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905A - 발광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905A
KR20030030905A KR1020020061246A KR20020061246A KR20030030905A KR 20030030905 A KR20030030905 A KR 20030030905A KR 1020020061246 A KR1020020061246 A KR 1020020061246A KR 20020061246 A KR20020061246 A KR 20020061246A KR 20030030905 A KR20030030905 A KR 2003003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ignal
light emitting
information
sig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989B1 (ko
Inventor
오다아츠시
하야시카즈히코
토구치사토루
Original Assignee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이용한 통신에 사용되는 발광장치에 있어서, 통신 속도가 고속인 발광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과, 식별 대상물에 설치된 정보 축적부(기억수단)에 기록된 정보를 수고가 들지 않고 재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해결수단은,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된 광으로 이루어지는 신호광을 발신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체(120)를 구비한 발광장치로서, 발광체(120)는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광체(120)는, 변조가 되지 않은 광으로 이루어지는 비신호광 및 신호광을 기간을 달리하여 발하고, 비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장치 및 통신 시스템{LIGHT EMIT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발하는 광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조명용의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장치 또는 통신 시스템에 관해서는 몇가지 종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개소61-202536호 공보에는, 조명장치와 광의 강약 또는 스펙트럼을 검출하는 수신기로 구성되고, 조명장치의 광량 또는 스펙트럼을 전송 신호에 따라 변조하고, 신호기에서는 변조된 조명장치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광량 또는 스펙트럼을 검지하여, 전송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조명장치가 조명 기능과 데이터를 창출하는 송신기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소62-48139호 공보에는, 소정 신호를 고주파 변조하여 전등선에 송신하는 송신 제어 수단과, 이 전등선에 의해 점등되는 조명기와, 이 조명기의 광을 받아서 고주파 신호를 검출하는 광센서 수단과, 이 광센서 수단으로 검출된 고주파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통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11-127170호 공보에는,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기구의 전원 인버터를 송신 데이터에 의한 변조 신호로 구동함으로서, 형광등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컴퓨터 측에서 상기 조명광을 수광하고, 이 조명광에 의해 전달된 변조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형광등에 의한 통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것 이외에도, 일본 특개2001-119338, 특개평07-064878호 공보, 특개평08-274758호 공보 및 특개평11-127170호 공보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개소61-202536호 공보 및 특개소62-48139호 공보 중에는, 발광장치의 발광체에 관한 구체적인 개시는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특개평11-127170호 공보에 있어서는 발광장치로서는 형광등에 관해서만 언급되어 있다.
실제로 이와 같은 광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실현하는데 있어서는, 발광장치에 있어서의 발광체의 선택이야말로 중요하다. 왜냐하면, 통신 시스템의 전송 속도 향상을 도모하는데에는 발광체의 조도 상승 시간이 전송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종래 기술에 있어서 발광체의 구체적인 예로서 개시되어 있는 형광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형광등은 일반적으로 점등 시간의 상승이 초 정도로 매우 느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광을 이용한 통신에 사용되는 발광장치에 있어서, 통신 속도가 고속인 발광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체에 설치된 정보 축적부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시스템으로서는, 상점 앞에 놓여진 상품 등의 식별 대상물에, 바코드의 패턴으로서 미리 기록된 정보 축적부를 설치하고, 바코드 판독장치에 의해 바코드를 재생함으로서, 정보 축적부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고, 식별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는, 식별 대상물에 주어진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치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바코드 패턴을 포함하는 정보 축적부를 새롭게 작성하고, 원래의 바코드 위에 부착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새롭게 부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것은 수고가 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식별 대상물에 주어진 정보를 치환하는데는 시간과 비용이 대단하게 걸린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식별 대상물에 설치된 오래된 정보 축적부(바코드)를 제거하지 않고, 새로운 정보 축적부(바코드)를 설치한 경우에는, 정보 축적부를 설치하거나, 그 정보를 이용하는 사람(점포에서 사용된 경우는 판매자) 이외의 제 3자(일반 소비자)에게도 식별 대상물의 정보를 갱신한 것이 알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갱신 전의 정보 내용이 제 3자에게 알려지는 일도 있엇다.또한 정보 축적부가 복수 설치됨에 의해, 식별 대상물의 외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오래된 정보 식별부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또한 많은 시간이나 비용이 들거나 식별 대상물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식별 대상물에 설치된 정보 축적부(기억수단)에 기록된 정보를 부착하는 등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 재기록하거나, 정보를 갱신한 사실이나 갱신 전의 정보가 제 3자에게 알려지거나, 정보 갱신에 의해 식별 대상물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대상물에 대미지를 주거나 하는 등의 불편이 없고, 대상물에 설치된 정보 축적부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하거나, 재생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된 광으로 이루어지는 신호광을 발신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체를 구비하는 발광장치로서, 상기 발광체는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상기 변조가 되지 않은 광으로 이루어지는 비신호광 및 상기 신호광을 기간을 달리하여 발하고, 상기 비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체가 발하는 상기 신호광을 수신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광 소자가 수광한 신호광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발광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발광체(120)가 발하는 광의 시간 변화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발광체(120)가 발하는 광의 강도의 시간 변화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는 발광체(120)가 복수 있는 발광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발광체(120)가 교류 전원에 반대 극성으로 접속된 발광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발광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172)이 인가하는 전압 파형 및 각 발광체가 발광하는 타이밍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도 7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발광체(120)가 발하는 광의 시간 변화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정보 출력수단이 접속된 수광 소자(130)측의 한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광체 구동수단 120, 120a, 120b, 120c : 발광체
130, 130a, 130b, 130c : 수광 소자 14O : 기억수단(정보 축적부)
145 : 정보 태그 150 : 물체(식별 대상물)
160 : 광 170 : 신호 발생 전류 공급수단
172 : 조명용 교류 전원
174a, 174b :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EL 소자)
175 : 제로 레벨 176a, 176b : 발광 임계치
177a, 177b : 발광 기간 178a, 178b : 비발광 기간
180 : 정보 190, 190a : 비신호광
192, 192a : 신호광
194, 194a, 194b : 조명을 겸하는 신호광
200a : 통신 시작 신호광 210a : 신호광
220a : 송신 종료 신호광 23Oa : 비신호광
3O0 : 정보 출력수단 310 : 접속부
400 : 신호 변환수단 420 : 출력 데이터 신호
500a, 500b, 500c, 500d : 장치 510a, 510b, 510c : 방(room)
520 : 배선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00은 발광체 구동수단, 부호 12O은 EL(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체, 부호 16O은 발광체(120)가 발하는 광, 부호 180은 입력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신호를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발광체 구동수단(100)으로부터 구동 전류가 출력되고 발광체(120) 내를 흐르면 발광체(120)는 발광한다. 발광체 구동수단(100)으로부터 구동 전류가 출력될 때, 발광체 구동수단(100)에 정보 신호(180)가 입력되어 있다면, 구동 전류는 그 신호에 의거하여, AM 변조, FM 변조 등의 방법에 의해 변조되고, 발광체(120)는 변조된 광으로 이루어지는 신호광을 출력한다. 정보 신호(180)가 입력되지 않으면, 구동 전류는 변조되지 않고, 비변조광으로 이루어지는 비신호광이 발하여진다. 이 비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이룬다.
도 2는 발광체(120)가 발하는 광의 시간적 변화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90은 변조되지 않은 광을 발하는 기간, 부호 192는 변조된 광을 발하는 기간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체 구동수단(100)에 정보 신호(180)가 입력되지 않은 때는, 발광체(120)는 변조되지 않은 광을 발하지만, 발광체 구동수단(100)에 정보 신호가 입력된 때는 발광체(120)는 변조된 광을 발한다.
발광체(120)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은,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광 소자 등으로 수광되고, 기억수단에 기억되거나, 외부 장치에 전송되거나 한다.
발광체를 EL 소자로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형광체에 비하여, 조명으로서의 밝기를 유지한 채로, 보다 고속으로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라는 것은, EL 소자는 조명으로서의 충분한 밝기를 제공할 수 있는 발광 강도를 갖고 있는 동시에, 구동 전류의 강약에 대한 응답 속도가 빠르기(상승 시간은 1마이크로 초 정도)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보다 많은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EL 소자에는 무기 EL 소자 및 유기 EL 소자가 있지만, 양쪽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유기 EL 소자에는, 투명 기판상에 발광층을 마련한 것이나, 전자 수송층과 정공 수송층이 적층된 것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체(120)는 1개의 EL 소자로 구성된 것이라도, 복수의 EL 소자로 구성된 것이라도 상관하지 않는다. 1개의 소자로 소망하는 스펙트럼(일반적으로 백색이 조명으로서 적합하다)의 광을 발광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복수의 소자로 원하는 스펙트럼의 광을 발광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상관 없다.
상기한 방법으로 처리를 행한 경우, 신호광과 비신호광의 발광 강도가 다른 경우, 발광체(120)로부터 발하여지는 광(160)이 어른거리게(flicker) 된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하나는 신호광을 발하는 시간을 인간이명도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시간보다 작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명도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은 1ms 정도이기 때문에, 신호광을 발하는 시간을 1ms 이하로 설정하면 사람의 눈으로 보아 어른거림은 없어진다.
상당량의 데이터를 보내고 싶을 때는, 1ms 이하의 기간, 신호광을 발한 후, 비신호광(190)을 발하고, 재차 신호광을 발한다는 순서를 반복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법은, 통신시의 데이터량이 적은 경우에는 유효하다.
조명의 어른거림을 억제하는 또하나의 방법은, 비신호광 및 신호광의 휘도를 동등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신호광은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룰수 있게 된다.
도 3은 비신호광과 신호광의 휘도를 실질적으로 같게 한 경우의 발광체의 발광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경우는, 비신호광의 발광은 DC 전류에 의한 발광으로 하고, 신호광의 발광은 비신호광의 발광 레벨을 평균 레벨로 하여 변조된 전류에 의한 발광으로 한다. 변조된 광을 고주파로 발함으로써, 비신호광이 발광하는 때와 신호광이 발광하는 때에서 명도의 차를 느끼는 일 없이, 쾌적한 조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발광체를 복수 구비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그것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발광체중 일부는 신호광을 발하고, 나머지는 비신호광을 발한다. 비신호광을 발하는 1개 이상의 발광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발광체군(122)과, 신호광을 발하는 1개 이상의 발광체로 이루어지는 제 2 발광체군(124)으로 구별됨으로써, 각각의 배선이 용이하게 된다. 제 1 발광체군을구성하는 발광체(122)의 수 및 제 2 발광체군을 구성하는 발광체(124)의 수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비신호광과 신호광으로 광의 스펙트럼을 바꿀 수도 있다.
비신호광을 발광시키는 전류 공급원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 전류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부호 174a는 제 1 발광체, 174b는 제 2 발광체, 172는 교류 전류원, 170a는 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된 전류를 발광체(174a)에 공급하는 정보 신호 전류 공급수단, 170b는 마찬가지로 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된 전류를 발광체(174b)에 공급하는 정보 신호 전류 공급수단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발광체(170a)와 제 2 발광체(170b)는 함께 신호광 및 비신호광을 발광한다.
제 1 발광체(174a) 및 제 2 발광체(174b)는 교류 전류원(172)에 대해 각각 극성을 달리하여 역상이 되도록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발광체(174a)는 정보 신호 전류 공급수단(170a)에, 제 2 발광체(174b)는 정보 신호 전류 공급수단(170b)에 각각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각 발광체에 비신호광을 발하기 위한 교류 전류를 공급한 경우의, 교류 전류원이 발생시키는 전압의 크기 및 각 발광체의 발광 타이밍을 도시한 그래프를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한다.
도 6의 (a)는 교류 전류원이 발생시키는 전압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의 (a)에 있어서, 부호 175는 전압의 제로 레벨, 176a는 제 1 발광체(174a)가 발광하기 위한 발광 임계치, 176b는 제 2 발광체(174b)가 발광하기 위한 발광 임계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EL 소자는 한쪽의 극성(정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전류가 흘러서 발광하지만, 다른쪽의 극성(부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된 경우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발광도 되지 않는다. 또한 정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도, 어느 전압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발광이 되지 않는 임계치가 존재한다. 부호 176a 및 176b는 그 발광 임계치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도 6의 (a)에 도시한 파형으로 전압을 발생시키고, 발광체를 발광시킨 경우, 도 5에 있어서의 제 1 발광체(174a)가 발광하는 타이밍은 도 6의 (b)와 같이 되고, 제 2 발광체(174b)의 발광 타이밍은 도 6의 (c)와 같이 된다. 또한, 제 1 발광체(174a) 및 제 2 발광체(174b)가 발광하는 타이밍은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도 6의 (b) 내지 (d)에 있어서, 부호 177a는 제 1 발광체가 발광하는 시간, 177b는 제 2 발광체가 발광하는 시간, 부호 178a 및 178b는 각 발광체의 비발광 기간이다. 이 비발광 기간에, 정보 신호 공급수단(170a 또는 170b)에서, 발광체에 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신호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제 1 발광체 및 제 2 발광체가 1개씩 있는 예에 관해 도시하였지만, 각 발광체의 적어도 한쪽을 복수 마련하여 제 1 발광체군 및 제 2 발광체군으로 하고, 복수 있는 발광체의 적어도 일부를 직렬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병렬 접속의 열의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발광장치와 수광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장치는, 일렉트로 루미네선스(EL)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체(120)와 발광체(120)에 구동 전류를 흘리는 발광체 구동수단(100)을 구비하고, 발광체 구동수단(100)에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신호(180)가 입력된 경우, 그것에 의거하여 발광체(120)에 흘리는 구동 전류를 AM 변조나 FM 변조 등 변조 방법에 의해 변조하고, 변조된 광으로 이루어지는 신호광을 발광한다. 정보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변조되지 않은 비신호광을 발광하고, 그 광은 주위를 비추는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룬다.
다른 한편, 수광장치에는, 발광체(120)가 발하는 광을 수광하고, 전류 또는 전압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 소자(130)와, 수광 소자(130)가 출력한 전류 또는 전압 등을 데이터 신호(410)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다. 수광 소자(130)는 발광체(120)가 발한 광을 수광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발광체(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시간 변화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발광체(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보통은, 비신호광(230a)이다. 비신호광(230a)은 주위를 조명하는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다한다. 신호를 보내는 타이밍 t1이 되면 t2까지의 사이에, 송신 시작 신호광(200a)이 조사된다. 송신 시작 신호광(200a)은, 수신측에서 이 신호를 받은 때에, 그 이후에 신호광이 보내지는 것을 수광 소자측에 예고하는 신호이다.
송신 시작 신호광(200a)에 계속해서 타이밍 t2로부터 t3의 사이에 발광체 구동수단(100)에 입력된 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변조된 광인 신호광(210a), 계속해서타이밍 t3으로부터 t4의 사이에 송신 종료 신호광(220a)이 조사된다. 송신 종료 신호광(220a)은 신호광(210a)의 송신이 종료된 것을 수광 소자측에 통지하는 신호이다. 송신 종료 신호광(220a)의 조사 후(타이밍 t4 후)는 조명 기능을 이루는 비신호광(230a)이 조사된다.
도 9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이다.
방(510a, 510b 및 510c)에는, 배선(520)에 접속된 발광체(120a, 120b 및 120c)와, 수신 소자(130a, 130b, 130c 및 130d)와, 장치(500a, 500b, 500c 및 500d)가 도 9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수신 소자(130a, 130b, 130c 및 130d)는 장치(500a, 500b, 500c 및 500d)에 접속되어 있다.
발광 소자(120a, 120b 및 120c)는 방(510a, 510b 및 510c)를 조명할 때에는 비신호광을 발하고 있고, 조명하지 않을 때에는 비신호광을 발하지 않는다. 장치(500a, 500b, 500c 및 500d)를 조작할 때는, 배선(520)을 통하여 발광체 구동수단(도시 생략, 배선상 혹은 발광체에 인접하여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에 정보 신호가 보내여지고, 발광체를 통하여 신호광이 조사된다.
조사된 신호광은 수광 소자(130a, 130b, 130c 및 130d)에 의해 수광되고, 신호 변환수단(도시 생략)에서 신호로 변환된 후, 장치(500a, 500b, 500c 및 500d)를 제어한다. 발광체(120a), 발광체(120b) 및 발광체(120c)가 독립적으로 신호광을 발광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각 방의 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독립적으로 신호광을 보낼 수 없더라도, 각각의 장치에 대한 식별 신호광을 신호광에 앞서서 보내도록 하면, 각각의 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식별 신호광이란, 어느 식별 신호광을 보낸 때에는 특정한 장치만이 제어되고, 다른 식별 신호를 보낸 때에는 다른 장치가 제어되는 방식으로, 식별 신호에 의해 제어 대상의 장치를 한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발광체 구동수단(100)은 일렉트로 루미네선스(EL)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체(120)에 접속되어 있고, 입력된 정보 신호(180)에 응하여 발광체(120)에 흘리는 전류를 변조한다. 또한 발광체는 1개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복수의 EL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EL 소자는 1개의 소자로 소망하는 스펙트럼을 발광할 수 있는 소자라도 좋고, 다른 스펙트럼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소자로 이루어지고 다른 발광 스펙트럼의 광을 동시에 발광함으로써 소망하는 스펙트럼의 광을 얻을 수 있는 경우라도 좋다.
발광체는, 정보 신호(180)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변조되지 않은 비신호광을 출력하고, 정보 신호가 입력되면 그것에 따라 변조된 신호광을 출력한다. 한편, 수광 소자(130)는 발광체(120)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수광 소자(130)는 기억수단(140)에 접속되어 있다. 수광 소자(130)는 발광체(120)로부터 출력되는 광(160)을 수광하고, 그 광을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은 기억수단(140)에 보내여지고, 정보로서 기억된다. 수광 소자(130)와 기억수단(140)을 구비한 부분을 정보 태그(145)라고 한다.
여기서, 기억수단(140)으로서는, 플래시 메모리나 FERAM 등의 반도체 등을 사용한 기억수단이나, MRAM이나 자기디스크, 자기카드와 같이 자기적 기록을 이용한 기억수단, 또는 광디스크나 광카드와 같이 광 기록을 이용한 기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다른 응용예이다. 물체(150)상에 수광 소자(130)와 그것에 접속된 기억수단(140)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체(120)는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이룰때는, 조명광을 발하고,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이루지 않을 때에는 조명광을 발하지 않는다. 배선(도시 생략)을 통하여 발광체 구동수단(도시 생략, 배선상 또는 발광체에 인접하여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에 정보 신호가 보내지고, 발광체(120)를 통하여 변조된 광이 조사된다.
신호광은 복수의 수광 소자(130)에 조사되고, 신호 데이터로 변환되어 기억수단(140)에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이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면, 발광체(120)로부터의 조명이 미치는 범위에 있는 복수의 물체(150)에 귀속하고 있는 정보를, 변조된 광의 조사에 의해 한번에 기록하거나, 재기록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시스템은, 예를 들면, 물품에 귀속하는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개선된 POS 시스템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수광 소자(130)와 기억수단(140)의 조합이 POS 시스템의 바코드의 대용으로서 기능한다. 종래의 POS 시스템에 있어서는 바코드에 기억시켜진 정보는 재기록이 불가능하였지만, 이 정보 시스템에 의하면, 조명광이 미치는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물품에 대해 재기록하고자 할때에는 순식간에 귀속 정보를 재기록할 수 있다.
또한 한번 물품에 정보 태그를 설치하면 그 후는 정보 내용을 값싸게 재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보를 갱신한 사실이나 갱신 전의 정보가 제 3자에게 알려지거나, 정보 갱신에 의해 식별 대상물인 물체의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식별 대상물에 대미지를 주거나 하는 일도 없고, 식별 대상물에 설치된 정보 축적부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정보 시스템의 수광 소자측에 정보 출력수단을 접속시킨 예이다. 기억수단(140)에는 정보 출력수단(300)이 접속되어 있고, 정보 출력수단(300)을 통해서 기억수단(140)에 기억된 정보를, 인간이 상호 교환에 의해 직접 또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지각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된다.
정보 출력수단(300)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디스플레이이다.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인간의 눈으로 기억 정보를 직접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바코드에 상당하는 명암 정보를 표시시키면, 종래의 바코드 판독장치에 의해 기억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어서, 종래의 POS 시스템과의 상호 호환성을 이룰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을 이용한 통신에 사용되는 발광장치에 있어서, 발광체를 EL 소자로 하였기 때문에, 송신의 속도를 빨리할 수 있으며, 용량이 큰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EL 소자는 조명광으로서의 발광 강도도 충분히 있기 때문에 조명 및 통신의 두가지 기능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수광 소자로 송신된 정보를 기억하는 수단을 접속함으로서, 수광 소자측에 있어서의 송신 정보의 기억, 기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은, 상점 앞에 놓여져 있는 상품 등에 붙여져 있는 바코드 패턴을 광의 조사만으로 재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대단히 편리하게 된다.

Claims (14)

  1.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된 광으로 이루어지는 신호광을 발신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체를 구비한 발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변조가 되지 않은 광으로 이루어지는 비신호광 및 상기 신호광을 기간을 달리하여 발하고, 상기 비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광의 휘도는, 상기 비신호광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복수 마련되고, 해당 복수의 발광체는 상기 비신호광을 발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발광체군과, 상기 신호광을 발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로 이루어지는 제 2 발광체군으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체군은, 상기 신호광을 발하지 않는 기간에는 상기 비신호광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체군 및 상기 제 2 발광체군은, 모두 상기 신호광 및 상기 비신호광을 발하고, 해당 신호광 및 상기 비신호광은 교대로 발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광이 발하여지지 않는 기간에는, 상기 비신호광이 발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광은 조명으로서의 기능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체군 및 상기 제 2 발광체군은, 교류 전원에 극성을 달리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체군 및 상기 제 2 발광체군의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발광체로 구성되고, 해당 복수의 발광체로 구성되는 상기 제 1 발광체군 및 상기 제 2 발광체군의 적어도 한쪽의 일부는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체가 발하는 상기 신호광을 수신하는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가 수광한 신호광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2-0061246A 2001-10-09 2002-10-08 발광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0483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1659A JP2003115803A (ja) 2001-10-09 2001-10-09 発光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JP-P-2001-00311659 2001-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905A true KR20030030905A (ko) 2003-04-18
KR100483989B1 KR100483989B1 (ko) 2005-04-19

Family

ID=1913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246A KR100483989B1 (ko) 2001-10-09 2002-10-08 발광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47442B2 (ko)
JP (1) JP2003115803A (ko)
KR (1) KR100483989B1 (ko)
CN (1) CN12765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1246B2 (ja) * 2004-05-28 2010-07-28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光学識別情報取得装置
WO2006033263A1 (ja) 2004-09-22 2006-03-30 Kyocera Corporation 光送信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5196706B2 (ja) * 2004-09-22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光送信装置及び光通信システム
JP2006174120A (ja) * 2004-12-16 2006-06-29 Nec Corp 情報提供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4616714B2 (ja) * 2005-07-05 2011-01-19 アバゴ・テクノロジーズ・ジェネラル・アイピー(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光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照明装置、端末装置
JP4689412B2 (ja) * 2005-08-31 2011-05-25 京セラ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4616153B2 (ja) * 2005-11-11 2011-01-19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
KR100725945B1 (ko) * 2006-01-03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광 통신을 이용한 방송신호 재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7258996A (ja) * 2006-03-23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可視光通信用照明器具及びこれを備えた可視光通信照明システム
JP5478248B2 (ja) * 2006-06-28 2014-04-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照明装置の光放射を調整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8227944A (ja) 2007-03-13 2008-09-25 Toshiba Corp 可視光通信の受信装置及び可視光通信システム
JP2008271317A (ja) * 2007-04-23 2008-11-06 Sumitomo Chemical Co Ltd 照明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照明光通信用の送信装置
JP4922081B2 (ja) * 2007-06-22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点灯装置と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及び可視光通信システム
JP5045605B2 (ja) * 2008-08-19 2012-10-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0102968A (ja) * 2008-10-23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照明光通信システム用の送信装置
JP2010103778A (ja) * 2008-10-23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照明光通信システム用の送信装置
JP5314380B2 (ja) * 2008-10-23 2013-10-16 住友化学株式会社 照明光通信システム用の送信装置
JP2010102967A (ja) * 2008-10-23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照明光通信システム用の送信装置
JP2010102966A (ja) * 2008-10-23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照明光通信システム用の送信装置
JP2010102969A (ja) * 2008-10-23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照明光通信システム用の送信装置
KR101654934B1 (ko) * 2009-10-31 2016-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장치
JP5543770B2 (ja) 2009-12-22 2014-07-09 株式会社ジャムコ 航空機用ギャレーの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TW201328402A (zh) * 2011-12-16 2013-07-01 Hon Hai Prec Ind Co Ltd 無線通訊網路系統及其光電轉換模組
JP2012110045A (ja) * 2012-02-22 2012-06-07 Sumitomo Chemical Co Ltd 照明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照明光通信用の送信装置
US10951310B2 (en) 2012-12-27 2021-03-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er
US10523876B2 (en) 2012-12-27 2019-12-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JP5603523B1 (ja) 2012-12-27 2014-10-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制御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087349B2 (en) 2012-12-27 2015-07-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10303945B2 (en) 2012-12-27 2019-05-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10530486B2 (en) * 2012-12-27 2020-01-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program
US9807543B2 (en) 2014-04-17 2017-10-31 Z-Integrated Digit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test device data communication
JP6864805B2 (ja) * 2016-03-30 2021-04-28 株式会社パロマ ガス器具
CN106209251A (zh) * 2016-07-12 2016-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信息获取方法及系统、显示终端、移动终端
CN110073612B (zh) * 2016-12-15 2022-10-2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方法、发送装置及记录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2536A (ja) 1985-03-06 1986-09-08 Hitachi Denshi Ltd 通信方式
JPS6248139A (ja) 1985-08-27 1987-03-02 Casio Comput Co Ltd デ−タ通信装置
EP0469004B1 (en) 1989-04-18 1996-01-31 Ilid Pty. Ltd. Data transmission system
JP2696730B2 (ja) * 1991-07-15 1998-01-14 潤一 西澤 識別用発光装置
JPH05244670A (ja) * 1992-02-27 1993-09-21 Makino Milling Mach Co Ltd 光通信ワイヤレス操作盤及びそれを用いた制御装置
JP3549003B2 (ja) 1993-08-31 2004-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送出装置および情報送出/受信システム
GB9321535D0 (en) * 1993-10-19 1993-12-08 Bsc Developments Ltd Signalling techniques
ES2255474T3 (es) 1994-07-21 2006-07-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odo y aparato de control del consumo de energia de una unidad de abonado de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US5633629A (en) * 1995-02-08 1997-05-27 Hochstein; Peter A. Traffic information system using light emitting diodes
JP3351653B2 (ja) 1995-03-30 2002-12-0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の再送制御方式および端末装置
US5575459A (en) * 1995-04-27 1996-11-19 Uniglo Canada Inc. Light emitting diode lamp
FR2751491B1 (fr) * 1996-07-16 1999-01-08 Soc Et Ind Mecaniques Et Elect System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e messages, notamment pour la mise a jour de donnees enregistrees dans des etiquettes electroniques
JPH10135915A (ja) 1996-09-06 1998-05-22 Ricoh Co Ltd 光情報通信システム
JPH10270171A (ja) 1997-01-27 1998-10-09 Junji Kido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3471584B2 (ja) * 1997-10-14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ワイヤレス光通信システム
JPH11127170A (ja) * 1997-10-23 1999-05-11 Horiba Ltd 蛍光灯による通信方法とその通信機
EP1072172A1 (en) 1998-04-15 2001-01-31 Talking Lights LLC Dual-use electronic transceiver set for wireless data networks
US6504633B1 (en) * 1998-04-15 2003-01-07 Talking Lights Analog and digital electronic receivers for dual-use wireless data networks
JP3726581B2 (ja) 1999-08-31 2005-12-14 松下電工株式会社 ドアホ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6597C (zh) 2006-09-20
US20030067660A1 (en) 2003-04-10
CN1411163A (zh) 2003-04-16
US7447442B2 (en) 2008-11-04
KR100483989B1 (ko) 2005-04-19
JP2003115803A (ja)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989B1 (ko) 발광장치 및 통신 시스템
JP5629257B2 (ja) 光を処理する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JP4676494B2 (ja) 照明光通信装置、照明光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75798B2 (ja) 交流駆動光源を用いてデータ信号を輝度出力に埋め込む照明装置及び方法
JP4975048B2 (ja) 照明装置
US8634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20120155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8666259B2 (en)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0824057B1 (ko) 조명 장치 및 그것의 휘도 스위칭 장치
JP5513892B2 (ja) イントリンシックフラックス検知
ES2399996T3 (es) Operación de copiado y pegado de iluminación usando identificación de onda de luz
US6333605B1 (en) Light modulating electronic ballast
GB2369730B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CN104041190A (zh) 使用多个不同的调制周期对照明装置发射的光进行调制
US20100225484A1 (en) Object localization method, system, tag, and user interface device
WO2003075617A1 (fr) Dispositif emetteur lumiere et affichage utilisant ce dispositif et dispositif de lecture
JP5384355B2 (ja) 色が制御される光源、及び光源における色生成を制御する方法
JP5000327B2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CN102135718B (zh) 光源装置、投影装置及投影方法
WO2013001408A1 (en)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ded light
JP2008234521A (ja) 光通信装置
KR200415017Y1 (ko) 무선원격제어 간판
GB0110802D0 (en) Pixel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W200501014A (en) Optical display driving method
JP2006259668A (ja) 発光素子束灯点束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