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865A - 압연기의 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의 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865A
KR20030022865A KR10-2003-7000714A KR20037000714A KR20030022865A KR 20030022865 A KR20030022865 A KR 20030022865A KR 20037000714 A KR20037000714 A KR 20037000714A KR 20030022865 A KR20030022865 A KR 2003002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ail
choke
stand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르멩 르비아반트
Original Assignee
바이 클레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 클레심 filed Critical 바이 클레심
Publication of KR2003002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86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크들(3)의 지지롤러들(7)이 주행하는 내부(5) 및 외부(55) 레일들 상에서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것에 의해 압연기의 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내부 레일(5)은 후퇴 압연 위치 및 두 부분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전진 분해 위치 사이에서 스탠드(1)의 두 기둥들(10, 100) 상에 각각 활주하도록 장착되는 두 부분들(51, 52)로 구성되며, 내측 단부들(53', 54')은 빈 공간(e)에 의해 분리되고, 분해 및 재조립 공정 중 상기 부분들(51, 52)에 연속적으로 놓이게 하기 위해 각 초크(3)는 상기 빈 공간(e)보다 큰 간격(d) 만큼 서로 이격되는 롤러들(72, 7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압연기의 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A DEVICE FOR DISASSEMBLY OF THE ROLLS OF A ROLLING MILL}
압연기가 평행한 축선들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대체로 수직인 평면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롤을 스탠드 내에 포함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듀오(Duo)" 스탠드는 압연될 제품이 그 사이로 지나가는 단 두 개의 롤만 포함한다. 소위 "쿼토(Quarto)" 스탠드에 있어서, 압연될 제품은 두 개의 백업롤(back-up roll)에 직접 지탱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두 작업롤 사이로 지나간다. 소위 "섹스토(Sexto)" 스탠드에 있어서는, 각 작업롤과 대응하는 백업롤 사이에 증간롤이 삽입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다수의 롤들을 포함하는 "센쥐미어(Sendzimir)"식 또는 각 작업롤이 횡백업롤들(lateral back-up roll)과 결합되고 이 조립체는 인서트(insert)에 위치되는 소위 "제트하이(Z-high)" 압연기와 같은 다른 방식의 압연기들 또한 공지되어 있다.
제품과 접촉하는 작업롤들은 상당히 빨리 마모된다. 더욱이, 그 직경은 압연될 제품의 성질 및 두께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얻고자 하는 표면 마감(surface finish)에도 적합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롤들은 주기적으로 교환되어야 한다.
"섹스토" 압연기의 중간롤들과 "제트하이" 압연기의 인서트들도 마찬가지다.
종래, 롤들은 평형추에 의해 균형이 잡히는 롤용 죔 부재(take-up member)를 포함하는 소위 캐링 바 시스템(carrying bar system)에 의해 외팔보(cantilever) 상태에서 분해된다.
그러나, 수년동안 서비스 시간, 사람 또는 설비에 대한 피해 위험을 감소시키고 공정을 자동화할 목적으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각 롤들은 그 단부들이 두 개의 초크(chock)에 수용된 중심 베어링들(centring bearing)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그 위에 롤들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지탱 수단이 장착되며, 각 초크는 작업롤들의 축선들을 통과하는 클램핑면(clamping plane)과 평행한 안내면들을 따라 활주하도록 장착된다는 것은 대체로 공지되어 있다.
롤의 인출(withdrawal)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대체로 초크들은 롤의 축선과 평행한 스탠드의 두 기둥(standard) 사이로 연장하는 레일들을 주행하는 롤러들을 구비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롤을 함께 분해하도록, 상부롤은 클램핑면의 양측에 위치된 두 레일을 주행하는 하부롤의 초크들 위에 놓여진다.
그러나, 밴드(band)를 두 작업롤 사이에 물린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롤을 교환하는 것을 수반하는 연속 압연 기술은 더욱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롤들이 밴드로부터 떨어진 두 레벨(level)에서 각각 롤들을 분해하기 위하여 두 쌍의 레일을 사용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그러므로 분해될 롤들은 그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되는 것에 의해 스탠드로부터 제거되어 외부 장치로 운반되며, 외부 장치는 각각 스탠드의 레일들과 일렬로 위치된 레일들과 롤을 스탠드로부터 나오게 하거나 반대로 새로운 롤을 삽입할 수 있는 모터로 구동되는 인출 장치(extracting device)를 구비한 캐리지를 포함한다.
공정을 가속화하도록, 주행 방향과 평행하고 횡방향 섀시(lateral chassis)에 제공되는 레일들을 활주하도록 장착되는 두 개의 캐리지들을 종종 사용하며, 캐리지들 중 하나는 낡은 롤들을 수용하기 위한 빈 오목부를 포함하고 다른 캐리지는 낡은 롤들을 인출한 다음 스탠드로 삽입될 수 있는 새 롤들을 운반한다. 밴드가 물린 상태로 분해가 실시될 때, 각 캐리지는 스탠드의 한 쌍의 레일들과 일렬로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들을 포함한다.
작업롤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더라도 그 무게는 여전히 상당하며, 그러므로 분해용 레일들은 그것들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 장치들은 비교적 성가시며, 그렇지만, 분해될 각 롤의 초크들을 운반하기 때문에, 클램핑면의 양측 및 그 근처에서 연장해야 한다.
또는, 대체적으로, 스탠드의 내부 영역은, 작업롤의 레벨에서, 밴드 물림 테이블들, 스프레이 램프들(spray ramps), 밴드가 파손될 경우에 롤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 등과 같은 온갖 종류의 장치로 이미 채워져 있다.
새 스탠드의 경우에서조차, 이들 필수 장치들에 더하여 제한된 공간에 분해용 레일들을 수용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롤들을 교체할 때만 스텐드에 위치되는 탈착가능한 레일들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레일들을 설치하고 분해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공정의 전체 시간을 증가시키며, 이는 그 목적을 무용하게 만든다.
다른 한편으로, 레일들을 매우 파손되기 쉽게 만들지 않고서는 레일들의 크기를 줄일 수도 없다.
본 발명은 롤 스탠드(roll stand)의 롤, 특히 작업롤을 교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부속 부재들을 구비하는 통상의 롤 스탠드 장치를 도시한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압연기의 압연면 P1에 따른 평단면도.
도 3은 부분적으로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롤의 분해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은 압연 공정 중에 레일들을 탈착하지 않고 스탠드의 기둥들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교환 장치의 덕택으로 이러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대체로 롤들이 각 스탠드의 대응하는 스텐션들 사이의 클램핑면의 양측에 각각 존재하는 적어도 한 쌍의 내부 레일들에 연속적으로 지탱되는 동안 스탠드의 기둥들 사이의 압연 위치로부터 스탠드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분해 위치로 그 축선과 평행하게 운반되는 것에 의해 교환되고, 적어도 일 분해측에서 스탠드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한 쌍의 외부 레일들에 의해 연장되며, 분해될 롤의 두 초크들은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들 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지탱 부재들을 구비하는 압연기의 롤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면(P2)의 양측에서, 각 내부 레일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각 내측 및 외측의 양 단부 사이에서 한정된 길이로 각각 연장하고 스탠드의 두 기둥들 상에서 각각 롤의 축선과 평행하게 활주하도록 장착되며, 압연기는 각 내부 레일의 두 부분들의 각 부분이 대응하는 기둥의 폭 상에서 대체로 연장하는 압연 위치로부터 두 부분이 두 기둥 사이의 틈에서 서로를 향해 전진하는 롤을 분해하기 위한 위치로의 활주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들의 내측 단부들은 빈 공간에 의해 분리된다. 더욱이, 초크의 각 가동 지탱 부재는 상기 레일이 압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중간면과 대응하는 레일 부분의 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중간면으로부터 이동되며, 분해측과 반대인 롤 단부를 유지하는 초크는 적어도, 내부 레일의 두 부분들의 대향하는 내측 단부들 사이의, 롤의 분해를 위한 위치에서, 존재하는 빈 공간의 길이보다 큰 간격으로, 초크의 중간면의 양측에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가동 지탱 부재들(72, 72')을, 클램핑면의 양측에,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해될 롤의 두 초크들은 각각, 클램핑면의 양측에, 대응하는 레일 부분의 길이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동 지탱 부재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주행 롤러들로 구성되는 이 지탱 부재들은 지탱 부재를 초크의 중간면의 필요한 거리에 위치시키기 위해, 초크의 대응하는 측부에 고정된 아암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초크의 외측으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클램핑면의 양측에서 스탠드의 동일한 기둥에 장착되는 레일 부분들은 서로 연결되고 압연 위치로부터 분해 위치로 및 그 반대의 두 부분들(51)(52)의 동시 활주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단일 수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롤이 하부롤 위에 놓인 동안 두 작업롤들이 동시에 분해되는 경우에 있어서, 장치는 클램핑면의 양측에 두 개의 내부 레일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분해 레벨에서 스탠드의 두 기둥에 각각 장착되는 두 쌍의 레일 부분들을 포함한다.
밴드가 연전히 물린 상태에서의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다른 진보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클램핑면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하는 두 내부 레일들을 각 레벨에 형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분해 레벨에서, 스탠드의 두 기둥들에 각각 장착되는 네 쌍의 레일 부분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그러므로 밴드가 물린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압연면의 양측에서 작업롤들을 서로 떨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별도로 또는 동시에 두 작업롤들을 운반할 수 있게 한다. 유사한 장치는 "재트하이" 압연기에서, 각 작업롤 및 두 개의 횡백업롤들을 포함하는 인서트들을 별도로 또는 동시에 분해하여 교환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다른 장치들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작업롤들과 중간롤들의 분해를 위해 네 개의 레벨에 각각 장착된 여덟 쌍의 레일 부분들을 사용하는 "섹스토" 압연기도 가능하다.
도한, 본 발명은 이러한 분해 장치의 실행 방법도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들이 그 분해 레벨에 위치되면, 전방의 일 분해측에 위치된 레일드의 부분들은 스탠드의 내측을 향해 활주되고, 외부 레일들을 구비한 교환 캐리지가 상기 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들은 내부 레일들의 부분들과 일렬로 위치되고 따라서 전방으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전방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내부레일들의 부분에 놓여 있는 교환될 롤들의 운반이 제어되고, 후방 기둥에 장착된 레일들의 부분들은 스탠드의 내측을 향해 전방으로 공급된다. 캐리지의 반대측에 위치된 후방 초크는, 상기 부분들 사이의 빈 공간을 건너는 동안, 이격된 두 개의 지탱 부재들에 의해 계속하여 후방 부분들 그리고 나서 전방 부분들에 놓인다. 역동작에 의해, 교환 롤을 스탠드로 삽입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기둥의 레벨에서 각각 압연 위치로 롤들을 교환하기 위해 내부 레일의 부분들을 스탠드의 외측을 향해 활주시킴으로써 롤의 초크는 작업롤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며의 실행에 관하여, 압연기가 압연면의 양측에, 그 단부에 작업 초크의 횡안내면들이 제공되는 두 개의 돌출 부품들을 포함하는 C형상 유압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초크가 압연면을 향해 오프셋되고 돌출 부품들 사이에 제공되는 각 유압 블록의 중앙 부채꼴부에 결합되는 지탱 이어들을 구비하는 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실제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 기둥에 장착된 레일 부분들은 유압 블록들의 돌출 부품들의 단부를 따라 정렬될 수 있고, 초크의 대응하는 횡측부의 높이 부분에 제공되는 부채꼴부에 수용되는 한편, 서로를 활주하고 초크의 레벨 조정 가능성과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는 안내면들을 횡측부 및 돌출측의 단부에 유지한다.
그러므로, 레일의 각 부분은 유압 블록의 돌출측 단부와 초크의 횡측부에 제공된 부채꼴부의 바닥 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장착되며, 초크의 부가적인 횡백업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닥 및 레일의 대응면은 한편으로는 레일 부분의 이동중 축선 방향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초크의 레벨 조정중 수직 방향으로 서로를 활주하는 마모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다른 유리한 구성들을 커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주어지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의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설명에 의해 훨씬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스탠드(1), 두 개의 작업롤(2, 2'), 및 두 개의 백업롤(15, 15')을 포함하는 통상의 쿼토식 압연기의 조립체를 도시한 입면도다. 각 롤(2, 2', 15, 15')은 초크들(3, 3', 16, 16')에 수용된 두 개의 베어링들 상에서 그 단부들이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롤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간면(Q)에 중심이 있다.
통상적으로, 유지 스탠드(1)는 이격된 두 개의 기둥(standard)(10)을 포함하고, 각 기둥은 기둥의 두 스텐션(stanchion)(12a, 12b)에 의해 한정되는 창(11)을포함하며, 여기에, 스탠드의 기둥들(10)에 지탱되는 클램핑 수단(14) 및 롤의 레벨(level)을 조정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수단의 제어하에 롤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대체로 롤들의 축선들을 통과하는 클램핑면(P2)에 평행하게 활주하는 안내면들(13)에 의해 횡으로 유지되는 롤들의 초크들이 부착된다.
작업롤들(2, 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초크들(3, 3')의 안내면들(13)은 소형 부품, 즉 "유압 블록들(4)" 상에 제공되고, 유압 블록들은 창(11) 내측에 연장, 돌출되고 작업롤들(2, 2')을 캠버링(cambering)하기 위한 유압 잭들을 신식 스탠드들(modern stands) 내에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스탠드는 대개 압연될 밴드(M)의 주행면 양측에서 작업롤들에 의해 상기 롤 가까이 놓이는 다수의 부속 부재들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롤 스탠드는 결합 테이블(A), 가능한 한 롤들(2, 2')에 가깝게 배치되는 분사 램프(spray ramps)(B), 죔 롤러(tightening roller)(C), 그것을 밴드 가까이로 또는 밴드로부터 멀리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에 장착된 바 공급기 롤러(bar feeder roller)(D)와, 밴드가 파손될 경우 롤들을 보호하기 위한 안내판들(E)을 클램핑면(P2)의 양측에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부속 부재들과, 특히 분사 램프들(B) 및 안내판들(E)은 수직적으로는 백업롤들(15, 15')에 의해 측방향으로는 스탠드의 두 기둥들(10, 100)에 의해 한정되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작업롤들(2, 2') 가까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롤들을 탈착할 수 있게 하는 레일을 제외하면 이 틈(gap)에 배치하는 것이어렵다.
본 발명은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특유의 분해 레일 장치에 의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롤들의 초크들은 초크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지탱 이어(bearing ear)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형식의 것이며, 이어들은 이어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대적인 정, 부 캠버링 잭들을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러므로, 각 유압 블록은 정 캠버링 잭들의 중앙 지탱부 및 부 캠버링 잭들을 지탱하기 위한 각각 하부와 상부의 두 개의 가장자리부들을 포함하는 E형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식의 스탠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동사의 프랑스 특허 2786415에 개시된 장치를 사용하는데 특히 유리하며, 여기서 초크들의 이어들은 압연면을 향해 오프셋(offset)되는 반면, 각 유압 블록은 C형상을 가지고 작업 초크들(3, 3')을 안내하기 위한 단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롤들(2, 2')의 정, 부 캠버링 잭들을 수용한다.
그러므로, 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 특허 2786415에 기술된 장치에 따르면, 유압 블록의 중앙부는 삭제되는 반면, 초크의 각 정 캠버링 잭은 압연면의 타측에 위치된 유압 블록의 돌출측 상에 지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평면을 통과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초크(3)의 지탱 이어들은 돌출부(31)를 포함하는 파형(staggered profile)을 나타내며, 그 위에 문제의 롤(2)의 정, 부 캠버링 잭들 및 압연면의 타측에 위치된 롤(2')의 정 캠버링 잭이 통과하게 하는 빈 공간(32)을 지지한다. 더욱이, 클램핑면(P2)의 양측에 위치된 지탱부들(31a, 31b)은 각각 가해진 하중의 합력(resultant)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초크의 중간면(Q) 앞, 뒤로 오프셋된다.
특허 27864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장치는, 각 C형 유압 블록의 중앙 부채꼴부(central scalloping)에서 두 초크들의 지탱 이어들이 압연면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유압 블록들 및 초크들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통상의 분해 장치에 있어서, 초크의 통과 롤러들은 종종 지탱 이어들의 단부에 장착되므로 분해 레일들은 캠버링 잭들을 가지는 유압 블록의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조립체는 다소 성가시며, 예를 들어 이미 있는 압연기를 현대화하는 경우 스탠드의 각 기둥의 스텐션들 사이에 수용되기 어렵다.
반대로, 종래 특허 2786415에 기술된 C형상 블록들을 가지는 장치는 분해 레일들의 설치에 매우 적합하다. 실제로, 각 초크의 지탱 이어들이 압연면의 일측에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초크의 남아있는 모든 높이는 초크의 횡 유지면들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유압 블록의 돌출측 높이 부분에 안내 레일을 위치시킬 수 있는 한편, 롤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필요한 안내 높이를 보존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부분적으로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유압 블록들 및 초크들의 입면도인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롤들은 마모되며 그러므로 이는 초크들의 높이조정 가능성을 결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롤들을 주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마모된 롤들을 좌측에, 새 롤들을 우측에 도시한다.
앞서 지적된 바와 같이, 작업롤들(2, 2')은 모두 그 단부가 초크들(3, 30, 3', 30')에 의해 유지되고, 초크들은 각 기둥(10, 100)의 두 스텐션들(12a, 12b)에 각각 고정된 두 유압 블록들(4a, 4b) 사이에서 수직으로 활주하도록 장착되며, 각 유압 블록(4)은 두 초크들(3, 3')의 이어들(31, 31')을 결합하는 중앙 부채꼴부(42) 양측의 하측(41) 및 상측(41')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들(41, 41')은 롤들의 정(43), 부(44) 캠버링 잭들에 수용된다. 유압 블록의 C형상 때문에, 하부 초크(3)의 정 캠버링 잭(43)은 유압 블록(4)의 상측부(41')에 위치되므로 하부 초크(3)의 이어(31) 상에 얹히도록 압연면(P1)을 통과하는 한편 상부 초크(3')의 오목부(32)를 통과한다. 이어들(31)의 압연면(P1)을 향해 오프셋된 위치 때문에, 돌출부들(41, 41')의 단부에 제공된 초크들의 횡안내면들은 실질적으로 초크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유압 블록들 내에 지지레일들(5, 5')을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실제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롤러들(7)이 종래와 같이 지탱 이어들의 단부가 아니라 초크들의 측부들(34) 상에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지지레일들(5, 5')은 초크들(3, 3')을 안내하기 위해 돌출부들(41, 41')의 레벨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초크(3')를 고려하면, 도 3에서 초크(3) 측부(34)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지지레일(5')가 수용될 수 있는 부채꼴부(33)를 제공하는 한편 마모되는 판(35)를 구비하는 측부(34)의 남은 부분을 따라 초크를 안내하기 위한 충분한 높이를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요한 저항을 부여하기 위해 그 높이(h1)가 결정되는 지지레일(5')은 유압 블록(4)의 돌출측(41') 단부(43)를 따라 연장하는 한편, 초크의 측방향 안내면(45)이 초크의 안내면(35)과 접촉 상태에서 초크를 레벨의 전체 조정 높이를 따라 횡으로 유지하기 위한 필요성에 일치하는 높이(H2)에서 연장하게 하며, 두 안내면들(35, 45)은 마모판들을 구비한다.
하부 초크(3)도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되지만, 종래와 같이 롤들의 분해를 위해 레일들(5, 5')을 주행해야 하고 그에 따라 상기 롤들에 배치되어야 하는 초크들의 지지롤러들(7)의 조립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압연될 밴드(M)의 양측에서 이격된 분해 위치의 롤들을 도시하는 도 3에서, 유압 블록의 안내면들(45) 및 초크의 안내면(35)은 동일한 레벨에 있으며 전체 높이(h2)에 걸쳐 연장하는 반면, 주행 롤러들(7)은 지지레일들(5, 5')의 상측 레벨 바로 위에 놓인다.
결과적으로, 상부 초크(3')에 관하여, 롤러들(7')은 하부가 안내면(35)을 형성하는 횡측면(34)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하부 초크(3)에 관하여, 주행 롤러들(7)은 부채꼴부(33) 위에 배치되어야 하고 횡안내면들(35)은 지지이어(31)와 부채꼴부(33) 사이에서 초크(3)와 동일한 레벨에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지지레일(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의 두 기둥들(10, 100)에 각각 장착되는 두 부분들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각 롤은 클램핑면(P2)의 양측에서 각 기둥(10, 100)에 각각 배치되는 두 쌍의 레일 부분들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의 두 기둥들(10, 100)에 각각 안내되는, 각각 전방(3) 및 후방(30)의, 두 초크들에 의해 그 단부가 지지되는 하부 작업롤(2)은 각각 전방 기둥(10)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51a, 51b) 및 후방 기둥(100)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52a, 52b)의 두 쌍의 레일 부분들과 결합된다.
밴드가 물린 상태로 분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상부롤(2') 또한 각각 전방 기둥(10)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51a, 51b) 및 후방 기둥(100)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부분들(52a, 52b)의 두 쌍의 레일 부분들과 결합된다.
더욱이, 각 레일 부분(51, 51')은 유압 블록(4)의 대응하는 돌출부(41, 41')에 제공되는 활주로(6, 6')에서, 롤의 축선과 평행하게, 활주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므로, 레일의 각 부분은 레일 부분(51, 52)이 스탠드에 대응하는 기둥(10, 100)의 레벨로 되돌아오는 후퇴 위치와, 각 레일(5)의 두 부분들(51, 52)이 스탠드의 두 기둥들(10, 100) 사이의 틈(17)에서 서로를 향해 전방으로 연장하는, 도면 상에점선으로 도시된, 전진 위치 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레일(5)이 제한된 길이의 두 부분들로 분할된 덕분에, 롤의 수직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돌출부들(41, 41')의 레벨에서 상기 부분들을 돌출부의 단부들과 초크들의 횡측부들(34)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초크의 지지롤러들(7)은 그 중간면(Q)으로부터 상기 중간면과 대응하는 레일 부분의 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레일은, 그 높이 조정 도중, 초크와 연결된 롤러(7)의 이동과 간섭될 우려가 없다.
이 장치는 롤들의 분해측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 후방 초크들(30, 30')의 종방향 단면도인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 후방 초크(30)는 초크의 중간면(Q) 양측의 이격된 두 롤러들에 의해 클램핑면(P2) 양측에 지지되며, 두 롤러는 각각 스탠드 외측에 배치된 외부 롤러(72)와 두 기둥들(10, 100) 사이의 틈(17) 내측에 배치된 내부 롤러(72')다. 각 롤러(72)는 초크의 측부에 고정된 아암(73) 단부에 장착되어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연장함으로써, 두 롤러들(72, 72')은 레일(52) 부분의 길이(l)보다 큰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된다.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레일 부분(52)의 외측 단부(54) 및 내측 단부(54')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롤러들(72, 72')은 레일 부분(52)이 압연 위치로 후퇴될 때 초크(3)의 수직 이동과 간섭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크들의 수직 이동과 레일 부분들의 축선방향 이동이 절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각 레일 부분(51, 52)은 돌출측(41, 41')의 단부면(46)과 초크의 횡측부(34)에 제공된 부채꼴부(33)의 바닥(36) 사이에 어떤 공차도 없이 부착될 수 있다.
서로 접촉하고 있는 두 면들, 즉 레일 부분(51, 52)의 면(56)과 초크(3)의 면(36)은 초크를 횡으로 유지하기 위해 안내면들(35, 45)과 협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한편으로는 초크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동안, 다른 한편으로는 레일 부분(51, 52)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서로를 활주하는 마모판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의 기둥(10)에 부착된 분해측에서 롤(2)의 타단에 배치된 전방 초크(3, 3')는 또한 클램핑면(P2)의 양측에 대응하는 레일 부분(52)의 길이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롤러들, 즉 외부 롤러(71) 및 내부 롤러(71')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각 롤(2)의 두 초크들(3, 30)은 동일하다. 그러나, 전방 초크(3)은 스탠드의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아암에 장착되는 단일의 후방 롤러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분해 위치에서, 레일 부분들은 외팔보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그러므로 롤의 중량을 지탱하는데 충분한 길이로 활주로(6)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분해 위치에서, 스탠드의 두 기둥들(10, 100)에 각각 장착된 동일한 레일의 두 부분들(51, 52)의 대향하는 내측 단부들(53', 54')은 폭(e)의 빈공간 만큼 이격된다.
그러므로, 레일 부분의 길이(l) 및 초크의 지지롤러들 사이의 간격(d)은, 한편으로는 각 부분의 충분한 삽입 길이를 보존하고, 다른 한편으로, 도 5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부분들에서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동안 롤을 분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롤러들의 간격이 두 레일 부분들의 단부들 사이의 간격(e)보다 크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명백하게, 도 2를 참조하여 하부 롤(2)에 대해 설명된 모든 장치들은 상부 롤(2')에 대해서 동일하며, 상기 롤 또한 두 쌍의 레일 부분들(51'a, 52'a 및 51'b, 52'b)과 결합된다.
후퇴 압연 위치 및 전진 분해 위치 사이에서 동일한 기둥에 배치된 모든 레일 부분들의 활주 운동은 동시에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면(P2)의 양측에서, 두 레일 부분들, 즉 하부 부분(51) 및 상부 부분(51')은 각각 아암(81, 81')에 의해 유압 블록(4)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고 그 위에는 몸체가 유압 블록(4)에 힌지되는 잭(82)의 스템(stem)이 놓여지는 연결판(8)에 연결되며, 유압 블록은 잭(82)이 수평하게 연장하는 오목부(47)를 그 중앙부에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연결 장치(8)는 바람직하게는, 그 중앙부에, 레일 부분들(51)과 동일한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하고 유압 블록(4)에 제공된 수평 활주로(61)에서 활주하는 안내판(83)을 구비한다.
이 중앙 활주로(61)는 분해를 위한 전진 외팔보 위치에 레일 부분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레일 부분들(51, 51')의 두 안내 활주로(6, 6')와 협동한다.
장치의 작동은 상부 롤(2')을 분해하기 위한 일련의 순서를 보이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순서들은 하부 롤(2)에 대해서도 명백히 동일하다.
도 5a에서, 작업롤들(2, 2')은 모두 제품(M)의 압연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초크들(3, 3')의 간격은 제품의 두께 및 롤들(2, 2')의 마모 정도에 좌우된다.
이 위치에서, 상부 초크들(3'a, 3'b)의 주행 롤러들(71, 72)은 될 수 있는 한 상부 레일 부분들(51', 52')의 레벨에 놓인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초크(3'a, 3'b)의 주행 롤러들(71, 72) 사이의 간격(d)은 대응하는 레일 부분들(51', 52')의 길이(l)보다 크고, 그러므로 상기 부분은 조정 잭들(42, 43)의 영향 하에서만 초크의 수직 운동과 상호작용한다.
롤들(2, 2')이 마모되어 교환되어야만 할 때, 롤들은 도 5b에 도시된 위치에서, 각각 그 분해 레벨로, 압연되는 제품(M)의 양측에 이격된다. 그러면, 주행 롤러들(71, 72)은 레일 부분들(51, 52)의 상부면들의 레벨 바로 위에 놓인다.
그리고 나서, 분해측에 놓인 스탠드의 전방 기둥(10)에 장착된 레일 부분들(51, 51')은 그 분해 위치에서 스탠드의 내측을 향해 이동된다. 표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는, 이 측부에서, 도 5c에 도시된 위치에서 레일 부분들(51')과 일렬로 놓이는 외부 레일들(55)을 운반하는 보조 캐리지(auxiliary carrige)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분해측과 반대측에 배치된 레일 부분들(52')은 롤(2')의 대응 초크(30')의 후방 롤러들(72) 아래에 놓이도록 약간 후퇴된다.
그리고 나서, 보조 캐리지에 장착되고 도면들에 도시되지는 않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두 초크들에 의해 지지되는 롤(2')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하며, 전방 초크(3')는 그 두 롤러들(71, 71')에 의해 각각 외부 레일들(55) 및 부분들(51')에 지지되고, 후방 초크(30')는 후방 부분(52') 상을 주행한다. 그리고 나서, 후방 부분은 레일 부분들(51', 52')의 대향하는 내측 단부들(53', 54')이 두 롤러들(72, 72') 사이의 간격(d) 보다 작은 길이(e)의 간격으로 분리되는 도 5d에 도시된 위치로 전진한다.
그러므로, 후방 초크(30')는 우선 그 후방 롤러(72)에 의해 후방 부분(52') 상에 지지되고, 다음으로 전방 롤러(72')에 의해 전방 부분(51') 상에 지지되는 동안, 이 간격을 건널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롤(2')의 축선 방향 이동은, 도 5e에 표시된 바와 같이, 두 초크들(3', 30')이 보조 캐리지의 외부 레일들(55)에 놓일 때까지 계속된다.
하부 롤(2)의 인출은 동일한 방법으로 전개되며, 각 기둥은 각각 두 분해 레벨들에 배치된 두 쌍의 레일 부분들의 전진 운동 및 후퇴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공지된 방법으로, 보조 캐리지는 두 분해 레벨들에 배치된 두 쌍의 외부 레일들(55)을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이 오목부들은 각각 마모된 롤들을 수납하기 위한 빈 오목부와 동일한 순서를 거꾸로 따르는 동안 스탠드에 삽입되는 두 개의 새 롤들을 포함하는 보유 오목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명백히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의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등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식의 오프셋 이어들(offset ears)이 구비된 초크들을 사용하는데 특히 효과적이지만, 본 발명은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형식의 초크들을 구비하는 압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분해측과 반대측에 배치된 초크들(30, 30')만이 각 레일의 두 부분들 사이의 간격(e)를 건너야 하며, 결과적으로 두 개의 이격된 롤러들(72, 72')을 구비한다. 간이화 목적을 위해, 대응하는 레일 부분들이 압연 위치에 있을 때 초크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분해측에 배치된 초크들(3, 3')은 중간면(Q)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단일 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용어들 뒤에 삽입된 참조 부호들은 단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약간이라도 그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Claims (14)

  1. 이격된 두 개의 기둥들(10, 100)을 가지는 유지 스탠드(1) 및 평평한 제품(M)이 압연면(P1)을 따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틈을 한정하며, 각각 하부(2) 및 상부(2')의, 적어도 두 개의 작업롤들을 포함하는 압연기의 롤들을 분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롤(2, 2')은 롤의 축선과 직교하는 중간면(Q) 상에 중심이 있고 각 기둥(10, 100)의 두 스텐션들(12)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두 창들(11)에 각각 부착되는 두 개의 유지 초크들(3, 30, 3', 30') 상에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각 창(11)은 롤들의 축선들을 대체로 통과하는 클램핑면(P2)과 평행하게 상기 초크들로부터 활주하는 안내면들(45)를 구비하며, 상기 압연기는 스탠드(1)의 두 기둥들(10, 100)의 대응하는 스텐션들 사이의 클램핑면(P2)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하고 롤들의 축선과 평행한 적어도 한 쌍의 내부 레일들(5) 및 적어도 분해측에서 스탠드(1)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하고 각각 내부 레일(5)과 일렬인 적어도 한 쌍의 외부 레일들(55) 상에서의 연속적인 운반에 의해 롤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 롤(2)의 두 초크는 상기 내부(5) 및 외부(55) 레일들 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지탱 부재들(7)을 구비하는 압연기용 롤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클램핑면(P2)의 양측에서, 각 내부 레일(5)은 두 부분(51, 52)으로 구성되며 각각 내측(53', 54') 및 외측(53, 54)의 양 단부 사이의 한정된 길이로 각각 연장하고 스탠드(1)의 두 기둥들(10, 100) 상에서 각각 롤의 축선과 평행하게 활주하도록 장착되며, 압연기가 각 내부 레일(5)의 두 부분들(51, 52)의 각 부분(51, 52)이 두 기둥(10, 100) 사이의 틈(17)으로부터 후퇴되는 압연 위치로부터 두 부분(51, 52)이 두 기둥(10, 100) 사이의 틈에서 서로를 향해 전진하는 롤(2)을 분해하기 위한 위치로의 활주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82)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들(51, 52)의 내측 단부들(53', 54')은 빈 공간(e)에 의해 분리되고, 초크(3)의 각 가동 지탱 부재(71)는 상기 레일이 압연 위치에 놓일 때 상기 중간면(Q)과 상기 레일 부분의 대응하는 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중간면(Q)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분해측과 반대인 롤(2) 단부를 유지하는 초크(30)는 적어도, 내부 레일(5)의 두 부분들(51, 52)의 대향하는 내측 단부들(53', 54') 사이의, 롤의 분해를 위한 위치에서, 존재하는 빈 공간의 길이(e)보다 큰 간격(d)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가동 지탱 부재들(72, 72')을, 클램핑면(P2)의 양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롤(2)의 두 초크들(3, 30)은 각각, 클램핑면(P2)의 양측에, 대응하는 레일 부분(51, 52)의 길이(l)보다 큰 간격(d)으로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동 지탱 부재들(71, 71')(72, 7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램핑면(P2)의 양측에서, 스탠드의 동일한 기둥(10, 100)에 장착된 두 레일 부분들(51, 52)은 연결 수단(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압연 위치로부터 분해 위치로 및 그 반대의 두 부분들(51)(52)의 동시 활주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8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지탱하는 두 작업롤(2, 2')의 동시 분해를 위해서, 제 2 롤(2')이 그 위에 놓이는 제 1 롤(2)을 분해하기 위하여, 동일 레벨에서 스탠드의 두 기둥(10, 100)에 각각 장착되는 두 쌍의 레일 부분들(51, 52)을 포함하는 것??르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면(P1)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내부 레일들(5, 5')을 각 레벨에 형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분해 레벨에서, 스탠드(1)의 두 기둥들(10, 100)에 각각 장착되는 네 쌍의 레일 부분들(51, 52)(51', 52')을 포함하며, 두 롤들(2, 2')은 압연 공정 도중 제품(M)의 양측에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크들(3, 30)의 가동 지탱 부재들은 레일 부분들(51)(52) 상의 주행 롤러들(71, 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크들의 가동 지탱 부재들은 레일 부분 상의 활주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연기가 작업 초크(4)의 횡안내를 위한 면들(45)이 그 단부에 제공되고 초크의 높이 조정을 위한 두 개의 지탱 이어들(31)을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돌출부(41, 41')를, 압연면(P1)의 양측에, 포함하는 C형상 유압 블록을 구비하는 것과, 상기 지탱 이어들(31)이 압연면(P1)을 향해 오프셋되고 유압 블록들의 돌출부들(41, 41') 사이에 제공되는 각 유압 블록(4)의 중앙 부채꼴부(4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각 롤(2, 2')을 지지하기 위해, 클램핑면(P2)의 양측에서, 각 기둥(10, 100)에 장착된 레일 부분들(51, 52)은 유압 블록들(4)의 돌출부들(41, 41')의 단부를 따라 정렬되고, 초크(4)의 두 횡측부(34) 높이 부분에 제공되는 부채꼴부(33)에 수용되는 한편, 상기 횡측부(34) 및 돌출측(41, 41') 단부에 서로를 활주하고 초크(3)의 레벨 조정 가능성과 일치하는 높이(h2)를 가지는 안내면들(35, 45)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 레일 부분(51, 52)은 유압 블록(4)의 돌출측(41, 41') 단부로부터 초크(3)의 횡측부(34)에 제공된 부채꼴부(33)의 바닥(36)까지 축선방향으로 활주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바닥(36) 및 레일(51, 52)의 대응면(46)은, 초크(3)를 횡으로 유지하기 위한 추가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레일 부분(51, 52)의 이동중 축선 방향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초크의 레벨 조정중 수직 방향으로 서로를 활주하는 마모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크(3)의 각 가동 지탱 부재(71, 72)는 초크에 고정된 아암(73)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중간면(Q)과 레일 부분(51, 52)의 대응 단부(53, 54)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만큼 상기 지탱 부재(71, 72)가 초크(3)의 중간면(Q)으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각 레일 부분은 유압 블록의 돌출측(41, 41') 단부에 제공된 활주로(6)에 축선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장착되고, 전방 분해 위치에서, 각 레일 부분과 결합된 활주로(6)는 롤(2)의 하중 하에서 레일 부분을 외팔보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삽입 길이로 상기 돌출부(41, 41')에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 두 작업롤들(2, 2')의 두 분해 레벨에서 배치되는 두 쌍의 레일 부분들(51, 51')(52, 52')을 스탠드(1)의 각 기둥(10, 100)에 포함하고, 각 기둥(10, 100)에 및 클램핑면(P2)의 각 측부에 배치된 두 레일 부분들(51, 51')(52, 52')은 연결 부재(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 부재 위에 연결 부재의 축선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잭(82)의 제 1 요소가 놓이며, 제 2 요소는 기둥(10, 100)에 놓이며, 두 쌍의 레일 부분들(51, 51')(52, 52')의 축선 방향 동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클램핑면(P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잭들(82)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스탠드의 분해를 위해 일측에 배치된 교환 캐리지와 결합되는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구비하며, 롤의 분해를 위한 각 레일(5)은 스탠드의 기둥(10, 100)에서 각각 롤의 축선과 평행하게 활주하도록 장착되는 두 부분들(51, 52)로 이루어지는 압연기의 롤 교환 방법에 있어서, 각 롤(2, 2')을 그 분해 레벨에 배치한 다음, 분해측에 배치된 전방 기둥(10)에 장착된 내부 레일 부분(51)은 스탠드의 내측을 향해 활주하게 되고, 부분들(51)과 일렬로 놓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외부 레일들(55)을 구비하는 교환 캐리지가 이 기둥(10)을 향해 공급되고 나서, 두 쌍의 레일 부분들(51, 52)에 놓인 교환될 롤(2, 2')의 운반이 개시되며, 그리고 나서, 후방 기둥(100)에 배치된 부분들(52)이 전방으로 공급되어 롤은 전방으로 더 공급되고, 마모된 롤이 교환 캐리지에 놓일 때까지 상기 부분들 사이의 빈 공간을 건너는 동안 후방 기둥의 후방 초크(30)는 이격된 두 지탱 부재들에 의해 후방(52) 및 그리고 나서 전방(51) 부분들에 연속적으로 놓이며, 역동작에 의해, 새 롤을 스탠드로 삽입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레일 부분들을 압연 위치로 다시 놓아 각각을 기둥(10, 100)에 위치시키기 위해 레일 부분들(51, 52)은 스탠드의 외측을 향해 활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00714A 2001-05-18 2002-05-17 압연기의 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KR20030022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6615 2001-05-18
FR0106615A FR2824764B1 (fr) 2001-05-18 2001-05-18 Dispositif de demontage des cylindres d'un laminoir
PCT/FR2002/001691 WO2002094465A1 (fr) 2001-05-18 2002-05-17 Dispositif de demontage des cylindres d'un lamino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865A true KR20030022865A (ko) 2003-03-17

Family

ID=886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714A KR20030022865A (ko) 2001-05-18 2002-05-17 압연기의 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144150A1 (ko)
EP (1) EP1395375A1 (ko)
KR (1) KR20030022865A (ko)
CN (1) CN1463208A (ko)
FR (1) FR2824764B1 (ko)
RU (1) RU2003136282A (ko)
WO (1) WO20020944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716A (zh) * 2021-12-27 2022-04-15 西安泰金工业电化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储料功能的收、放卷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8360A1 (de) * 2015-09-24 2017-03-30 Sms Group Gmbh Walzgerüst und Verfahren zum Wechseln von Arbeitswalzen
CN105538231B (zh) * 2016-01-30 2017-08-25 中国有色(沈阳)冶金机械有限公司 轴承座抱辊拆卸工具
CN110125861A (zh) * 2018-02-08 2019-08-16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镶嵌式轴承拆卸装置及其拆卸方法
CN111482470A (zh) * 2018-07-27 2020-08-04 王朋 一种组合式导辊
CN111519291A (zh) * 2020-04-30 2020-08-11 安徽兰翔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组合拆装的纺机胶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3410A (en) * 1966-08-16 1969-05-13 Textron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hanging rolls in a rolling mill
GB1153228A (en) * 1967-01-25 1969-05-29 Loewy Robertson Eng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oll-Changing Devices for Horizontal Rolling Mills
BE759861A (fr) * 1969-12-05 1971-05-17 Morgan Construction Co Appareil destine a changer les cylindres de
GB1370793A (en) * 1971-02-25 1974-10-16 Wean United Inc Roll changing arrangement for a rolling mill
GB1376605A (en) * 1971-04-15 1974-12-11 Wean United Inc Rolling mill with roll change arrangement
JPS5910850B2 (ja) * 1978-10-25 1984-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のロ−ル組替装置
JPS58119410A (ja) * 1982-01-08 1983-07-15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延機のロ−ル交換方法及びその装置
DE3211378A1 (de) * 1982-03-27 1983-12-29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Walzenstuetzeinrichtung fuer den arbeitswalzenwechsel an walzgeruesten
US6041636A (en) * 1998-02-20 2000-03-28 T. Sendzimir, Inc. Side supported 6-high rolling mi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716A (zh) * 2021-12-27 2022-04-15 西安泰金工业电化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储料功能的收、放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24764A1 (fr) 2002-11-22
CN1463208A (zh) 2003-12-24
US20040144150A1 (en) 2004-07-29
WO2002094465A1 (fr) 2002-11-28
EP1395375A1 (fr) 2004-03-10
FR2824764B1 (fr) 2003-10-03
RU2003136282A (ru)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1721B2 (ja) ロール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JP4996617B2 (ja) 圧延機工場においてロールを管理する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設備
US7302820B2 (en) Method f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a rolling mill and advanced rolling mill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RU229729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еревалки рабочих, опорных и промежуточных валков в одно- или многоклетьевом лентопрокатном стане
US6098439A (en) Device for changing the rolls and/or the intermediate rolls in a roll stand and storage rack for such a device
US20110132055A1 (en) Rolling device
US4898013A (en) Installation for levelling a metal strip
KR20030022865A (ko) 압연기의 롤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
CN108025340B (zh) 轧机机架和用于更换工作辊的方法
US3754426A (en) Roll changing arrangement for a rolling mill
JP2018528080A5 (ko)
KR102170940B1 (ko) 압연기의 레스트바 장치
EP0721813B1 (de) Vorrichtung zum Führen von warmgewalztem Band durch einen Induktor
US5787749A (en) Rolling mill stand
NZ514693A (en) Strip casting apparatus
US3062470A (en) Apparatus for coiling metal strip
EP1425119B1 (de) Walzgutführungseinrichtung für horizontal-duowalzgerüste
AU2002229587A1 (en) Roll stand for hot-rolling or cold-rolling metallic strips
CN210788597U (zh) 一种自移动式机架辊换辊装置
JP3241569B2 (ja) エッジング圧延機のガイド装置
EP0058869B1 (de) Stützführungsgerüst im Treib- und/oder Richtbereich einer Stranggiessanlage
SU15884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ены валко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кварто
RU2013148C1 (ru) Механизм смены валков клети кварто
JP2000176503A (ja) ビレットのガイドレス連続圧延方法
AU2002352219A1 (en) Cluster mill, in particular, a six-high cluster mill, comprising an axial displacement and holding device for displaceably mounted intermediate rolls and or working ro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