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761A -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761A
KR20030038761A KR10-2003-7004139A KR20037004139A KR20030038761A KR 20030038761 A KR20030038761 A KR 20030038761A KR 20037004139 A KR20037004139 A KR 20037004139A KR 20030038761 A KR20030038761 A KR 20030038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data
audio
frame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820B1 (ko
Inventor
가네아키데츠히코
이즈미도모아키
가메다게이이치
소바지마아키라
하타나카마사히코
마츠노기미노리
모리타슈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00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083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08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325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08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363258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Abstract

본 발명은, 헤더를 선두로 하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고,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이 프레임 외에도 존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가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망의 위치에서 전방부 및 후방부의 2개의 오디오 데이터로 분할할 때, (1)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최후 끝에 부가하고, (2)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후방부 데이터의 시초부 전방에 배치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MP3로 대표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이 사용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장소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압축 데이터이어도 이음을 발생한다든지 하지 않는다. 또,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생긴 2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이면, 이음선 없이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METHOD OF EDITING AND REPRODUCING COMPRESSION AUDIO DATA}
종래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편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미니디스크(MD)에서 이용되는 방법에서는, 편집을 위한 데이터의 분할시에는 각 프레임에서의 헤더의 직전에서 분할하여, 각각을 다른 오디오 데이터로 한다. 재생시에는 간단히 데이터를 각 오디오 데이터마다 연속적으로 독출하여 재생해 간다. 이상이 MD의 경우의 편집 및 재생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MP3와 같은 편집된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가 된 프레임보다 앞의 프레임에 이 선두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도 일부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를 편집하고, 이것을 재생하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MP3와 같은 데이터의 경우, 제1 오디오 데이터에 계속해서 제2 오디오 데이터(상기의 MD의 경우와 같이 단순한 분할이 행해진 것으로 한다)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도록 하면, 제2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제1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부에 존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제1, 제2 오디오 데이터로서 무엇을 선택하는지는 재생 장치를 조작하는 사람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부에 제2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반드시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제2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는 본래의 데이터와 다른, 즉 압축 데이터의 일부가 결여된 것을 재생하기 위해서, 이음을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어느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한 경우에도 이음(異音)이 발생하지 않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헤더를 선두로 하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그 프레임 이외에도 존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가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망의 위치에서 전방부 및 후방부의 2개의 오디오 데이터로 분할할 때의 편집 방법이, (1)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방부 및 후방부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 끝에 부가하는 단계, (2)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방부 및 후방부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부 전방에 배치하는단계의, 적어도 (1) 또는 (2) 중 어느 한쪽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 끝의 부분과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부의 부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2개의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 방지의 처리 등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헤더를 선두로 하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이 프레임 이외에도 존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가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된 플래그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결합을 행하고,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에 기초하여, 플래그의 세트·리셋을 행하는 편집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결합이 어떻게 행해지는 지를 플래그에 의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 재생시에도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는, 프레임의 헤더의 앞에 이 헤더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할 때에, 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와 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가 중복되도록 편집되고, (1) 2개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 먼저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의 선두의 소정 데이터와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의 선두의 소정 데이터를 비교한다. (2) 먼저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 종단까지의 데이터량과,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 종단까지의 데이터량을 비교하는 것 중, (1) 또는 (2)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처리를 행하고,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부를 재생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분할 편집 등에 의해 작성된 2개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도, 이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된 오디오 신호, 특히 MPEG1-LAYER3, MPEG2-LAYER3(이후, 이들을 MP3라고 칭한다)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그 프레임 이외에도 존재하는 압축 신호에 대한 편집, 재생을 행하는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한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MP3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 형식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다른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다른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다른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오디오 편집 및 재생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오디오 편집 및 재생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및 플래그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편집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연속/불연속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 및 4에 있어서의 편집 데이터의 재생시에 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연속/불연속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a)는 α로 나타낸 구간을 1프레임으로 하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열(1)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는 프레임(F1), 프레임(F2),…, 프레임(F7)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b), (c)는 도 1(a)의 오디오 데이터(1)를 화살표로 도시한 분할 포인트(D)로 분할한 경우의 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인 곳의 오디오 데이터(2), 오디오 데이터(4) 및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인 곳의 오디오 데이터(3), 오디오 데이터(5)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MP3와 같이 헤더를 선두로 하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해당하는 프레임 외에도 존재하는 바와 같은 압축 형식을 갖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2는 MP3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2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헤더로부터 다음 헤더의 직전까지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는 4개의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다. 각 프레임에는 헤더(h)에 계속하여 사이드 인포메이션(side information)(s)이 있고, 그 속에 격납되어 있는 값이 그 프레임에서 이용되는 데이터가 어디에 어느 만큼 있는 지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0」이면, 화살표 2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직후로부터 데이터가 시작되고, 「1」이면, 헤더(h)의 직전 1바이트로부터라고 하는 상황이다. 통상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에서는,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사이드 인포메이션(s1)의 다음에서 스타트한다(화살표 21). 즉,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값으로서 「0」이 기입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프레임 내에 다음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격납할 수 있고, 그 선두 위치가 다음의 프레임의 사이드 인포메이션(s2)에 의해서 도시된다(화살표 22).
도 2의 예에서는 1번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화살표 21의 끝의 위치에서 스타트하고, 2번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화살표 22의 끝의 위치에서 스타트하고, 3번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화살표 23의 끝의 위치에서 스타트하고, 4번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화살표 24의 끝의 위치에서 스타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b)에 있어서, 프레임(F3)과 프레임(F4)의 경계에서 분할한다고 한 경우, 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2)는 프레임(3)까지가 재생되기 때문에, 프레임(4)은 재생을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지만,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인 오디오 데이터(3)가 오디오 데이터(2)와 연속하여 재생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프레임(F4)이 오디오 데이터(2)의 말미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3)가 오디오 데이터(2)에 이어지는 형태로 재생되는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2)의 최종 프레임과 오디오 데이터(3)의 최초의 프레임의 비교가 행해지고, 만일 일치하면 이들 오디오 데이터는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들 일련의 처리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RAM 등의 기억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즉, 프레임(F4)을 기억 장치의 다른 영역에 복제하고, 그 뒤에 프레임(F5) 이하를 이동하면 된다.
또한, 분할의 구체적 방법으로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F3)과 프레임(F4)의 사이에서 분할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파일에 대해서, (1) 프레임 수 및 파일 사이즈의 변경을 행하고, (2) 빈 영역에 프레임(F4)을 복제하고, 이 프레임(F4)을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의 선두로 지정하고,(3) 프레임(F4) 이후를 링크함으로써 분할하면 된다.
이와 같이, 연속하여 재생되어야 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인 경우에는, 프레임(F1), 프레임(F2), 프레임(F3), 프레임(F4), …, 으로 순서대로 재생해 가도 바르게 재생된다.
여기에서, 만일 도 1(b)에서의 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2)가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이 아닌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2)의 최후의 프레임인 프레임(F4)과 오디오 데이터(3)의 선두의 프레임인 프레임(F4)이 달라진다. 이들 프레임이 일치하는 지를 미리 체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3)를 재생할 때에, 그 선두의 프레임인 프레임(F4)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체크하고, 그 지시하는 끝이 자신의 프레임(여기에서는 프레임(F4))이면 그 프레임을 재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도 2의 화살표 22와 같은 앞의 프레임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그 프레임을 재생하지 않고, 프레임에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지시하는 끝이 이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여기에서는 프레임(F4)) 이후가 되는 프레임으로부터 재생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일련의 처리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이하, DSP라고 칭한다)에 의해서 행해진다. 즉, DSP 내에 있어서, 최초의 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2)의 프레임(F4)과 오디오 데이터(3)의 프레임(F4)을 비교한다. 만일 「불일치」의 결과가 얻어지면, 다음의 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3)의 프레임(F4)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체크하고, 그 지시하는 끝이 자신의 프레임(여기에서는 프레임(F4))이면 그프레임을 재생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도 2의 화살표 22와 같이 지시하는 끝이 앞의 프레임인 경우에는 그 프레임을 재생하지 않고, 다음 프레임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체크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그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지시하는 끝이 이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여기에서는 프레임(F4)) 이후가 될 때까지 이 단계를 루프시킨 후, 프레임을 재생하는 단계로 진행하도록 한다.
이상의 구체적인 재생 처리 단계를 도 7에 도시한다. 먼저, 어느 프레임(FN)을 읽어서 재생하고, 다음의 프레임(프레임 수에 1을 더한다)으로 갱신하고, 파일의 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계속있는 경우에는, 재생 처리를 반복한다. 끝인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로 진행한다.
최후의 프레임을 읽어, 이것을 메모리에 격납한다. 다음의 오디오 데이터에 포인터를 세트하고, N을 1로 하고, 그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을 독출하고, 메모리에 격납된 프레임(FN)과 선두 프레임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한 경우, 이 프레임을 재생하고, 뒤에 최종 프레임이 될 때까지, 프레임을 갱신하면서 재생한다. 또, 불일치한 경우, 프레임을 하나 갱신하여 읽고, 그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확인하여, 대응하는 데이터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대응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프레임을 갱신하는 단계로 되돌아가고, 대응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일치한 경우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오디오 데이터(2)에 대해서 오디오 데이터(3)의 최초의 1프레임을 부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물론 2프레임 이상, 혹은 1프레임+수 바이트인 것이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요는 비교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있으면 좋다는 것이다.
도 1(c)에 있어서는, 프레임(F3)과 프레임(F4)의 경계에서 분할한다고 한 경우,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5)는 프레임(F4)으로부터 재생되기 때문에, 프레임(F3)은 재생을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지만, 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인 오디오 데이터(4)가 오디오 데이터(5)에 앞서서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 고려하여 프레임(F3)이 오디오 데이터(4)의 전방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4)가 오디오 데이터(5)에 앞선 형태로 재생되고 있는 경우는, 오디오 데이터(4)의 최종 프레임과 오디오 데이터(5)의 최초의 프레임의 비교가 행해지고, 만일 일치하면 이들 오디오 데이터는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5)에 있어서는, 화살표 DO로 도시된 프레임(F3)은 무효 데이터, 즉 데이터 오프셋으로서 재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 당연하지만, 도 1(b)의 오디오 데이터(2)를 단독으로 재생시키는 경우에는, 프레임(F3)까지를 재생하고, 프레임(F4)은 재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속하여 재생되는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인 경우에는, 프레임(F1), 프레임(F2), 프레임(F3), 프레임(F4), …, 으로 순차 재생해 가도 바르게 재생된다.
여기에서, 만일 도 1(c)의 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4)가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이 아닌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4)의 최후의 프레임인 프레임(F3)과 오디오 데이터(5)의 선두의 프레임인 프레임(F3)이 달라진다. 이들 프레임이 일치하는 지를 미리 체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는,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5)를 재생할 때에, 그 선두의 프레임인 프레임(F4)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을 체크하고, 그 지시하는 끝이 자신의 오디오 데이터(5) 내이면 그 프레임을 재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분할 포인트가 도 2의 프레임(F2)과 프레임(F3)의 경계이고, 그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지시하는 위치가 화살표 23인 경우에는 그 프레임을 재생하지 않고, 프레임에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지시하는 끝이 이 오디오 데이터(5)에 존재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재생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1프레임만을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2), 혹은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5)에 접속하도록 하였지만, 접속하는 것이 다수 프레임이어도 되고, 또 반드시 프레임 단위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오디오 데이터(5)에 대해서 오디오 데이터(4)의 최종 1프레임을 부가하도록 하고 있지만, 물론 앞의 데이터의 최종 2프레임, 혹은 최종 1프레임과 그 직전의 수 바이트인 것이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요는 비교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있으면 좋다는 것이다.
도 3은, 오디오 데이터가 1클러스터를 기입/독출 단위로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등도 이와 같이 독출/기입이 행해지고 있다. 각 클러스터에는 다수 프레임의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격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도 3의 (a)에 도시하는 분할 포인트(D)로 분할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b)는 분할 포인트가 클러스터의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분할 포인트는 어느 프레임의 헤더의 직전이 된다. 도면 중, β로 나타내는 구간이 1클러스터이다. 이것은 오디오 데이터(31)의 분할을 행할 때에, 전방부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32)의 최종 클러스터(C2)에 대해서, 그것을 복제하여 후방부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33)의 최초의 클러스터(C2)로 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물리적으로 다른 장소에 존재하고 있지만 동일 데이터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러스터 내에 분할되어야 하는 경계가 오도록 하고 있다. 도 3(c)의 오디오 데이터(33)에서 DO로 나타낸, 클러스터의 선두로부터 분할 포인트까지의 개소는 도 1의 (c)와 동일하게, 데이터 오프셋(무효 데이터)으로서 재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물론, 후방부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33)의 최초의 클러스터(C2)에 대해서 그것을 복제하여 전방부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32)의 최후의 클러스터(C2)로 하도록 해도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가령 최초 또는 최후의 클러스터의 한 쪽이 삭제되어도 오디오 데이터는 바르게 재생되고, 오디오 데이터(32)에 이어져서 오디오 데이터(33)가 재생되는 경우에도 오디오 데이터(32)의 최종 클러스터와 오디오 데이터(33)의 선두의 클러스터의 비교를 행하고, 일치한 경우에는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라고 판단하여 순서대로, 즉 오디오 데이터(33)의 시초의 프레임으로부터 재생해 간다.
역으로, 전술한 비교 결과가 「불일치」가 된 경우나,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33)만을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33)가 필요로 하고 있는 데이터가 그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가 되는 클러스터보다 앞의 클러스터에 존재하는 경우, 즉, 도 2의 A점에 클러스터의 경계가 있고, 동일 B점이 분할 포인트였던 경우에는, 해당하는 데이터, 즉 그 프레임의 재생을 행하지 않도록 하여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오디오 데이터(41)의 분할 위치가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의 경계와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한 것이다. 도 4(b)에 도시하는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42)에 대해서 도 4(c)에 도시하는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43)의 시초의 1클러스터를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42)의 최후 끝에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42)의 최후의 클러스터(C3)와 오디오 데이터(43)의 최초의 클러스터(C3)를 비교함으로써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 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것은,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53)에 대해서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52)의 분할 포인트 직전의 1클러스터(클러스터(C2))를 데이터 오프셋으로서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53)의 선두부에 앞서서 부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해도 도 4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오디오 데이터(53) 단독으로 재생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선두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선두의 프레임으로부터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수법, 즉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53)에 대해서 1클러스터를 선두부에 앞서서 부가하는 수법과 함께,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42)에 대해서 또한 1클러스터를 부가하는 수법의 양쪽을 이용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위치가 클러스터의 경계와 일치한 경우에는, 그 위치에서의 분할을 인정하지 않고, 1프레임분 전후시키도록 해도 좋다. 1프레임은 수 10㎳이기 때문에, 통상은 거의 문제없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은, MP3와 같이 프레임과 그 프레임이 사용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장소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압축 데이터이어도 이음을 발생한다든지 하지는 않고, 또,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생긴 2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이면 이음선 없이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기억 장치(61)는 다수개의 오디오 데이터(62)와, 각 오디오 데이터(62)에 대응한 플래그(63)를 격납하고 있다. 이들은 편집 수단(64)에 의해서 고쳐쓰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조기(65)는 오디오 데이터(62)와 각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한 플래그(63)를 기억 장치(61)로부터 독출하고, 플래그(63)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62)의 복조를 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및 플래그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P3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는 헤더에 이어서 사이드인포메이션(side information)이 있고, 이 속에 격납되어 있는 값이 그 프레임에서 이용하는 데이터가 어디에 어느 만큼 있는 지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0」이면 도 2의 화살표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직후로부터 데이터가 시작된다. 예를 들면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1」이면, 헤더(h1)의 직전 1바이트로부터 데이터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수치는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개시점이 그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몇바이트 전에 있는 지, 그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기억 장치(61)에, 플래그(63)로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플래그(81, 83)가, 오디오 데이터(62)로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82, 84)가 격납되어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82)에 있어서, FA, FB, …, 로 나타낸 구간이 프레임을 나타내고, 해칭을 행한 개소가 헤더에 상당한다. 오디오 데이터(82)에서는 최초의 프레임(FA)에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sA)이 사이드 인포메이션(sA)에 이어지는 데이터를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편집 수단(64)은 프레임(FA)의 사이드 인포메이션(sA)의 값을 독해하고, 그 값이 「0」인 경우이기 때문에 플래그(81)를 리셋하여 0으로 하고 있다. 오디오 데이터(84)에 있어서, FE, FF, …, 로 나타낸 구간이 프레임을 나타내고, 해칭을 행한 개소가 헤더에 상당한다. 오디오 데이터(84)에서는 최초의 프레임(FE)에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sE)이 프레임(FE)의 전방을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편집 수단(64)은 프레임(FE)의 사이드 인포메이션(sE)의 값을 독해하고, 그 값이 「0」이 아니기 때문에 플래그(83)를 1로 세트하고 있다.
복조기(65)에서는, 기억 장치(6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그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읽고, 플래그의 상태, 즉 세트(=1)/리셋(=0)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복조를 행한다. 즉, 도 9의 플래그(81)와 같이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모든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그 오디오 데이터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복조기(65)는 선두의 프레임(FA)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82)의 복조를 행한다. 도 9의 플래그(83)와 같이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적어도 선두의 프레임(FE)에 대한 데이터가 일부 혹은 전부, 이 오디오 데이터의 최초의 프레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프레임(FE)은 복조하지 않고, 프레임(FF)으로부터 복조의 여부를 체크한다. 즉, 복조기(65)에 있어서는, 프레임(FF)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값이 오디오 데이터(84) 내를 지시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에서는 프레임(FF)에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에 의해서 프레임(FF)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프레임(FE)보다도 앞에 있는 취지가 지시되어 있기 때문에, 복조기(65)는 프레임(FF)의 복조도 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다음 프레임의 복조의 여부를 체크한다. 즉, 다음 프레임(FG)의 사이드 인포메이션(sG)의 값이 오디오 데이터(84) 내를 지시하고 있는 지를 체크한다. 여기에서는 이 3개째의 프레임(FG)에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sG)은 프레임(FE) 내를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복조기(65)는 3개째의 프레임(FG)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84)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복조를 행한다.
이와 같이 플래그(63)가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순서대로 각 프레임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의 값을 체크하고,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그 오디오 데이터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존재한다」고 판별된 프레임으로부터 복조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해서, 복조되는 프레임이 반드시 그 프레임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갖게 되기 때문에, 다른 오디오 데이터의 경계선에 있어서의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동일 도면 (a)에 도시하는 오디오 데이터(91)를 분할 포인트(D)로 분할한다고 하였을 때의 편집 수단(64)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분할 포인트(D)로 분할하면, 분할 포인트(D)보다 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92)는 프레임(F3)까지가 재생되기 때문에, 프레임(F4)은 재생을 위해서는 필요없지만, 동일 도면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인 오디오 데이터(93)가 오디오 데이터(92)와 연속하여 재생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프레임(F4)을 오디오 데이터(92)의 말미에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93)가 오디오 데이터(92)에 이어지는 형태로 재생되는 경우에는, 복조기(65)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92)의 최종 프레임과 오디오 데이터(93)의 최초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만일 일치하면 이들 오디오 데이터는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라고 판단하고, 프레임(F3)의 복조 후에 프레임(F4) 이후를 복조한다.
도 10(c)는 편집 수단(64)이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95)에 대해서 프레임(F3)을 무효 데이터인 데이터 오프셋으로서 부가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복조기(65)에 있어서 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인 오디오 데이터(94)가 오디오 데이터(95)에 앞서서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데이터(94)의 최종 프레임과 오디오 데이터(95)의 최초의 프레임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이들 오디오 데이터는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수단(64)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분할의 처리를 실시하였을 때에는 반드시 그 처리 후에 그들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한 플래그를 세트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복조기(65)에 있어서는, 이 플래그를 체크하고, 만일 이 플래그가 서 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그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수 프레임은 복조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오디오 데이터는 기입/독출 단위를 1클러스터로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은 데이터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등도 이와 같이 독출/기입이 행해지고 있다.
이상은 복조기(65)에 있어서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을 때에는 2번째에 복조되는 오디오 데이터도 선두의 프레임으로부터 복조되고,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2번째로 복조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내용을 최초로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의 프레임과의 연속성을 체크한 후에 어느 프레임부터 복조해야 하는 지를 판단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편집 수단(64)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 후, 이들을 재생(복조)할 때에는 재생 순서는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복조 순서가 결정된 시점에서 편집 수단(64)은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각 오디오 데이터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행하여 복조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 프레임과, 계속해서 복조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이 연속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어느 오디오 데이터(A)에 이어서 오디오 데이터(B)가 복조되게 되었을 때, 편집 수단(64)에서는 오디오 데이터(B)의 선두의 프레임과 오디오 데이터(A)의 최종 프레임의 비교를 행하고, 만일 일치하지 않으면 오디오 데이터(B)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세트하고, 일치하고 있으면 리셋한다. 또,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오디오 데이터(B)의 선두의 프레임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지시하는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B)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오디오 데이터(B)에 대한 플래그를 리셋한다. 이 처리를 각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그들 오디오 데이터의 복조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점에서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복조기(65)에 있어서는 플래그의 세트·리셋을 체크하고, 예를 들면 리셋되어 있으면 그 오디오 데이터는 선두의 프레임으로부터 복조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세트되어 있으면 이 오디오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프레임에 대응한 데이터가 이 오디오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프레임만의 복조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를 비교한다는 순서를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최초로 복조되는 오디오 데이터(A)가 도 10에 있어서의 오디오 데이터(93)와 같이 어느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얻어진 것인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A)에 대해서도 선두의 프레임의 체크를 행하고, 선두의 프레임에서의 사이드 인포메이션이 오디오 데이터(A) 내를 지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를 세트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편집 수단(64)이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 혹은 최초의 프레임의 내용을 체크하여 플래그를 세트·리셋하도록 하고 있지만,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예를 들면 매뉴얼 조작에 의해서 이 플래그를 세트·리셋하도록 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것에 의해서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가 불필요하게 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복조 순서를 지정한 자가 직접 플래그를 지정하도록 하면 연속하여 복조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였는 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례로서, 2개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중, 데이터(A)와 데이터(B)가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처리에 의해서 작성된 것이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와 동일한 것을,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에 부가한다. 또는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와 동일한 것을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에 부가한다. 분할 포인트는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의 유효 데이터의 말미, 또는 데이터(B)의 선두 데이터의 유효 데이터의 선두이다. 그러므로,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α분의 데이터와,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α분의 데이터는 일치한다. 그러므로, 도면 중 α분의 데이터의 일치를 판정하면, 연속/불연속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교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연속하는 데이터라고 판정하여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의 유효 데이터와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의 유효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한다.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연속이라고 판정하여 데이터(B)의 유효 데이터의 선두 부분, 예를 들면 선두 프레임은 재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α의 범위는 불연속을 연속이라고 판정하지 않도록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실현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12의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기록 매체(71)에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와, 오디오 압축 데이터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 독출 수단(72)은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관리 정보를 기억 수단(74)에 격납한다. 제어 수단(75)은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관리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독출 수단(72)에 대해서 해당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기록 매체(71)로부터 독출하도록 제어한다. 독출된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는 데이터 재생 수단(73)으로 전송되어 재생된다. 여기에서, 도 11 중의 데이터(A)와 데이터(B)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A)를 재생 후,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α분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M)와,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α분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N)를 데이터(B) 독출 전에 기억 수단(74)에 격납한다. 제어 수단(75)은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M)와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N)의 데이터 내용이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비교한다. 비교가 완료 후, 데이터(B)를 기록 매체(71)로부터 데이터 독출 수단(72)에 의해 독출하고, 데이터 재생 수단(73)으로 전송한다. 이 때, 제어 수단(75)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재생 수단(73)에 대해서 데이터(B)의 선두부를 재생하는 지의 여부를 지정한다.
또, 도 11 중, 데이터(A)와 데이터(B)가 분할 처리에 의해서 작성되는 것이면, 반드시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분할점까지의 데이터량(도 11의 β)과,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분할점까지의 데이터량(도 11의 γ)은 일치한다. 그러므로, 도면 중의 β와 γ의 데이터량을 비교하는 것 만으로, 적은 처리 부하로 연속/불연속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현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예의 설명에서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도 11 중의 데이터(A)와 데이터(B)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A)를 재생 후, 데이터(B) 독출 전에, 제어 수단(75)은 기억 수단(74)에 격납된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분할점까지의 데이터량과,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분할점까지의 데이터량이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이 완료 후, 데이터(B)를 기록 매체(71)로부터 데이터 독출 수단(72)에 의해 독출하고, 데이터 재생 수단(73)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재생 수단(73)으로 데이터(B)를 재생할 때, 제어 수단(75)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재생 수단(73)에 대해서 데이터(B)의 선두부를 재생하는지의 여부를 지정한다.
이것에 의해, 다수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 이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생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례로서, 2종류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중 데이터(C)가 클러스터 내에서 3분할 편집되어 데이터(C)(1)∼데이터(C)(3)가 작성된 경우에,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C)(2)의 선두까지 및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C)(3)의 선두까지의 데이터량을 각각 Δ 및 Σ로 한다. 데이터(C)(1)와 데이터(C)(2)를 순서대로 재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C)(1)의 종단과 데이터(C)(2)의 선두가 인접되기 때문에, 비교 데이터 내용(도면 중, α)의 판정에 의한 오판정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데이터(C)(1)와 데이터(C)(3)를 순서대로 재생하는 경우, 비교 데이터(도면 중, α)의 판정만으로는 오판정해 버린다. 따라서,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C)(1)의 종단까지의 데이터량(도면 중, Δ)과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C)(3)의 선두까지의 데이터량(도면 중, Σ)을 비교하고, 일치한 경우에만 비교 데이터 내용의 판정을 행하고, 데이터 내용이 일치하는 지의 여부에 의해, 연속/불연속을 판정한다.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C)(1)의 종단까지의 데이터량(도면 중, Δ)과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C)(3)의 선두까지의 데이터량(도면 중, Σ)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연속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연속 및 불연속 판정 결과에 기초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3의 경우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현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도 12의 설명에서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도 11 중의 데이터(A)와 데이터(B)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A)를 재생 후, 데이터(B)의 독출 전에, 제어 수단(75)은 기억 수단(74)에 격납된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분할점까지의 데이터량과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분할점까지의 데이터량이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한 경우에는, 데이터(A)의 최종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α분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도시하지 않지만 M으로 한다)와, 데이터(B)의 선두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α분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도시하지 않지만 N으로 한다)를 기억 수단(74)에 격납하고, 데이터 내용의 비교를 행한다. 비교가 완료 후, 데이터(B)를 기록 매체(71)로부터 데이터 독출 수단(72)에 의해 독출하고, 데이터 재생 수단(73)으로 전송한다. 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로 데이터(B)를 기록 매체(71)로부터 데이터 독출 수단(72)에 의해 독출하고, 데이터 재생 수단(73)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재생 수단(73)으로 데이터(B)를 재생할 때, 제어 수단(75)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재생 수단(73)에 대해서 데이터(B)의 선두부를 재생하는지의 여부를 지정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71)의 클러스터 내에서 다수 분할 편집된 다수 오디오 압축 데이터 내의 임의의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시키는 경우에도, 이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더를 선두로 하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고,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이 프레임 외에도 존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가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망의 위치에서 전방부 및 후방부의 2개의 오디오 데이터로 분할할 때에, (1)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최후 끝에 부가하고, (2)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대해서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후방부 데이터의 시초부 전방에 배치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처리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MP3로 대표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이 사용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장소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압축 데이터이어도 이음을 발생한다든지 하지 않고, 또 원래의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생긴 2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이면, 이음선 없이 재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2)

  1. 헤더를 선두로 하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프레임 중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그 프레임 이외에도 존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망의 위치에서 전방부 및 후방부의 오디오 데이터로 분할하는 편집 방법이,
    (a)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방부 및 후방부로 분할하고,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 끝에 부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방부 및 후방부로 분할하고,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부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
    의 상기 단계 (a)와 상기 단계 (b)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가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1프레임 이상인지, (ii)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가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 1프레임 이상인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순차 프레임을 읽는 단계와,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이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갖고, 판별 결과가 「존재하지 않음」의 경우는, 다음의 프레임을 읽어서 상기 판별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갖고, 「존재함」의 경우는, 읽은 프레임의 재생을 행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이어서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 끝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와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부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의 비교를 행하는 단계와,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부로부터의 재생을 행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1클러스터를 기입/독출 단위로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어느 프레임을 재생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고 있는 데이터가, 이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가 되는 클러스터보다 앞의 클러스터에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갖고, 「존재하지 않음」의 경우는, 해당하는 프레임의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방법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을 행할 때,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 클러스터를 복제하여 동일 내용을 갖는 클러스터를 작성하는 단계와, 이 클러스터를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초의 클러스터로 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방법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위치가 상기 클러스터의 경계와 일치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갖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그 위치에서의 분할을 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방법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위치가 상기 클러스터의 경계와 일치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갖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1클러스터분의 데이터를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 끝에 부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방법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위치가 상기 클러스터의 경계와 일치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갖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 클러스터를 무효 데이터로서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부 직전에 부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이,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에 이어서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 상기 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최후 끝의 1클러스터와 상기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부의 1클러스터의 비교를 행하는 단계와,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후방부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부로부터의 재생을 행하는 지의 여부를결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2. 헤더를 선두로 하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이 프레임 이외에도 존재하는 형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된 플래그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플래그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분할, 결합을 행하고,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플래그의 세트·리셋을 행하는 편집 수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가,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상기 복조기는, 상기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의 프레임으로부터 복조를 행하고, 상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서의 각 프레임에 대응한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프레임만의 복조를 행하도록 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1클러스터를 기입/독출 단위로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제2의 2개의 오디오 데이터로 분할하였을 때에, (i)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의 시초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최후 끝에 부가하는 수단, 혹은, (ii)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의 소정 바이트의 데이터를 상기 제2 데이터의 시초부 전방에 배치하는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가 선행하여 상기 복조기에 부여되어 있는 다른 특정한 오디오 데이터에 연속하여 상기 플래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하고 복조하여 좋은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상기 복조기는 상기 플래그가 리셋되어 있을 때에는 선행하여 상기 복조기에 부여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에 연속하여 상기 플래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하여 복조하고, 상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선행하여 상기 복조기에 부여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에 연속하여 부여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이 오디오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프레임에 대응한 데이터가 이 오디오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프레임만의 복조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제1, 제2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하여 재생되는 것이 결정되고, 상기 복조기에 이들 오디오 데이터가 부여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의 최종부와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의 개시부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을 구비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플래그를 세트하도록 하고, 상기 복조기가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에 이어서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를 복조할 때, 상기 플래그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선두의 프레임으로부터 복조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이,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제2의 순서에서의 2개의 오디오 데이터로 분할하였을 때에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한 플래그를 세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이, 상기 플래그를 상기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세트·리셋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편집 및 재생 방법.
  20. 프레임의 헤더의 앞에 이 헤더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할 때에, 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와 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가 중복하도록 편집되고, 2개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 먼저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의 선두의 소정 데이터와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의 선두의 소정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의해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부를 재생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21. 프레임의 헤더의 앞에 이 헤더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할 때에, 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와 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가 중복하도록 편집되고, 2개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 먼저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의 선두로부터 데이터 종단까지의 데이터량과,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의 클러스터 선두부로부터 데이터 종단까지의 데이터량을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의해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부를 재생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22. 프레임의 헤더의 앞에 이 헤더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분할할 때에, 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와 후반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가 중복하도록 편집되고, 2개의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 먼저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의 선두의 소정 데이터와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의 클러스터 선두의 소정 데이터를 비교하고, 또한 먼저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말미의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 종단까지의 데이터량과,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 선두의 클러스터 선두로부터 데이터 종단까지의 데이터량을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의해 뒤에 재생되는 상기 오디오 압축 데이터의 선두부를 재생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및 압축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KR1020037004139A 2000-09-29 2001-10-01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KR100743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0071A JP2002108397A (ja) 2000-09-29 2000-09-29 オーディオ圧縮データ再生方法
JPJP-P-2000-00300071 2000-09-29
JPJP-P-2000-00308767 2000-10-10
JP2000308767A JP3632584B2 (ja) 2000-10-10 2000-10-10 圧縮オーディオデータ編集及び再生装置
JP2000308765A JP3632583B2 (ja) 2000-10-10 2000-10-10 圧縮オーディオデータ編集及び再生方法
JPJP-P-2000-00308765 2000-10-10
PCT/JP2001/008628 WO2002027725A1 (fr) 2000-09-29 2001-10-01 Methode d'edition et de reproduction de donnees audio compress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761A true KR20030038761A (ko) 2003-05-16
KR100743820B1 KR100743820B1 (ko) 2007-07-30

Family

ID=2734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139A KR100743820B1 (ko) 2000-09-29 2001-10-01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017757A1 (ko)
KR (1) KR100743820B1 (ko)
CN (1) CN100382193C (ko)
WO (1) WO20020277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97B1 (ko) * 2012-05-11 2014-04-21 주식회사 예티소프트 플랫폼 독립적인 보안 이메일 수신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2115B1 (en) * 2002-04-02 2012-06-06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device and method, data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rogram-containing medium, and program
CN100386799C (zh) * 2004-05-28 2008-05-07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音频译码的语音帧计算方法
US9111524B2 (en) 2011-12-20 2015-08-18 Dolby International Ab Seamless playback of successive multimedia files
DE202014106112U1 (de) * 2014-12-17 2016-03-18 Zumtobel Lighting Gmbh System zur thermisch entkoppelten Montage von Leucht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3514A (ja) * 1991-02-28 1992-09-29 Sharp Corp ファイル分割読出しのチェック方法
JPH11176083A (ja) 1997-12-12 1999-07-02 Hitachi Ltd 画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H11346365A (ja) * 1998-04-03 1999-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符号化圧縮方法、および符号化圧縮装置
JP2000076102A (ja) * 1998-08-27 2000-03-14 Nec Corp ファイル圧縮方法
US6278678B1 (en) * 1999-02-12 2001-08-21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520001B2 (ja) * 1999-12-02 2004-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6721710B1 (en) * 1999-12-13 2004-04-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ble fast-forward or reverse of compressed audio content
US6832198B1 (en) * 2000-06-29 2004-1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lit and joint compressed audio with minimum mismatching and distor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97B1 (ko) * 2012-05-11 2014-04-21 주식회사 예티소프트 플랫폼 독립적인 보안 이메일 수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6758A (zh) 2004-01-07
CN100382193C (zh) 2008-04-16
WO2002027725A1 (fr) 2002-04-04
KR100743820B1 (ko) 2007-07-30
US20040017757A1 (en)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0766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data structure capable of linking and reproducing audio data and video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ording/reproducing using the data structure
KR100257673B1 (ko) 디지털신호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JP2002124022A (ja) 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再生装置
US20030142954A1 (en) Moving image reproduction description method, moving image reproduction record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program
KR100743820B1 (ko) 압축 오디오 데이터 편집 및 재생 방법
US20010052050A1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JP2785345B2 (ja) 映像信号記録及び再生装置
JP4250319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
JP3632583B2 (ja) 圧縮オーディオデータ編集及び再生方法
JPH10126739A (ja) ディスクの記録データ編集方法
KR100239093B1 (ko) 헬리컬 주사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JP461563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632584B2 (ja) 圧縮オーディオデータ編集及び再生装置
JPH08315551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4255796B2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877981B2 (ja) 記録再生装置
JP2675457B2 (ja) 情報再生装置
JP3425025B2 (ja) 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ディスク記録装置
JP2801428B2 (ja) 記録再生装置
JPS6123596B2 (ko)
JPS6217311B2 (ko)
JP3371295B2 (ja) 情報記録装置
JP2009032394A (ja) 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11328847A (ja) 記録再生装置
JPH0314379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