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737A -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737A
KR20030037737A KR1020010068592A KR20010068592A KR20030037737A KR 20030037737 A KR20030037737 A KR 20030037737A KR 1020010068592 A KR1020010068592 A KR 1020010068592A KR 20010068592 A KR20010068592 A KR 20010068592A KR 20030037737 A KR20030037737 A KR 2003003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nent
binder fiber
phthalic anhydride
phtha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722B1 (ko
Inventor
심춘식
정종호
박성윤
이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01-006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7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70 내지 90몰%의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 중 10 내지 30몰%의 무수프탈산으로 구성된 디카르본산의 산 성분과, (b) 75 내지 90몰%의 에틸렌글리콜과 10 내지 25몰%의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된 디올 성분을 축중합 반응시키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섬유는 고도의 접착력과 우수한 촉감을 발현하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단섬유의 융착사 발생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색상이 양호한 고 품질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향상된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thermally adhesive polyester-type binder fiber}
본 발명은 부직포 및 패딩(Padding)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로 구성된 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된 디올 성분을 축중합하여 고도의 접착력과 우수한 촉감을 발현하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융착사 발생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색상이 양호한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게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용 부직포 및 패딩 제품은 단섬유를 카딩하여 기계 방향과 반기계 방향으로 몇 겹의 카딩 웹 제품을 적층한 후 접착물질(바인더)로서 섬유간에 인터파이버 접착성을 갖게 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2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첫째 방법은 아크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등의 수지를 용제에 녹여 부직포 표면에 도포 접착하는 것이며, 둘째 방법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매트릭스 섬유에 일정 비율의 융점이 낮은동일계 또는 시스-코어(Sheath-Core)형으로 복합 방사하여 제조한 바인더 섬유를 카딩시 혼합한 후 열처리에 의해 구성 섬유들을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의 경우, 아크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계통의 수지를 용제에 녹여 분사하는 방법은 웹의 내부까지 바인더가 깊이 침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용제에 의한 환경적 오염 및 매트릭스가 되는 폴리에스테르와의 낮은 상용성 등으로 인하여 접착성이 낮고 촉감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열접착성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접착이 순간적으로 완료되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고, 섬유 접착의 분야에 있어서도 접착 공정의 합리화, 인원 절감, 고속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다수 개발, 상품화되어지고 있다. 특히, 의류용 섬유 제품 등의 접착 봉제에 있어서는 제품의 촉감, 색조 등이 중시되기 때문에 접착 조건은 온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은 언급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부직포 바인더, 패딩 제품 등의 접착용 섬유용 바인더로는 종래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마이드,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은 접착 강도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에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고, 접착부의 촉감 측면에서 만족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교적 접착 강도도 크고, 내용제성도 우수한 나일론 11과 나일론 12를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아마이드 접착제의 경우는 용융 점도의 온도 의존성이 크고 사용 중 접착력 저하가 발생하며, 또한 접착부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광에 의한 황변화 현상 등의 결점이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친화성이 큰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는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촉감과 내일광성도 양호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는 방향족 디카르본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탄소수 30 이하의 지방족 디카르본산과, 디올 성분으로 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주성분으로 한 것에는 미국특허 제4,129,675호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열접착시 190℃ 이상의 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불리한 결함이 있다.
미국특허 제4,166,896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를 해중합(depolymerization)시킨 저분자물에 불포화 디카르본산 등을 공중합시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섬유 또한 경제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로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고융점, 고결정성인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4,065,439호에서는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아디핀산(또는 세바신산) 및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얻어진 접착제의 융점이 45℃ 내지 60℃로 매우 낮아 의류용 심지로는 사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영국 특허 제788,377호, 일본 특개평 제8-143,657호 및 한국 공고특허 제96-9776호 등에서는 비결정질의 분자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다른 공중합 물질로서 카르복실기의 위치가 이소프탈산의 메타 위치보다 분자 사슬을 더 구부릴 수 있는 오르소 위치의 프탈산 또는 무수프탈산을 사용하여 중합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무수프탈산의 경우 공중합체내 함량이 높아질수록 유리전이온도의 강하 현상이 커서 연신 공정, 제품운반이나 적하시 섬유간 융착 발생이 문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70 내지 90몰%의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중의 10 내지 30몰%의 무수프탈산으로 구성된 산 성분과 75 내지 90몰%의 에틸렌글리콜과 10 내지 25몰%의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된 디올 성분을 축중합하여 고도의 접착력과 우수한 촉감을 발현하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융착사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고, 색상이 양호한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게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접착물이 되는 폴리에스테르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 후 접착 부위의 촉감이 양호하며,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섬유의 융착 발생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색상이 양호하여 고 품질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은 (a) 70 내지 90몰%의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 중 10 내지 30몰%의 무수프탈산으로 구성된 디카르본산의 산 성분과, (b) 75 내지 90몰%의 에틸렌글리콜과 10 내지 25몰%의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된 디올 성분을 축중합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식에서 R은 에틸렌글리콜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분자 구조가 통상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구성하는 테레프탈산의 대칭적인 분자 구조에 비하여 고분자 주쇄의 구조적 규칙성을 파괴하는데 기존의 이소프탈산에 비해 매우 효과적인 기능을 가지는데 착안하여 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과 함께 무수프탈산을 사용하였다. 더욱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축중합 공정에서 발생하는 색상 불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 요인들을 검토한 결과, 축중합 공정시에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을 직접 사용하는 대신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 성분의 양말단에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을 사용하여 반응 메커니즘을 단순화시키므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색상이 개선되고 섬유용으로 효과적인 접착성과 촉감을 발현하여,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융착사 발생이 현저히 감소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에틸렌글리콜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게 바인더 섬유는 70 내지 90몰%의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중 10 내지 30몰%의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으로 구성된 디카르본산의 산 성분과, 75 내지 90몰%의 에틸렌글리콜과 10 내지 25몰%의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된 디올 성분을 축중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을 구성하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의 함량은 최종적으로 제공되어지는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올 성분 중 네오펜틸글리콜의 함량이 10 내지 25몰%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 성분의 양말단에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는 고분자 주쇄의 구조적 규칙성을 파괴하여 고분자의 용융 온도를 저하시키고 결정성을 파괴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이소프탈산에 비하여 효과적이고,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을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축중합 공정시(통상 1mmHg 이하의 감압하에서 260℃ 내지 290℃로 가열),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이 개환반응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혼조된 상태로 반응에 참여하여 열분해 및 무반응 발생을 일으켜 착색물질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색상을 발현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 중의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함량이 20몰% 미만에서는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결정이 형성되어지고 연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공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되고, 함량이 50몰%를 초과하게 되면 연화 온도 저하 효과는 미약해지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물성 저하 및 색상 불량의 원인이 된다.
한편, 축중합 반응에 의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로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시에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혼합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제공되어지는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올 성분 중 디카르본산 단위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5몰%의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네오펜틸글리콜의 함량이 25몰%를 초과하게 되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연화개시온도가 50℃ 미만으로 너무 낮아져 의류용 심지 등으로 사용하는데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반응에 접착제의 축중합시 반응 온도의 저하와 반응 시간의 단축을 가능케 하여 색상 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섬유상으로 방사 및 연신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다관능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첨가되는 다관능 성분은 폴리카르본산, 폴리올, 폴리옥시카르본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1,2,3,4,-부탄테트라카르본산 및 이들의 산에스테르, 산무수물 등의 유도체,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및 솔비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첨가 가능한 양은 각각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성분에 대해 10∼3,000ppm, 바람직하기로는 50∼1,000ppm이다. 이때,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이 10ppm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가교제의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하고, 또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이 3,000ppm 을 초과하게 되면 반대로 급격한 가교 현상에 의하여 중합 및 방사, 연신 시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바인더 섬유의 일부 또는 전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바인더 섬유를 제조하는 데에는 동일계 방사 또는 복합 방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단일성분으로 방사하여 바인더 섬유를 제조하거나 또는 다른 섬유 형성성 성분과 복합 방사하여 바인더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복합 방사에 의함 섬유의 형태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시스 성분으로 하는 시스-코어 형태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나타난 평가 항목은 하기와 같이 측정되었다.
1. 융점, 유리전이온도 및 연화거동 측정
열시차주사열량계(Perkin Elmer, DSC-7)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열 흡수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적 열특성 측정기(Perkin Elmer, DMA-7;TMA 모드)를 이용하여 연화 거동을 측정하였다.
2. 극한 점도(Intrinsic Viscosity; IV)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중량비 50/50)에 녹여 0.5 중량% 용액을 만든 후, 우베로드 점도계로 35℃에서 측정하였다.
3. 접착력 측정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칩을 시스 성분으로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코어 성분으로 하여 모노데니아가 4 데니아인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섬유를 섬유장 51㎜ 로 절단하고 또한 기계적 권축을 함께 부여하였다. 그 후 로울러 카딩기에서 통상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50:50의 무게비로 혼면 카딩하여 2g/100㎠의 부직포를 제조하고 165℃의 온도에서 1 분간 열접착 한 후 ASTM D1424의 방법으로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4. 촉감
손으로 만져서 상대적인 평가를 하였다.
◎ (우수), 0(양호), △ (보통), ×(불량)
실시예 1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가 들어 있는 에스테르 반응조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이하 'PA-Es'라 약칭함)을 테레프탈산 70몰%, PA-Es 중의 무수프탈산의 함량이 30몰%의 비율이 되도록 투입한 후 통상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인 망간아세테이트 존재하에서, 약 245℃에서 1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완료하였다. 투입되는 PA-Es는 무수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그리콜의 몰비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1.67:0.33로 하여 150℃ 내지 200℃의 반응온도에서 95%까지 반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여기에 통상의 축중합 반응 촉매인 삼산화안티몬을 첨가한 후 최종 진공도가 1mmHg 이하가 되도록 강압하면서 약 280℃까지 승온하여 축중합 반응을 행하였다. 이때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물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점은 측정되지 않았으며 연화 거동만이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의 접착력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접착력과 접착후의 촉감은 양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5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테레프탈산, PA-Es,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멜리트산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물성 및 측정된 접착력과 접착후의 촉감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공중합 조성
TPA(몰%) PA-Es PA(몰%) IPA(몰%) NPG(몰%) TMA(ppm)
몰% PA:EG:NPG 반응비
실시예 1 70 30 1.0:1.67:0.33 1,000
2 70 30 1.0:2.0:0.0 1,000
3 75 25 1.0:1.50:0.50 1,000
4 80 20 1.0:1.0:1.0 1,000
비교예 1 82 18 1.0:2.0:0.0
2 45 55 1.0:2.0:0.0
3 70 30
4 85 15 35
5 80 20 5
*TPA: 테레프탈산, PA-Es; 무수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
PA; 무수프탈산, IPA; 이소프탈산, NPG; 네오펜틸글리콜, TMA; 트리멜리트산
극한 점도(IV) 색상(b가) 융점(℃) 유리전이온도(℃) 연화온도(℃) 접착력(kg) 촉감
실시예 1 0.61 2.0 68.7 101 2.5
2 0.60 2.5 65.2 111 2.4
3 0.60 1.7 69.2 110 2.2
4 0.60 1.5 70.3 104 2.1
비교예 1 0.60 3.4 2.1 68.5 0.5 ×
2 0.58 15.0 57.4 92 1.7
3 0.60 12.0 58.1 110 2.4
4 0.60 3.2 68.8 50 1.2
5 0.59 2.0 186 70.8 0.9 ×
*촉감: ◎(우수), 0(양호), △(보통), ×(불량)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 비교예 2, 3 및 4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서는 융점은 측정되지않고 비결정성 고분자의 특징인 연화 거동만이 나타나며, 이들 중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는 색상, 접착력 및 촉감이 우수하며 높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하여 융착사 발생이 감소하게 되는 반면에 무수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의 사용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색상 및 촉감이 불량하고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보이며, 무수프탈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색상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무수프탈산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을 사용하는 공법을 택하지 않아 색상이 불량하며 네오펜틸글리콜을 함유하지 않아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서 융착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비교예 4의 경우 네오펜틸글리콜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데, 이 경우에는 유리전이온도가 충분히 높아 융착사 문제는 없으나 연화온도가 낮아 접착력 및 촉감이 불량하였다. 또한 무수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의 사용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융점이 나타나고, 접착력 및 촉감이 매우 불량하였고, 이소프탈산을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융점이 측정되었으며 접착력 및 촉감이 매우 불량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섬유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바인더와 비교하여 융점이 없고 110℃∼180℃ 범위의 접착 가공 온도에서 연화 거동을 보이며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후의 촉감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색상이 우수하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등의 장점이 있어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또는 패딩 제품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a) 70 내지 90몰%의 테레프탈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 중 10 내지 30몰%의 무수프탈산으로 구성된 디카르본산의 산 성분과, (b) 75 내지 90몰%의 에틸렌글리콜과 10 내지 25몰%의 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된 디올 성분을 축중합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에틸렌글리콜 또는 네오펜틸글리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은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 성분의 양 말단에 에틸렌글리콜 또는 네오페틸글리콜의 디올 성분을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무수프탈산(또는 오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화합물 중의 디올 성분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으로서 디카르본산 단위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25몰% 이하의 네오펜틸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중합 반응시 폴리카르본산, 폴리올, 폴리옥시카르본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1,2,3,4,-부탄테트라카르본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관능 성분을 더욱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성분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성분에 대해 10 내지 3,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성분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성분에 대해 50 내지 1,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KR10-2001-0068592A 2001-11-05 2001-11-05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KR10043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592A KR100436722B1 (ko) 2001-11-05 2001-11-05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592A KR100436722B1 (ko) 2001-11-05 2001-11-05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737A true KR20030037737A (ko) 2003-05-16
KR100436722B1 KR100436722B1 (ko) 2004-06-22

Family

ID=2956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592A KR100436722B1 (ko) 2001-11-05 2001-11-05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32A1 (ko) * 2018-06-27 2020-01-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구현된 열접착성 복합섬유및 부직포
KR102115821B1 (ko) * 2018-11-26 2020-05-27 태광산업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융착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9280A4 (en) * 2016-02-29 2019-02-20 HUVIS Co., Ltd. CONDUCTIVE FIBER WITH LOW FUSION POI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597B2 (ja) * 1989-04-28 1998-07-30 鐘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シュリンクフィルム
KR930006256B1 (ko) * 1989-12-28 1993-07-09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에스테르 결합제의 제조방법
US5221435A (en) * 1991-09-27 1993-06-22 Nalco Chemical Company Papermaking process
KR960009776A (ko) * 1994-08-31 1996-03-22 구자홍 전용선 자동중계 연결방법
JP3397914B2 (ja) * 1994-11-17 2003-04-21 日本エステル株式会社 コ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法
DE69836223T2 (de) * 1997-08-28 2007-08-30 Eastman Chemical Co., Kingsport Verbesserte copolymerbinderfasern
KR100302108B1 (ko) * 1999-07-28 2001-09-22 김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용 접착제
KR100407034B1 (ko) * 2001-02-27 2003-11-28 주식회사 휴비스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32A1 (ko) * 2018-06-27 2020-01-02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구현된 열접착성 복합섬유및 부직포
KR102061805B1 (ko) * 2018-06-27 2020-01-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구현된 열접착성 복합섬유및 부직포
TWI717721B (zh) * 2018-06-27 2021-02-01 南韓商東麗先端素材股份有限公司 用於熱黏合纖維的聚酯組合物、由其實現的熱黏合複合纖維及無紡布
CN112601774A (zh) * 2018-06-27 2021-04-02 韩国商东丽先端素材股份有限公司 用于热粘合性纤维的聚酯组合物、由此实现的热粘合性复合纤维及无纺布
CN112601774B (zh) * 2018-06-27 2023-08-01 韩国商东丽先端素材股份有限公司 用于热粘合性纤维的聚酯组合物、由此实现的热粘合性复合纤维及无纺布
KR102115821B1 (ko) * 2018-11-26 2020-05-27 태광산업주식회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융착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722B1 (ko) 200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099B1 (ko) 생분해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KR101684234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US20180291533A1 (en) Low melting point conjugate fiber
KR20160024184A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20120096165A (ko)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만들어지는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KR100436722B1 (ko)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JP613253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KR100407034B1 (ko)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JP4898127B2 (ja) バインダー繊維
JP2009051940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得られた共重合ポリエステル
KR20040096190A (ko)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KR102043372B1 (ko) 촉감과 색상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0476278B1 (ko)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JP2006342281A (ja) バインダー繊維用ポリエステル樹脂
KR100302108B1 (ko)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용 접착제
KR100471602B1 (ko)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KR20120054767A (ko) 열접착 생분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인더 섬유
KR100407035B1 (ko)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KR100392891B1 (ko)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JP2007131777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289414B1 (ko) 코폴리에스터계바인더섬유
KR20110057363A (ko)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KR100364002B1 (ko) 코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의 제조방법
KR101427793B1 (ko)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JP2001098427A (ja) 熱硬化型バインダー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