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837Y1 -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837Y1
KR200309837Y1 KR20-2003-0000929U KR20030000929U KR200309837Y1 KR 200309837 Y1 KR200309837 Y1 KR 200309837Y1 KR 20030000929 U KR20030000929 U KR 20030000929U KR 200309837 Y1 KR200309837 Y1 KR 200309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nsmission shaft
drive shaft
driv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20-2003-0000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5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screw-nu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초고속 운행 및 초정밀 제어가 가능하고 안전성이 높아 층고의 제한이 없게 할 수 있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는 구동부, 지지부, 이동부 및 보조 구동부를 구비한다. 구동부는 구동모터, 회전되는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중앙부위에 피동기어가 형성되어 제 1 구동샤프트 및 제 2 구동샤프트 상단에 결합되는 전달샤프트를 구비한다. 지지부는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각각의 전달샤프트의 결합부분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각각의 전달샤프트를 지지한다. 이동부는 사각형상의 케이지와, 일측이 케이지의 일측 및 타측에 다수개가 서로 대응되게 장착되고, 타측은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각각의 전달샤프트에 끼워지어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각각의 전달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상, 하로 이동되는 이동 플랜지를 구비한다. 보조 구동부는 벽체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 구동모터와 보조 구동모터에 장착되는 전동기어와, 전동기어에 체결되어 보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피동기어까지 전달시켜주는 연결기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An elevator operation by a drive shaf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 안쪽에 배치되어 케이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전달샤프트를 구비하는 구동부,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구동부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 및 구동부의 구동력을 더해주는 보조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어장치의 간소화로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고장률이 적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垂直通路) 안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운반물을 싣는 케이지(cage) 또는 카(car), 케이지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권양기(捲揚機), 가이드 레일(안내궤도), 권양기의 부하(負荷)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케이지의 무게와 상대적으로 매달려 움직이는 카운터 웨이트, 케이지와 카운터 웨이트를 연결하여 권양기(捲揚機)의 회전바퀴에 걸리는 와이어로프(wire rope)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안전성 및 신뢰성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과속 및 과주행에 대해서는 이중안전장치가 있다. 와이어로프의 강도는 10배 이상의 안전율로 설치하고, 비상시에 대비하여 케이지의 천장에 비상탈출구가 설계되며, 외부와의 연락용 인터폰, 정전시의 비상전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전기적, 기계적 안전장치 및 제어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다중의 제어장치 때문에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고장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법적으로 와이어 로우프를 일정시간이 지나면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법적 층고가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 안쪽에 배치되어 케이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전달샤프트를 구비하는 구동부,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구동부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 및 구동부의 구동력을 더해주는 보조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어장치의 간소화로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고장률이 적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와 지지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부, 지지부 및 이동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엘리베이터 110 : 구동부
112 : 구동모터 120a, 120b : 구동샤프트
124 : 제 1 결합돌기 130a, 130b : 전달샤프트
134 : 제 2 결합돌기 136 : 제 3 결합돌기
150 : 지지부 152 : 벽체 고정판
154 : 제 2 연결판 156 : 제 1 부싱
158 : 베어링 170 : 이동부
172 : 케이지 174 : 이동 플랜지
176 : 케이지 고정판 178 : 제 1 연결판
180 : 제 2 부싱 184 : 가이드홈
190 : 보조 구동부 192 : 보조 구동모터
196 : 피니언 기어 198 : 연결기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수직통로 내부 지면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외주면 상에는 각각 제 1 수나사가 형성되면서 수직통로의 일측 및 타측 벽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1 구동샤프트 및 제 2 구동샤프트와, 제 1 구동샤프트 및 제 2 구동샤프트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전달샤프트 및 제 2 전달샤프트를 갖는 구동부;
벽체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면서 제 1 구동샤프트 및 제 2 구동샤프트와 연결되는 제 1 전달샤프트 및 제 2 전달샤프트의 연결부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제 1 전달샤프트 및 제 2 전달샤프트 및 또 다른 제 1 전달샤프트 및 제 2 전달샤프트의 연결부분을 지지하는 벽체 고정판을 갖는 지지부;
제 1 구동샤프트 및 제 2 구동샤프트, 다수의 제 1 전달샤프트 및 제 2 전달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지와, 케이지의 양측 외부면 상에 고정되면서 회전하는 제 1 구동샤프트 및 제 2 구동샤프트, 다수의 제 1 전달샤프트 및 제 2 전달샤프트를 따라서 이동되는 이동플랜지를 갖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 안쪽에 배치되어 케이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제 1 구동샤프트, 제 2 구동샤프트 및 전달샤프트를 구비하는 구동부,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구동부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 및 구동부의 구동력을 더해주는 보조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어장치의 간소화로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고장률이 적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 및 구동샤프트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 구동샤프트 및 이동 플랜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는 건축물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통로(10) 내에 배치되는 구동부(110), 지지부(150), 이동부(170) 및 보조 구동부(190)를 구비한다.
구동부(110)는 구동모터(112), 제 1 구동샤프트(120a), 제 2 구동샤프트(120b) 및 다수의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12)는 제 1 회전축(114)이 상측으로 연장되게 수직통로(10)의 지면(30)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구동모터(112)의 제 1 회전축(114)에는 제 1 체인스프로켓(116a)이 장착된다.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는 외주면에 각각 제 1 수나사(122)가 형성된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면서 수직통로(10)의 일측 및 타측 벽체(20)의 인접위치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 1 구동샤프트(120a)의 하측 원주면 상에는 제 1 체인(118)에 의해서 제 1 체인스프로켓(116a)과 연결되는 제 2 체인스프로켓(116b)이 장착되고, 제 2 체인스프로켓(116b)의 상부에는 제 3 체인스프로켓(126a)이 장착한다. 또한 제 2 구동샤프트(120b)의 하측 원주면 상에는 제 2 체인(128)에 의해서 제 3 체인스프로켓(126a)과 연결되는 제 4 체인스프로켓(126b)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의 상부면 상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 1 결합돌기(124)가 연장된다.
한편,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는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제 1 수나사(122)와 동일한 제 2 수나사(132)가 형성되면서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의 상측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하부면 상에는 제 1 결합돌기(124)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돌기(134)가 돌출 형성되며,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상부면 상에는 제 1 결합돌기(124)와 동일한 제 3 결합돌기(13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중앙부위에는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지름보다 작은 이끝원지름을 가지는 피동기어(138)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는 하단에 돌출 형성된 제 2 결합돌기(134)가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제 1 결합돌기(124)에 밀착되게 결합되면서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또한,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는 상단에 돌출 형성된 제 3 결합돌기(136)가 또 다른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제 2 결합돌기(134)와 밀착되게 결합되면서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회전력을 또 다른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구동부(110)에는 지지부(150), 이동부(170) 및 보조 구동부(190)가 배치된다.
지지부(150)는 일측면이 벽체(20)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판(152)과, 벽체 고정판(152)의 타측면에서 벽체 고정판(152)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연결판(154)과, 제 1 연결판(154)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1 부싱(156)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1 부싱(156)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각각의 제 1 결합돌기(124)와 제 2 결합돌기(134) 및 마찬가지로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각각의 제 2 결합돌기(134) 및 제 3 결합돌기(136)가 끼워진다. 즉, 지지부(150)는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와 연결되는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연결부분과,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와 또 다른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연결부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부싱(156)의 내경은 각각의 제 1 결합돌기(124), 제 2 결합돌기(134) 및 제 3 결합돌기(136)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제작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부싱(156)의 외경은 각각의 제 1 구동샤프트(120a), 제 2 구동샤프트(120b) 및 제 1 전달샤프트(130a),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게 제작된다. 이러한 각각의 제 1 부싱(156)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상에는 베이링(158)이 배치된다.
이동부(170)는 케이지(172)와, 이동플랜지(174)를 구비한다. 케이지(132)는 사람 및 화물을 싣는 통상의 사각형상으로 전면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도시되지 않음)과 내부에는 제어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및 비상탈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지(172)의 일측 및 타측에는 다수개의 이동플랜지(174)가 서로 대응되게 장착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플랜지(174)는 일측면이 케이지(172)의 외측에 고정되는 케이지 고정판(176)과, 케이지 고정판(176)의 타측면에서 케이지 고정판(176)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연결판(178)과, 제 2 연결판(178)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부싱(180)을 구비한다. 이때, 제 2 부싱(180)의 내주면상에는 제 1 수나사(122) 및 제 2 수나사(13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182)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연결판(178)에 대응하는 제 2 부싱(180)의 방사상 타측면상에는 제 2 부싱(18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소정의 간격(L)으로 절개된 가이드홈(18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동 플랜지(174)는 케이지(172)의 일측 및 타측에 다수개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 플랜지(174)의 제 2 부싱(180)이 제 1 구동샤프트(120a,), 제 2 구동샤프트(120b) 및 제 1 전달샤프트(130a), 제 2 전달샤프트(130b)에 끼워지어 제 1 구동샤프트(120a), 제 2 구동샤프트(120b) 및 제 1 전달샤프트(130a), 제 2 전달샤프트(130b)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어 케이지(172)를 상, 하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동플랜지(174)가 상, 하로 이동될 때, 지지부(150)에 걸림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홈(184)의 간격(L)은 지지부(150)의 제 1 연결판(154)의 두께보다 크다.
도 4를 참고하면, 보조 구동부(190)는 보조 구동모터(192), 전동기어(196) 및 다수개의 연결기어(178)를 구비한다. 보조 구동모터(192)는 제 2 회전축(194)이 상측으로 연장되게 벽체(20)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 구동모터(192)의 제 2회전축(194)에는 전동기어(196)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조 구동모터(192)는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에 형성된 피동기어(138)와 마주보는 벽체(2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보조 구동모터(192) 및 전동기어(196)에는 보조 구동모터(192)의 회전력을 각각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까지 전달시키기 위하여 전동기어(196)와 피동기어(138) 사이에 다수개의 연결기어(198)를 연결시킨다. 이때, 연결기어(198)는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하는 이동 플랜지(174)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플랜지(174)에 형성된 가이드홈(184)의 간격(L)보다 작은 이끝원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구동모터(112)가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되면, 구동모터(112)에 장착된 제 1 체인스프로켓(116a) 및 제 1 체인스프로켓(116a)에 체결된 제 1 체인(118)이 회전된다. 이러한 제 1 체인(118)은 다시 제 1 구동샤프트(120a)에 장착된 제 2 체인스프로켓(116b)을 회전시켜 제 1 구동샤프트(120a)가 회전된다. 한편, 제 1 구동샤프트(120a)가 회전되면, 제 1 구동샤프트(120a)에 장착된 제 3 체인스프로켓(126a) 및 제 2 체인(128)이 회전되고 이러한 제 2 체인(128)에 의해 제 2 구동샤프트(120b)에 장착된 제 4 체인스프로켓(126b)이 회전되어 제 2 구동샤프트(120b)가 회전된다. 이렇게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가 회전되면, 제 1 구동샤프트(120a) 및 제 2 구동샤프트(120b)의 상부에 결합된제 1 전달샤프트(130a), 제 2 전달샤프트(130b) 및 또 다른 제 1 전달샤프트(130a), 제 2 전달샤프트(130b)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 1 구동샤프트(120a), 제 2 구동샤프트(120b) 및 제 1 전달샤프트(130a), 제 2 전달샤프트(130b)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수나사(122) 및 제 2 수나사(132)에 체결된 이동플랜지(174)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케이지(172)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부(110)와 지지부(150) 및 이동부(170)를 구비한 엘리베이터(1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엘리베이터(100)는 하나의 구동모터(112)에 의해 작동되므로 구동모터(112)에 과부하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12)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요소에 배치된 보조 구동부(19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보조 구동부(190)는 구동모터(112)와 동일한 제어를 받으며 보조 구동모터(192)가 회전된다. 이때, 보조 구동모터(192)에 장착된 전동기어(196)가 회전되고 이러한 전동기어(196)에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기어(198)가 보조 구동모터(192)의 회전력을 피동기어(138)에 전달시켜 제 1 전달샤프트(130a) 및 제 2 전달샤프트(130b)의 회전력을 더해준다.
이때, 이동부(170)의 이동플랜지(174)가 상, 하로 이동될 때, 이동플랜지(174)에 가이드홈(184)이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지지부(150)의 제 1 연결판(154)과 보조 구동부(190)의 연결기어(198)에 걸림을 받지 않고 상, 하로 자유로이 이동 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는 케이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동샤프트 및 구동샤프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전달샤프트로 구비함으로써, 케이지가 하측으로 추락하는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고속 운행 및 초정밀 제어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전달샤프트의 요소에 보조 구동부를 장착함으로써, 구동모터의 과부하에 의한 고장을 막을 수 있으며, 층고의 제한이 없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건축물의 수직통로 내부 지면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외주면 상에는 각각 제 1 수나사가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통로의 일측 및 타측 벽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1 구동샤프트 및 제 2 구동샤프트와, 상기 제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전달샤프트 및 제 2 전달샤프트를 갖는 구동부;
    상기 벽체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와 연결되는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의 연결부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 및 또 다른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의 연결부분을 지지하는 벽체 고정판을 갖는 지지부;
    상기 제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 다수의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양측 외부면 상에 고정되면서 회전하는 상기 제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 다수의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를 따라서 이동되는 이동플랜지를 갖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제 1 회전축에는 제 1 체인스프로켓이장착되며 상기 제 1 체인스프로켓과 마주보는 상기 제 1 구동샤프트의 원주면상에는 제 2 체인스프로켓이 장착되어 상기 제 1 체인스프로켓과 상기 제 2 체인스프로켓에 제 1 체인이 체결되고, 상기 제 2 체인스프로켓의 상부 원주면상에는 제 3 체인스프로켓이 장착되며 상기 제 3 체인스프로켓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구동샤프트의 원주면상에는 제 4 체인스프로켓이 장착되어 상기 제 3 체인스프로켓과 상기 제 4 체인스프로켓에 제 2 체인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의 상부면상에는 반원통형상의 제 1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의 하부면상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2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의 상부면상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와 동일한 형상의 제 3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가 밀착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의 상단에는 또 다른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가 연속적으로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고정판은 상기 벽체고정판의 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제 1 연결판과, 상기 제 1 연결판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 1 부싱과, 상기 제 1 부싱의 상부면 및 하부면상에 베이링이 배치되어 상기 제 1 부싱이 각각의 상기 제 1 결합돌기 및 상기 제 2 결합돌기와 상기 제 3 결합돌기 및 또 다른 상기 제 2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랜지는 일측이 상기 케이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장착되는 케이지 고정판과, 상기 케이지 고정판의 타측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제 2 연결판과, 내주면상에 상기 제 1 수나사 및 상기 제 2 수나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 2 부싱이 상기 제 2 연결판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부싱이 상기 제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와 각각의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는 중앙부위에 각각의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의 지름보다 작은 이끝원지름을 갖는 피동기어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 구동모터와, 상기 보조구동모터의 제 2 회전축에 장착되는 전동기어와, 상기 전동기어에 체결되어 상기 보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기어까지 전달시켜주는 연결기어를 구비하는 보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제 1 구동샤프트 및 상기 제 2 구동샤프트와 각각의 상기 제 1 전달샤프트 및 상기 제 2 전달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 하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연결판 및 상기 연결기어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부싱의 타측 상부면에서부터 타측 하부면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된 가이드홈이 상기 제 2 연결판의 두께 및 상기 연결기어의 이끝원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KR20-2003-0000929U 2003-01-13 2003-01-13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KR200309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929U KR200309837Y1 (ko) 2003-01-13 2003-01-13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929U KR200309837Y1 (ko) 2003-01-13 2003-01-13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837Y1 true KR200309837Y1 (ko) 2003-04-08

Family

ID=4940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929U KR200309837Y1 (ko) 2003-01-13 2003-01-13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8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1968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 drive machine below
EP0606875B2 (en) Elevator motor placed in the counterweight
KR890003878B1 (ko) 엘레베이터장치
KR890002276B1 (ko) 엘레베이터 장치
EP2576408B1 (en) Elevator with roller-pinion drive
EP1333000A1 (en) A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JP2014512319A (ja) 荷重及び人を輸送するための駆動ユニット、及びそのような駆動ユニットを有する荷重及び人の輸送装置
EP1787937A2 (en) Improvements to a passenger or freight lift based on the use of chains, counterweights and servomotors
CN210418839U (zh) 一种安全型节能电梯
KR200256136Y1 (ko) 견인드라이브엘리베이터
US6779634B1 (en) Dumb waiter elevating and lowering platform device
CN102099280A (zh) 具有自行的电梯轿厢的电梯设备
KR200309837Y1 (ko) 구동샤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US20180065831A1 (en) Elevator
EP0020825A1 (en)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loads from one level to another
US20100018810A1 (en) Elevator apparatus
US6942066B1 (en) Elevator apparatus
KR20120043792A (ko) 카운터 웨이트가 없는 엘리베이터
JP2003292294A (ja) リフト装置
CN113165842B (zh) 适用于电梯用2:1绳索连接方法的悬吊滑轮
US6968925B1 (en) Elevator apparatus
KR20030042448A (ko)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
CN103492305B (zh) 电梯的门开闭装置
JPH09100080A (ja) エレベータの昇降駆動機構
KR20100132240A (ko) 레일기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