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534A - 화상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534A
KR20030023534A KR1020020055206A KR20020055206A KR20030023534A KR 20030023534 A KR20030023534 A KR 20030023534A KR 1020020055206 A KR1020020055206 A KR 1020020055206A KR 20020055206 A KR20020055206 A KR 20020055206A KR 20030023534 A KR20030023534 A KR 2003002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veying
image reading
imag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906B1 (ko
Inventor
시라이마사히로
시마무라마사시
Original Assignee
캐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86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69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76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711069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Removing sheets from a stack or inputting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화상 판독 장치는 이 장치에 의하여 점유된 구역을 작게 만들 수 있고, 강성을 갖는 두꺼운 시트도 안정하게 이송할 수 있다. 경사진 시트 보유부(3)에 포함된 시트(P)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R1)에 의하여 화상 판독부(8, 9)로 이송되고, 시트(P)상의 화상은 화상 판독부(8, 9)에 의하여 판독되고, 화상이 판독된 시트(P)는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시트 이송 통로(R2)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운반 적재부(14)로 운반된다. 화상 판독부(9)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R1)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시트 이송 통로(R2) 사이에 제공되고, 화상 판독부(9)에서는, 제1 시트 이송 통로(R1)를 따라 통과된 시트(P)의 공급 방향이 제2 시트 이송 통로(R2)쪽 방향으로 전환된다.

Description

화상 판독 장치{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장치, 특히 시트를 이송하면서 시트상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도록 채택된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상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로서, 예를 들면, 원본을 이송하면서 시트인 원본상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도록 채택된 원본 이송 타입의 것이 있다. 그런 원본 이송 형태의 화상 판독 장치로는 공지의 팩시밀리 장치, 스캐너, 복사기 등이 있다.
현재, 이러한 장치들 중에는, 한번에 전면과 배면의 화상들을 판독하는 형태의 것이 있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그러한 화상 판독 장치의 예를 도시하고, 이 화상 판독 장치는 장치에 의하여 점유된 구역을 작게 만들기 위하여 원본(P)을 U턴하기 위한 이송 통로, 즉 소위 U턴 통로를 구비한다.
원본(P)이 판독될 때, 원본(P)은 장치의 전면부(도12에 도시된 오른쪽)상의 원본 공급 트레이(401)상에서 상방으로 면하는 그 전면부들이 먼저 배치되고, 그리고 이렇게 배치된 원본(P)들 중의 최상부의 것은 분리부(402)에 의하여 분리되고, 한쌍의 공급 롤러(403)에 의하여 화상 판독부(404, 405)로 공급된다.
다음에, 이 원본(P)의 전면과 배면상의 화상들은 화상 판독부(404, 405)에 제공된 각각의 화상 센서들(404a, 405a)에 의해서 판독된다. 플래튼(Platen) 롤러(404b, 405b)들은 각각 이 화상 센서(404a, 405a)들과 대향된 관계에서 배치되고, 원본(P)은 이 플래튼 롤러(404b, 405b)에 의하여 각각의 화상 센서들 상의 접촉 유리면들과 밀접한 접촉을 하고, 그것에 의하여 원본의 화상들의 판독은 양호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후, 전면과 배면상의 화상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판독된 원본(P)은 한쌍의 공급 롤러(406)에 의해 U턴 안내부(407)를 통과하고, 한쌍의 운반 롤러(408)에 의하여 장치의 상부면상에 제공된 원본 운반 트레이(409)상에서 그 전면부가 하방으로 면하도록 적재된다.
이러한 구조의 화상 판독 장치에 따르면, 장치에 의하여 점유된 구역은 상대적으로 작게 되고, 또한 원본(P)의 유입과 운반은 동일한 방향이므로, 원본들(P)의 배치과 수집은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그리고 이 화상 판독 장치는 원본(P)이 그 전면부가 하방으로 면하는 장치의 배면부의 상부(도13에 도시된 것처럼 오른쪽 상부)상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이송된다.
원본(P)이 판독될 때, 원본(P)은 그 전면이 하방으로 면하는 원본 공급 트레이(401)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이처럼 배치된 원본(P)들 중의 최상부의 것은 분리부(402)에 의해서 분리되고, 그후에 한쌍의 공급 롤러(403)에 의해서 화상 판독부(404, 405)로 공급된다.
다음에, 이 원본(P)의 전면과 배면상의 화상들은 각각 화상 판독부(404, 405)에 제공된 화상 센서(404a, 405a)에 의해서 판독된다. 그후에, 전면과 배면상의 화상들이 이처럼 판독된 원본(P)은 한쌍의 운반 롤러(408)에 의하여 그 전면이 하방으로 면하는 장치의 전면의 하부(도13에 도시된 것처럼 왼쪽 하부)에 있는 원본 운반 트레이(409)상에 적재된다.
이러한 구조의 화상 판독 장치에 따르면, 원본(P)의 이송 경로는 소위 직선에 근접한 직선 통로이고, 그러므로 원본(P)의 신뢰성있는 안정된 이송이 달성될 수 있고, 게다가 공급 롤러들과 이송 가이드들이 필요한 최소의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 만약 직선 통로의 각도가 수평면보다 크게 되고, 원본 공급 트레이(401)의 각도가 수직으로 되고, 원본(P)이 수직에 근접한 각도로 이송되면, 전체 장치에 의하여 점유된(돌출된) 구역은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예를 들면 도12에 도시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전체 장치를 소형으로 만들기 위하여, U턴 안내부의 만곡부를 작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나, 만약 만곡부가 작게 되면, 강성을 갖는 두꺼운 원본을 이송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또한 이송의 정확도는 감소하고 잘못된 이송이 일어나기 쉽게 될 것이다.
즉, 원본이 만곡이 적은 U형 통로를 사용하여 이송될 때, 전체 장치는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직선 통로와 비교할 때 원본의 두께에 대한 적용범위가 좁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급 롤러들과 이송 가이드가 U턴 부분에서 필요하게 되고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으로는, 도13에 도시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직선 통로의 각도가 수평면에 비해 크면, 원본은 수직에 근접한 각도로 이송되고, 장치에 의하여 점유된(돌출된) 구역은 작게 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수직에 근접한 각도에 원본 운반 트레이(409)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원본 운반 트레이(409)가 상술한 것처럼 수직에 근접한 각도로 배치된다면, 원본 운반 트레이(409)의 위치가 설치면에 비해 높게 되고, 장치의 높이 치수가 크게 되고, 그리고 장치의 작동성이 나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원본 운반 트레이(409)를 가능한 한 수평에 근접한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장치의 소형화와 작동성 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본 운반 트레이(409)가 상술한 것처럼 수평에 근접한 각도로 배치되면, 수직에 근접한 각도로 이송되는 원본(P)의 공급 방향은 원본 운반 트레이(409)에 아주 못 미쳐서 바뀌게 될 것이다. 만약 원본 운반 각도가 이처럼 크게 변화한다면, 강성을 갖는 두꺼운 원본을 운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운반된 원본이 굽어지거나 또는 운반 잼이 발생하기 쉽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 여러 해에, 화상 판독 장치, 프린터,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하나씩 시트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화상 판독부 또는 화상 형성부로 공급하는 시트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시트 공급 장치로서, 시트들을 분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저속에서 고속까지 높은 신뢰성으로 시트들을 분리할 수 있는 지연 분리 타입을 채택하는 것의 사용이 폭넓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14a, 도14b, 도14c에 도시된 것처럼, 지연 분리 타입이 시트 공급 방향(도14a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 공급 롤러(411)에 의하여 하나씩 시트들(S)을 분리하고 이송하도록 채택되고, 분리 롤러(412)(지연 롤러)는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 롤러(411)에 대해서 추진되고, 시트 공급 방향에 대향되는방향, 바꾸어 말하면, 시트(S)를 복귀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규정된 또는 그 이상의 로드에서 미끄럼을 발생시키기 위한 토크 제한기는 분리 롤러(412)의 구동력 전달 통로에 제공된다. 이 토크 제한기는 대체로 공급 롤러(411)와 시트(S)사이의 마찰력을 포함하는 로드에 의하여 작업하도록 채택된다. 이에 따라, 분리 롤러(412)는 시트(S)의 회전(함께 회전하게 된다)을 따라서 시트를 이송하도록 채택된다.
한편으로,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시트(S)가 롤러들 사이의 닙부(nip)로 들어 오게 될 때, 시트들(S) 중에시 미끄럼에 의하여 공급 롤러(411)와 접촉하게 되는 시트(S)는 공급 방향으로 이송된다. 분리 롤러(412) 측과 접촉하는 시트는 역으로 회전하는 분리 롤러(412)에 의하여 복귀하도록 채택된다.
더 나아가서, 서로 중첩된 복수의 시트들(S)이 배치될 때 적재된 시트들이 롤러들 사이의 닙부로 돌진하고, 복수의 시트들의 이중 이송이 발생한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14b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면 부분은 분리 롤러(412)의 이 측면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14c에 도시된 것처럼, 벽 부분은 그것에 의하여 적재된 소정의 수 또는 그 이상의 시트들이 이 닙부로 돌진하지 않는 그러한 안내부(420)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상술한 예에서, 특히 종방향 타입의 시트 공급 메커니즘의 경우에, 서로 중첩되어 적재된 복수의 시트들이 이송 및 분리 기구의 롤러 닙부에 직접 놓여지고, 이에 따라 분리 롤러(412)의 상술한 작동은 차단되어 이중 이송과 오 이송을 유발시킨다. 또한, 도14b 또는 도14c에 도시된 안내부(420)가 제공된다 할지라도, 시트(S)의 무게의 도움으로,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시트들이 필요한 것 이상으로 안내부(420)와 이송 가이드 사이로 오게 되고, 이에 의하여 복수의 시트들의 이중 이송 또는 시트 잼에 의한 비이송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환경에서 이루어졌고, 그 목적은 장치에 의하여 점유된(돌출된) 구역이 작게 될 수 있고 강성을 갖는 두꺼운 원본(시트)도 안정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시트들이 배치된다 해도 이들을 하나의 시트로 신뢰성있게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고, 시트의 처리가 비이송에 의하여 정체되는 상황을 배제할수 있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진 시트 보유부에 포함된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그후에 시트를 운반하도록 채택되고,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부, 그위에 운반된 시트를 적재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운반 적재부, 화상 판독부로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 그리고 화상이 판독된 시트를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운반 적재부로 이송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시트 이송 통로를 구비하며, 화상 판독부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와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시트 이송 통로 사이에 제공되고, 제1 시트 이송 통로를 통과한 시트의 이송 방향이 화상 판독부에서 제2 시트 이송 통로쪽 방향으로 전환되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는 제1 시트 이송 통로의 각보다 소정의 각도로 수평방향 쪽으로 더 경사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고, 시트의 이송 방향은 화상 판독부의 판독위치를 포함하는 면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는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시트가 화상 판독 수단과 밀접 접촉하면서 시트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화상 판독 수단과 대향되는 관계로 제공되는 조절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절 수단이 바람직하게는 롤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롤러는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위치의 상류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편향되면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고, 플레이트형 부재는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위치의 상류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고 시트의 이송 방향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본을 이송 통로를 따라 이송하기 위한 원본 이송수단,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원본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원본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원본을 운반하기 위한 원본 운반 수단을 구비하고, 이송 통로는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위치의 근방에서 굽어지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화상 판독 수단의 화상 판독 위치의 상류에서 굽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 판독 장치는 원본이 화상 판독 수단의 원본 판독면과 밀접 접촉하게 하면서 원본이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 화상 판독 수단과대향되는 관계로 제공되는 조절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이송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조절 수단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송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원본의 이송 방향에서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위치의 상류쪽으로 소정량의 편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롤러의 축 중심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원본의 이송 방향에서 화상 판독면의 판독 위치의 상류쪽으로 소정량의 편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는 공급 롤러와 서로 대향되는 관계로 배치된 분리 롤러를 포함하는 한쌍의 롤러에 의하여 복수의 시트를 한장의 시트로 분리하고, 이 시트를 이송하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이고, 분리 롤러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돌출하도록 채택된 이송 조절 가이드가 분리 롤러의 가까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에 있어서, 이송 조절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이 가이드가 롤러들의 쌍 사이의 닙부에 더 밀접하도록 됨에 따라, 돌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분리 롤러의 변형양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에 있어서, 이송 조절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에 있어서, 이송 조절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이송 롤러상의 롤러들의 쌍 사이의 닙부 근처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에 있어서, 이송 조절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공급 롤러상의 롤러들의 쌍 사이의 닙부 근처의 시트의 이송을 차단하기 위해 공급 롤러측이 이와 비접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에 있어서, 불균일 형상이 바람직하게는 공급 롤러에 인접한 이송 조절 가이드의 측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서로 중첩된 복수의 시트들을 포함하는 적재된 시트가 돌진해 들어오더라도 분리 롤러의 작동을 방해함이 없이 시트 수용 기능을 갖는 이송 조절 가이드에 의하여 적재된 시트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롤러들의 쌍 사이의 닙부로 적절히 적은 수의 시트들의 유입으로 시트들의 유입을 억제한다. 또한, 이송 조절 가이드에 의하여 시트가 잡혀지더라도,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분리 롤러는 시트를 밖으로 밀고, 이에 따라 시트의 비이송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조절 가이드가 이송 롤러에 대하여 접하게 되거나 또는 이와 비접촉으로 들어가더라도 적절히 적은 수의 시트의 유입으로 서로 중첩된 복수의 시트 더미의 유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불균일한 형상에 의하여 시트의 선단부를 취급하고 신뢰성있게 이들을 하나의 시트로 분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화상 판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도1의 화상 판독 장치에 제공된 화상 판독부의 접촉 화상 센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도1의 화상 판독 장치의 제1 및 제2 이송 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도1의 화상 판독 장치의 원본 이송 구동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주요부들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주요부들의 확대도.
도8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의 주요부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8b는 도8a의 ⅧB의 원에 의해 표시되는 원호부의 확대도.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0c는 도10a에서 XC의 원에 의해 표시되는 원호부의 확대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4a, 도14b, 도14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이송 및 분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판독 장치
3, 14 : 원본 공급 트레이
5 : 공급 롤러
6 : 지연 롤러
7 : 공급 롤러
8, 9 : 화상 판독부
10, 11 : 플래튼 롤러
14 : 운반 적재부
200 : 접촉 화상 센서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과 도2에서, 도면 부호 1은 화상 판독 장치를 가리키고, 도면 부호 1A는 화상 판독 장치의 본체(이하, 장치의 본체로 언급한다)를 가리키고, 도면 부호 2는 장치의 본체(1A)의 상부에 제공된 이송 포트를 가리키고, 그리고 도면 부호 3은 수직에 근접한 각도에서 이송 포트(2) 위로 배치된 경사진 시트 보유부인 원본 공급 트레이를 가리키고, 그리고 시트인 원본(P)은 그 하단부가 이송 포트(2)에 삽입되고 그 전면부가 하방을 면하고 있는 원본 공급 트레이(3)상에 배치된다.
또한, 도면 부호 5는 장치의 본체(1A)내로 원본(P)를 당기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주는 공급 롤러를 가리키고, 그리고 도면 부호 6은 지연 롤러(6)에 연결된 후술하는 도5에 도시된 토크 제한기(30)에 의해 소정의 토크로 원본(P)을 다시 미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주기 위하여 채택된 지연 롤러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부호 8, 9는 원본(P)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상하부의 화상 판독부를 가리키고, 그리고 이들 상하부의 화상 판독부(8, 9)는 그 사이에 중첩된 후술할 제1 이송 통로(R1)로 배치되고, 그리고 설계는 원본(P)의 배면상의 화상이 상부 화상 판독부(8)에 의하여 판독되고, 원본(P)의 전면상의 화상이 하부 화상 판독부(9)에 의하여 판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제, 이렇게 구성된 화상 판독 장치(1)의 화상 판독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작동부의 개시 버튼(4)이 먼저 눌러지고 판독 개시 명령이 출력될 때, 공급 롤러(5)와 지연 롤러(6)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오직 원본(P)만이 공급 롤러(5)와 지연 롤러(6)사이의 닙부에 들어갔을 때, 지연 롤러(6)는 토크 제한기에 의해 원본(P)과 함께 회전하고, 그것에 의하여 원본(P)은 공급 롤러(5)의 이송력에 의해 이송 롤러(7)로 이송된다.
또한, 복수의 원본(P)이 한번에 닙부로 들어갈 때, 지연 롤러(6)는 공급 롤러(5)와 접촉하지 않는 두번째의 그리고 그후의 원본(P)을 다시 미는 토크 제한기에 의해 원본(P)의 공급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첫번째 원본(P)이 홀로 남아 있을때, 지연 롤러(6)는 그 이송을 따라서 그 원본(P)과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지연 롤러(6)에 의한 그러한 지연 분리에 의해, 원본들(P)은 하나씩 분리되고 이송 롤러(7)로 이송된다.
다음에, 원본(P)은 이송 롤러(7)에 의하여 소정의 속도로 상하부 화상 판독부들(8, 9)로 이송된다. 지금, 본 실시예에서, 이들 상하의 화상 판독부(8, 9)는 화상 판독 수단들인 접촉 화상 센서들(200)에 의하여 원본들(P)의 전면부와 배면부상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도3은 그러한 접촉 화상 센서(200)의 구성을 도시하고, 그리고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접촉 화상 센서(200)는 프레임(201)에 배치된 화상 센서(수광 소자)(204)와 렌즈 어레이(203)와 광원인 LED(202)를 가지고, 그리고 접촉 유리(205)는 접촉 화상 센서(200)의 판독 위치(A)를 포함하는 프레임(201)의 상부면상에 설치된다.
접촉 화상 센서(200)는 원본(P)이 접촉 유리(205)의 상부를 통과할 때, 빛은LED(202)에 의하여 투사된다. 이처럼 투사된 빛은 판독 위치(A)의 원본 판독면에 의하여 반사되고, 렌즈 어레이(203)에 의하여 화상 센서(수광 소자)(204)상에 화상화된다. 이처럼 화상화된 화상은 화상 센서(수광 소자)(204)에 의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그 후 여러 가지 종류의 화상 처리가 수행되고, 그것에 의하여 원본의 화상들이 판독된다.
이 접촉 화상 센서(200)는 초점의 깊이가 얕으므로, 그러한 접촉 화상 센서(200)를 구비한 상하부의 화상 판독부(8, 9)에서 원본(P)의 화상 정보를 잘 판독하기 위하여, 접촉 화상 센서들 상에 설치된 접촉 유리면과 원본(P)이 밀접한 접촉을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부 화상 판독부(8, 9)의 화상 판독 위치들(A)과 대향된 관계에서, 화상 판독부(8, 9)의 원본 판독면(도3에 도시된 접촉 유리면)과 원본(P)이 밀접한 접촉을 하도록 누르고, 또한 원본(P)을 소정의 속도로 이송하기 위한 조절 수단이 있는 플래튼 롤러(10, 11)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이들 플래튼 롤러(10, 11)의 표면은 셰이딩(shading) 신호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백색이다. 셰이딩 신호의 검출은 원본(P)이 화상 판독부(8, 9)로 이송되기 전에 접촉 화상 센서(200)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10, 11)의 백색면의 백색 참조 레벨을 판독함으로써 수행된다.
더 나아가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10, 11)는 그 외주면이 상하의 화상 판독부들(8, 9)의 원본 판독면(접촉 유리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이에 대해 소정의 간격(0.5mm 정도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것은 플래튼 롤러(10, 11)의 백색 표면의 얼룩과 흠집의 발생을 방지하고, 셰이딩 신호의 오 검출을 방지하며, 동시에 원본(P)이 없을 때 플래튼 롤러(10, 11)와 접촉 유리 사이의 접촉 마찰에 의해 증가되는 기계적인 시스템의 로드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한편으로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송 롤러(7)를 통과한 원본(P)은 원본의 공급 방향에 평행하게 그 판독면을 배치한 상부 화상 판독부(8)에서 판독한 그 배면상의 화상을 가지며, 그 후 그것은 하부 화상 판독부(9)에서 판독한 그 전면부상의 화상을 갖는다.
다음에, 이 하부 화상 판독부(9)의 판독 위치(A)를 통과한 원본(P)은 원본 운반 수단인 운반 롤러(12)로 이송되고, 운반 롤러(12)에 의하여 그 전면부가 하방쪽으로 면한 채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운반 적재부인 원본 공급 트레이(14) 위로 운반 포트(13)로부터 운반된다. 제2와 그 다음의 원본(P)는 또한 유사한 작동을 하고, 원본(P)은 이들이 원본 공급 트레이(3)위에 배치되었을 때 동일한 순서로 원본 공급 트레이(14)상에 적재된다.
지금, 원본(P)은 원본(P)의 후단부가 운반 롤러(12) 사이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이송 롤러(7), 플래튼 롤러(10, 11)와 운반 롤러(12)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 공급 롤러(5)의 원본 이송 속도는 원본의 화상들의 판독이 적절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러(7, 10, 11, 12)들의 속도보다 더 느린 속도로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때에도, 공급 롤러(5)의 원본 이송 속도는 롤러(7, 10,11, 12)들의 원본 이송 속도보다 더 느린 속도로 설정되고, 공급 롤러(5)는 편도 클러치(도시안됨)가 공급 롤러(5)의 롤러 구동축에 연결되기 때문에 원본(P)의 선단부가 이송 롤러(7)에 도달한 후부터 원본(P)의 후단부가 공급 롤러(5)를 통과할 때까지 원본(P)과 함께 회전하도록 채택된다.
한편으로는, 도2에서, 도면 부호 16은 공급 롤러(5), 이송(구동) 롤러(7), 플래튼 롤러(10), 하부 화상 판독부(9)와 운반(구동) 롤러(12)를 구비하고 하부 이송 가이드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표시하고, 도면 부호 17은 지연 롤러(6), 이송(피동) 롤러(7), 상부 화상 판독부(8), 플래튼 롤러(12)와 운반(피동) 롤러(12)를 구비하고 상부 이송 가이드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표시한다.
원본(P)을 화상 판독부(8, 9)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인 제1 이송 통로(R1)와, 화상이 판독된 원본(P)을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원본 운반 트레이(14)로 이송하기 위한 제2 시트 이송 통로인 제2 이송 통로(R2)가 하부 프레임(16)과 상부 프레임(17)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프레임(17)은 지지점으로서 운반 롤러(12) 가까이에 제공된 개폐 힌지(15)와 함께 선회운동을 하기 위한 장치의 본체(1A)상에 지지된다. 원본(P)이 이송 통로에서 잼(jam)될 때 또는 화상 판독부(8, 9)의 플래튼 롤러들(10, 11)과 접촉 유리가 오염될 때, 상부 프레임(17)은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점으로서 개폐 힌지(15)와 함께 선회운동되고, 그것에 의하여 제1과 제2 이송 통로(R1)(R2)가 개방되고, 이에 의하여 원본의 잼 처리 또는 접촉 유리(205)와 플래튼 롤러(10, 11)의 청소가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1)의 원본 이송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5에서, 도면 부호 18은 원본 이송 모터를 나타내고, 그리고 이 원본 이송 모터(18)의 모터 기어(19)는 롤러(7, 10, 11, 12)에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기어 트레인(19A)에 의하여 공급 롤러(5)의 축(5a)에 고정된 기어(24), 이송(구동) 롤러(7)의 축(7a)에 고정된 기어(23), 플래튼 롤러(10, 11)의 각각의 축(10a, 11a)에 고정된 기어(22, 21), 그리고 운반(구동) 롤러(12)의 축(12a)에 고정된 기어(20)에 연결된다.
공급 롤러(5)의 축(5a)에 고정된 기어(24)의 구동은 지연 롤러(6)에 장착된 토크 제한기(30)를 통하여 지연 롤러(6)를 구동하기 위하여 기어(25, 26), 풀리(27, 28) 및 벨트(29)에 의하여 더 전달되도록 채택된다.
지금,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화상 판독부(9)는 그 판독면이 상류에 제공된 상부 화상 판독부(8)까지 원본 공급 방향에 대하여, 바꾸어 말하면, 제1 이송 통로(R1)에 있는 시트 공급 방향(각도)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수평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제공된다.
이처럼, 그것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제공된 하부 화상 판독부(9)에 의하여, 하부 화상 판독부(9)에 있는 판독 위치(A)를 통과한 원본(P)은 플래튼 롤러(11)에 의하여 판독 위치(A)를 포함하는 접촉 유리(205)의 면을 따라서 그 공급 방향을 바꾸면서 제2 이송 통로(R2)로 이송되도록 채택된다.
플래튼 롤러(11)에 의하여 그 이송 방향을 바꾸면서 이렇게 이송되는 원본(P)에 의하여, 제2 이송 통로(R2)와 함께 제1 이송 통로(R1)에 의하여 형성된각이 클 때도 원본(P)의 공급 방향은 짧은 이송 거리 범위내에서 그리고 어떠한 개별 롤러등의 사용없이 바뀔 수 있다.
그 결과, 원본 운반 트레이(14)로의 원본의 운반은 원본 공급 트레이(3)가 수직에 근접한 각도로 제공될 때도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고, 원본 운반 트레이(14)가 수평에 근접한 각도로 배치된다. 또한, 전체 원본 이송 통로는 소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장치의 본체(1A)는 소형화될 수 있고, 장치에 의한 점유된(돌출된) 구역은 작게 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강성을 가지고 있는 두꺼운 원본(P)도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다.
지금, 원본(P)의 선단부가 화상 판독부(8, 9)의 판독 위치(A)를 통과할 때, 만약 플래튼 롤러(10, 11)의 축 중심 위치가 플래튼 롤러(10, 11)에 대향된 표면상의 화상 판독부(8, 9)의 접촉 화상 센서들(200)의 판독 위치(A)와 일치한다면, 원본(P)은 이송되는 원본(P)의 선단부가 플래튼 롤러(10, 11) 또는 접촉 화상 센서(200)의 접촉 유리면과 접촉하게 될 때, 쇼크에 의하여 접촉 화상 센서(200)와 플래튼 롤러(10, 11) 사이에서 퍼덕거릴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원본(P)의 그러한 퍼덕거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화상 판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본(P)의 그러한 퍼덕거림이 억제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이제 설명한다.
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6에서, 도2에서와 같은 도면 부호는 같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6에 도시된 것처럼, 플래튼 롤러들(10, 11)의 축 중심 위치들은 원본 공급 방향에서 상류쪽으로 화상 판독부(8, 9)의 접촉 화상 센서들(200)의 판독 위치(A)로부터 소정의 양(δ)만큼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처럼 접촉 화상 센서(200)들의 판독 위치들(A)의 상류쪽(이쪽)에 배치된 플래튼 롤러들(10, 11)의 축 중심 위치들에 의하여, 원본(P)이 플래튼 롤러들(10, 11) 또는 접촉 화상 센서(200)의 접촉 유리의 면과 접촉할 때, 그때의 쇼크는 판독 화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고, 판독 위치(A)에서 원본의 선단부의 두 에지 부분의 거동이 안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편향(δ)량의 이러한 값은 플래튼 롤러들의 직경 12mm에 대해 0.5 내지 1.5mm 정도이다. 그러나, 접촉 화상 센서(200)들의 화상 판독라인 폭이 아주 작기 때문에, 이러한 적은 양의 편향(δ)도 충분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원본 공급 방향에서 상류쪽으로 접촉 화상 센서(200)의 판독 위치들로부터 소정의 양(δ)에 의하여 이처럼 편향된 플래튼 롤러들(10, 11)의 축 중심 위치들에 의하여, 그 선단부가 판독 위치(A)를 통과할 때 원본(P)의 퍼덕거림은 이에 의하여 판독 화상의 흐림과 밀도의 불균일과 같은 화상의 불편을 방지하도록 억제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된 것중에서, 원본(P)이 원본 판독면과 밀접한 접촉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플래튼 롤러(10, 11)는 접촉 화상 센서(200)의 판독 위치(A)와 대향된 관계에 배치되는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나 설계는 또한 원본(P)이 다른 부재에 의해서 접촉 화상 센서(200)과 밀접한 접촉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것처럼, 원본(P)이 다른 부재의 사용에 의해 접촉 화상 센서(200)와 밀접한 접촉을 하게 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본질적인 부분들의 확대도이다. 도7에서, 도2의 그것들과 같은 도면 부호는 같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가리킨다.
도7에서, 도면 부호 31과 32는 플래튼 롤러 대신에, 상하부 화상 판독부(8, 9)의 접촉 화상 센서(200)와 대향된 관계로 제공된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들인 시트 부재들을 표시한다. 이 시트 부재(31, 32)는 조절 수단으로서 시트 부재(31, 32)는 원본(P)이 접촉 화상 센서(200)들과 밀접한 접촉을 할 수 있도록 접촉 화상 센서(200)의 접촉 유리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된다.
다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처럼, 하부 화상 판독부(9)는 원본(P)의 이송 각도가 하부 화상 판독부(9)에 의하여 변하는 그런 위치에 제공되고, 그리고 시트 부재(31, 32)는 원본(P)의 이송 각도가 하부 화상 판독부(9)의 판독 위치를 포함하는 표면상에서 변하는 그런 위치에 제공된다.
더 나아가서, 시트 부재(31, 32)의 표면들은 매끈하게 형성되고, 표면이 이처럼 매끈하게 형성됨에 의하여, 원본(P)의 이송 저항은 최소로 될 수 있고 이송 잼은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시트 부재(31, 32)의 색깔이 백색으로 됨에 따라, 이들은 백색 참조 플레이트들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리고 셰이딩 신호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설계는 원본(P)이 시트 부재(31, 32)에 의하여 화상판독부(8, 9)의 원본 판독면과 밀접한 접촉을 하도록 이루어지고, 그것에 의하여 플래튼 롤러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롤러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은 불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장치의 구조는 단순하게 되고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부재(31, 32)는 접촉 화상 센서(200)의 접촉 유리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는 반면에, 시트 부재들은 가압 스프링과 같은 가압 수단에 의한 미세한 가압력으로 접촉 유리면과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원본(P)의 공급 방향이 하부 화상 판독부(9)에서 바뀌는 점들이 엄격하게 판독 위치(A)일 필요는 없고, 공급 방향에서 판독 위치(A)의 상류에 있는 접촉 유리(205)의 면상의 어떠한 위치들일 수 있다.
다음에, 더 상세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에서, 상부 화상 판독부(8)의 접촉 화상 센서(200)는 제1 화상 센서(8a)로 언급되고, 그리고 하부 화상 판독부(9)의 접촉 화상 센서(200)는 제2 화상 센서(9b)로서 언급될 것이다(일반적으로 도6 참조).
상부 화상 판독부(8)에서, 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제1 판독과 이송 통로는 제1 화상 센서(8a)의 제1 접촉 유리(8c)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부 화상 판독부(9)에서, 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제2 판독과 이송 통로는 제2 화상 센서(9a)의 제2 접촉 유리(9c)에 의하여 형성된다.
수평면에 대하여 제1 접촉 유리(8c)의 안내면(8b)의 경사각(θ1)은 수평면에 대하여 제2 접촉 유리(9c)의 가이드 표면(9b)의 경사각(θ2)의 각도보다 크다.
수평면에 대하여 운반 롤러(12)들의 쌍의 공통 접선(시트 운반 방향)의 경사각(θ3)은 수평면에 대하여 제2 접촉 유리(9c)의 안내면의 경사각(θ2)의 각도보다 작다.
즉, θ1 > θ2 > θ3 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후술된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적용의 한 예인 화상 판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화상 판독 장치의 화상의 개략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면 부호 300은 화상 판독 장치를 가리키고, 도면 부호 300A는 화상 판독 장치의 본체를 가리키고, 도면 부호 300B는 시트(S)가 적재되고 포함된 시트 보유부인 시트 적재부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302와 303은 시트(S)상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전면과 배면 화상 판독부들을 표시하고, 도면 부호 300C는 전면과 배면 화상 판독부(302, 303)로 시트 적재부(300B)에 포함된 시트(S)를 이송하기 위한 시트 이송 장치를 가리킨다.
시트 이송 장치(300C)는 이송 회전 부재인 공급 롤러(311)와 공급 롤러(311)에 대하여 추진된 분리 회전 부재인 분리 롤러(312)를 포함하고, 시트 적재부(300B)상에 적재된 시트(S)를 하나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 및 이송 수단을 구비한다. 도면 부호 313은 공급 롤러(311)와 분리 롤러(312)를 구동하기 위한 주 모터를 표시한다.
이처럼 구성된 화상 판독 장치(300)의 화상 판독 작동에 관하여 이제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작동이 개시될 때, 시트 적재부(300B)상에 배치된 복수의 시트(S)는 서로 가압 접촉하는 분리 롤러(312)와 공급 롤러(311)에 의하여 하나씩 분리된다. 그 후에, 시트는 플래튼 롤러(302a, 303a)에 의하여 전면과 배면 화상 판독부(302, 303)와 밀접 접촉하면서 통과한다.
이 통과중에, 시트(S)의 전면 또는 배면에 형성된 화상은 전면과 배면 화상 판독부(302, 303)와 대면하면서 통과함으로써 스캔되어지고, 전기적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화상의 판독이 이처럼 수행된 후에, 시트(S)는 운반 롤러(304)[한 쌍의 운반 롤러(304a, 304b)]에 의해서 외부로 운반된다.
도9a와 도9b에서, 도면 부호 301은 분리 롤러(312), 배면 화상 판독부(303), 상부 운반 롤러(304a)등을 구비한 시트 공급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유닛을 가리킨다. 이 상부 유닛(301)은 도9a에 도시된 것처럼 대개 닫혀 있고, 그러나 예를 들면 잼 처리, 롤러들의 청소, 정비등의 경우에 경계로서 시트 이송 통로(R)를 가지며, 도9b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로 개방되도록 채택된다. 이처럼 열림으로써, 분리 롤러(312)가 공급 롤러(311)와는 떨어져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를 가장 잘 나타낸 도8a와 도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는 서로 가압 접촉하며 대향되는 공급 롤러(311)와 분리 롤러(312)를 포함하고, 공급 롤러(311)는 시트 공급 방향으로 회전하고, 분리 롤러(312)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거기에 전달되는 동력을 갖는다.
또한, 분리 롤러(312)의 구동 전달 통로에 토크 제한기가 제공되고, 분리 롤러는 시트(S)가 있는 상태에서 또는 시트가 공급 롤러(311)와 분리 롤러(312) 사이로 이송되는 상태에서 시트 이송 방향으로 회전(시트와 함께 회전한다)하도록 구동되어진다. 서로 중첩된 복수의 시트가 이들 롤러 사이로 돌진하는 상태에서, 분리 롤러(312)는 대향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 이송 조절 가이드(314)는 전술한 수의 시트를 넘어서서 서로 중첩되는 시트들이 롤러들 사이로 돌진할 수 없도록 분리 롤러(312)의 대향 측면상에 형성된다.
도8a에 도시된 것처럼, 이 이송 조절 가이드(314)는 분리 롤러(312)의 외주 내부에 형성되고, 돌진하는 시트에 대하여 그 면들이 그것이 닙부에 근접함에 따라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외주로부터 그 거리가 증가될 수도 있다. 즉, 도8b에 도시된 것처럼, x1> x2 일수도 있다. 또한, 공급 롤러(311)에 대향된 면은 분리할 수 있는 시트(S)의 수로부터 계산된 간격(y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구성에 의하여, 이송 조절 가이드(314)는 마찰계수가 높고 함께 들어가기 쉬운 복수의 시트들(S)이 분리 롤러(312)를 변형시키고 돌진해 들어올 때 분리 롤러(312)로부터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 롤러(312)에 비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그것에 의하여, 비록 복수의 시트들(S)이 돌진하더라도, 그들은 이송 조절 가이드(314)의 계단 형상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간격(y1)에 대응하는 단지 분리가능한 시트들이 서로 중첩되면서 들어가고, 지연 롤러부에 의하여 하나의 시트로 신뢰성있게 분리 될 수 있고, 화상 처리부로 이송될 수 있다.
시트(S)가 이송 조절 가이드(314)의 계단 형상부에 의하여 잡힐때에도, 시트(S)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분리 롤러(312)에 의하여 밖으로 배출되고, 롤러 사이의 닙부로 이송되고, 비이송 상태로 외부로갈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비록 복수의 시트(S)가 배치되더라도, 그들은 신뢰성있게 하나의 시트로 분리되고 이송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시트의 처리가 비이송에 의해서 정체되는 상황을 배제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10a, 도10b, 도10c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 조절 가이드(314)는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10a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을 조정하는 혀 모양의 플레이트(315)의 선단부는 공급 롤러(311)에 대해 접하도록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 유사한 결과가 또한 도10c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면을 편평하지 않은 형상(홈(315a))으로 형성하여 얻어질 수 있다.
유사한 결과는 또한 공급 롤러(311)의 외경의 내부에 대해 이송을 조정하는 혀 모양의 플레이트(315)가 접하게 만들지 않고, 도10b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 이송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 롤러(311)를 접촉하지 않고 들어가도록 형성함으로써 얻어질수 있다.
더 나아가서, 만약 이송 조절 가이드(314)와 이송을 조정하는 혀 모양의 플레이트(315)가 함께 사용된다면, 더 좋은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판독부는 경사진 시트 보유부에 포함된 시트를 화상 판독부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와 화상이 판독된 시트등을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운반 적재부로 운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시트 이송 통로 사이에 제공되고, 그리고제1 시트 이송 통로를 통과한 시트의 공급 방향은 화상 판독부에 의하여 제2 시트 이송 통로쪽 방향으로 전환되고, 그것에 의하여 장치에 의하여 점유된 구역은 작게 될 수 있고 강성을 가지고 있는 두꺼운 시트도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시트들이 이 종류의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그것들은 신뢰성있게 하나의 시트로 분리되고 이송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시트들의 처리가 비이송에 의하여 정체하게 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부드럽게 작동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Claims (22)

  1. 경사진 시트 보유부에 포함된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그후 시트를 운반하는 화상 판독 장치이며,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부와,
    운반된 시트를 적재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운반 적재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에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와,
    화상이 판독된 시트를 상기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의 운반 적재부로 이송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시트 이송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판독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시트 이송 통로와 상기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시트 이송 통로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판독부에서는, 상기 제1 시트 이송 통로를 통과한 시트의 이송 방향이 상기 제2 시트 이송 통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부는 상기 제1 시트 이송 통로의 각도보다 소정의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더 경사진 상태로 제공되고, 시트의 이송 방향이 상기 화상 판독부의 판독 위치를 포함하는 면 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부는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시트가 상기 화상 판독 수단과 밀접 접촉하면서 시트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대향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이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시트의 이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위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는 시트의 이송 방향이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위치의 상류로 전환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7. 원본을 이송 통로를 따라 이송하기 위한 원본 이송 수단과,
    소정의 판독 위치에서 상기 원본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원본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원본을 운반하기 위한 원본 운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통로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소정의 판독 위치 근방에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통로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소정의 판독 위치의 상류에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원본을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원본 판독면과 밀접 접촉하게 하면서 원본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대향되는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통로는 상기 조절 수단을 따라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통로는 상기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원본의 이송 방향에서 소정 거리만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소정의 판독 위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축 중심 위치는 원본의 이송 방향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소정의 판독 위치의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3. 공급 롤러와 상기 공급 롤러에 대향되는 분리 롤러를 포함하는 한쌍의 롤러에 의하여 복수의 시트를 한장의 시트로 분리하여 이송하고, 상기 분리 롤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돌출하도록 채택된 이송 조절 가이드가 상기 분리 롤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조절 가이드는 상기 이송 조절 가이드가 상기 롤러쌍 사이의 닙부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이송 조절 가이드를 돌출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분리 롤러의 변형량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조절 가이드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조절 가이드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 쌍들 사이의 닙부 근처에서 상기 공급 롤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조절 가이드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고, 롤러 쌍들 사이의 닙부 근처에서 시트의 이송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공급 롤러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공급 롤러의 측면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편편하지 않은 형상이 상기 공급 롤러에 인접한 상기 이송 조절 가이드의 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및 분리 장치.
  19.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시트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판독 이송 통로와,
    상기 제1 판독 이송 통로에 의하여 안내된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제1 화상 센서와,
    상기 제1 판독 이송 경로로부터 시트를 연속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판독 이송 통로와,
    상기 제 2 판독 이송 경로에 의해 안내된 시트상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제2 화상 센서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2 판독 이송 통로보다 더 작은 경사를 가지는 방향에 있는 장치의 밖으로 상기 제2 판독 이송 통로에 의해 안내된 시트를 운반하기위한 운반 롤러를 포함하고,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2 판독 이송 통로의 경사가 상기 제1 판독 통로의 경사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센서는 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접촉 유리를 가지고, 상기 제2 화상 센서는 시트를 안내하기 위한 제2 접촉 유리를 가지고, 수평면에 대해 상기 제1 접촉 유리의 안내면의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2 접촉 유리의 안내면의 경사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한쌍의 운반 롤러는 그 사이의 시트를 집으며,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운반 롤러 쌍의 공통 접선의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2 접촉유리의 상기 안내면의 경사각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센서는 시트의 제1 측면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제2 화상 센서는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시트의 제 2 측면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KR10-2002-0055206A 2001-09-13 2002-09-12 화상 판독 장치 KR100477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8668A JP4306985B2 (ja) 2001-09-13 2001-09-13 画像読取装置
JPJP-P-2001-00278668 2001-09-13
JP2001376292A JP3711069B2 (ja) 2001-12-10 2001-12-10 シート搬送分離装置
JPJP-P-2001-00376292 2001-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534A true KR20030023534A (ko) 2003-03-19
KR100477906B1 KR100477906B1 (ko) 2005-03-23

Family

ID=2662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206A KR100477906B1 (ko) 2001-09-13 2002-09-12 화상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170658B2 (ko)
KR (1) KR100477906B1 (ko)
CN (2) CN1190943C (ko)
TW (1) TWI2305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0658B2 (en) * 2001-09-13 2007-0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KR100532603B1 (ko) * 2003-04-07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KR100561408B1 (ko) * 2003-12-01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장치 및 그 기어손상방지방법
KR101164788B1 (ko) * 2004-03-23 2012-07-11 엔디에스 리미티드 이동 가입자 단말기 재생에 적합하게 순응하는 멀티미디어콘텐트
US7131644B2 (en) * 2004-04-06 2006-11-07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sheet feeder
US7401780B2 (en) * 2004-09-24 2008-07-22 Lexmark International, Inc. Roller with recessed kicker feature
JP4609248B2 (ja) * 2005-09-01 2011-01-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複写装置
TWI288081B (en) * 2005-09-14 2007-10-11 Lite On Technology Corp Paper tray with image scanning function and the printer thereof
US7791744B2 (en) * 2006-08-29 2010-09-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int resuming following a print interruption event
JP5393496B2 (ja) * 2010-01-15 2014-01-22 株式会社Pfu 給紙口及び画像読取装置
USD642179S1 (en) * 2010-05-20 2011-07-26 Pfu Limited Scanner
USD668668S1 (en) 2010-05-20 2012-10-09 Pfu Limited Touch panel for scanner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8259S1 (en) 2010-05-20 2012-10-02 Pfu Limited Touch panel for scanner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69089S1 (en) 2010-05-20 2012-10-16 Pfu Limited Touch panel for scanner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5736731B2 (ja) * 2010-10-29 2015-06-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05150B2 (en) 2010-11-02 2014-04-22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dia conveying apparatus
USD671542S1 (en) * 2010-11-13 2012-11-27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device
USD689865S1 (en) * 2011-05-30 2013-09-17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Scanner
JP5287943B2 (ja) 2011-06-30 2013-09-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D689866S1 (en) * 2011-07-15 2013-09-17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Scanner
JP5901475B2 (ja) * 2012-09-05 2016-04-13 株式会社Pfu 用紙搬送装置
USD713845S1 (en) * 2012-09-27 2014-09-23 Pfu Limited Scanner
USD692891S1 (en) * 2012-12-12 2013-11-05 Pfu Limited Scanner
USD723560S1 (en) * 2013-07-03 2015-03-03 Hand Held Products, Inc. Scanner
DE202013011912U1 (de) * 2013-08-05 2014-11-12 Awinta GmbH Vorrichtung zum Einlesen und Verarbeiten von Dokumenten
JP1524980S (ko) * 2014-09-30 2015-06-01
JP1536672S (ko) * 2015-03-20 2015-11-02
JP1549837S (ko) * 2015-11-02 2016-05-23
USD831654S1 (en) * 2015-12-03 2018-10-23 Avision Inc. Scanner
JP1564554S (ko) * 2016-06-03 2017-11-20
USD794640S1 (en) * 2016-09-08 2017-08-15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Scanner
USD797744S1 (en) * 2016-09-30 2017-09-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
JP7039944B2 (ja) 2017-11-15 2022-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
US11597617B2 (en) 2018-08-29 2023-03-07 Seiko Epson Corporation Medium feed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dium feeding method
JP7251313B2 (ja) * 2019-05-24 2023-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1647873S (ja) * 2019-06-19 2019-12-16 スキャナー
JP7352157B2 (ja) 2019-09-27 2023-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7402649B2 (ja) * 2019-09-30 2023-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21134055A (ja) * 2020-02-27 2021-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1685733S (ja) * 2020-07-07 2021-05-24 スキャナー
JP1685734S (ja) * 2020-07-07 2021-05-24 スキャナー
JP7476709B2 (ja) 2020-07-30 2024-05-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1686554S (ko) * 2020-11-13 2021-05-31
JP1686553S (ko) * 2020-11-13 2021-05-31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48A (en) * 1862-04-15 Improved machine for amalgamating gold
US4743974A (en) * 1986-12-18 1988-05-10 Xerox Corporation Dual scanning array raster input scanner
US5359435A (en) * 1991-08-30 1994-10-25 Canon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JPH06156789A (ja) * 1992-11-27 1994-06-03 Mita Ind Co Ltd 原稿読取装置の原稿搬送機構
JPH0713851U (ja) * 1993-08-17 1995-03-10 株式会社東芝 給紙機構
JP3265163B2 (ja) * 1995-10-02 2002-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KR0164382B1 (ko) * 1995-11-17 1999-03-20 김광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급지부 구동 장치
JP3537981B2 (ja) * 1996-04-11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260824B1 (ko) 1996-08-30 2000-07-01 윤종용 축소형 복합기
KR100229024B1 (ko) * 1997-02-14 1999-11-01 윤종용 플랫베드 스캐너 장치
JP3975545B2 (ja) * 1997-03-24 2007-09-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原稿走査装置及び該原稿走査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5761599A (en) * 1997-04-14 1998-06-02 Acer Peripheral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ultifunction opening
KR100248980B1 (ko) * 1997-06-24 2000-03-15 강병호 양면 인쇄용 팩시밀리의 기록용지 이송장치
JPH11112735A (ja) 1997-09-30 1999-04-23 Fujitsu Ltd 画像読取り装置
KR100270317B1 (ko) * 1998-09-25 2000-10-16 이계철 문서의 양면전송이 가능한 팩시밀리
JP3455699B2 (ja) * 1999-07-28 2003-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原稿搬送装置
JP2001210258A (ja) 2000-01-24 2001-08-03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13160B2 (ja) * 2000-09-25 2005-01-26 ニスカ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11069B2 (ja) * 2001-12-10 2005-10-26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シート搬送分離装置
JP4306985B2 (ja) * 2001-09-13 2009-08-05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7170658B2 (en) * 2001-09-13 2007-0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70658B2 (en) 2007-01-30
US20060203308A1 (en) 2006-09-14
CN100352254C (zh) 2007-11-28
CN1645889A (zh) 2005-07-27
CN1190943C (zh) 2005-02-23
CN1406048A (zh) 2003-03-26
US20030063337A1 (en) 2003-04-03
US7151621B2 (en) 2006-12-19
KR100477906B1 (ko) 2005-03-23
TWI230545B (en)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3534A (ko) 화상 판독 장치
JP4982244B2 (ja) 画像読取装置
US8840103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05209B2 (en) Sheet transport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08213946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3641011B2 (ja) 原稿ハンドラ
US20160198059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US5878319A (en) Image scanner having a single contact glass and contact-type image sensor movable under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9202978A (ja) 用紙搬送機構、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70520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611145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03005473A (ja)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002264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JP5064518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06985B2 (ja) 画像読取装置
WO2023042312A1 (ja) 媒体搬送装置
US11834285B2 (en) Medium conveying apparatus including conveyance guide, provided on a rotation shaft of a first roller, to move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a first roller
JP506872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263128A (ja) ベルト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2079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3134302A (ja) 画像読取装置
JP4265553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3063688A (ja) 自動原稿給送装置
JP2019220774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02213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