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714A -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36714A KR20030036714A KR10-2003-7002529A KR20037002529A KR20030036714A KR 20030036714 A KR20030036714 A KR 20030036714A KR 20037002529 A KR20037002529 A KR 20037002529A KR 20030036714 A KR20030036714 A KR 200300367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uxiliary light
- exposure
- exposure control
- luminance lev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01100115215 Caenorhabditis elegans cul-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1—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in combination with active ranging signals, e.g. using light or sound signals emitted toward obj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자동 포커싱 시에 보조광을 발광하고,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여 노출 제어를 행함으로써, 노출량이 적정하게 되고,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정밀도가 높은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및 장치이다. 외광 조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에서 검출된 외광 조도에 기초하여 보조광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보조광의 발광 전에, 외광 하에서, AE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보조광의 발광 후에, 보조광 하에서, AF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재검출하는 수단과, AF 프레임의 노출량이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한 판단 단계에서 격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E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고, 격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F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렌즈에 설치한 조리개의 개구도, 촬상 소자인 CCD의 전자 셔터량, 및 CCD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의 이득을 각각 설정하여 피사체의 노출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오토 포커스(이하, AF) 장치로서 클라이밍 오토 포커스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오토 포커스란, 촬영 렌즈의 초점을 자동적으로 피사체에 맞추는 것으로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또한, 클라이밍 오토 포커스는, CCD로부터 검출된 휘도 레벨의 고주파 성분이 최대가 되는 렌즈 위치를 합초 위치로 하는 AF의 거리 측정 원리이다.
따라서, 어두운 배경 내에서 피사체에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없을 때는, 피사체 상(像)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게 되어, 초점 조절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어두운 배경 내에서는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낮고,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없는 경우에자동 포커싱을 행하지만, 그 때에는, 촬상 신호의 이득을 크게 하는 노출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어두운 곳 등 주변 광량이 극단적으로 적어 휘도 레벨이 매우 낮게 되는 경우에는, 촬상 신호의 이득을 크게 하는 노출 제어를 행하여도 휘도 레벨이 부족하여,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휘도 레벨의 부족을 보조하기 위해서, AF 보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AF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장치는, 카메라 보디에 내장되거나, 혹은 어두운 환경이나 역광 조건에서의 촬영 시에 피사체를 조명하여 적정 노출로 하기 위한 플래시 장치에 내장되고,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보디에 장착된다.
그런데, 노출의 제어량(조리개의 개구도, CCD의 전자 셔터량, 촬상 신호의 이득)은, 피사체의 휘도 레벨과, 순차적인 기입이 필요한 기억 소자인 RAM에 저장된 목표값을 비교하여 순차적으로 피드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때문에,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적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노출의 제어량도 적정하지 않게 된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촬영 전에 피사체의 모니터링을 행할 때에는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량이 갱신되지만, 자동 포커싱 시에는 노출 제어량이 갱신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보조광이 발광되는 경우에는, 즉, 배경이 밝은 장소인 경우에는, 모니터링 시와 자동 포커싱 시에서 각 휘도 레벨이 변화하지 않을 때에는 노출 제어량이 갱신되지 않아도 문제 없지만, 모니터링 시와 자동 포커싱 시에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변화할 때에는, 모니터링 시의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사용하면, 노출 제어량이 적정값으로 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의 AF 보조광을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없었다. 이것을 개선하여 보조광의 발광 후에도 적정한 노출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보조광의 발광 후에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재차 검출함으로써 새로운 노출 제어량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밍 방식에 의한 AF 카메라로 촬영을 행하는 경우, 촬영 시의 화상의 포커스를 맞추기 위해서는 피사체에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필요하다. 콘트라스트가 부족한 상황은 윤곽이 분명하지 않은 피사체 등 다수 있지만,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낮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휘도 레벨을 높임으로써 포커스를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자동 포커싱 시에, 모니터링 시에 비하여 촬상 신호의 이득을 크게 하는 노출 제어를 행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도 또한, 휘도 레벨이 부족하여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LED 등의 AF 보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함으로써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높여 포커스를 맞춘다. AF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에서는, 포커스를 맞출 때, 피사체가 존재하는 장소의 광량이 낮다고 판정되면 보조광을 발광 하도록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화상 기록 시까지의 천이 시퀀스는, 모니터링 모드→스캔 AF 모드→촬영 모드의 순으로 천이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드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 매체(DRAM)에 저장하지 않고 표시부에 표시하여, 피사체를 모니터링하는 모드이다.
스캔 AF 모드는 화상이 기록되기 전에 행해지는 포커스를 맞추기 위한 모드이다. 예를 들면, 셔터 버튼을 반 정도 누른 상태이다. 이 때, AF를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해서 조리개의 개구도를 개방에 근접시켜 초점 심도를 얕게 하고 있다. 또,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충분한 콘트라스트를 취하기 위해서 촬상 신호의 이득을 크게 하는 노출 제어를 행한다. 촬영 모드는 화상을 기록하는 모드이다.
종래, 모니터링 모드 시에는 노출 제어(조리개의 개구도, CCD의 전자 셔터량, 촬상 신호의 이득)는 프레임 레이트마다 행해지지만, 카메라의 동작 모드가 모니터링 모드로부터 스캔 AF 모드로 천이했을 때에 새롭게 스캔 AF 모드에서 노출 제어를 행하는 일은 없었다. 이 때문에, 보조광이 발광한 경우에는 휘도 레벨이 변화하는데도 불구하고 노출 제어는 변화하지 않아, 그 결과, 보조광 발광 시의 노출이 적정값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휘도 레벨이 변화하는 보조광 발광 후에도 재차 노출 제어를 행함으로써, 보조광 발광 시에도 노출이 적정하게 되어,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가 높은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으로서, 외광 조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외광 조도에 기초하여 보조광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보조광의 발광 전에, 외광 하에서, 모니터링 모드 시의 AE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 보조광의 발광 후에, 보조광 하에서, 스캔 AF 모드 시의 AF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재검출하는 단계와, AF 프레임의 노출량이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단계에서 격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E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고, 격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F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출 제어 단계는, 조리개의 개구도, 촬상 소자의 전자 셔터량, 및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의 이득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에서는, 보조광 발광 후의 노출량과 보조광 발광 전의 노출량과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AF 프레임 내에서의 노출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장치로서, 외광 조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에서 검출된 외광 조도에 기초하여 보조광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보조광의 발광전에, 외광 하에서, 모니터링 모드 시의 AE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수단과, 보조광의 발광 후에, 보조광 하에서, 스캔 AF 모드 시의 AF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재검출하는 수단과, AF 프레임의 노출량이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한 판단 단계에서 격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E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고, 격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F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장치에서의 노출 제어 수단은, 조리개의 개구도, 촬상 소자의 전자 셔터량, 및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의 이득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장치에서는, 보조광 발광 후의 노출량과 보조광 발광 전의 노출량과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AF 프레임 내에서의 노출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휘도 레벨의 부족을 보조하기 위해서, 오토 포커스의 동안만 일시적으로 오토 포커스 보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보조광 발광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제어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보조광 온/오프 시의 노출량 설정 타이밍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에서의 노출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제어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수광을 행하는 렌즈(1) 및 노출을 조정하는 조리개(2)와, 렌즈(1)로부터의 피사체의 광상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인 CCD(3)를 구비한다. CCD(3)의 출력 단자에는, CCD(3)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의 샘플 홀드와 이득 제어를 행하는 유지·이득 제어 회로(4)가 접속된다. 이 유지·이득 제어 회로(4)에는, 이득 제어된 촬상 신호를 AD 변환하는 A/D 변환기(5)가 접속된다.
AD 변환기(5)의 출력 단자에는, 촬상 신호에 각종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 회로(6)가 접속된다. 이 영상 신호 처리 회로(6)에는, 영상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소정 화상 영역의 휘도 신호의 적분값을 휘도 레벨로서 검출하는 휘도 레벨 검출기(7)가 접속된다.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8)는 노출 제어 회로(9), 디바이스 제어 회로(10), 및 연산 회로(14)로 구성된다. 이 노출 제어 회로(9)는 상기 휘도 레벨 검출기(7)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이 노출 제어 회로(9)는 휘도 레벨 검출기(7)에 의해 검출되는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적정한 노출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얻어지는 판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 즉, 조리개(2)의 개구도 데이터, CCD(3)의 전자 셔터량 데이터, 및 유지·이득 제어 회로(4)의 이득 데이터를 연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노출 제어 회로(9)에는 RAM(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이 RAM에, 휘도 레벨 검출기(7)에 의해 검출되는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각종의 데이터가 기입되고, 또한 이 RAM으로부터 각종의 데이터가 판독된다.
이 노출 제어 회로(9)의 한쪽의 출력 단자(9a)에는, 각 디바이스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제어 회로(10)가 접속된다. 이 디바이스 제어 회로(10)의 제1 출력 단자(10a)에는 조리개 구동부(11)가 접속되고, 조리개 구동부(11)의 출력 신호로 조리개(2)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디바이스 제어 회로(10)의 제2 출력 단자(10b)에는, CCD(3)의 전자 셔터를 제어하는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발생 회로(12)가 접속된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 회로(10)의 제3 출력 단자(10c)에는 상기 유지·이득 제어 회로(4)가 접속된다.
노출 제어 회로(9)의 다른쪽의 출력 단자(9b)에는 연산 회로(14)가 접속된다. 이 연산 회로(14)는, 휘도 레벨 검출기(7)에 의해 연산되는 휘도 레벨, 즉, 영상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소정 화상 영역의 휘도 신호의 적분값과, 노출 제어 회로(9)에서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각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로부터, AF 보조광 발광의 유무를 연산하는 것이다. 이 연산 회로(14)의 출력 단자에는 AF 보조광 발광 LED(15)가 접속되고, 필요에 따라서 AF 보조광 발광 LED(15)가 발광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캔 AF 모드에서 보조광이 발광하여,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변화시킬 때의 노출 제어를 고려한다. 즉, 모니터링 시와 보조광 발광 후의 자동 포커싱 시에서 휘도 레벨이 변화하지만, 이 자동 포커싱 시에도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재차 검출(CCD로 광을 캡쳐함)하여 노출 제어함으로써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또, 보조광이 발광하는 것은, 주변 광량이 적어 휘도 레벨이 낮은 경우이며, 주변 광량이 많은 경우에는 보조광은 발광하지 않는다.
도 2는 보조광 발광 시의 노출 제어의 시간적인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에서, (i) 최상단으로부터 카메라 동작 모드의 천이 시퀀스, (ii) 보조광의 온/오프, (iii) CCD(3)의 캡쳐(검출), (iv) 영상 신호 처리 회로(6)에서의 연산 및 (v) 노출량 계산을 나타낸다. 이 때의 횡축의 숫자는 프레임 레이트의 번호(이하,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모드(a1)에서의 최후의 노출량 계산을 프레임 번호 0으로 하고 있다.
먼저,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검출 프레임에 관하여 설명한다. 노출량 계산이 프레임 번호 0까지는 모니터링 모드(a1)이므로, 모니터링 모드 시에 적정한 노출이 얻어지도록 한 휘도 레벨 검출 프레임(이하, AE 프레임이라 함)에서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노출량 계산을 행한다. 여기서, AE 프레임은, 액정 디스플레이 전체의 영역을 가리킨다. 노출량 계산의 프레임 번호 1 이후에는 스캔 AF 모드 (a2)이므로, 통상적으로는 스캔 AF 모드 시에 적정한 노출이 얻어지도록 한 휘도 레벨 검출 프레임(이하, AF 프레임이라 함)에서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노출량 계산을 행한다. 여기서, AF 프레임은 액정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화면 중앙의 일부 영역을 가리킨다.
카메라 동작 모드가 모니터링 모드(a1)로부터 스캔 AF 모드(a2)로 천이할 때, 검출 프레임은 상기한 바와 같이 AE 프레임으로부터 AF 프레임으로 변화한다. 이것은 자동 포커싱을 행할 때에는, 화각(畵角) 중에서 피사체가 존재할 가능성이높다고 생각되는 검출 프레임을 미리 준비하여, 그 검출 프레임 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줌을 행하는 경우에는, AF 프레임은, 보조광의 조사 범위 등도 고려하여, 자동 포커싱을 행하기 위한 최적의 검출 프레임으로 변동한다. 단, AF 프레임의 적성 노출량을 이용하여 제어했을 때, 화상의 휘도 레벨이 모니터링 모드 시에 비하여 격증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검출 프레임으로서 AE 프레임을 이용한다.
스캔 AF 모드 천이 직후의 노출량 계산의 프레임 번호 1은, 도 2의 화살표 A의 흐름, 즉, (iii) CCD(3)의 캡쳐, (iv) 영상 신호 처리 회로(6)에서의 연산, (v) 노출량 계산이 화살표 A의 흐름에 의해, CCD 캡쳐의 프레임 번호 1에서의 휘도 레벨을 기초로 행해진다{(1) 노출량 결정}. 이 때문에, 노출량 계산은, 보조광이 발광되기 전(보조광 오프)의 휘도 레벨에 의해 계산되게 된다. 즉, 노출량 계산의 프레임 번호 1에서는, 이미 스캔 AF 모드로 천이하고 있으므로, AF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여, 노출량을 계산한다.
노출량 계산의 프레임 번호 1에서 계산된 노출량은, 도 2의 화살표 B의 흐름으로, 프레임 번호 4(사선으로 나타냄)의 CCD 캡쳐일 때에 반영된다{(2) 노출량의 반영}. CCD 캡쳐의 번호 4일 때는 이미 보조광이 발광(보조광 온)되어 있고, 화살표 C의 흐름으로 노출량 계산(프레임 번호 4)이 행해진다{(3) 보조광 발광 후의 노출량 결정}. 이 때에는 보조광이 발광되므로 화상의 휘도 레벨이 증가한다. 이 때에는, AF 프레임을 선택하여 검출을 행함으로써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노출량을계산한다.
보조광 발광에 의한 노출의 변화량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클 때에는, 화상의 휘도 레벨의 급변을 억제하도록 노출량을 제한한다. 이 제한은, 노출의 변화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행한다. 여기서, 소정의 임계값은 노출 제어 회로(9) 내의 RAM(도시 생략)에 미리 설정해 두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계산된 노출량은 화살표 D의 흐름의 CCD 캡쳐의 프레임 번호 7일 때에 반영된다{(4) 노출량의 반영}. 이 CCD 캡쳐의 프레임 번호 7일 때에는, 보조광 발광 후의 노출량이 설정됨으로써, 피사체가 충분한 콘트라스트를 얻어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또한, 보조광 발광 후의 노출량이 적정값으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 이 수순을 반복함으로써, 노출의 정밀도를 높이고,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에서의 노출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먼저, 디지털 카메라로 외광 조도를 검출하고(단계 S1), 보조광이 필요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2). 보조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단계 S2에서 '예'인 경우), 전 프레임에서 계산된 노출량에 기초한 검출값을 CCD(3)로 캡쳐하고(단계 S3), 영상 신호 처리 회로(6)에서 연산된다(단계 S4). 그 후, 다음에, 보조광이 발광되고(단계 S5), AE 프레임 및 AF 프레임에 대한 노출량 계산이 행해진다(단계 S6).
다음에, 단계 S7에서, AF 프레임의 노출량이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격증하지 않았을 때에는 AF 프레임의 노출 선택을 행하고(단계 S8), 격증했을 때에는 AE 프레임의 노출 선택을 행하며(단계 S9),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노출의 변화량이 임계값을 초과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노출의 변화량이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노출량이 제한되며(단계 S11), 단계 S12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0에서, 노출의 변화량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았을 때에는 노출량을 제한하지 않고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다음에, 단계 S12에서, AF 프레임의 검출값을 CCD(3)로 캡쳐하고, 영상 신호 처리 회로(6)에서 연산된다(단계 S13). 그 후, AE 프레임 및 AF 프레임에 대한 노출량 계산이 행해진다(단계 S14).
다음에, 단계 S15에서, AF 프레임의 노출량이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격증하지 않았을 때에는 AF 프레임의 노출 선택을 행하고(단계 S16), 격증했을 때에는 AE 프레임의 노출 선택을 행하며(단계 S17), 단계 S18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노출의 변화량이 임계값을 초과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노출의 변화량이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노출량이 제한되며(단계 S19), 단계 S20으로 진행하고, 노출의 변화량이 적정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한편, 단계 S18에서, 노출의 변화량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았을 때에는 노출량을 제한하지 않고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에서, 노출의 변화량이 적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2로 되돌아가, 단계 S12 내지 단계 S20의 수순을 반복한다. 단계 S20에서, 노출의 변화량이적정한 경우에는, 단계 S14에서 얻어진 노출량에 기초하여 단계 S21에서 적정한 노출 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보조광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단계 S2에서 '아니오'인 경우), 검출값을 CCD(3)로 캡쳐하고(단계 S22), 영상 신호 처리 회로(6)에서 연산된다(단계 S23). 그 후, AE 프레임 및 AF 프레임에 대하여 각 노출량 계산이 행해지고(단계 S24), 단계 S24에서 얻어진 각 노출량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가 행해진다(단계 S25).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포커싱 시에 보조광을 발광시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여, 그 휘도 레벨로 노출량을 구하고, 그 노출량에 의해 노출 제어를 행하므로, 노출 제어가 적정하게 되어,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포커싱 시에 보조광을 발광시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여, 그 휘도 레벨로 노출량을 구하고, 그 노출량에 의해 노출 제어를 행하므로, 어두운 장소에서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F 프레임의 노출량은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격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E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므로, 스캔 AF 모드를 실행하지 않고 노출 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노출 제어가 신속하게 된다.
자동 포커싱 시에 보조광을 발광시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므로, 메뉴얼 모드 등으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적정 노출 외의 설정을 하여도, 피사체의휘도 레벨을 재검출함으로써 자동 포커싱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외광 조도를 검출하는 단계와,상기에서 검출된 외광 조도에 기초하여 보조광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보조광의 발광 전에, 외광 하에서, 모니터링 모드 시의 AE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와,보조광의 발광 후에, 보조광 하에서, 스캔 AF 모드 시의 AF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재검출하는 단계와,AF 프레임의 노출량이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상기 판단 단계에서 격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E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고, 격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F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노출 제어 단계는, 조리개의 개구도, 촬상 소자의 전자 셔터량, 및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의 이득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보조광 발광 후의 노출량과 보조광 발광 전의 노출량과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AF 프레임 내에서의 노출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외광 조도를 검출하는 수단과,상기에서 검출된 외광 조도에 기초하여 보조광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보조광의 발광 전에, 외광 하에서, 모니터링 모드 시의 AE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하고, 보조광의 발광 후에, 보조광 하에서, 스캔 AF 모드 시의 AF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재검출하는 수단과,AF 프레임의 노출량이 AE 프레임의 노출량보다도 격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상기한 판단 단계에서 격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AE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고, 격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AF 프레임 내에서의 휘도 레벨에 기초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노출 제어 수단은, 조리개의 개구도, 촬상 소자의 전자 셔터량, 및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의 이득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보조광 발광 후의 노출량과 보조광 발광 전의 노출량과의 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AF 프레임 내에서의 노출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190233A JP4264920B2 (ja) | 2001-06-22 | 2001-06-22 | デジタルカメラの露出制御方法および露出制御装置 |
JPJP-P-2001-00190233 | 2001-06-22 | ||
PCT/JP2002/006165 WO2003001795A1 (fr) | 2001-06-22 | 2002-06-20 | Procede de commande d'exposition pour appareil photographique numeriqu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6714A true KR20030036714A (ko) | 2003-05-09 |
KR100835441B1 KR100835441B1 (ko) | 2008-06-04 |
Family
ID=1902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02529A KR100835441B1 (ko) | 2001-06-22 | 2002-06-20 |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및 노출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145602B2 (ko) |
EP (1) | EP1404123B1 (ko) |
JP (1) | JP4264920B2 (ko) |
KR (1) | KR100835441B1 (ko) |
CN (1) | CN1224241C (ko) |
DE (1) | DE60237284D1 (ko) |
WO (1) | WO2003001795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8933B1 (ko) * | 2005-10-10 | 2007-04-1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자동 노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KR100759856B1 (ko) * | 2005-12-23 | 2007-09-18 | 엠텍비젼 주식회사 | 촬상 장치 및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
KR101044941B1 (ko) * | 2005-02-15 | 2011-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
KR20110090069A (ko) * | 2010-02-02 | 2011-08-10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보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7417A (ja) * | 2002-11-08 | 2004-06-03 | Fuji Photo Film Co Ltd |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af制御時の露出設定方法 |
WO2005029099A1 (ja) | 2003-09-22 | 2005-03-31 | Hirakawa Hewtech Corporation | 電流測定装置及び試験装置と、これに用いる同軸ケーブル及び集合ケーブル |
US8345120B2 (en) | 2004-04-06 | 2013-01-01 | Nikon Corporation | Electronic camera with self-adjusting flash and image-capture sensitivity |
JP3748267B2 (ja) * | 2004-06-16 | 2006-02-22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4999306B2 (ja) * | 2005-09-30 | 2012-08-15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07266959A (ja) * | 2006-03-28 | 2007-10-11 | Funai Electric Co Ltd | リモコンシステム |
JP4815330B2 (ja) * | 2006-11-17 | 2011-11-1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4813439B2 (ja) * | 2007-09-27 | 2011-11-0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5821168B2 (ja) * | 2010-08-19 | 2015-11-24 |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合焦画像確認装置 |
JP5376254B2 (ja) * | 2010-09-24 | 2013-12-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被写体認識装置 |
CN105579880B (zh) * | 2013-10-31 | 2018-06-26 | 奥林巴斯株式会社 | 内窥镜用摄像系统、内窥镜用摄像系统的工作方法 |
US9646190B2 (en) * | 2013-12-27 | 2017-05-0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Two-dimensional code reading device |
CN108156389B (zh) * | 2017-11-14 | 2018-11-09 | 北京中恒驿站数码信息技术有限公司 | 手机智能化助拍方法 |
CN112763935B (zh) * | 2019-10-21 | 2024-05-14 |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 执行多种测试的测试系统、传送器与接收器 |
KR102525680B1 (ko) * | 2022-11-22 | 2023-04-26 | 에이포시스템주식회사 | 감시용 카메라의 촬영영상에 대한 역광 보정장치 및 그 보정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89519A (en) * | 1988-03-22 | 1993-02-23 | Canon Kabushiki Kaisha | Electronic camera with exposure control |
US5448331A (en) * | 1991-08-01 | 1995-09-05 |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 Camera utilizing additional illumination from a flash light for focus detection and exposure operation |
JPH0690397A (ja) * | 1992-09-09 | 1994-03-29 | Fuji Photo Film Co Ltd | ビデオ・カメラおよびその合焦方法 |
JPH06175190A (ja) * | 1992-12-08 | 1994-06-24 | Nikon Corp | カメラ用測光装置 |
US6195127B1 (en) * | 1996-07-18 | 2001-02-27 | Sanyo Electric Co., Ltd. | Digital camera, having a flash unit, which determines proper flash duration through an assessment of image luminance and, where needed, a preliminary flash emission |
JPH10322580A (ja) * | 1997-05-20 | 1998-12-04 | Minolta Co Ltd | 電子スチルカメラ |
JPH1164723A (ja) | 1997-08-18 | 1999-03-05 | Canon Inc | 自動焦点調節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
US7388614B2 (en) * | 1997-08-18 | 2008-06-17 | Canon Kabushiki Kaish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using auxiliary light |
JP2000050152A (ja) * | 1998-07-24 | 2000-02-18 | Minolta Co Ltd | デジタルカメラの露光量制御システム |
JP3607509B2 (ja) * | 1998-10-08 | 2005-01-05 | 株式会社リコー |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
JP2000131598A (ja) * | 1998-10-23 | 2000-05-12 | Olympus Optical Co Ltd | 自動焦点調節装置 |
JP2000267151A (ja) * | 1999-03-12 | 2000-09-29 | Olympus Optical Co Ltd | カメラ |
JP3768060B2 (ja) * | 2000-03-10 | 2006-04-19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ディジタルカメラ |
JP3610291B2 (ja) * | 2000-08-21 | 2005-01-12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電子カメラ |
-
2001
- 2001-06-22 JP JP2001190233A patent/JP426492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6-20 CN CNB028026764A patent/CN122424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6-20 EP EP02743662A patent/EP140412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6-20 US US10/362,335 patent/US71456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6-20 KR KR1020037002529A patent/KR1008354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6-20 WO PCT/JP2002/006165 patent/WO200300179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06-20 DE DE60237284T patent/DE6023728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941B1 (ko) * | 2005-02-15 | 2011-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
KR100708933B1 (ko) * | 2005-10-10 | 2007-04-1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자동 노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KR100759856B1 (ko) * | 2005-12-23 | 2007-09-18 | 엠텍비젼 주식회사 | 촬상 장치 및 자동 초점 조절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
KR20110090069A (ko) * | 2010-02-02 | 2011-08-10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보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404123B1 (en) | 2010-08-11 |
WO2003001795A1 (fr) | 2003-01-03 |
EP1404123A4 (en) | 2006-05-24 |
CN1224241C (zh) | 2005-10-19 |
JP2003008985A (ja) | 2003-01-10 |
KR100835441B1 (ko) | 2008-06-04 |
DE60237284D1 (de) | 2010-09-23 |
CN1466846A (zh) | 2004-01-07 |
EP1404123A1 (en) | 2004-03-31 |
US7145602B2 (en) | 2006-12-05 |
JP4264920B2 (ja) | 2009-05-20 |
US20030179311A1 (en) | 2003-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5441B1 (ko) |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및 노출 제어 장치 | |
US7164446B2 (en) |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050212950A1 (en) | Focal length detecting method, focusing device, image capturing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 |
US20050099522A1 (en) | Variable length encoding method and variable length decoding method | |
US9456145B2 (en) | Apparatus for photographing that carries out a pre-flash photography | |
JP2007086596A (ja) | カメラ | |
KR100930766B1 (ko) | 화상 촬상 장치 및 화상 촬상 장치의 합초 방법 | |
JP2008070611A (ja) | 撮像装置、露出条件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0843818B1 (ko) | 정지 화상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
JP2007251343A (ja) | 撮像素子駆動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ユニット | |
JP2016143035A (ja) | 焦点調節装置および焦点調節方法 | |
US7768565B2 (en) | Electronic camera | |
JP2005345833A (ja) | 撮像装置およびその合焦制御方法 | |
JP4839750B2 (ja) |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00121924A (ja) | 自動焦点調節装置 | |
JP2003158673A (ja) | 画像撮像装置及び方法 | |
JP2003114374A (ja) | 画像撮像装置 | |
JP2011114442A (ja) | 電子カメラ | |
US12069378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JPH10150598A (ja) | スチルビデオカメラの露光量制御装置 | |
JP4396309B2 (ja) |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 |
JP2008052022A (ja) |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 |
JP2007195020A (ja) | カメラ | |
JP2007028187A (ja) | 露出制御方法及び装置 | |
JPH089232A (ja) | 撮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