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448A -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448A
KR20030042448A KR10-2003-7001708A KR20037001708A KR20030042448A KR 20030042448 A KR20030042448 A KR 20030042448A KR 20037001708 A KR20037001708 A KR 20037001708A KR 20030042448 A KR20030042448 A KR 2003004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cage
shaft
lift
count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로스 에시렐리
Original Assignee
스페이스 리프트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754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4244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페이스 리프트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스페이스 리프트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03004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이동식 케이지(2)와, 이러한 케이지(2)의 이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 윈치(4)와 평형추(5)를 포함하는 장치(3)를 수용하기 위한 단일 구획 또는 샤프트가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의 이동을 위해, 평형추(5)가 케이지(2)보다 짧은 거리를 주행하고 윈치(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샤프트(1)의 부분(1a)을 항상 비워둔다. 윈치(4)는 특히 인접되게 배열되는 샤프트(1)의 벽(1b)에 평행한 축(4a)을 가진 견인 도르래(4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Cable lift with in shaft machinery}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행 샤프트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작은크기의 윈치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윈치는 무브러시 모터 또는 감속 장치가 완비된 통상적인 비동기 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전용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지만, 다양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들은 특히 비상 사태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무브러시 모터는 영구 자석을 이용한다. 브레이크가 해제된 케이지의 이동을 제어할 때, 다시말해, 예를 들어 비상 사태에서 윈치 작동을 직접 기계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자석의 점진적인 소자가 속도를 감소시킨다. 저크와 졸트를 일으키는 다량의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만으로 가이드상의 임의의 기계적인 차단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지에 대한 기계적인 제어에 있어 연속성을 상실한다.
또한, 윈치의 시각적 제어는 불가능하며 비상 조작동안 작동자는 케이블의 직접적인 관찰만으로 얻어진 작동자 자신의 감각과 느낌에 기초하여 브레이크의 해제를 조절해야 한다.
가이드의 상부를 따라 윈치를 배치시키면 특히 케이지가 먼거리를 주행해야 할 경우에 고정 브래킷상에서 가이드의 미끄럼 작용이 덜 효율적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과도한 최대 부하로 인해 변형이 일어난다.
마지막으로, 통상적인 비동기 모터보다 비용이 많이든다.
그러나, 감속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비동기 모터는 순환 나사/나선형 크라운 톱니바퀴쌍으로 이루어진 감속 장치의 사용으로 인해 엄청난 공간을 차지하며, 상기 감속 장치도 또한 낮은 출력으로 인해 고전력 모터의 사용을 요구하고 이에 따라 다량의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비상 조작동안, 감속 장치는 작동자가 보지 못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는 작동자가 단지 브레이크를 해제함으로써 다소 불안전한 방식으로 케이지의 이동을 제어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무브러시 모터의 경우에서처럼, 가이드의 상부를 따라 윈치를 배치하면 가이드의 효율과 신뢰도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과도한 최대 부하로 인해 가이드의 변형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실시 양태에서, 케이블 리프트는 "기계실"과 "주행 샤프트"로 불리는 별도의 두 구획을 필요로 한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후자의 위쪽에 배치되고 관련 전기 제어 회로와 함께 호이스팅 윈치를 수용하지만; 후자는 사람들을 수송하기 위한 케이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케이지는 케이블 시스템에 의해 윈치에 연결되고 원하는 층에서 멈추도록 하는 키보드와 상기 케이지의 무게와 반대로 작용하는 평형추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평형추는 케이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윈치가 필요로 하는 힘을 감소시켜주고 케이블과 도르래 사이에서 케이블의 미끄럼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통상적으로 엄청난 크기의 윈치로 인해 별도의 두 구획을 필요로 함에따라 리프트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엄청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이러한 시스템이 설치되는 빌딩의 경우 높이를 제한하는 규제 측면에서 볼때 설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적지 않은 단점이 되고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이점과 특성은 실시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몇몇 부품들을 생략하여 나머지 부품들을 좀더 명확히 볼 수 있도록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III-III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상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단점들을 제거하는데 있다.
청구범위에 의해 특징지워지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윈치의 회전축이 옆에 윈치가 배열되는 샤프트의 벽과 케이지와 평행하도록 배열된 소형 윈치를 이용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이는 평형추가 케이지의 주행 거리의 대략 반에 해당하는 주행 거리를 가짐에 따라 윈치를 가장 유리한 위치에 수용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남겨두도록 고안된 케이지 이동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주된 이점은 기본적으로 윈치와 케이지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두 구획을 필요로하지 않으면서 비상 사태, 즉, 작동자에 의한 수동 개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윈치와 케이지에 대한 직접적인 기계적 및 시각적 제어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실제로, 윈치를 수용하는데 활용되는 공간으로 인해, 윈치를 정상적인 키를 가진 사람이 바로 볼 수 있는 높이, 예를 들면 케이지가 도달하는 최고층의 바닥으로부터 1 내지 2 미터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지 가이드에 대한 간섭없이 독립된 지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윈치를 고정하게 되면 시간에 따라 케이지 가이드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특히 긴 주행 거리의 경우에, 상기 가이드에 변형을 야기하는 기계적인 응력을 차단해준다.
이러한 치수뿐만 아니라 케이지 지지체와 가이드 장치가 독립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윈치를 샤프트의 임의의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드럼 브레이크보다 기계적인 부품, 예를 들어 교류 전류 유도 모터 또는 디스크를 사용함에 따라 낮은 에너지 소비와 설치 비용 감소뿐만 아니라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해 준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들)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이동식 케이지(2)와 이러한 케이지(2)의 이동을 위한 장치(3)를 수용하기 위한 단일 구획 또는 샤프트(1)를 구비하고 있는 일종의 케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3)는 케이블(6)이 주행하는 견인 도르래(4c)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고정 윈치(4)와 이동식 평형추(5)를 포함한다. 케이블 리프트는 케이지(2)의 이동을 위해 샤프트(1)의 벽(1a)을 항상 비워두어 윈치(4)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평형추(5)가 케이지(2)보다 짧은 거리를 주행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구동 도르래(5a)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실제로, 케이블(6)은 케이지(2)에 부착된 일 단부(6a)를 가지지만; 나머지 단부(6b)는 평형추(5)에 부착되는 대신에 일반적으로 케이블(6)이 도르래(5a)에 감긴 후 평형추(5)가 도달하지 못하는 샤프트(1)의 부분(1a)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지(2)의 각각의 이동은 평형추(5)를 케이지 이동의 대략 반 정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3 내지 5 kW급의 모터가 구비된 소형 윈치(4)는 약 650 kg의 호이스팅 용량과 1 m/sec 이하의 운행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평형추(5)의 제한된 주행 거리와 함께 이러한 치수로 인해, 윈치는 샤프트(1)의 벽(1b)과 평형추(5) 위에 위치한 샤프트(1) 부분(1a) 내부의 케이지(2) 벽(2a) 사이, 즉, 대략적으로 케이지(2)가 멈추는 마지막 층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견인 도르래(4c)가 옆에 윈치가 배열되는 벽(1b,2a)과 평행하게 배열된 회전축(4a)을 가지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배열로 인해 윈치(4)가 케이지(2)를 지지하고 이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필요한 구조와는 전적으로 독립될 수 있다: 실제로, 윈치는 지지를 위해 샤프트(1)의 벽(1b)에 고정된 지지체(7)만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케이지(2)의 가이드가 고정 요소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어 안전하면서 조용하고 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케이블(6)의 단부(6b)가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위치중에서,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장치(3)로부터 소음이 확산되지 않도록 적당히 방음되는 지지체(7)에 부착되는 윈치(4)의 바로 아래에 케이블의 단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윈치(4)의 도르래(4c) 축(4a)과 관련하여, 비상 사태 또는 정비 상황에서 작동자에 의한 직접적인 개입을 요구하는 경우에 윈치(4)의 정면을 직접 관망할 수 있도록 케이지(2)가 멈추는 마지막 층을 기준으로 60 센티미터 내지 2 미터 10 센티미터 높이에 배열되도록 권장한다.
이를 위해, 윈치(4)를 수용하고 있는 샤프트(1)의 부분(1a)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해치(9)가 구비되어 있다. 윈치는 도구(11)의 맞물림을 위해 시트(4b)를 포함하고 있어 서보 조종 장치 없이도 윈치의 동작을 수동으로 시각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사태의 경우에, 해치(9)가 열리게 되면, 작동자는 (일반적으로 막대로 이루어진) 도구(11)를 상응하는 시트(4b)에 단순히 삽입하고, 브레이크를 해제시켜, 앞서 언급된 도구(11)를 이용하여 도르래(4c)를 수동으로 회전시킨 다음 시각적으로 전체 상황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면서 별도의 기계실을 갖춘 리프트(10)와 동일 수준의 안전성을 달성하면서 케이지(2)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한도에서 다수의 수정과 변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모든 설명을 기술적으로 대등한 요소들로 대치할 수 있다.
실제로, 하기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수정 및/또는 개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이동식 케이지(2)와, 이러한 케이지(2)의 이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 윈치(4)와 이동식 평형추(5)를 포함하는 장치(3)를 수용하기 위한 단일 구획 또는 샤프트가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의 이동을 위해, 평형추(5)가 케이지(2)보다 짧은 거리를 주행하고, 윈치(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샤프트(1)의 상부(1a)를 항상 비워둠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윈치(4)가 평형추(5) 위의 샤프트의 상부(1a)에서 샤프트(1)의 벽(1b)에 인접되게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윈치(4)가 인접되게 배열된 벽(1b)에 평행한 회전축(4a)을 가진 견인 도르래(4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형추(5)가 하나 이상의 구동 도르래(5a)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블(6)이 케이지(2)에 고정된 일 단부(6a)와 평형추(5)가 차지하지 않은 샤프트(1)의 부분(1a)에 고정된 일 단부(6b)를 가지고 있어, 도르래(5a)상에서 케이블(6)의 주행에 따라 평형추(5)가 케이지(2)의 이동거리의 약 반정도에 해당하는 거리를 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1)의 벽(1b)에 고정된 윈치(4)용 지지체(7)를 포함하고 있어 윈치(4)가 케이지(2)를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구조와 독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케이블(6)의 단부(6b)가 장치(3)로부터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윈치(4)의 지지체(7)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윈치(4)를 수용하고 있는 샤프트(1)의 상부(1a)에 접근하도록 하는 해치(9)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르래(4c)의 축(4a)을 케이지(2)가 멈춘 마지막 층을 기준으로 60 센티미터 내지 2 미터 10 센티미터 높이에 위치시켜 윈치(4)의 정면을 볼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치(4)가 수동 및 시각적으로 리프트의 이동을 제어하기에 적당한 방식으로 도구(11)의 맞물림을 위해 시트(4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KR10-2003-7001708A 2000-08-07 2001-08-01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 KR20030042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830563A EP1184326B1 (en) 2000-08-07 2000-08-07 Cable lift with in shaft machinery
EP00830563.3 2000-08-07
PCT/IT2001/000427 WO2002012107A1 (en) 2000-08-07 2001-08-01 Cable lift with in shaft machi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48A true KR20030042448A (ko) 2003-05-28

Family

ID=817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708A KR20030042448A (ko) 2000-08-07 2001-08-01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108105B2 (ko)
EP (1) EP1184326B1 (ko)
JP (1) JP2004521838A (ko)
KR (1) KR20030042448A (ko)
CN (1) CN1260111C (ko)
AT (1) ATE326420T1 (ko)
AU (1) AU2001284401A1 (ko)
CA (1) CA2418803A1 (ko)
CZ (1) CZ2003347A3 (ko)
DE (1) DE60028029D1 (ko)
ES (1) ES2263443T3 (ko)
HU (1) HUP0400311A2 (ko)
PL (1) PL363436A1 (ko)
RU (1) RU2003106423A (ko)
WO (1) WO2002012107A1 (ko)
YU (1) YU95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905A (ko) * 2016-03-31 2018-12-04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시스템의 리프트 샤프트에 설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착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5979B (zh) * 2005-12-15 2013-08-28 菲舍尔和佩克尔保健有限公司 呼吸辅助设备
JP2010184791A (ja) * 2009-02-13 2010-08-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US20110101198A1 (en) * 2009-10-30 2011-05-05 Thyssenkrupp Northern Elevator Corporation "l" shaped support device for a hoisting machine in a machine roomless elevator
FI125157B (fi) * 2011-11-08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ES2900526T3 (es) * 2013-06-07 2022-03-17 Otis Elevator Co Ascensor con compartimento superior bajo y foso baj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2823C (fi) * 1988-10-04 1991-04-25 Kone Oy Hiss.
US6148962A (en) * 1993-06-28 2000-11-21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hoisting unit and machine space
FI98210C (fi) * 1993-06-28 1997-05-12 Kone Oy Järjestely hissikoneiston liittämiseksi rakennukseen
FI95456C (fi) * 1994-05-04 1996-02-12 Kone Oy Järjestely hissikuilun seinän aukossa ja kojetaulu
US5690578A (en) * 1996-04-29 1997-1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Ravigneaux planetary gear transmission
EP0820954A1 (en) * 1996-07-25 1998-01-28 Chiu Nan Wang Elevator emergency escape device
DE19752232C2 (de) * 1997-03-26 2001-06-21 Heinzerling Gmbh Seilaufzug mit in den Aufzugschacht hineinragenden Betonsockel
DE69810558T2 (de) * 1997-09-26 2003-11-20 Toshiba Kawasaki Kk Einsetzen einer Antriebseinheit in einem Aufzugsschacht
DE19902853C2 (de) * 1998-01-26 2001-10-11 Guenter Kintrup Personen-Seilaufzug
MY121775A (en) * 1998-04-28 2006-02-28 Toshiba Kk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SG91827A1 (en) * 1998-09-28 2002-10-15 Inventio Ag Emergency release device
US6039152A (en) * 1998-10-30 2000-03-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controller located under elevator landing
FI111622B (fi) * 1999-01-27 2003-08-29 Kone Corp Vetopyörähissi ja taittopyörän käyttö
JP2000247560A (ja) *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ATE306455T1 (de) * 1999-08-19 2005-10-1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in einem aufzugsschacht angeordneten antriebseinheit
WO2001027015A1 (de) * 1999-10-11 2001-04-19 Inventio Ag Seilaufzug
JP3480403B2 (ja) * 1999-12-09 2003-1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SG100645A1 (en) * 2000-03-31 2003-12-26 Inventio Ag Auxiliary device for displacing a payload receptacle of a lift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and the movement of a cage in a shaft of a lift
AU5458701A (en) * 2000-05-19 2001-11-26 Inventio Ag Actuator for the emergency operation of a gearless driving machine of an elevator
US6619433B1 (en) * 2000-07-24 2003-09-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WO2002010048A2 (de) * 2000-07-29 2002-02-07 Alpha Getriebebau Gmbh Aufzugskabine mit einer in diese integrierten treibscheiben-antriebsmaschine
JP2002167137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905A (ko) * 2016-03-31 2018-12-04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시스템의 리프트 샤프트에 설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착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26420T1 (de) 2006-06-15
CA2418803A1 (en) 2002-02-14
HUP0400311A2 (en) 2004-05-28
PL363436A1 (en) 2004-11-15
DE60028029D1 (de) 2006-06-22
US20040026179A1 (en) 2004-02-12
JP2004521838A (ja) 2004-07-22
WO2002012107A8 (en) 2003-03-06
US7108105B2 (en) 2006-09-19
YU9503A (sh) 2004-11-25
ES2263443T3 (es) 2006-12-16
CZ2003347A3 (cs) 2004-08-18
EP1184326B1 (en) 2006-05-17
RU2003106423A (ru) 2004-07-10
AU2001284401A1 (en) 2002-02-18
CN1452585A (zh) 2003-10-29
CN1260111C (zh) 2006-06-21
WO2002012107A1 (en) 2002-02-14
EP1184326A1 (en)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68401A (en) Screw-driven elevator
US4402386A (en) Self-powered elevator using a linear electric motor as counterweight
EP0606875B1 (en) Elevator motor placed in the counterweight
US5429211A (en) Traction sheave elevator
JP2593289B2 (ja) 下部に駆動機械を備えたトラクションシーブ型エレベータ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333000A1 (en) A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EP1698581B1 (en) Machine, lifting system and machine room-less elevator
WO1999043596A2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KR20030042448A (ko)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
JP5468679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装置
US20180065831A1 (en) Elevator
EP0020825A1 (en)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loads from one level to another
EP1377516B1 (en) Hydraulic drive unit mounted in the elevator shaft
US729989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JP2000095461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
EP0057701A1 (en) Load transfer apparatus
EP1074504A2 (en) Actuating device for elevator
KR200309837Y1 (ko)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KR970009387B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Atkinson Modern electric lift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