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941B1 -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941B1
KR101044941B1 KR1020050012452A KR20050012452A KR101044941B1 KR 101044941 B1 KR101044941 B1 KR 101044941B1 KR 1020050012452 A KR1020050012452 A KR 1020050012452A KR 20050012452 A KR20050012452 A KR 20050012452A KR 101044941 B1 KR101044941 B1 KR 10104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luminance data
distance
auxiliary light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530A (ko
Inventor
이병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9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광 OFF/ON 시에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판단하여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은 (a) 보조광 OFF/ON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들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휘도 데이터들로부터 상대비를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광 ON/OFF 시에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판단하여 포커스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보조광 및 플래시 동작을 중지시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focus using a source of light}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 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반누름 상태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측정된 휘도 데이터의 파형도 이다.
도 4는 보조광 OFF/ON일 때 측정되는 휘도(Y1,Y2)의 상대비와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파형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6은 도 5 중 자동 포커스 수행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광 OFF/ON 시에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판단하여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의 하나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렌즈에 설치한 조리개의 개구도, 촬상 소자인 CCD의 전자 셔터량, 및 CCD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의 이득을 각각 설정하여 피사체의 노출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또 한,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자동 포커스(이하, AF) 장치로서 클라이밍 자동 포커스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자동 포커스란, 촬영 렌즈의 초점을 자동적으로 피사체에 맞추는 것으로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또한, 클라이밍 자동 포커스는, CCD로부터 검출된 휘도 레벨의 고주파 성분이 최대가 되는 렌즈 위치를 합초 위치로 하는 AF의 거리 측정 원리이다.
따라서, 어두운 배경 내에서 피사체에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없을 때는, 피사체 상(像)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게 되어, 초점 조절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어두운 배경 내에서는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낮고,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없는 경우에 자동 포커싱을 행하지만, 그 때에는, 촬상 신호의 이득을 크게 하는 노출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어두운 곳 등 주변 광량이 극단적으로 적어 휘도 레벨이 매우 낮게 되는 경우에는, 촬상 신호의 이득을 크게 하는 노출 제어를 행하여도 휘도 레벨이 부족하여, 자동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휘도 레벨의 부족을 보조하기 위해서, AF 보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AF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장치는, 카메라 바디(Body)에 내장되거나, 혹은 어두운 환경이나 역광 조건에서의 촬영 시에 피사체를 조명하여 적정 노출로 하기 위한 플래시 장치에 내장되고,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보디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밍 방식에 의한 AF 카메라로 촬영을 행하는 경우, 촬영 시의 화상의 포커스를 맞추기 위해서는 피사체에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필요하 다. 콘트라스트가 부족한 상황은 윤곽이 분명하지 않은 피사체 등 다수 있지만,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낮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휘도 레벨을 높임으로써 포커스를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자동 포커싱 시에, 모니터링 시에 비하여 촬상 신호의 이득을 크게 하는 노출 제어를 행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도 또한, 휘도 레벨이 부족하여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LED 등의 AF 보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함으로써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높여 포커스를 맞춘다. AF 보조광을 발광하는 보조광 발광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에서는, 포커스를 맞출 때, 피사체가 존재하는 장소의 광량이 낮다고 판정되면 보조광을 발광하도록 제어된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피사체가 존재하는 장소의 광량이 낮은 경우, 자동 포커스 데이터는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미지 촬영 시에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피사체가 무한대 위치(원거리 피사체)에 대하여 화질이 저하될 확률이 높다.
또한 피사체의 거리에 상관없이 광량이 낮은 경우 보조광 및 플래시를 동작시킨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가 보조광 또는 플래시를 동작시켜도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할 수 없을 만큼,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보조광 및 플래시는 동작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보조광 OFF/ON 시에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판단하여 포커스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보조광 및 플래시 동작을 중지시켜 전력소모를 줄이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은 (a) 보조광 OFF/ON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들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휘도 데이터들로부터 상대비를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는 보조광 OFF/ON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들로부터 상대비를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셔터(11), 보조광(13) 및 플래시(15)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셔터(11), 보조광(13), 플래시(15), 줌 렌즈(17-1), 포커스 렌즈(17-2) 및 포커스 렌즈 구동부(17-3)를 포함하는 렌즈부(17), CCD(19), ADC(21), 측정부(23-1), 연산부(23-2), 판단부(23-3) 및 제어부(23-4)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3), DRAM(25), EEPROM(27), 마이크로 제어기(29), 디스플레이 패널(31)을 포함한다.
도 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반누름 상태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측정된 휘도 데이터의 파형도 이다.
도 4는 보조광 OFF/ON 일 때 측정되는 휘도(Y1,Y2)의 상대비와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파형도 이다.
이어서, 도 1∼도 4를 참조하여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셔터(11)는 2단의 구조로 즉, 반셔터와 완전셔터로 구분된다. 반셔터는 카메라가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일종의 예비단계라 할 수 있다. 이후, 완전셔텨를 누르면, 정해진 초점 및 조절된 빛의 양에 의해 피사체가 촬영된다.
플래시(13)는 야간이나 암소(暗所) 등의 저조도 환경에서의 광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예를 들면 크세논 램프와 같은 방전관을 이용하여, 강한 빛의 섬광을 발광시켜, 피사체에 빛을 쏴준다.
광량이 부족한 곳이나 야간 촬영 시에 피사체에 반사되는 광원이 극히 적기 때문에 AF(Auto focus) 기능이 제 역할을 못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카메라에는 보조광(15)을 채용한다. 광량이 부족한 곳이나, 야간 촬영 시에 종종 카메라에서 붉은 빛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보조광(15)이다. 보조광(15)은 말 그대로 자동 초점을 돕는 빛이라고 보면 된다. 즉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도 카메라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빛을 쏴 주는 역할을 한다.
플래시(13) 및 보조광(15)은 마이크로 제어기(29)에 의해 구동이나 발광 타이밍이 제어된다.
렌즈부(17)는 줌 렌즈(17-1)와, 포커스 렌즈(17-2)와, 포커스 렌즈(17-2)를 구동하는 포커스 렌즈 구동부(17-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렌즈부(17)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들 이외에 예를 들면, 입사광의 적외선을 컷팅하는 적외 컷트 필터, 입사 광량을 제한하는 조리개 블레이드, 입사광을 차광하는 셔터 블레이드 등의 광학계나, 줌 렌즈(17-1)를 구동하는 줌 렌즈 구동부, 조리개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부와,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 등도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17) 내의 줌 렌즈(17-1) 및 포커스 렌즈(17-2)는 그 광축이 CCD(19)의 수광면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연직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포커스 렌즈(17-2)는 광축상을 전후로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이동 위치에 따라서 CCD(19) 상의 수광면 상의 결상 화상의 초점 위치를 바꾼다. 포커스 렌즈(17-2)는 그 이동 위치가 포커스 렌즈 구동부(17-3)를 통해 마이크로 제어기(29)에 의해 제어된다.
CCD(19)는 렌즈부(17)를 통해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의 촬상광을 화소마다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AD 컨버터(21)는 CCD(19)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레이트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AD 컨버터(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3)에 공급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보조광(15)의 발광조건을 확인하고, 보조광(15) OFF/ON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들로부터 상대비(R)를 계산하여,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d)를 판단하고,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신호를 마이크로 제어기(29)로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제1 셔터 즉 반셔터가 입력되면, N번의 VD 동안 휘도 데이터의 변화를 체크하여 휘도 데이터의 안정성 여부를 점검한다. 불꽃놀이, 야간 공연 등과 같은 저 조도에서는 휘도 데이터의 변화가 급변하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에러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반셔터 입력 후에 N번 예를 들어 4번의 VD 동안 휘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기준범위 이내이면 휘도 데이터가 안정하다고 판단하고,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휘도 데이터가 불안정하다고 판단하고, 포커스 렌즈(17-2)를 고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기준범위는 측정된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으로, 도 3에 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측정된 휘도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3b는 측정된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도 3c는 평균값의 상한값(예를 들어, 평균값×1.15)을 나타내고, 도 3d는 평균값의 하한값(예를 들어, 평균값×0.85)을 나타낸다.
휘도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내여서, 안정하다고 판단되면, 피사체 거리를 판단하고 포커스 렌즈(17-2)가 이동할 위치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측정부(23-1)는 보조광(15)을 OFF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제1 휘도 데이터(Y1) 및 보조광(15)을 ON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제2 휘도 데이터(Y2)를 측정한다.
연산부(23-2)는 제1 휘도 데이터(Y1) 및 제2 휘도 데이터(Y2)의 상대비(R)를 연산하며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07917575-pat00001
판단부(23-3)는 연산부(23-2)에서 연산된 상대비(R)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근거리 피사체일 수록 보조광(15)에 대한 반사가 많고, 원거리 피사체일 수록 보조광(15)에 대한 반사가 적다. 따라서, 피사체가 근거리일 수록 상대비(R)가 커지게 되므로 원거리 피사체나 근거리 피사체에서의 거리판단은 가능하다. 또한 근거리와 원거리 피사체의 중간 거리의 피사체에 대한 피사체 거리를 추정하여 자동 포커스 조정을 위한 참조 거리로 생각하여 에러에 대한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23-4)는 판단부(23-3)의 판단결과에 따라 포커스 렌즈(17-2)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대비(R)가 제1 기준값(작은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피사체가 원 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 제어부(23-4)는 포커스 렌즈(17-2)를 무한대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부(23-4)는 플래시(13) 및 보조광(15)을 오프시킨다. 왜냐하면, 플래시(13) 및 보조광(15)을 동작시켜도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할 수 없을 만큼, 피사체가 먼 거리에 위치되어 있어, 플래시(13) 및 보조광(15)을 동작시키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대비가 제2 기준값(큰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피사체가 근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 제어부(23-4)는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 포커스 조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임의대로 정해질 수 있다.
반셔터가 입력되어 자동 포커스가 조정된 후, 완전셔터가 입력되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5)에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7)에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3)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1)은 마이크로 제어기(29)의 제어 하에 촬영된 이미지 및 이미지 제어하는 메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다른 실시 예로, 광원의 색깔(예를 들어, 적색 등)을 이용하여 보조광 OFF/ON 시에 색정보 유무를 판단하고 피사체 거리를 추정하여 자동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고, 광원의 패턴(예를 들어, 사각형, 원 등)을 이용하여 보조광 OFF/ON 시에 패턴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고 피사체 거리를 추정하여 자동 포커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반셔터(11)가 입력되면(501단계),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N번의 VD 동안 휘도 데이터의 안정성을 점검한다(503단계).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상기 기간 동안 휘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기준범위 이내이면 휘도 데이터가 안정하다고 판단하고,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휘도 데이터가 불안정하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범위는 측정된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한 상한값 및 하한값으로,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휘도 데이터의 안정성을 점검하여 휘도 데이터가 불안정하다고 판단한 경우, 에러 확률이 높기 때문에는 포커스 렌즈(17-2)를 고정 위치로 이동시킨다(507단계).
그러나, 휘도 데이터가 안정하다고 판단한 경우,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보조광(15)을 OFF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제1 휘도 데이터(Y1) 및 보조광(15)을 ON시킨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제2 휘도 데이터(Y2)를 측정한다(509단계).
이후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제1 휘도 데이터(Y1) 및 제2 휘도 데이터(Y2)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비(R)를 계산한다(511단계).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계산된 상대비(R)로부터 피사체의 거리를 판단한다(513단계). 도 4를 참조하면, 근거리 피사체일 수록 보조광(15)에 대한 반사가 많고, 원거리 피사체일 수록 보조광(15)에 대한 반사가 적다. 따라서, 피사체가 근 거리일 수록 상대비(R)가 커지게 되므로 원거리 피사체나 근거리 피사체에서의 거리판단은 가능하다. 또한 근거리와 원거리 피사체의 중간 거리의 피사체에 대한 피사체 거리를 추정하여 자동 포커스 조정을 위한 참조 거리로 생각하여 에러에 대한 확률을 줄일 수 있다.
계산된 상대비(R)가 제1 기준값(작은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515단계), 피사체가 원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포커스 렌즈(17-2)를 무한대 위치로 이동시킨다(517단계). 이때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플래시(13) 및 보조광(15)을 오프시킨다. 왜냐하면, 플래시(13) 및 보조광(15)을 동작시켜도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할 수 없을 만큼, 피사체가 먼 거리에 위치되어 있어, 플래시(13) 및 보조광(15)을 동작시키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계산된 상대비가 제2 기준값(큰 기준값) 보다 큰 경우(519단계), 피사체가 근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521단계), 디지털 신호처리부(23)는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 포커스 조정을 수행한다(523단계). 여기서 기준값은 임의대로 정해질 수 있다. 도 6에 자동 포커스 수행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포커스 렌즈 구동부(17-3)는 포커스 렌즈(17-2)를 시작 위치로 이동시킨다(523-1단계).
다음에 포커스 렌즈(17-2)의 현재 위치가 종료 위치가 될 때까지 제1 스텝 수 예를 들어, 8 스텝 수 단위로 포커스 렌즈 구동부(17-3)를 구동시키면서 포커스 값 즉, 영상 신호의 고주파 함량이 판독된다(523-2, 523-3단계).
다음에 판독된 포커스 값들 중에서 최대 포커스 값의 위치를 점검한다(523-4단계). 즉, 최대 포커스 값의 위치의 주위에서 고주파 함량이 가장 많은 최종 위치 스텝 수가 찾아져 설정된다.
다음에, 포커스 렌즈 구동부(17-3)의 구동에 의하여 포커스 렌즈(17-2)가 최대 포커스 값의 위치로 이동된다(523-5단계).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광 OFF/ON 시에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판단하여 포커스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보조광 및 플래시 동작을 중지시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2)

  1. (a) 보조광 OFF/ON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들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휘도 데이터들로부터 상대비를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제1 셔터가 입력되면, 소정 기간 동안 휘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보조광 발광 조건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측정된 휘도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내이면 상기 (a)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휘도 데이터가 기준범위를 초과하면 포커스 렌즈를 고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비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 포커스 렌즈를 무한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플래시 및 상기 보조광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비가 제2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방법.
  7. 보조광 OFF/ON 상태에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휘도 데이터들로부터 상대비를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제1 셔터가 입력되면, 소정 기간 동안 휘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보조광 발광 조건을 확인하여, 상기 측정된 휘도 데이터가 기준범위를 초과하면 포커스 렌즈를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보조광 OFF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제1 휘도 데이터 및 상기 보조광 ON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제2 휘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제1 및 제2 휘도 데이터의 상대비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상대비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거리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상대비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를 무한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플래시 및 상기 보조광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상대비가 제2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거리 판단 결과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KR1020050012452A 2005-02-15 2005-02-15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KR10104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52A KR101044941B1 (ko) 2005-02-15 2005-02-15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52A KR101044941B1 (ko) 2005-02-15 2005-02-15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30A KR20060091530A (ko) 2006-08-21
KR101044941B1 true KR101044941B1 (ko) 2011-06-28

Family

ID=3759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452A KR101044941B1 (ko) 2005-02-15 2005-02-15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3901A (zh) * 2017-12-27 2018-05-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88B1 (ko) * 2008-01-30 2014-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징 기기의 플래시 강도 조절 장치 및 방법
CN105245714A (zh) * 2015-10-23 2016-01-1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距离感应器的智能手机闪光灯快速开关的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693A (ko) * 1997-12-24 1999-07-15 유무성 디지탈 카메라의 패시브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4836A (ko) * 1998-08-25 2000-03-15 유무성 스트로보 발광 거리에 따른 촬영 제어 장치 및그 방법
KR20030036714A (ko) * 2001-06-22 2003-05-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693A (ko) * 1997-12-24 1999-07-15 유무성 디지탈 카메라의 패시브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4836A (ko) * 1998-08-25 2000-03-15 유무성 스트로보 발광 거리에 따른 촬영 제어 장치 및그 방법
KR20030036714A (ko) * 2001-06-22 2003-05-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3901A (zh) * 2017-12-27 2018-05-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30A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04271A1 (en) Digit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56145B2 (e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that carries out a pre-flash photography
JP3900880B2 (ja) 画像撮像装置
US11418730B2 (en) Use of IR pre-flash for RGB camera's automatic algorithms
KR100835441B1 (ko) 디지털 카메라의 노출 제어 방법 및 노출 제어 장치
JP2012242676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044941B1 (ko) 광원을 이용한 자동 포커스 장치 및 방법
CN102736364B (zh) 摄像设备和照相机系统
US926819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light emitting device, and and light emission amount calculation method
US20200036877A1 (en) Use of ir pre-flash for rgb camera's automatic algorithms
US11022860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processing apparatus
JP2003114374A (ja) 画像撮像装置
JP5183188B2 (ja) 撮像装置およびストロボ装置
JP2006243189A (ja) カメラ
JP2011114442A (ja) 電子カメラ
JP4810768B2 (ja) カメラ
US1111560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reduces time required for light control process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19028281A (ja) 撮像システム
JP4995133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290510A (ja) 撮像装置
US20210116678A1 (e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JP2019148636A (ja) 照明装置、撮像装置、照明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08454A (ja) 撮像装置
JP2019008080A (ja) 撮像装置
JP2014232234A (ja) 露光制御装置、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