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784A -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784A
KR20030044784A KR1020020066052A KR20020066052A KR20030044784A KR 20030044784 A KR20030044784 A KR 20030044784A KR 1020020066052 A KR1020020066052 A KR 1020020066052A KR 20020066052 A KR20020066052 A KR 20020066052A KR 20030044784 A KR20030044784 A KR 20030044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valve
pressure
chamber
coi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604B1 (ko
Inventor
쿠메요시유키
오키이토시키
이마이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67630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13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345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2893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3004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3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4Extern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서 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감압부의 감도조절수단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밸브본체(120)와 솔레노이드 여자부(130) 및 벨로우즈(146)를 가진 감압부(145)를 구비한다. 감압부(145)는 감압부를 지지하는 흡인자(141)에 대해 진퇴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나사(157)가 있으며, 벨로우즈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180)에 설치된 계합부(181)에 조절나사(157)를 걸어맞춤하여 조작한다. 또한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에 대한 코일 어셈블리(180)를 코킹함에 있어서, 코일 어셈블리에 설치된 링장착 오목부(183)에 O-링(190)을 설치하지만, 코일 어셈블리(180)의 회전조작시에는 O-링(19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s}
본 발명은 차량 등의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토출압 영역에서 크랭크실 내에서 냉매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고 감압부에 있어서의 감도조절 설정수단에 특징을 갖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린더, 피스톤, 경사판 등을 구비한 가변용량형 압축기는, 예컨데 일본특허공개번호 특개평9-26897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냉매가스를 압축, 토출시키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는 토출압 영역과 크랭크실을 연통하는 냉매가스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을 조정함에 의해 경사판의 경사각도를 변경시켜 토출용량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크랭크실 내의 압력조정은 냉매가스 통로의 도중에 설치된 제어밸브의 열림정도의 조정에 의해, 상기 토출압 영역에서 상기 크랭크실 내로 고압의 압축 냉매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로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출원번호 2001-108951호(평성13년 4월 6일 출원, 이하 '선원발명'이라 한다)에서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원발명(후술한다)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여러가지 작용효과가 있지만, 감압부에 있어서의 감도조절은 조절나사(adjusting screw)의 머리부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에 공구(드라이버)를 맞대어 회전조작하는 수단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단에 의하면 많은 제어밸브를 공구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은 제어밸브마다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하며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관한 선원발명에있어서, 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감압부의 감도조절수단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감도조절수단을 채용함과 더불어 감도조절후의 시일(seal)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선원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의 토출통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 는 도 1의 가변용량 압축기의 토출통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 은 도 1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확대 종단면도,
도 4 는 도 3의 제어밸브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 5 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종단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어밸브의 주요 종단면도,
도 6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어밸브의 주요 상세도,
도 7a 는 도 6에 도시한 제어밸브의 정면도,
도 7b 는 도 6에 도시한 제어밸브의 측면도,
도 7c 는 도 6에 도시한 제어밸브의 저면도,
도 8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별도예인 제어밸브의 요부 종단면도,
도 8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별도예인 제어밸브의 요부 상세도,
도 9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
도 9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s : 흡입압력Pc : 크랭크실 압력
Pd : 토출압력
1 : 가변용량형 압축기1a : 토출구
1b : 암나사2 : 실린더블럭
2a : 밸브플레이트3 : 리어하우징
4 : 프런트하우징5 : 샤프트(회전축)
6 : 실린더보아7 : 피스톤
8 : 크랭크실9 : 링(환상체)
10 : 경사판10a : 슬라이딩면
10b : 보스부10c : 프런트면
10e : 브라켓10f : 직선상 가이드홈
11 : 커넥팅로드11a : 일단부
11b : 타단부12 : 토출실
13 : 흡입실15 : 흡입포트
16 : 토출포트17 : 토출밸브
18 : 밸브누르개19 : 보울트
20 : 너트21 : 흡입밸브
24 : 레이디얼 베어링(리어측베어링)
25 : 트러스트 베어링(리어측베어링)
26 : 레이디얼 베어링(프런트측베어링)
31 : 스풀밸브(토출제어밸브)32 : 스프링(가압부재)
33 : 내부공간33a : 트러스트 베어링
34 : 통로39 : 토출통로
39a, 39b : 통로40 : 트러스트 플랜지
40a : 경사판측 측면41 : 힌지기구
43 : 로드43a : 구상부
45 : 나사46 : 샤프트 시일
50 : 슈우51 : 슈우몸체
52 : 와셔53 : 리테이너
54 : 스토퍼55 : 레이디얼 베어링
56 : 스토퍼57 : 제2통로
58 : 제1통로58a : 오리피스(제2 오리피스)
58b : 통로58c : 구멍
59 : 캡60 : 제3통로
60a : 통로60b : 프런트베어링 수용공간
60c : 통로60d : 리어베어링 수용공간
61 : 암나사62 : 스크류
62a : 오리피스(제1 오리피스)80, 81 : 통로
82 : 압축실83 : 조절너트
84, 85 : 공간(흡입압력도입공간)88 : 콘덴서
100 : (가변용량형압축기용의)제어밸브120 : 제어밸브본체
121a, 121b : O-링121c : 나사멈춤부
123 : 밸브실124 : 스토퍼
125 : 밸브공125a : 밸브시트
126 : 토출냉매포트127 : 밸브닫힘스프링
128 : 크랭크실냉매포트129 : 흡입냉매포트
130 : 솔레노이드 여자부130a : 플런저실
131 : 솔레노이드 하우징131A : 솔레노이드
131a : 돌출부131b : O-링
132 : 밸브체132a : 상부
132b : 확대 밸브체부132c : 세경부
132d : 하부133 : 플런저
133a : 슬릿134a : O-링
134b : 패킹136 : 파이프
137 : 수용공138 : 밸브스템
138A : 상부138B : 하부
139 : 공극부140 : 밸브스템
141 : 지지틀(흡인자)141b : 통형상부
141c : 덮개부142 : 상단부수용공
143 : 하단부수용공144 : 밸브열림 스프링
145 : 감압부145a : 감압실
146 : 벨로우즈(감압체)147, 148 : 스토퍼
149 : 플랜지150 : 스프링
151 : 압력실151a : 스프링수납실
153 : 횡공155 : 캔슬공
156 : 스페이서157 : 조절나사
157b : 드라이버홈158 : 코드
159 : 스프링161 : 솔레노이드 하우징
161a : 후부161b : 절곡부
161c : 덮개부180 : 코일어셈블리
181 : 계합부181a : 걸어맞춤멈춤턱
182 : 컨넥터183 : 링 장착오목부
190 : O-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밸브본체와 솔레노이드 여자부 및 감압체를 가진 감압부를 구비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감압부 지지틀에 대해 진퇴조절되도록 설치된 조절나사에 의해 상기 감압체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구성하는 코일 어셈블리에 부설한 계합부(係合部)를 조절나사에 계합시켜 상기 조절나사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컨넥터를 합성수지에 의해 코일 어셈블리에 일체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감압체로서 벨로우즈를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감압부 지지틀은 흡인자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흡인자에 대해 진퇴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나사에 의해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흡인자에 대해, 코일 어셈블리 또는 컨넥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밸브는 제어밸브본체와 솔레노이드 여자부 및 감압체를 가진 감압부를 구비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감압부지지틀에 대해 진퇴조절되도록 설치된 조절나사에 의해 상기 감압체의 감도를 조절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구성하는 코일 어셈블리에 부설한 계합부를 조절나사에 계합시켜 조절나사를 조작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외주에 솔레노이드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하우징에 O-링을 개재하여 코일 어셈블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코일 어셈블리의 외주에 단면 절결상의 링장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링장착 오목부에 대향한 솔레노이드 하우징에는 그 단부에 절곡부를 개재한 덮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 코일 어셈블리 쪽으로 들어간 돌출부를 복수개 형성하여, 코일 어셈블리에 대해 회전방지구로써 견고히 계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에서 상기 감압부 지지틀은 흡인자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흡인자에 대해 진퇴조절되도록 설치된 조절나사에 의해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흡인자에 대해서 코일 어셈블리 또는 컨넥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그 선원발명의 제어밸브(100)을 구비한 가변용량형 압축기(1)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1)의 토출통로가 열린 상태를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토출통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용량형 압축기(1)의 실린더블럭(2) 일단면에는 밸브플레이트(2a)를 개재하여 리어하우징(rear housing; 3)이 고정되고, 타단면에는 프런트하우징(front housing; 4)이 각각 고정된다. 실린더블럭(2)에는 샤프트(회전축; 5)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의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실린더 보아(bore; 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보아(6) 내에는 각각 피스톤(7)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하우징(4) 내에는 크랭크실(8)이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실(8) 내에는 경사판(10)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경사판(10)의 슬라이딩면(10a)에는 커넥팅 로드(11)의 구체상(球體狀)의 일단부(11a)를 상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슈우(shoe; 50)가 리테이너(retainer; 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리테이너(53)는 레이디얼베어링(55)을 매개하여 경사판(10)의 보스부(10b)에 장착되고, 경사판(1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이디얼베어링(55)은 나사(45)로 고정된 스토퍼(54)에 의해 보스부(10b)에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커넥팅로드(11)의 타단부(11b)는 피스톤(7)에 고정된다. 슈우(50)는 커넥팅로드(11) 일단부(11a)의 선단면을 상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슈우몸체(51)와 커넥팅로드(11) 일단부(11a)의 후단면을 상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와셔(52)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하우징(3)에는 토출실(12)과 흡입실(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실(13)은 토출실(12)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리어하우징(3)에는 증발기(도시하지 않음)의 출구로 통하는 흡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도 1은 토출통로(39)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상기 토출통로(39)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토출실(12)과 토출구(1a)를 연통하는 토출통로(39)의 도중에는 스풀밸브(토출제어밸브; 31)가 설치되고, 토출통로(39)는 리어하우징(3)에 형성된 통로(39a) 및 밸브플레이트(2a)에 형성된 통로(39b)로 구성되고, 상기 통로(39b)는 실린더블럭(2)에 형성된 토출구(1a)와 연통되어 있다.
바닥면을 갖는 통형상의 스풀밸브(31) 내에는 스프링(가압부재; 32)이 수용되고, 상기 리어하우징(3)에 캡(cap; 59)으로 고정된 스토퍼(56)에는 스프링(32)의 일단이 맞닿아 있고, 상기 스프링(32)의 타단은 스풀밸브(31)의 저면에 맞닿아 있다. 상기 스풀밸브(31)의 내부공간(33)은 통로(34)를 매개로 하여 크랭크실(8)과 연통된다.
상기 스풀밸브(31)의 일방(상측)에는 스프링(32)의 가압력과 크랭크실(8)의 압력이 밸브를 닫는 방향(밸브의 열림정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상기 스풀밸브(31)가 열릴 때에는 토출구(1a)와 토출실(12)은 토출통로(39)를 매개로 연통되기 때문에(도1 참조), 이 경우 스풀밸브(31)의 타방(하측)에는 토출구(1a)의 압력 및 토출실(12)의 압력이 밸브가 열리는 방향(밸브의 열림정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다만, 크랭크실(8)과 토출구(1a)의 압력차가 소정치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스풀밸브(31)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통로(39)를 차단하고, 스풀밸브(31)의 하측에는 토출실(12)의 압력만이 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스풀밸브(31)의 하측에는 토출구(1a)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토출실(12)과 크랭크실(8)은 제2 통로(57)를 매개로 연통된다. 상기 통로(57)의 도중에는, 자세한 것을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어밸브(100)가 압축기(1)의 중심위치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통로(57)는 열부하가 큰 경우에는 제어밸브(100)중 솔레노이드(131A)의 통전에 의해 밸브체(132)가 밸브시트와 접하게 되어 차단되고, 열부하가 작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131A)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밸브체(132)가 밸브시트(125a)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차단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밸브(100)의 작동은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흡입실(13)과 크랭크실(8)은 제1 통로(58)를 매개로 하여 연통된다. 상기 제1 통로(58)는 밸브플레이트(2a)에 형성된 오리피스(제2 오리피스; 58a)와, 실린더블럭(2)에 형성된 통로(58b) 및 샤프트(5)에 고정된 링(환상체; 9)에 형성된 구멍 (58c)으로 구성된다. 흡입실(13)과 크랭크실(8)은 제3 통로(60)를 매개로 하여 연통된다.
상기 통로(60)는 프런트하우징(4)에 형성된 통로(60a), 프런트베어링 수용공간(60b), 샤프트(5)에 형성된 통로(60c), 실린더블럭(2)에 형성된 리어베어링 수용공간(60d), 실린더블럭(2)의 통로(58b) 및 밸브플레이트(2a)의 오리피스(58a)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블럭(2)의 통로(58b)와 상기 밸브플레이트(2a)의 오리피스(58a)는 제1 통로(58)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제3 통로(60)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통로(60c)의 리어측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61)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61)에는 스크류(6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62)에는 오리피스(제1 오리피스; 62a)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62a)의 통로면적은 상기 제1 통로(58)의 일부를 구성하는 밸브플레이트(2a)의 제2 오리피스(58a)의 통로면적보다도 작다.
따라서, 경사판(10)의 보스부(10b)가 링(9)의 구멍(58c)을 거의 막고, 제1 통로(58)의 통로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감소한 경우에만 크랭크실(8)의 냉매가 제3 통로(60)를 통해서 흡입실(13)로 유입된다.
상기 밸브플레이트(2a)에는 압축실(82)과 토출실(12)을 연통시키는 토출포트(16)와, 압축실(82)과 흡입실(13)을 연통시키는 흡입포트(15)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토출포트(16)는 토출밸브(17)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토출밸브(17)는 밸브플레이트(2a)의 리어하우징 측단면에 밸브누르개(18)와 함께 보울트(19), 너트(20)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흡입포트(15)는 흡입밸브(21)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흡입밸브(21)는 밸브플레이트(2a)와 실린더블럭(2)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5)의 리어측단부는 실린더블럭(2)의 리어측베어링 수납공간(60d)에 수납된 레이디얼 베어링(리어측베어링; 24) 및 트러스트 베어링(리어측베어링; 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5)의 프런트측단부는 프런트하우징(4)의 프런트베어링 수용공간(60b)에 수용된 레이디얼 베어링(프런트측베어링; 2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프런트측의 베어링 수용공간(60b)에는 레이디얼 베어링(26) 외에 샤프트 시일(46)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블럭(2)의 중앙부에는 암나사(1b)가 설치되고, 이 암나사(1b)에는 조절너트(8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너트(83)를 체결함에 따라 트러스트 베어링(25)을 개재하여 샤프트(5)에 예압을 가한다. 또, 샤프트(5)의 프런트측단부에는 풀리(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5)에는 샤프트(5)의 회전을 경사판(10)에 전달하는 트러스트 플랜지(40)가 고정되고, 상기 트러스트 플랜지(40)는 트러스트 베어링(33a)을 개재하여 프런트하우징(4)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있다. 트러스트 플랜지(40)와 경사판(10)은 힌지기구(41)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경사판(10)은 샤프트(5)와 직각인 가상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경사판(10)은 샤프트(5)에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경사져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기구(41)는 경사판(10)의 프런트면(10c)에 설치된 브라켓(10e)과 상기 브라켓(10e)에 설치된 직선상 가이드홈(10f) 및 트러스트 플랜지(40)의 경사판측 측면(40a)에 나사결합된 로드(43)로 구성된다. 가이드홈(10f)의 장축은 경사판(10)의 프런트면(10c)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져 있다. 로드(43)의 구상부(43a)는 상기 가이드홈(10f)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끼워맞춤한다.
다음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제1예의 제어밸브(이하 제어밸브라고 함; 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어밸브(100)를 가변용량형 압축기(1)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어밸브의 상세를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제어밸브(100)는 도 1 및 도 2의 가변용량형 압축기(1)의 리어하우징(3) 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어하우징(3)의 공간(84, 85) 내에 O-링(121a, 121b, 131b)을 개재하여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100)는 제어밸브본체(120), 솔레노이드 여자부(130) 및 감압부(145)로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는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양측에는 상기 제어밸브본체(120)와 상기 감압부(145)가 배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는 그 외주에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을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131A)와, 상기 솔레노이드(131A)의 여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런저(133), 흡인자(141) 및, 밸브스템(valve stem; 138)을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133)를 설치한 플런저실(130a)은 상기 제어밸브본체(120)에 구비된 흡입냉매포트(129)와 연통된다.
상기 감압부(145)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의 하측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감압실(145a)이 구비되며, 상기 감압실(145a)은 밸브스템(138) 등을 개재하여 상기 플런저(133)를 작동하는 벨로우즈(146)와 스프링(159)을 배설하고 있다.
상기 제어밸브본체(120)는 밸브실(123)이 구비되고, 상기 밸브실(123) 내에는 상기 플런저(133)에 의해 개폐작동하는 밸브체(132)가 배치되며, 밸브실(123)에는 고압의 토출압력 Pd의 냉매가스가 통로(81) 및 토출냉매포트(126)를 통해 유입된다. 밸브실(123)의 저면에는 크랭크실 냉매포트(128)로 연통된 밸브공(125)이 뚫려 있음과 동시에, 밸브실(123)의 상부 공간은 스토퍼(12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4)는 그 중심부에 밸브공(125)과 대향하여 상기 밸브공(125)과 동일한 단면적의 유저종공(有底縱孔)의 압력실(151)이 천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저종공의 압력실(151)은 스프링 수납실(151a)로써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밸브체(132)를 밸브실(123)의 저면측으로 가압하는 밸브닫힘 스프링(127)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체(132)는 상부(132a)와, 확대 밸브체부(132b), 세경부(細俓部; 132c) 및 하부(132d)에서부터 이루어진 봉상체(棒狀體)로서, 상부(132a)와 하부(132d)가 상기 밸브공(125)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132a)가 압력실(151)을 가지는 스토퍼(124)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확대 밸브체부(132b)가 밸브실(123)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세경부(132c)가 상기 밸브공 내에 있어서 크랭크실(크랭크실 압력 Pc)로 연통된 크랭크실 냉매포트(128)와 대향되며, 상기 하부(132d)는 제어밸브본체(120) 내로 끼워맞춤되는 한편, 그 하단부가 흡입압력 Ps의 냉매가스가 유도되는 플런저실(130a)로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133)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133)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밸브체(132)가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밸브체(132)의 확대 밸브체부(132b)가 밸브공(125) 상면의 밸브시트(125a)와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리고 플런저실(130a)로 유입되는 저온의 흡입압력 Ps는 후술할 감압부(145) 내로 유입됨과 더불어, 상기 리어하우징(3)과 솔레노이드 하우징(131) 간의 흡입압력 도입공간(85)으로도 유입된다(도 3 참조). 상기 흡입압력 도입공간(85)은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의 측부에 설치된 돌출부(131a)의 O-링(131b)을 매개로 밀폐되고, 상기 흡입실(13) 측에서의 저온의 냉매가스에 의해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의 측면 전체의 냉각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제어밸브본체(120)에 견고하게 결합된 솔레노이드 하우징(131) 내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32)를 접촉 고정하는 플런저(133)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133)는 상기 제어밸브본체(120)의 단부에 O-링(134a)을 매개로 밀접한 상태로 접하는 파이프(136)에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기 플런저(133)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용공(137)에는 밸브스템(138)의 상부(138A)가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스템(138)의 하부(138B)는 흡인자(141)의 상단부 수용공(142)측에서 하단부 수용공(143)측으로 돌출한 상태이며, 흡인자(141)에 대해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기 플런저(133)와 상기 흡인자(141)의 상단부 수용공(142) 사이에는 플런저(133)를 흡인자(141) 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밸브열림 스프링(144)이 설치된다.
또한, 밸브스템(138)의 하부(138B)에는 감압실(145a) 내에 설치된 벨로우즈(146) 내부의 한 쌍의 스토퍼(147, 148)중 스토퍼(147) 측이 자유롭게 접리(接離)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147)의 플랜지(149)와 상기 흡인자(141) 측의 하단부 수용공(143) 간에는 스토퍼(147)를 흡인자(141) 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50)이 설치된다.
상기 감압실(145a)내의 흡입압력 Ps이 높아지고, 벨로우즈(146)의 수축에 의해 한 쌍의 스톱퍼(147, 148) 끼리 서로 접하는 것에 의해 벨로우즈(146)의 변위가 규제되며, 이 최대변위량은 상기 밸브스템(138)의 하부(138B)와 벨로우즈(146)의 스토퍼(147)와의 최대끼워맞춤 양보다도 작게 될 수 있도록 설정시킨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131A)에는 제어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는 여자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코드(158)가 접속된다(도 3 참조).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24)에는 상기 압력실(151)에 연통되는 횡공(橫孔; 153)이 설치되고, 상기 횡공(153)은 스토퍼(124)와 제어밸브본체(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부(139)와 상기 압력실(151)을 연통한다. 한편, 제어밸브본체(120)에는 상기 공극부(139)와 흡입압력 Ps의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플런저실(130a)을 연통하는 캔슬공(155)이 천설되어 있다.
다음은 가변용량형 압축기(1)와 제어밸브(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엔진의 회전동력은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풀리(도시하지 않음)에서 상기 샤프트(5)로 항상 전달되고, 샤프트(5)의 회전력은 트러스트 플랜지(40), 힌지기구(41)를 거쳐 경사판(10)으로 전달되어 상기 경사판(10)을 회전시킨다.
상기 경사판(10)의 회전에 의해 슈우(50)가 경사판(10)의 슬라이딩면(10a) 위을 상대 회전하고, 피스톤(7)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며, 그 결과 실린더 보아(6) 내의 압축실(82)의 용적이 변화하여, 이 용적변화에 의해 냉매가스의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순차적으로 행해지고, 경사판(10)의 경사각도에 대응하는 용량의냉매가스가 토출된다.
우선, 열부하가 커지는 경우에는 토출실(12)에서 크랭크실(8)로 냉매가스의 유입이 저지되어 크랭크실(8)의 압력이 낮아지고 압축행정중의 피스톤(7)의 리어면에 발생하는 힘은 작아지게 되며, 피스톤(7)의 리어면에 발생한 힘의 총합이 피스톤(7)의 프런트면(상부면)에 발생하는 힘의 총합보다 작기 때문에 경사판(10)의 경사각도가 커지게 된다.
여기서, 토출실(12)의 압력이 높아져서 토출실(12)과 크랭크실(8)의 압력차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고, 스풀밸브(31)의 하측에 작용하는 토출실의 냉매가스 압력이 스풀밸브(31)의 상측에 작용하는 크랭크실(8)의 냉매가스 압력과 스프링(32)의 가압력과의 합한 힘을 극복한 경우에는, 스풀밸브(31)가 밸브열림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통로(39)가 열리고(도 1 참조), 토출실(12)의 냉매가스가 토출구(1a)에서 콘덴서(88)로 유출된다. 또한, 경사판(10)의 경사각도가 최소에서 최대로 되는 때에는 경사판(10)의 보스부(10b)가 링(9)의 구멍(58c)에서 떨어져, 제1 통로(58)가 완전히 열리게 되며, 크랭크실(8)의 냉매가스가 제1 통로(58)를 매개로 흡입실로 유출되기 때문에, 크랭크실(8)의 압력저하가 발생한다.
또, 제1 통로(58)의 통로면적이 최대로 되면, 제3 통로(60)에서 흡입실(13)로는 냉매가스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부하가 커지게 되고 제어밸브(100)의 솔레노이드(131A)가 여자되는 경우에는, 플런저(133)가 흡인자(141)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플런저(133)에 접촉된 밸브체(132)가 밸브공(125)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크랭크실(8)의 유입이 저지된다.
한편, 저온의 냉매가스는 흡입실(13)로 연통하는 통로(80) 측으로부터 제어밸브본체(120)의 흡입냉매포트(129) 및 플런저실(130a)을 통하여 감압부(145)로 유입되고, 감압부(145)의 벨로우즈(146)는 흡입실(13)의 흡입압력 Ps인 상기 냉매가스의 압력에 기하여 변위하며, 상기 변위가 상기 밸브스템(138) 및 상기 플런저(133)를 개재한 상기 밸브체(132)로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밸브체(132)의 상기 밸브공(125)에 대한 열림정도 위치는 상기 솔레노이드(131A)에 의한 흡인력과, 상기 벨로우즈(146)의 가압력, 상기 밸브닫힘 스프링(127) 및, 밸브열림 스프링(144)의 가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감압실(145a) 내의 압력(흡입압력 Ps)이 높게 되면 상기 벨로우즈(146)가 수축하고, 이것이 상기 솔레노이드(131A)에 의한 상기 플런저(133)의 흡인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벨로우즈(146)의 변위에 상기 밸브체(132)의 이동이 추종하여 상기 밸브공(125)의 열린 정도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토출실(12)에서 밸브실(123) 내로 유입되는 고압 냉매가스의 양은 감소(크랭크실 압력 Pc가 저하)하고, 경사판(10)의 경사각도가 증가한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감압실(145a)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벨로우즈(146)는 스프링(159)과 벨로우즈(146) 자신의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고, 밸브체(132)가 밸브공(125)의 열림정도를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실(123) 내로 유입되는 고압의 냉매가스의 양이 증대(크랭크실 압력 Pc가 증가)되고, 도 1의 상태에 있어서의 경사판(10)의 경사각도는 감소한다.
이에 비해, 열부하가 작게되는 경우에는 고압의 냉매가스가 토출실(12)에서 크랭크실(8)로 유출되어 상기 크랭크실(8)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압축행정중의 피스톤(7)의 리어면에 발생하는 힘이 커지게 되고, 피스톤(7)의 리어면에 발생하는 힘의 총합이 피스톤(7)의 프런트면에 발생하는 힘의 총합을 상회함에 따라 경사판(10)의 경사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실(12)과 크랭크실(8)의 압력차가 소정치 이하로 되고, 스풀밸브(31)의 상측에 작용하는 크랭크실(8)의 압력과 스프링(32)의 가압력과의 합력이 스풀밸브(31)의 하측에 작용하는 토출실(12) 냉매가스의 압력을 극복한 경우에는 스풀밸브(31)가 밸브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통로(39)를 차단하고(도 2 참조), 토출구(1a)에서 콘덴서(88)로의 냉매가스 유출이 저지된다.
또한, 경사판(10)의 경사각도가 최대에서 최소로 될 때에는, 경사판(10)의 보스부(10b)가 링(9)의 구멍(58c)을 거의 막어, 제1 통로(58)의 통로단면적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지만, 크랭크실(8) 내의 냉매가스는 제3 통로(60)를 통해서 흡입실(13)로 유입되기 때문에, 크랭크실(8) 내의 과도한 압력상승은 억제되고 압축기(1) 내에 있어서 냉매가스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에 냉매가스는 흡입실(13)과, 압축실(82), 토출실(12), 제2 통로(57), 크랭크실(8) 및 제3 통로(60)를 거쳐 다시 흡입실(13)로 되돌아 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가변용량형 압축기에서는 토출제어밸브로서의 스풀밸브(31)의 일방에 크랭크실(8)의 압력을 작용시키고, 스풀밸브(31)의 타방에 토출실(12)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스풀밸브(31)로서 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교적 작은 스프링힘을 가지는 스프링(32)을 이용하며, 열부하가 작아져 토출실(12)의 압력이 점차 저하하는 때에는 최소 피스톤 스트로크(극저부하)로 되고, 경사판(10)이 제1 통로(58)의 통로면적을 감소시키기까지 스풀밸브(31)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열부하가 작게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131A)가 소자(消磁)된 경우에는 플런저(133)에 대해 흡인이 소실되고, 상기 밸브열림 스프링(144)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133)가 상기 흡인자(141)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밸브체(132)가 제어밸브본체(120)의 밸브공(125)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크랭크실(8)로의 유입이 촉진된다.
여기에서, 상기 감압부(145)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벨로우즈(146)가 수축하고 밸브체(132)의 열림정도가 감소하지만, 상기 밸브스템(138)의 하부(138B)는 상기 벨로우즈(146)의 스토퍼(147)에 대해 접리자재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벨로우즈(146)의 변위가 밸브체(132)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제어밸브(100)은 중앙부에 솔레노이드(131A)의 여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런저(133)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와,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하측에 밸브스템(138)등을 개재하여 플런저(133)와 연동하는 벨로우즈(146)를 설치한 감압부(145)와, 상기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의 상측에 플런저(133)와 연동하는 밸브체(132) 등을 설치한 밸브실(123)을 가진 제어밸브본체(12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감압실(145a)과 솔레노이드(131A)가 접근배설되고, 솔레노이드(131A)의 흡인에 의한 작용점과벨로우즈(146)에 의한 작용점이 접근하여, 작동간(作動杆)을 구성하는 밸브체(132) 및 밸브스템(138)이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흔들림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제2의 제어밸브 상세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제어밸브에서는 주로 흡인자와 감압부의 구성에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이하 이 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100)의 흡인자(141)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내측에 계합된 통형상부(筒形狀部; 141b)와, 상기 통형상부(141b)의 상단에 압입된 덮개부(141c) 및, 상기 통형상부(141b)의 하측에 계합된 조절나사(157)로 구성되고, 이것으로 둘러쌓인 내측에는 감압부(145)가 구비되어 있다.
결국, 통형상부(141b)는 그 하측으로부터 조절나사(157)에 계합되는 한편, 그 상측으로부터 스톱퍼(148), 스프링(159), 벨로우즈(146) 및 스토퍼의 플랜지(149) 및 스프링(150)이 장입되고, 통형상부(141b)의 상단에 있어서 덮개부(141c)가 압입된다. 그리고 통형상부(141b)와 파이프(136)와의 접합부분이 TIG 용접되고 감압실(145a)이 흡인자(14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축방향의 길이단축에 의한 제어밸브(100)의 컴팩트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절나사(157)에 의해 벨로우즈를 신축시킨다.
또, 플런저(133)는 그 내부의 장축방향으로 냉매배출공(133f)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외측면의 장축방향에는 흡입압력 Ps인 냉매를 감압부(145)로 도입시키는 슬릿(133a)이 구비되어 있다. 덧붙여, 제어밸브(100)에 사용되는 밸브스템(140)은 그 단면이 대략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플런저(133)의 슬릿(133a) 및 밸브스템(140)을 개재하여 플런저실(130a) 내의 흡입압력 Ps인 냉매가 감압부(145)로 도입된다.
더욱이 제어밸브본체(120)와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는 상술한 제어밸브의 제1예와 달리, 파이프(136) 및 스페이서(156)가 개재되고 제어밸브본체(120)측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어밸브본체(120)와 솔레노이드 여자부(130) 간에는 패킹(134b)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어밸브에서는, 감압부의 감도조절은 조절나사(157)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157b)에 공구(드라이버)를 맞대어 회전조작한다. 그러나 상기 수단에 의하면, 많은 제어밸브를 공구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정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공구를 요할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상의 수고를 요하고 효율적이지 않다. 그래서 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감압부의 감도조절수단을 간략,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특별히 도 6(a),(b) 및 도 7(a),(b),(c)에 도시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부호에서 도 5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부재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도 5에 나타낸 제2 예의 제어밸브에 있어서, 감압부(145)는 감압부 지지틀, 즉 흡인자(141)에 대해 진퇴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나사(157)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나사(157)에 의해 감압체, 즉 벨로우즈(146)를 신축시켜서 감도를 조절가능하게 한다. 또, 조절나사(157)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를 구성하는 코일 어셈블리(180)에 부설한 계합부(181)에 계합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어밸브는 흡인자(141)에 대해 코일 어셈블리(180)를 회전시킴에 의해 조절나사(157)를 회전시켜 벨로우즈(146)를 신축시킨다. 또, 코일 어셈블리(180)에는 컨넥터(182)를 합성수지를 통해 일체로 성형(몰드성형)시킨다.
또한, 코일 어셈블리(180) 및 컨넥터(182)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61)과 함께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밀봉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방수, 기밀성 등의 관점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례는 바람직한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벨로우즈를 이용하지 않은 다른 감압체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감압부 지지틀이 흡인자(141)가 아닌 다른 것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2 예의 제어밸브에서는 감압부의 감도조절은 조절나사(157)에 형성된 드라이버홈(157b)에 공구(드라이버)를 맞대어 회전조작한다. 그러나, 상기 수단에 의하면, 많은 제어밸브를 공구에 의해 조정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고,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감압부의 감도조절수단을 간략,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형태의 별도예를 제공한다.
제어밸브(100)의 실시형태의 별도예를 특히 도 8(a),(b)에 도시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부호 가운데 도 5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부재를 표현한것으로 한다.
이 제어밸브(100)는 감압부(145)와 감압부 지지틀, 즉 흡인자(141)에 대해 진퇴조절 가능하도록 조절나사(157)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나사(157)에 의해 감압체, 즉 벨로우즈(146)를 신축시켜 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나사(157)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를 구성하는 코일 어셈블리(180)에 설치된 계합부(181)에 계합하고 있다.
또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외주에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이 설치되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180)의 걸어맞춤멈춤턱(181a)에 O-링(190)을 개재하여 코일 어셈블리(180)를 지지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코일 어셈블리(180)의 외주에는 단면절결상의 링 장착오목부(18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장착 오목부(183)에 대향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에는 그 단부에 절곡부(161b)를 개재한 덮개부(161c)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어밸브(100)는 흡인자(141)에 대해 코일 어셈블리(180)를 회전시킴에 의해, 조절나사(157)를 회전시키고 벨로우즈(146)를 신축시킨다. 그리고 벨로우즈(146)가 적절한 길이로 설정된 후, 링장착 오목부(183)에 O-링(190)을 설치한다. 또한, 링장착 오목부(183)에 O-링(190)을 배치한 후, 흡인자(141)에 대해 코일 어셈블리(180)를 회전시켜도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어느 것이든지,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을 그 링장착 오목부(183)에 O-링(190)을 설치한 후 코일 어셈블리(180)에 고정하는 것은 절곡부(161b)를 개재하여 덮개부(161c)를 구부리는 것(코킹)으로, 도 8(b)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8(a)에 도시한 상태로 되면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을 회전 또는 조정할 때에 O-링(190)은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에 당접(當接) 또는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어셈블리(180)는 쉽게 회전되고, 또한 O-링(190)도 외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없어 시일기능이 저하되지도 않는다. 또한 코일 어셈블리(180)에는 컨넥터(182)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몰드성형)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에 대해 코일 어셈블리(18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코일 어셈블리(180)의 회전방지구로써 작용하기 위하여, 도 9(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61c)의 가장자리에 코일 어셈블리(180)로의 돌출부(161d)를 복수개, 예를 들어 본실시예에서는 4개의 돌출부(161d)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코일 어셈블리(180)로 돌출시켜 계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코일 어셈블리(180) 및 컨넥터(182)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61)과 더불어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밀봉하게 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방수, 기밀성 등의 관점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어밸브본체(120)와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는 상술한 제어밸브의 예와는 달리, 제어밸브본체(120)측이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에 대해서 솔레노이드 하우징(161)의 상부에 형성된 후부(厚部; 161a)의 상부에서 나사멈춤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나사멈춤부(121c)).
따라서, 제어밸브 전체로서 부품수가 적게 되고, 제어밸브본체(120)와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장착이 확실하고도 간략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절나사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공구와의 접촉면이 위를 향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효율도 향상된다. 또한 자기누설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더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킹(134b)의 위치를 파이프(136) 밖으로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벨로우즈를 이용하지 않은 다른 감압체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감압부 지지틀이 흡인자(141)가 아닌 다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의하면, 흡인자에 대하여 코일 어셈블리를 회전시킴에 의해 조절나사를 회전시키고 벨로우즈를 신축시켜서 감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 어셈블리에는 컨넥터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또 O-링에 회전력을 가하지 않아도 회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절나사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고 또 시일에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아 기밀성도 향상되며, 부식의 염려도 작아지게 된다.

Claims (8)

  1. 제어밸브본체와, 솔레노이드 여자부 및, 감압체를 가진 감압부를 구비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감압부 지지틀에 대해 진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나사에 의해 상기 감압체의 감도를 조절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구성하는 코일 어셈블리에 부설된 계합부를 조절나사에 계합시켜 조절나사를 조작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일 어셈블리에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컨넥터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체로서 벨로우즈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감압부 지지틀은 상기 흡인자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흡인자에 대해 진퇴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나사에 의해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자에 대해 코일 어셈블리 또는 컨넥터를 회전시킴에 의해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외주에 솔레노이드 하우징을 설치하고, 당해 솔레노이드 하우징에 O-링을 끼워 상기 코일 어셈블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당해 코일 어셈블리의 외주에 단면절결상의 링장착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링장착 오목부에 대향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에는 그 단부에 절곡부를 개재하여 덮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 코일 어셈블리로의 돌출부를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 지지틀은 흡인자로 구성되고, 이 흡인자에 대해 진퇴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조절나사에 의해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자에 대해 코일 어셈블리 또는 컨넥터를 회전시킴에 의해 벨로우즈를 신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20020066052A 2001-11-30 2002-10-29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0858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67630 2001-11-30
JP2001367630A JP3461343B2 (ja) 2001-11-30 2001-11-30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2002134578A JP2003328935A (ja) 2002-05-09 2002-05-09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JP-P-2002-00134578 2002-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784A true KR20030044784A (ko) 2003-06-09
KR100858604B1 KR100858604B1 (ko) 2008-09-17

Family

ID=2662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052A KR100858604B1 (ko) 2001-11-30 2002-10-29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69667B2 (ko)
EP (1) EP1316726B1 (ko)
KR (1) KR100858604B1 (ko)
AT (1) ATE365869T1 (ko)
DE (1) DE6022087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04B1 (ko) * 2001-11-30 2008-09-17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JP4152674B2 (ja) * 2002-06-04 2008-09-1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容量制御弁
JP2006152803A (ja) * 2002-12-24 2006-06-15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5105935A (ja) * 2003-09-30 2005-04-21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4456906B2 (ja) * 2004-03-25 2010-04-28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4330501B2 (ja) * 2004-08-06 2009-09-16 サン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14626B2 (ja) * 2006-04-13 2011-06-29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US20100307177A1 (en) * 2008-01-31 2010-12-09 Carrier Corporation Rapid compressor cycling
JP4924464B2 (ja) * 2008-02-05 2012-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斜板式圧縮機
CN102472268B (zh) * 2009-07-06 2017-11-03 开利公司 用于压缩机容量控制的旁路卸载阀
JP2012026311A (ja) * 2010-07-21 2012-02-09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WO2013176012A1 (ja) * 2012-05-24 2013-11-28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JP6600604B2 (ja) * 2016-06-28 2019-10-30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600603B2 (ja) * 2016-06-28 2019-10-30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及びその組立方法
JP7289604B2 (ja) * 2018-08-08 2023-06-12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067A (ja) * 1986-07-21 1988-02-06 Sanden Corp 連続容量可変型揺動式圧縮機
JPH01177466A (ja) * 1987-12-28 1989-07-13 Diesel Kiki Co Ltd 可変容量型揺動板式圧縮機の圧力制御弁
JP2567947B2 (ja) * 1989-06-16 1996-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可変容量圧縮機
JP3245035B2 (ja) * 1996-01-19 2002-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制御バルブ
JP3432994B2 (ja) * 1996-04-01 2003-08-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3784134B2 (ja) * 1997-05-14 2006-06-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制御弁
JP4160669B2 (ja) * 1997-11-28 2008-10-01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3783434B2 (ja) * 1998-04-13 2006-06-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及び空調用冷房回路
JP3583951B2 (ja) * 1999-06-07 2004-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制御弁
JP2001041154A (ja) * 1999-07-26 2001-02-13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1082325A (ja) * 1999-09-16 2001-03-27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1099060A (ja) * 1999-10-04 2001-04-10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4205826B2 (ja) * 1999-11-30 2009-01-0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4829419B2 (ja) * 2001-04-06 2011-12-0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3461343B2 (ja) * 2001-11-30 2003-10-2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KR100858604B1 (ko) * 2001-11-30 2008-09-17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JP2003328935A (ja) * 2002-05-09 2003-11-19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69667B2 (en) 2004-08-03
ATE365869T1 (de) 2007-07-15
KR100858604B1 (ko) 2008-09-17
EP1316726A2 (en) 2003-06-04
EP1316726B1 (en) 2007-06-27
DE60220873T2 (de) 2008-03-06
EP1316726A3 (en) 2003-11-26
US20030102454A1 (en) 2003-06-05
DE60220873D1 (de)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604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0987042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밸브
EP1247981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s
KR970002331B1 (ko) 용량 가변 기구를 구비한 경사판식 압축기
KR100291521B1 (ko) 가변용량형압축기용제어밸브
US6280152B1 (en) Variable-type swash plate compressor having a cock member for fixed capacity ope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217292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refrigerant compressor
KR102252391B1 (ko) 가변 용량 압축기 및 그 제어 밸브
KR100408336B1 (ko) 압축기
JP4173980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3461343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4082802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1153043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6264312B2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4247225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3847617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2006118508A5 (ko)
KR20160097633A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용 토출체크밸브
JP6469994B2 (ja) 圧縮機
US11821540B2 (en) Capacity control valve
US11339773B2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3328935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H07180659A (ja) 片側ピストン型の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CN113677889A (zh) 活塞式压缩机
JP2021038703A (ja) 往復動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