시키는 레버와 견인로드로 구성된 파지구 작동부와, 슬라이드편의 일측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2단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파지구 해제 버턴을 설치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에 의하면, 조리용기에 탈부착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구성하는 파지구를 전후로 작동시키는 구조가 간결하고, 적은 힘으로 파지구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향상시켰기 때문에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 후에 파지구를 해제할 때 파지구가 2단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시 안전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이의 구성을 보인 시시도
도 2는 착탈식 손잡이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착탈식 손잡이 파지구 및 해제 버턴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4는 착탈식 손잡이의 파지구가 당겨진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착탈식 손잡이의 파지구가 1차 해제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착탈식 손잡이의 파지구가 2차 해제된 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22)와 상부 커버(20) 사이에 파지구(1)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편(2)이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드편(2)의 가운데 가이드홈(3)이 형성되어 가이드축(4)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편(2)의 후미에 형성된 축핀(8)에는 견인로드(6)를 움직이게 설치하여 센터축(7)에 지렛대 원리로 설치된 레버(30)에 형성된 축핀(8')에 연결되고 센터축(7)과 축핀(8)에는 슬라이드편이 스프링의 탄성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편(2)의 사이드에는 걸림홈(9)이 형성되어 손잡이 본체(22)에 축핀으로 움직이게 설치되고 스프링(12)에 의해서 상하로 작동하는 버턴(10)의 걸림턱(11)이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손잡이 본체에 형성된 파지면, 51은 미끄럼방지용 패드, 52는 조리용기를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는, 최초에 손잡이 본체(22)와 상부 커버(20) 사이에 설치된 파지구(1)가 전진된 상태에서 조리용기(52)를 집게 되는 것인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파지구(1)가 전진되어 손잡이 본체에 형성된 파지면(5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파지구와 파지면 사이에 조리용기(52)의 상부를 넣고, 센터축(7)에 지렛대 원리로 설치된 레버(30)를 당겨준다.
그러면, 견인로드(6)가 레버와 같이 원호를 그리며 당겨지고 여기에 축핀으로 연결되고, 파지구(1)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편(2)이 같이 당겨지면서 조리용기(52)를 집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편(2)에 형성된 가이드홈(3)은 가이드축(4)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좌우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정확하게 이동하며, 이때 센터축(7)과 축핀(8)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은 오므려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편(2)의 사이드에 형성된 걸림홈(9)이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버턴(10)의 걸림턱(11)을 지난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조리용기에 손잡이를 고정시켜 사용하고 난 후, 조리용기에서 손잡이를 분리코자 할 때 레버(30)을 약간 밀어주면, 센터축(7)과 축핀(8)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이 벌려진다.
이때 버턴(10)을 구성하는 걸림턱(11)이 슬라이드편(2)에 형성된 걸림홈(9)의 내측에 걸려지게 되므로 슬라이드편(2)이 일정거리 전진하고, 더 이상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편(2)을 최대한 전진시키고자하면 버턴(10)을 눌러준다.
그러면, 손잡이 본체(22)에 축핀으로 움직이게 설치되고 스프링(12)에 의해서 상하로 작동하는 버턴(10)이 하강하여 버턴에 형성된 걸림턱(11)이 슬라이드편(2)에 형성된 걸림홈(9)에서 완전히 빠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턱(11)이 걸림홈(9)에서 완전히 빠지게 되면, 센터축(7)과 축핀(8) 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의 힘을 통제할 수단이 없어지게 되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의 힘이 슬라이드편(2)에 전달되어 슬라이드편을 완전히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1: 파지구 2: 슬라이드편
3: 가이드홈 4: 가이드축
6: 견인로드 7: 센터축
8,8': 축핀 9: 걸림홈
10: 버턴 11: 걸림턱
30: 레버

Claims (2)

  1. 손잡이 본체(22)와 상부 커버(20) 사이에 파지구(1)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편(2)이 설치되되, 슬라이드편(2)의 가운데 가이드홈(3)이 형성되어 가이드축(4)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편(2)의 후미에 형성된 축핀(8)과 견인로드(6)를 움직이게 설치하여 센터축(7)에 지렛대 원리로 설치된 레버(30)에 형성된 축핀(8')에 연결되고, 센터축(7)과 축핀(8) 사이에는 슬라이드편이 스프링의 탄성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편(2)의 사이드에는 걸림홈(9)이 형성되어 손잡이 본체(22)에 축핀으로 움직이게 설치되고, 스프링(12)에 의해서 상하로 작동하는 버턴(10)의 걸림턱(11)이 걸림홈(9)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KR1020110068928A 2011-07-12 2011-07-12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KR20130008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28A KR20130008276A (ko) 2011-07-12 2011-07-12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28A KR20130008276A (ko) 2011-07-12 2011-07-12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276A true KR20130008276A (ko) 2013-01-22

Family

ID=4783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928A KR20130008276A (ko) 2011-07-12 2011-07-12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2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29Y1 (ko) * 2012-08-13 2014-05-29 임하배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210093564A (ko) * 2020-01-20 2021-07-28 임하배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29Y1 (ko) * 2012-08-13 2014-05-29 임하배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210093564A (ko) * 2020-01-20 2021-07-28 임하배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35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12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JP2011513025A (ja)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KR101085764B1 (ko) 조리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손잡이
KR101399364B1 (ko) 락수단이 구비된 조리용 냄비
KR101316339B1 (ko) 구이판 이동구가 구비된 구이기
CA3073324A1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KR101388869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30008276A (ko)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KR101570707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20120024165A1 (en) Side door switching mechanism for a toaster
KR101268172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120004039A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2227627B1 (ko) 탈부착형 손잡이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JP2013215390A (ja) 着脱可能な料理用容器のハンドル
JP3154486U (ja) 圧力鍋
KR200457146Y1 (ko)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100028676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20060102594A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KR20130047085A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