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098A -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098A
KR20030027098A KR10-2003-7003007A KR20037003007A KR20030027098A KR 20030027098 A KR20030027098 A KR 20030027098A KR 20037003007 A KR20037003007 A KR 20037003007A KR 20030027098 A KR20030027098 A KR 20030027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formula
alkanol
reaction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오마도시히꼬
와다아끼히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34Halogenated alcohols
    • C07C31/38Halogenated alcohol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4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reactions, i.e. reactions involving at least one carbon-to-carbon double or trip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고선택률로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의 제공.
CHR1R2OH, 라디칼 개시제 및 CF2=CFRf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105∼135℃ 에서 반응시키고, 생성된 H-(CFRfCF2)n-CR1R2-OH 를 연속적으로 뽑아 낸다. 단, R1,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 개의 알킬기, Rf는 불소원자 또는 탄소수 1∼4 의 폴리플루오로알킬기, n 은 1∼4 의 정수.

Description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FLUOROALKANOL}
함불소 알칸올은 발수 발유제, 계면 활성제, 또는 사진 발색 재료 등의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4-154707호). 또, 이 화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 기판에 대해 불용성이기 때문에 광학적 기록 재료, 색소 등의 용제로서도 유용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8585호, 동 공개특허공보 평5-258346호등).
종래 함불소 알칸올은 예컨대 메탄올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부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고, 이 방법으로는 (1) 메탄올,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라디칼 개시제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가열하는 방법 (USP2559628호 명세서), (2) 메탄올,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라디칼 개시제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반응탑에서 연속적으로 반응시키는 방법 (USP3022356호 명세서), (3) 메탄올, 라디칼 개시제를 일괄적으로 주입하고 연속적으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4-154707호), (4) 100℃ 이하의 온도에서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과 각종 텔로겐을 촉매의 존재하에서 연속적으로 반응시키는 방법 (일본 공고특허공보 소42-1078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1) 의 방법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부가수를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유용성이 높은 부가수가 1∼4 인 목적물만을 얻고자 해도 생성물의 분자량 분포가 넓어져 수율이 낮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2) 의 방법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의 부가수가 1∼2 인 생성물은 적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부가수가 3 이상인 화합물이 주로 생성된다는 과제가 있다. (3) 의 방법은 고체 수산제(受酸劑: acid scavenger)를 첨가할 필요가 있거나 장시간의 반응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과제가 있다. 또, (4) 의 방법은 얻어지는 텔로머의 농도가 10% 정도로 낮고 평균 중합도가 32 로 매우 높아지는 한편, 부가수가 1∼4 인 생성량이 매우 낮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고수율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공업적인 실시에 유리한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과 알칸올 (식 3) 을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알칸올 (식 3) 및, 라디칼 개시제를 반응기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105∼135℃ 에서 반응시키고, 또한 생성된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연속적으로 뽑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H-(RfCFCF2)n-CR1R2-OH…식 1
RfCF=CF2…식 2
CHR1R2OH…식 3
단, 식 중 기호는 이하를 의미한다.
Rf: 불소원자 또는 탄소수 1∼4 의 폴리플루오로알킬기.
R1, R2: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 의 알킬기.
n: 1∼4 의 정수.
본 발명은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식 1 에서 Rf는 불소원자 또는 탄소수 1∼4 의 폴리플루오로알킬기이다. 폴리플루오로알킬기란, 알킬기의 수소원자 2 개 이상이 불소원자로 치환된 기를 말한다. 폴리플루오로알킬기는 직쇄 구조여도 되고 분기 구조여도 된다. Rf로는 불소원자 또는 탄소수 1∼2 의 폴리플루오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불소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바람직하다.
식 1 에서의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 의 알킬기이다. 탄소수 1∼3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식 1 중의 n 은 1∼4 의 정수이며 1 또는 2 가 바람직하다.
함불소 알칸올 (식 1) 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H(CF2)2CH2OH,
H(CF2)3CH2OH,
H(CF2)4CH2OH,
CHF2CF2CH(CH3)OH,
CHF2CF2C(CH3)2OH,
CF3CHFCF2CH2OH,
CF3CHFCF2CH(CH3)OH,
CF3CHFCF2C(CH3)2OH.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에서의 Rf는 식 1 에서의 Rf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으로는 퍼플루오로올레핀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CF2=CF2,
CF3CF=CF2.
알칸올 (식 3) 중의 R1, R2는 식 1 에서의 R1및 R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알칸올 (식 3) 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CH3OH,
CH3CH2OH,
(CH3)2CHOH.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라디칼 개시제로는 유기 유리기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유기 유리기 개시제로는 유기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킬히드로퍼옥시드, 디알킬퍼옥시드, 퍼옥시케탈, 디아실퍼옥시드, 퍼옥시카르복실산에스테르, 퍼옥시카르복실산 또는 퍼옥시카보네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개시제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이하의 화합물이 예시된다.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er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tert-부틸퍼옥시드, ter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라디칼 개시제 중에서도 알칸올 (식 3) 로부터의 라디칼 생성능이 특히 높은 디알킬퍼옥시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디-tert-부틸퍼옥시드가 바람직하다.
라디칼 개시제의 공급량은 알칸올 (식 3) 에 대해 0.0001∼0.1 배 몰이 바람직하고, 특히 0.001∼0.05 배 몰이 바람직하다.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의 공급량은 알칸올 (식 3) 에 대해 0.01∼1.2 배 몰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0.5 배 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알칸올 (식 3) 및, 라디칼 개시제를 반응기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105∼135℃ 에서 반응시키고, 또한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연속적으로 뽑아 내는 것에 의한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다음 수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은 알칸올 (식 3) 을 주입한 반응기 내에 반응기 내의 압력이 바람직하게는 0.2∼1.5㎫ (게이지압, 이하 동일),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0㎫ 가 되도록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알칸올 (식 3) 및 라디칼 개시제는 이들을 혼합용액으로 하여 반응기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응중, 생성된 함불소 알칸올 (식 1) 은 반응기 내의 액면이 일정해지도록 반응기로부터 뽑아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반응조를 반응기로 하고, 이 반응조에는 알칸올 (식 3) 과 라디칼 개시제의 혼합용액을 조합조로부터 펌프로 연속적으로 반응조에 공급하기 위한 라인 및,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을 공급하는 라인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반응조는 반응조 내에서 반응에 의해 생성된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함유하는 액 (이하, 반응액이라고 함) 을 뽑아 내어 이 반응액을 저장하는 반응액 저장조에 연결되어 있다.
우선, 알칸올 (식 3) 과 라디칼 개시제를 교반장치를 구비한 조합조에서 혼합하여 이들 혼합용액을 조제하다. 한편,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조에 알칸올 (식 3) 을 주입하여 반응기를 105∼135℃ 로 가열한다. 이어서, 반응조에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먼저 조제한 알칸올 (식 3) 과 라디칼 개시제의 혼합용액을 반응조에 펌프로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동시에, 반응조 내의 액면이 일정해지도록 반응액을 반응액 저장조로 뽑아 낸다. 한편,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도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반응액 저장조에 저장된 반응액으로부터 추가로 냉각, 증류 등의 정제방법을 거쳐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얻을 수 있다.
알칸올 (식 3) 과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의 반응은 소위 텔로머화 반응 (telomerization) 이다. 텔로머화 반응은 라디칼 개시제가 분해되어 라디칼이 발생하고, 그 라디칼이 알칸올 (식 3) 의 히드록실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 상의 수소원자를 뽑아 내어 알칸올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이것에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이 부가되는 반응으로 연쇄 반응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반응은 연쇄 반응인 텔로머화 반응에서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의 부가수를 제어할 수 있는 반응이기 때문에 원하는 n 이 1∼4 인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반응조건 중, 우선 필요한 반응온도는 105∼135℃ 이다. 예컨대 n 이 1 또는 2 인 목적물을 얻고자 하는 경우나, 또 라디칼 개시제로서 디-tert-부틸퍼옥시드 (10 시간 반감기 온도는 125℃) 를 사용하는 경우 등은, 공업적으로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120∼13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3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5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며, 또 반응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이 없다. 반응기 내의 반응액 양을 원료의 공급속도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는 평균 체류시간은 반응율 면에서 2∼100 시간이 바람직하고, 공업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5∼20 시간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 압력은 0.2∼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1.0㎫ 로 하는 것이 반응율에서 바람직하다.
또, 라디칼 개시제와 알칸올 (식 3) 의 공급은 반응 초기에는 안정적으로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해 변칙적인 공급방법을 취할 수 있지만, 반응이 안정된 후에는 시간중에 일정한 속도로 계속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도 필요한 공급 총량을 반응시간중에 일정한 속도로 계속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폴리플루오로올레핀 (식 2) 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부가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고선택률, 고생산성으로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함불소 알칸올 (식 1) 은 통상적인 분리 정제를 실시함으로써 고순도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연속적으로 생성물 등을 뽑아 내기 때문에 산분 (酸分) 의 축적이 억제되어 수산제(受酸劑)의 비존재하 (즉, 수산제를 존재시키지 않음) 에서 반응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함불소 알칸올 (식 1) 은 발수 발유제, 계면 활성제 및, 사진 발색 재료 등의 원료, 용제로서 유용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리터를「L」로 기재한다. 또,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구해지는 % 는 질량기준이다.
[실시예 1]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의 제조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흐름도에 따라 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교반장치를 갖는 1㎥ 의 하스테로이 C 제 반응조를 반응기로 하고, 이것에 메탄올 341㎏ (432L) 을 주입하여 내온을 125℃ 로 가열하였다.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반응조에 압력 0.9㎫ 가 되도록 공급하면서, 반응 초기에는 조합조에서 혼합한 디-tert-부틸퍼옥시드 5.5㎏ 과 메탄올 44㎏ 을 혼합한 용액을 반응조에,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25L/시간으로 0.5 시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그 후 4.2L/시간으로 9 시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반응조 내의 압력이 0.9㎫ 가 되도록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디-tert-부틸퍼옥시드 12㎏ 과 메탄올 1315㎏ 의 비율로 조합조에서 혼합한 용액을 반응조에,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56L/시간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반응조의 바닥부에서 액면이 일정해지도록 반응액을 반응 저장조로 연속적으로 뽑아 냈다. 이 연속 공급 및 반응액의 연속 뽑아 냄은 110 시간 동안 계속해서 실시하였다. 110 시간 후, 디-tert-부틸퍼옥시드의 메탄올용액의 공급을 종료시킨 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반응조에 0.9㎫ 가 되도록 공급하여 125℃ 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한 후, 40℃ 로 냉각하였다. 그 결과, 반응액으로서 합계 4.9t 의 메탄올과 합계 1.9t 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하여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과 메탄올의 혼합액 6.7t 을 얻었다.
이 혼합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메탄올이 66%,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이 28%,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이 4% 로 함유되어 있었다. 또, 메탄올의 반응율은 15%,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의 선택률은 93%,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의 선택률은 7% 였다. 이 혼합물을 증류로 정제한 결과, 순도 99% 이상의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을 얻었다.
[실시예 2]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의 제조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흐름도에 따라 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교반장치를 갖는 0.5㎥ 의 하스테로이 C 제 반응조를 반응기로 하고, 이것에 메탄올 170㎏ (212L) 을 주입하여 내온을 130℃ 로 가열하였다. 혼합조에서 디-tert-부틸퍼옥시드 2.8㎏ 과 메탄올 22㎏ 을 혼합한 용액을 반응조에,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반응 초기에는 25L/시간으로 0.25 시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그 후 4.2L/시간으로 4 시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반응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0㎏ 을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3L/시간으로 반응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어서, 조합조에서 디-tert-부틸퍼옥시드 12㎏ 과 메탄올 1315㎏ 을 혼합한 용액을 반응조에,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28L/시간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헥사플루오로프로판을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3L/시간으로 반응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 동안, 반응조의 바닥부에서는 액면이 일정해지도록 반응액을 반응 저장조로 연속적으로 뽑아 냈다. 이 원료의 연속 공급 및 내용액의 연속 뽑아 냄은 40 시간 동안 계속해서 실시하였다. 40 시간 후, 디-tert-부틸퍼옥시드의 메탄올용액의 공급을 종료시킨 후에 125℃ 에서 1 시간 유지하고, 다시 40℃ 로 냉각하였다. 그 결과, 반응액으로서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과 메탄올의 혼합액 1.2t 을 얻었다.
이 혼합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메탄올이 73%,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이 19% 로 함유되어 있었다. 또, 메탄올의 반응율은 8%,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의 선택률은 88% 였다. 이 용액을 증류로 정제한 결과, 순도 99% 이상의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을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불소 알칸올 (식 1) 을 고선택률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연속적으로 원료를 공급하고 연속적으로 생성물을 뽑아 내는 연속 제조방법으로, 이 방법에서는 특별한 반응조건이나 반응조작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업적인 실시에 매우 유리한 방법이다.

Claims (7)

  1. 하기 식 2 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올레핀과 하기 식 3 으로 표시되는 알칸올을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하기 식 1 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칸올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식 2 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올레핀, 하기 식 3 으로 표시되는 알칸올 및, 라디칼 개시제를 반응기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105∼135℃ 에서 반응시키고, 또한 생성된 하기 식 1 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칸올을 연속적으로 뽑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H-(RfCFCF2)n-CR1R2-OH…식 1
    RfCF=CF2…식 2
    CHR1R2OH…식 3
    단, 식 중 기호는 이하를 의미한다.
    Rf: 불소원자 또는 탄소수 1∼4 의 폴리플루오로알킬기.
    R1, R2: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 의 알킬기.
    n: 1∼4 의 정수.
  2. 제 1 항에 있어서, n 이 1 또는 2 인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라디칼 개시제가 유기 과산화물인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칼 개시제가 디알킬퍼옥시드인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1 로 표시되는 함불소 알칸올이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 또는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인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 2 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로올레핀이 퍼플루오로올레핀인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산제(受酸劑)를 존재시키지 않고 반응을 실시하는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KR10-2003-7003007A 2000-09-08 2001-09-05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KR20030027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73711 2000-09-08
JP2000273711A JP2002088001A (ja) 2000-09-08 2000-09-08 含フッ素アルカノールの製造方法
PCT/JP2001/007711 WO2002020444A1 (fr) 2000-09-08 2001-09-05 Procede de production de fluoroalcan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098A true KR20030027098A (ko) 2003-04-03

Family

ID=1875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007A KR20030027098A (ko) 2000-09-08 2001-09-05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61565B2 (ko)
EP (1) EP1325900A4 (ko)
JP (1) JP2002088001A (ko)
KR (1) KR20030027098A (ko)
CN (1) CN1454197A (ko)
AU (2) AU2001284442B2 (ko)
CA (1) CA2421424A1 (ko)
RU (1) RU2263101C2 (ko)
WO (1) WO2002020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0786B1 (en) * 2002-11-12 2004-05-25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2, 2, 3, 4, 4, 4-hexafluoro-1-butanol
CN106673957B (zh) * 2016-11-22 2019-08-09 李晖 一种2,2,3,4,4,4-六氟-1-丁醇的制备方法
CN106631694B (zh) * 2016-11-22 2019-08-09 李晖 一种2,2,3,3-四氟丙醇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9628A (en) * 1944-04-22 1951-07-10 Du Pont Fluorine-containing alcohol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3022356A (en) * 1958-10-16 1962-02-20 Du Pont Process for preparing bis (omega-hydroperfluoroalkyl) carbinols
JPS54154707A (en) * 1978-04-21 1979-12-06 Daikin Ind Ltd Telomerization of tetrafluoroethylene
JPS5839807B2 (ja) * 1979-09-05 1983-09-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のテロメル化反応方法
DE3915759A1 (de) * 1989-05-13 1990-11-15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lomeralkoholen
JP3834883B2 (ja) * 1995-09-05 2006-10-18 旭硝子株式会社 塔型反応器を用いた連続製造方法
RU2150459C1 (ru) * 1999-05-25 2000-06-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алоге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фторированных спирт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61565B2 (en) 2005-03-01
AU2001284442B2 (en) 2006-06-01
WO2002020444A1 (fr) 2002-03-14
CA2421424A1 (en) 2003-03-05
EP1325900A4 (en) 2005-05-11
US20030158452A1 (en) 2003-08-21
AU8444201A (en) 2002-03-22
JP2002088001A (ja) 2002-03-27
CN1454197A (zh) 2003-11-05
EP1325900A1 (en) 2003-07-09
RU2263101C2 (ru)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802B1 (ko) 1,1,1-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KR101335053B1 (ko) 플루오로알킬 요오다이드 및 그의 제조 방법
US5399718A (en) Direct fluorination process for making perfluorinated organic substances
JPH06206908A (ja) 連続的テロメル化法
KR20030027098A (ko) 함불소 알칸올의 제조방법
EP1456169B1 (en) Process for preparing succinonitrile
US5399754A (en) Process for producing perfluorocarboxylic acid fluoride
RU211830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1,1-трихлортрифторэтана
US10023513B1 (en) Telomerization methods of using ethylene and/or propylene to make telomers of limited molecular weight
JP2972163B2 (ja) アルキルハロジフルオロアセテートの製造方法
JP3834883B2 (ja) 塔型反応器を用いた連続製造方法
FR2512811A1 (fr) Procede pour produire un derive anionique d'acylium et des acides et esters organiques en derivant
JPH11189562A (ja) 含フッ素ビニルエーテルの製造法
Nguyen et al. Synthesis of Perfluoroalkyl Alcohol, 3-(Perfluorooctyl) propan-2-ol, Using Two-Step Alcoholization
JPH09309854A (ja) 含フッ素ビニ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H1053540A (ja) 蒸留塔式製造方法
JPH09136854A (ja) 含フッ素ビニ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