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739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739A
KR20030035739A KR1020020004612A KR20020004612A KR20030035739A KR 20030035739 A KR20030035739 A KR 20030035739A KR 1020020004612 A KR1020020004612 A KR 1020020004612A KR 20020004612 A KR20020004612 A KR 20020004612A KR 20030035739 A KR20030035739 A KR 20030035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pads
liquid crystal
substrat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149B1 (ko
Inventor
마원석
이응상
정영배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TW9110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TW574535B/zh
Priority to CNB021161410A priority patent/CN100378551C/zh
Priority to JP2002120333A priority patent/JP4178366B2/ja
Priority to US10/218,390 priority patent/US6774969B2/en
Publication of KR2003003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739A/ko
Priority to US10/888,481 priority patent/US6900120B2/en
Priority to US10/888,482 priority patent/US70534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Patterning using multi-mask expos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02F1/13629Multilayer wi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드들;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실장되고 상기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소 어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집적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각각의 패드의 주변부에는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되어 상기 집적회로의 내부 연결에 따라 상기 각각의 패드와 등전위를 갖는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된다. 집적회로의 범프와 패드를 접착할 때 상기 도전성 장벽층에 의해 패드 및 상기 패드에 연결된 배선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액정표시 패널(이하, LCD 패널이라 한다)의 패드와 외부의 구동 집적회로(IC)를 연결할 때 상기 패드와 연결된 배선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nic display device)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며, 각종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디스플레이 분야는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화하는 정보화 사회의 요구에 적합한 새로운 기능의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계속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란 다양한 정보를 시각을 통하여 인간에게 전달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란 각종 전자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정보 신호를 인간의 시각으로 인식 가능한 광 정보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이고, 인간과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가교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광 정보 신호가 발광 현상에 의해 표시되는 경우에는 발광형 표시(emissive display) 장치로 불려지며, 반사, 산란, 간섭 현상 등에 의하여 광 변조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수광형 표시(non-emissive display) 장치로 일컬어진다. 능동형 표시 장치라고도 불리는 상기 발광형 표시 장치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및 일렉트로 루미네슨트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 EL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동형 표시 장치인 상기 수광형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electrochemical display; ECD)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image display; EPID) 등을 들 수 있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용 모니터 등과 같은 화상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음극선관(CRT)은 표시 품질 및 경제성 등의 면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무거운 중량, 큰 용적 및 높은 소비 전력 등과 같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진보에 의하여 각종 전자 장치의 고체화, 저 전압 및 저 전력화와 함께 전자 기기의 소형 및 경량화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즉 얇고 가벼우면서도 낮은 구동 전압 및 낮은 소비 전력의 특정을 갖춘 평판 패널(flat panel)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현재 개발된 여러 가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가운데 액정표시 장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낮은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 및 낮은 구동 전압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음극선관에 가까운 화상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전자 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와 같은 광원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액정표시장치와 자연광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그리고 실내나 외부 광원이 존재하지 않는 어두운 곳에서는 표시소자 자체의 내장 광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투과 표시모드로 작동하고 실외의 고조도 환경에서는 외부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반사 표시모드로 작동하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LCD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LCD 패널과 LCD 패널을 구동시킬 수 있는 집적회로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LCD 패널(130)과 영상 신호를 발생하는 구동 집적회로(131)로 구성된다.
상기 LCD 패널(130)은 제1 기판(100), 상기 제1 기판(100)과 마주보도록 부착된 제2 기판(102) 및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102) 사이에 주입된 액정(114)으로 구성된다.
제1 기판(100)에는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104)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106)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교차점에 화소 전극(108)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기판(102)에는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 색이 발현되는 RGB 화소로 이루어진 컬러 필터(112)와 투명 공통 전극(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정(114)의 배향 방향에 따라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102)의 바깥 면에는 외부 빛의 투과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0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5), 상기 게이트 전극(15) 및 기판(100)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25), 상기 게이트 전극(15) 위의 게이트 절연막(25) 상에 형성된 액티브 패턴(30) 및 오믹 콘택층 패턴(35), 그리고 상기 액티브 패턴(30) 상에 형성된 소오스/드레인 전극(40, 4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09)가 형성된 제1 기판(100) 상에는 무기물이나 유기물로 이루어진 보호막(passivation layer)(75)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75)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45)을 노출시키는 콘택홀(80)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패드 영역의 게이트 단자 및 드레인 단자를 노출시키는 콘택홀들도 상기 보호막(75)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5)은 게이트 라인(104)에 연결되고, 상기 소오스 전극(40)은 데이터 라인(106)에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 전극(45)은 화소 전극(108)에 연결된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104)을 통해 주사 전압이 게이트 전극(15)에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 라인(106)에 흐르는 신호 전압이 소오스 전극(40)에서 드레인 전극(45)으로 액티브 패턴(30)을 통해 인가된다. 신호 전압이 드레인 전극(45)으로 인가되면, 상기 드레인 전극(45)과 연결된 화소 전극(108)과 상기 제2 기판(102)의 공통 전극(11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화소 전극(108)과 공통 전극(110) 사이에 주입된 액정(114)의 분자 배열이 변화되고, 이로 인해 액정(114)의 광 투과율이 변하게 되어 박막 트랜지스터(109)는 LCD 패널(130)의 화소를 동작시키는 스위칭 소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LCD 패널(13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104)에서 연장된 제1 패드(133)와 데이터 라인(106)에서 연장된 제2 패드(1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패드(133)는 주사 전압을 발생하는 제1 집적회로(137)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패드(134)는 신호 전압을 발생하는 제2 집적회로(138)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집적회로(137)에서 발생된 주사 전압이 제1 패드(133)를 통해 게이트 라인(104)에 인가되고, 상기 제2 집적회로(138)에서 발생된 신호 전압이 제2 패드(134)를 통해 데이터 라인(106)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1 패드(133) 또는 제2 패드(134)를 제1 집적회로(137) 또는 제2 집적회로(138)에 연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먼저 집적회로의 전극에 상기 패드를 연결할 수 있는 범프(bump)를 집적회로에 형성한 후 상기 범프를 이용하여 패드와 집적회로를 연결한다.
상기 패드와 집적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TAB(tape automated bonding)이 있다. 상기 TAB 방식에 의하면, 금속선이 접착된 필름과 집적회로의 전극을 범프로 접속한 후 전극과 접착된 TAB 패키지의 리드(lead)를 LCD 패널에 접착한다. 즉, TAB 방식은 집적회로를 LCD 패널의 외부에 설치하고, 금속선이 접착된 필름으로 집적회로의 전극과 LCD 패널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단락(short)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TAB 방식 이외에도 구동 집적회로를 LCD 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COG(Chip On Glass)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OG 방식은 집적회로를 LCD 패널의 기판에 직접 실장하는 것으로, TAB 방식에 사용되는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범프와 이방성 도전 접착수지(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하 "ACF"라 한다)만으로LCD 패널의 기판에 집적회로를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도 4는 종래 방법에 의한 집적회로와 LCD 패널의 패드를 COG 방식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LCD 패널의 패드(181)에 해당하는 기판(180)에 ACF 수지(153)를 탑재한다. 이어서, 범프(144)가 형성된 집적회로(140)를 열 압착 공정으로 상기 기판(180)에 접착한다. 그러면, 상기 ACF 수지(153)에 산포되어 있는 도전볼(153)들이 범프(144)와 패드(181)에 눌려 상기 도전볼(153)에 싸여있는 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이 깨지면서 집적회로(140)의 전극과 LCD 패널의 패드(181)가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범프(144)와 접착시키는 공정으로 인해 연질화된 ACF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집적회로(140)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집적회로(140)와 기판(180)의 패드(181)가 안정적으로 접착된다.
상기 COG 방식은 TAB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액정표시장치에서 LCD 패널이 차지하는 비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동(mobile) 제품의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중소형 패널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COG 방식에 의하면, 집적회로의 범프와 연결된 패드의 노출된 부분에 습기나 케미컬(chemical)과 같은 오염 물질이 침투할 경우 해당되는 패드와 연결된 배선이 이러한 오염 물질과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금속 부식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배선의 전기적 신호가 차단되어 액정표시장치가 구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금속 부식은 인접한 패드와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 분해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즉, 두 개의 금속 사이에서 전위차가 발생하면 "+" 금속에서 "-" 금속으로 전자가 이동하여 "+" 금속에서는 전자가 점차적으로 부족 상태가 되고, 최종적으로 부식이 된다. 특히, 인접한 패드 간의 전위차가 클수록 전자 이동량이 증가하여 이러한 부식 발생에 취약해진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구동 집접회로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는 Von 전압, Voff 전압, 버티컬 클록(vertical clock) 및 버티컬 스타트 펄스(vertical start pulse)로 나뉘어지는데, Von 전압과 Voff 전압은 각각 +15V와 -7V로서 전위차가 22V가 된다. 이와 같이 높은 전위차는 전자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Von의 전압이 인가된 패드에 부식이 발생하여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구동 불량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LCD 패널의 패드와 구동 집적회로를 연결할 때 상기 패드와 연결된 배선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LCD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LCD 패널과 LCD 패널을 구동시킬 수 있는 집적회로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패드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방법에 의한 집적회로와 LCD 패널의 패드를 COG 방식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LCD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제1 기판215 : 게이트 전극
224, 222, 223 : 신호 라인298 : 접지 라인
225 : 게이트 절연막230 : 액티브 패턴
235 : 오믹 콘택층 패턴240 : 소오스 전극
245 : 드레인 전극250 : 보호막
255, 260 : 콘택홀265 : 화소 전극
268, 272 : 출력 패드
270, 274, 290, 291, 292, 294, 295 : 입력 패드
275, 276, 277, 280, 285, 286 : 도전성 장벽층
278 : 도전성 버퍼층300 : 박막 트랜지스터
400 : 제2 기판450 :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
500 :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510 : 범프
520 : 도전볼530 : ACF 수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드들;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실장되고 상기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소 어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집적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각각의 패드의 주변부에는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되어 상기 집적회로의 내부 연결에 따라 상기 각각의 패드와 등전위를 갖는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일 목적은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실장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집적회로;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출력 패드들;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입력 패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각각의 입력 패드의 주변부에는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와 분리되어 상기 집적회로의 내부 연결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와 등전위를 갖는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일 목적은 중앙부에 복수개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상으로 형성된 화소 어레이와, 제1 주변부에 상기 복수개의 화소들에 제1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패드들과, 제2 주변부에 상기 복수개의 화소들에 제2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패드들이 형성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제1 주변부에서 COG 실장방법으로 상기 제1 패드들에본딩된 제1 집적회로들; 및 상기 제2 주변부에서 COG 실장방법으로 상기 제2 패드들에 본딩된 제2 집적회로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제1 패드들의 주변부에 상기 각각의 제1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제1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제2 패드들의 주변부에 상기 각각의 제2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제2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복수개의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선 및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각 배선들의 콘택 영역들을 오픈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에 도전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오픈된 콘택 영역들을 통해 각각의 배선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패드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의 집적회로와 연결되어질 각각의 패드의 주변부에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들과 외부의 집적회로를 본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각각의 패드의 주변부에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상기 패드와 동일한 층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폐쇄된 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에 연결된 배선과 상기 패드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 간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성 장벽층을 개방된 루프(opened loop) 형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패드와 연결된 배선의 양측에 상기 각각의 패드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전성 버퍼층(buffer layer)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습기나 케미컬 등에 의해 상기 도전성 장벽층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전성 장벽층을 각각의 패드와 연결된 배선의 양측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집적회로의 내부 연결만으로 상기 각각의 패드와 그 주변부의 도전성 장벽층을 등전위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패드들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집적회로와 연결된 패드와 등전위의 패드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LCD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LCD 패널은 제1 기판(200), 상기 제1 기판(200)과 대향되어 부착된 제2 기판(400) 및 상기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400) 사이에 주입된 액정(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기판(200)에는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도시하지 않음)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교차점에 화소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기판(400)에는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 색이 발현되는 RGB 화소로 이루어진 컬러 필터와 투명 공통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400)은 서로 대향되고, 이들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다음에 봉입된다. 또한, 상기 액정의 배향 방향에 따라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402)의 바깥 면에는 외부 빛의 투과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된다.
상기 제2 기판(400)은 제1 기판(200)에 비해 면적이 작다. 상기 제2 기판(400)과 제1 기판(200)이 오버랩된 영역이 표시 영역(320)이 되고, 오버랩되지 않은 주변영역이 비표시 영역(325)이 된다.
상기 비표시 영역(325)에는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인 제1 COG IC(500)의 일측 단자(즉, 출력 단자)가 제1 기판(200)의 표시 영역(320)으로부터 비표시 영역(325)으로 연장된 게이트 라인들의 단부에 연결된 패드들(이하, 제1 출력 패드라 한다)(268)과 연결되고, 타측 단자(즉, 입력 단자)는 제1 신호 라인들을 통해 연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신호 라인들의 단부에는 제1 입력 패드들(270)이 연결된다.
또한,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인 제2 COG IC(450)의 일측 단자(즉, 출력 단자)가 제1 기판(200)의 표시 영역(320)으로부터 비표시 영역(325)으로 연장된 데이터 라인들의 단부에 연결된 패드들(이하, 제2 출력 패드라 한다)(272)과 연결되고, 타측 단자(즉, 입력 단자)는 제2 신호 라인들을 통해 연성 인쇄회로(FPC)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신호 라인들의 단부에는 제2 입력 패드들(274)이 연결된다.
상기 입력 패드들(270, 274)은 연성 인쇄회로에서 발생된 신호를 COG IC(450, 500)들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 패드들(268, 272)은 COG IC(450, 500)에서 발생된 동작 신호를 상기 표시 영역(320)의 화소 어레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들의 단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출력 패드들(268, 272)은 출력 신호수가 많아 그 피치(pitch)가 좁기 때문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 패드들(268, 272)과 연결되는 COG IC(450, 500)의 출력 단자들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반면에, 신호 라인들의 단부에 연결된 입력 패드들(270, 274)은 입력 신호수가 적어 그 피치가 출력 패드들(268, 272)에 비해 다소 넓기 때문에 1열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 패드들(270, 274)과 연결되는 COG IC(450, 500)의 입력 단자들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구동 집적회로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출력 패드들(268, 272)은 인접한 패드 간의 전위차가 적은 반면에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연결된 입력 패드들(270, 274)은 인접한 패드 간의 전위차가 크다. 이로 인해, 입력 패드들(270, 274) 중에서 양의 전압이 인가된 패드로부터 음의 전압이 인가된 패드 쪽으로의 전자 이동량이 증가하게 되어, 양의 전압이 인가된 입력 패드가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입력 패드(270, 274)의 주변부에 도전성 장벽층을 형성하여 집적 회로와 패드를 접착시킬 때 입력 패드(270, 274)에 연결된 배선이 부식되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형성되는 제1 기판(200) 상에 복수개의 신호 라인들(224)이 형성된다. 각 신호 라인(224)들은 게이트 절연막(225) 및 보호막(250)으로 덮인다. 상기 보호막(250) 및 게이트 절연막(225)에는 각 신호 라인(224)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패드 콘택홀들(26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250) 상에는 패드 콘택홀들(260)을 통해 대응되는 신호 라인(224)의 단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COG IC 입력 패드들(270)이 형성된다.
상기 입력 패드들(270)은 ACF 수지(520)로 도포된다. 상기 ACF 수지(520)는 그 내부에 복수개의 도전볼(530)을 함유한다.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인 COG IC(500)의 복수개의 범프들(510)을 대응되는 입력 패드들(270)에 얼라인시키고 압착하면, 범프(510)와 입력 패드(270) 사이에 존재하는 도전볼(530)들이 압착되면서 상기 COG IC(500)와 입력 패드들(270)이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COG IC(500)와 연결된 각각의 입력 패드(270)의 주변부에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270)와 분리되어 COG IC(500)의 내부 연결(520)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270)와 등전위를 갖는 도전성 장벽층(275)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성 장벽층(275)은 상기 입력 패드(270)와 동일한 층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패드(270)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도전성 장벽층(275)은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ITO(indium-tin-oxide) 또는 IZO(indium-zinc-oxide)와 같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고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 은(Ag) 및 은 합금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장벽층(275)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된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COG IC(500)와 입력 패드들(270)을 접착하면, COG IC(500)의 내부 연결(520)에 의해 각각의 입력 패드(270)의 주위를 둘러싸는 폐쇄된 루프 형상의 도전성 장벽층(275)이 상기 입력 패드(270)와 등전위를 갖게 된다. 그러면, COG IC(500)의 범프(510)와 접하는 패드부에 습기가 케미컬과 같은 오염 물질이 침투할 경우, 해당되는 입력 패드(270)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275)에 의해 상기 오염 물질에 노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도전성 장벽층(275)은 입력 패드(270) 및 상기 입력 패드(270)에 연결된 신호 라인(224)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하부-게이트(bottom-gate)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200) 상에 약 500Å의 크롬(Cr) 및 약 2500Å의 알루미늄-내드뮴(Al-Nd)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막을 증착한 후,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1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기판(200)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비표시 영역으로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게이트 라인(도시하지 않음),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게이트 전극(215) 및 상기 게이트 라인의 단부에 위치한 게이트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기판(200)의 비표시 영역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신호 라인(22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224)은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인 제1 COG IC(도 5의 참조부호 50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배선으로서, 배선 저항을 고려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용 금속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배선 저항을 고려하여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인 제2 COG IC(도 5의 참조부호 45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신호 라인(도시하지 않음)도 상기 게이트 배선용 금속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제1 신호 라인(224)이 형성된 기판(200)의 전면에 실리콘 질화물을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방법에 의해 약 4500Å의 두께로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막(225)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5) 상에 액티브층으로서, 예컨대 비정질실리콘막을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방법에 의해 약 2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그 위에 오믹 콘택층으로서, 예컨대 n+도핑된 비정질실리콘막을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방법에 의해 약 5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때, 상기 비정질실리콘막 및 n+도핑된 비정질실리콘막을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설비의 동일 챔버 내에서 인-시튜(in-situ)로 증착한다. 이어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오믹 콘택층 및 액티브층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215) 윗부분의 게이트 절연막(225) 상에 비정질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진 액티브 패턴(230) 및 n+도핑된 비정질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진 오믹 콘택층 패턴(235)을 형성한다.
상기 결과물의 전면에 크롬(Cr), 크롬-알루미늄(Cr-Al) 또는 크롬-알루미늄-크롬(Cr-Al-Cr)과 같은 제2 금속막을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약 1500∼4000Å의 두께로 증착한 후,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2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기판(200)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비표시 영역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데이터 라인(도시하지 않음),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소오스 전극(240) 및 드레인 전극(245), 그리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단부에 위치한 데이터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전극(215), 액티브 패턴(230), 오믹 콘택층 패턴(235), 소오스 전극(240) 및 드레인 전극(245)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300)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225)이 개재되어 게이트 라인이 데이터 라인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소오스 전극(240)과 드레인 전극(245) 사이의 노출된 오믹 콘택층 패턴(235)을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 방법에 의해 제거해낸다. 그러면,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240, 245) 사이의 노출된 액티브 패턴 영역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는 두 개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액티브 패턴(230)과 데이터 배선을형성하는 방법을 서술하고 있으나, 본 출원인은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액티브 패턴(230), 오믹 콘택층 패턴(235) 및 데이터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하부-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를 4매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발명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번호 1998-049710호로 출원한 바 있다. 4매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5) 상에 액티브층 및 오믹 콘택층으로 사용되어질 비정질실리콘막 및 n+도핑된 비정질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한 후, 그 위에 데이터 배선용 제2 금속막을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제2 금속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고 이를 노광 및 현상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 위에 위치하며 제1 두께를 갖는 제1 부분, 데이터 배선부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제2 부분 및 포토레지스트막이 완전히 제거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3 부분 아래의 제2 금속막, 오믹 콘택층 및 액티브층, 상기 제1 부분 아래의 제2 금속막,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의 일부 두께를 식각하여 상기 제2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배선, 상기 n+도핑된 비정질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진 오믹 콘택층 패턴(235) 및 상기 비정질실리콘막으로 이루어진 액티브 패턴(230)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어서,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면,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액티브 패턴(230), 오믹 콘택층 패턴(235)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240, 245)을 포함한 데이터 배선이 동시에 형성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300)가 형성된 기판(200)의 전면에 데이터 배선과 그 위에 형성되어질 화소 전극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무기물이나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감광성 유기물로 이루어진 보호막(250)을 형성한다. 반사형 또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보호막(250)을 감광성 유기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 복수개의 그루브(groove)들을 만드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어서, 사진식각 공정 또는 노광/현상 공정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245)을 노출시키는 콘택홀(255)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패드 영역의 게이트 절연막(225)을 건식 식각하여 게이트 단자, 데이터 단자 및 각 신호 라인들의 단부를 각각 노출시키는 패드 콘택홀들(260)을 형성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결과물의 전면에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도전막이나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또는 은 합금과 같은 반사성 금속막을 증착한 후,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투명 도전막 또는 반사성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콘택홀(255)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24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 전극(26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패드 콘택홀들(260) 상에 복수개의 제1 패드 및 제2 패드들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패드들은 각각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고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제1 COG IC)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제1 출력 패드들(도 5의 참조부호 268)과, 각각의 제1 신호 라인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 COG IC의 입력 단자와 연결된 제1 입력 패드들(270)로 구분된다. 상기 제2 패드들은 각각의 데이터 단자와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제2 COG IC)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 제2출력 패드들(도 5의 참조부호 272)과, 각각의 제2 신호 라인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2 COG IC의 입력 단자와 연결된 제2 입력 패드들(도 5의 참조부호 274)로 구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소 전극(265) 및 패드들을 형성할 때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인 제1 COG IC에 연결되는 제1 입력 패드들(270) 각각의 주변부에 등전위의 제1 도전성 장벽층들(275)을 형성하고,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에 연결되는 제2 입력 패드들(274) 각각의 주변부에는 등전위의 제2 도전성 장벽층들(도시하지 않음)을 동시에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장벽층들은 폐쇄된 루프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화소 전극(265), 패드(270) 및 도전성 장벽층들(275)들이 형성된 결과물의 전면에 제1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기판(200)에 대향하며 컬러 필터, 공통 전극, 제2 배향막, 위상차판 및 편광판 등을 구비하는 제2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제1 기판(200) 상에 배치한다.
상기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 사이에 복수개의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를 개재시킴으로써 제공되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액정(도시하지 않음)을 주입하여 반사형, 투과형 또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완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기판(200)의 패드들 상에 도전볼을 포함하는 ACF 수지를 위치시키고, COG 방식에 의해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 및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의 범프를 상기 패드들에 압착 연결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완성한다.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입력 패드(270)에 연결된 신호 라인(224)과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270)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276) 간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성 장벽층(276)을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러면,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범프와 접하는 패드부에 습기나 케미컬과 같은 오염 물질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도전성 장벽층(276)에 의해 각각의 입력 패드(270) 및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270)에 연결된 신호 라인(224)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입력 패드(270)와 연결된 신호 라인(224)의 양측에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270)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277)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전성 버퍼층(278)을 형성한다. 그러면,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범프와 접하는 도전성 장벽층(277)에 오염 물질이 침투하더라도, 등전위의 도전성 버퍼층(278)에 의해 상기 도전성 장벽층(277)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전성 장벽층(280)을 각각의 입력 패드(270)와 연결된 신호 라인(224)의 양측으로 분리하여 형성한다. 이 경우,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내부 연결만으로 각각의 입력 패드(270)와 그 주변부의 도전성 장벽층(280)을 등전위로 만들 수 있으므로, 상기 도전성 장벽층(280)은 입력 패드(270) 및 상기 입력 패드(270)에 연결된 신호 라인(224)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COG IC(500)에 연결된 각각의 입력 패드들(270, 290)의 주변부에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285, 286)을 형성함으로써, 신호 라인(222, 223)에 연결된 입력 패드(270, 290)과 상기 신호 라인(222, 223)의 양측에 위치한 입력 패드들(291, 292, 294, 295) 간의 전위차를 0V로 만든다. 그리고, COG IC(500)에 연결된 각각의 입력 패드들(270, 290) 사이에 전위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 라인, 바람직하게는 접지 라인(GND)(298)을 추가한다.
구체적으로, Von의 전압이 가해지는 신호 라인(222)과 연결된 입력 패드(270)의 양측에 위치한 입력 패드들(291, 292)을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285)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Von 신호 라인(222)에 연결된 입력 패드(270)와 그 양측의 입력 패드들(291, 292) 간의 전위차를 0V로 만든다. 마찬가지로, Voff의 전압이 가해지는 신호 라인(223)과 연결된 입력 패드(290)의 양측에 위치한 입력 패드들(294, 295)을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285)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Voff 신호 라인(223)에 연결된 입력 패드(290)와 그 양측의 입력 패드들(294, 295) 간의 전위차를 0V로 만든다. 그리고, Von의 입력 패드(270)와 Voff의 입력 패드(290) 사이에 한 개의 접지 라인(298)을 추가한다.
그러면, Von의 값이 15V 이상으로 높아지더라도 COG IC(500)에 연결된 입력 패드(270)와 인접한 입력 패드(291, 292) 간의 전위차는 0V이기 때문에 COG IC(500)에 연결된 입력 패드(270)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Von이 +15V이고 Voff가 -7V인 경우, Von의 입력 패드(270)와 Voff의 입력 패드(290) 간의 22V의 전위차가 상기 접지 라인(298)에 의해 각각 15V와 7V로 떨어지므로 COG IC(500)에 연결된 입력 패드(270, 290)의 양측에 위치한 입력 패드들(291, 292, 294, 295)에 부식이 발생할 확률이 감소한다.
이때, COG IC(500)와 연결된 입력 패드(270, 290)에 인가되는 신호 전압이 높아져서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경우에는, COG IC(500)에 연결된 각각의 입력 패드들(270, 290)의 사이에 여러 개의 접지 라인(298)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집적 회로에 연결된 각각의 패드들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 라인을 추가함으로써, 집적 회로에 연결된 패드와 등전위의 패드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는 게이트 입력 패드부를 설명하고 있으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 패드부에도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등전위의 도전성 도전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COG 방식으로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COG 방식 이외에 어떠한 방법들도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각각의 패드의 주변부에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을 형성함으로써, 집적회로의 범프와 패드를 접착할 때 오염 물질에 의해 패드 및 상기 패드에 연결된 배선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9)

  1.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드들;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실장되고 상기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소 어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집적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패드의 주변부에는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되어 상기 집적회로의 내부 연결에 따라 상기 각각의 패드와 등전위를 갖는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와 상기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집적회로에 형성된 복수개의 범프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상기 패드와 동일한 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폐쇄된 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개방된 루프(opened loop)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되어 상기 각각의 패드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도전성 버퍼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상기 각각의 패드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패드들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지 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는 COG 방식으로 상기 패드와 본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실장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집적회로;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제1 배선들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출력 패드들;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배선들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집적회로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입력 패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집적회로와 연결되는 각각의 입력 패드의 주변부에는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와 분리되어 상기 집적회로의 내부 연결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와 등전위를 갖는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와 상기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집적회로에 형성된 복수개의 범프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상기 입력 패드와 동일한 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폐쇄된 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개방된 루프(opened loop)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와 연결된 제2 배선의 양측에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도전성 버퍼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상기 각각의 입력 패드와 연결된 제2 배선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패드들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지 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는 COG 방식으로 상기 입력 패드와 본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9. 중앙부에 복수개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상으로 형성된 화소 어레이와, 제1 주변부에 상기 복수개의 화소들에 제1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패드들과, 제2 주변부에 상기 복수개의 화소들에 제2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패드들이 형성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
    상기 제1 주변부에서 COG 실장방법으로 상기 제1 패드들에 본딩된 제1 집적회로들; 및
    상기 제2 주변부에서 COG 실장방법으로 상기 제2 패드들에 본딩된 제2 집적회로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제1 패드의 주변부에는 상기 각각의 제1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제1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제2 패드의 주변부에는 상기 각각의 제2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제2 도전성 장벽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제1 패드들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지 라인과, 상기 제2 집적회로와 연결된 각각의 제2 패드들의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지 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1. 기판 상에 복수개의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선 및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각 배선들의 콘택 영역들을 오픈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에 도전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오픈된 콘택 영역들을 통해 각각의 배선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패드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의 집적회로와 연결되어질 각각의 패드의 주변부에 상기 각각의 패드와 분리된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들과 외부의 집적회로를 본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및 은 합금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집적회로는 COG 방식에 의해 상기 패드들과 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폐쇄된 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개방된 루프(opened loop)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을 패터닝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패드와 연결된 배선의 양측에 상기 각각의 패드와 등전위의 도전성 장벽층으로부터 돌출되는 도전성 버퍼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장벽층은 각각의 패드와 연결된 배선의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을 패터닝하는 단계에서, 외부의 집적회로와 연결되어질 각각의 패드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 라인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20004612A 2001-10-22 2002-01-26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3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91105793A TW574535B (en) 2002-01-26 2002-03-2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B021161410A CN100378551C (zh) 2001-10-22 2002-04-19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2002120333A JP4178366B2 (ja) 2001-10-22 2002-04-23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18,390 US6774969B2 (en) 2001-10-22 2002-08-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888,481 US6900120B2 (en) 2001-10-22 2004-07-0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888,482 US7053407B2 (en) 2001-10-22 2004-07-0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4997 2001-10-22
KR1020010064997 2001-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39A true KR20030035739A (ko) 2003-05-09
KR100839149B1 KR100839149B1 (ko) 2008-06-19

Family

ID=2956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612A KR100839149B1 (ko) 2001-10-22 2002-01-26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9149B1 (ko)
TW (1) TW59411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435B1 (ko) * 2005-11-30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923728B2 (en) 2007-01-25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63094B1 (ko) * 2007-04-27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063305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721B1 (ko) 2016-04-05 2023-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55408B1 (ko) * 2016-06-30 2023-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하는 신호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7699B1 (ko) * 2017-11-06 2022-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002B2 (ja) * 1993-06-14 1998-08-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
KR100264162B1 (ko) * 1997-08-28 2000-08-16 구본준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에 형성되는 패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3102392B2 (ja) * 1997-10-28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74578B1 (ko) * 2001-10-10 200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435B1 (ko) * 2005-11-30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923728B2 (en) 2007-01-25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65533B2 (en) 2007-01-25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63094B1 (ko) * 2007-04-27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063305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94117B (en) 2004-06-21
KR100839149B1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836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373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erminals arranged for securing connection to driving circuit
KR10076340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602062B1 (ko) 수평 전계 인가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0208B1 (ko) 수평 전계 인가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4434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eventing electronic corros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3914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7457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85217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93723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62797A (ko) 표시 소자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492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3878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570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76980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0600088B1 (ko) 수평 전계 인가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7532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094306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9465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