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677A - 도포막 전사구 및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 - Google Patents

도포막 전사구 및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677A
KR20030022677A KR1020020033094A KR20020033094A KR20030022677A KR 20030022677 A KR20030022677 A KR 20030022677A KR 1020020033094 A KR1020020033094 A KR 1020020033094A KR 20020033094 A KR20020033094 A KR 20020033094A KR 20030022677 A KR20030022677 A KR 20030022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film transfer
transfer tape
main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324B1 (ko
Inventor
나리타야수오
Original Assignee
플러스 스테이셔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 스테이셔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플러스 스테이셔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가능한 적은 조작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하는4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는 2개의 별개의 케이스 부재로 분할되고, 이 케이스 부재는 2개의 케이스 부재중 하나가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하나의 케이스 부재에는 회전을 위하여 하나의 케이스 부재의 동작과 연동되도록 한 헤드보지체와,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공급릴과,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감는 권취릴과,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도포막 전사구 및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Method For Replacing Coating Film Transfer Tapes}
본 발명은 테이프의 일측면에 박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전사층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도포막 전사구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작업을 적은 조작으로 용이하게 실시가능케 하는 도포막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정도료 나 점착재층을 지면 등에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막 전사구가 다수 안출되어 있다.
이러한 도포막 전사구는 주로 일회용 형태의 상품과 그 전사구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리필용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는 교환용 형태의 상품으로 분류된다. 전자의 일회용 형태의 것과 같은 상품에 의하면, 도포막 전사구의 내부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저비용으로 상품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지만 폐기물이 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자원의 절약과 쓰레기의 배출량 등의 관점에서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근년에 교환형 또는 리필형의 도포막 전사구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리필형 도포막 전사구는 자원을 절약하고 쓰레기를 감축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다 사용한 테이프와 함께 다른 부속부재를 교환할 필요없이 다 사용한 도포막전사테이프만을 교환한다는 것은 이상적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도포막 전사구만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실용상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함께 소정의 부재를 교환하여야 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품들을 주의깊게 관찰하여 보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함께 교환되는 다수의 구성부재가 가능한 한 적지만,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함께 실용상 아주 많은 구성부재를 교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예를들면, 도21은 일본 특개평 6-286927호에 개시된 발명에 의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 800을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용이롭게 하기 위한 관점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갖춘 많은 상품들을 카트리지로서 시판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품들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교환되는 것은 도포막 전사테이프 805, 도포막 전사테이프용의 코어 801, 권취릴(take-up reel) 802, 카트리지 기판 803, 전사헤드 804 등이다. 여기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공급릴에 의하여 공급되어 헤드에 이하여 도포막이 전사되고 그 전사막은 권취릴에 의하여 권취된다. 이러한 동작은 일련의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용이롭게 하기 위한 관점으로 일련의 동작에 관련된 구성부재를 카트리지내에 일체화되어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함께 여전히 적당히 기능하는 많은 부재들의 교환은 전체적으로는 낭비이며, 이러한 교환은 자원을 절약하고 쓰레기를 감축하기 위하 원래의 목적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우기, 카트리지식의 리필상품들 중에서도,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몇개의 구성부재를 교환하여야 하는 것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상품들에 의하면, 교환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조작은 교환될 부재의 수를 감소시키는 만큼 더 복잡하게 되는 경향이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한 카트리지식 도포막 전사구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고안되었다.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9-2724에 개시된 발명은 그들중 하나이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도포막 전사구에 전사헤드 900 및 이 전사헤드 9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아암(supporting arm) 901을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설치하고 있고,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막 전사테이프 홀더 (holder) 1000에 부착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 1001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즉,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 헤드 900 및 아암 901이 회전하여 도22에 도시된 상태를 보이며, 그 상태에서 홀더 1000과 권취릴 1002에 체결된 리필용 도포막 전사테이프 1001을 그 위에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 부착할 수가 있다.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부착한 후에, 헤드 900과 아암 90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때,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헤드에 자동적으로 체결되고 또한 그 늘어진 것을 없애기 위하여 권취됨으로써,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가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리필형 도포막 전사구에 관한 사용자의 최대 관심사는 그 사용자가 다 사용한 것을 교환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헤드와 결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리필형 도포막 전사 테이프는 사용자가 어떤 특수한 조작도 함이 없이 헤드와 결합될 수가 있고, 더우기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그 늘어지는 것을 없애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가 있다. 이 점에서 최상의 메카니즘을 발명에 의하여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용이로움은 교환될 구성부재의 갯수와 정반대이고, 사용자에게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헤드와 수작업으로 결합하고 나서 테이프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권취릴을 조정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작을 하게 하는 교환될 구성부재의 갯수를 감축시키면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에만 교환작업을 한정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번거로운 조작을 행하는 필요성을 없앨 수가 있다.
더우기, 교환될 구성부재는 도포막 전사테이프, 권취릴, 도포막 전사테이프 코어와 홀더에 한정되고, 따라서 도포막 전사구의 대부분의 내부 메카니즘이 교환되도록 디자인되는 상품과 비교하여 볼때, 자원의 절약이 현저할정도로 크게 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을 갖더라도 개선의 여지가 여전히 있으며, 더우기 자원의 절약, 페기물량의 감축 뿐만 아니라,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조작의 간소화가 요망되어 왔다. 예를들면, 종래의 상품에 대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 때, ①본체 케이스를 개방하고, ②헤드와 아암을 회전시키고, ③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고, ④헤드와 아암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회전하며, ⑤본체 케이스를 밀폐하는 5단계의 조작을 할 필요성이 있다. 일단 사용자가 이들 조작을 하는데 익숙하기만 하면 그 조작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더라도, 사용자는 그 조작을 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품에 불량한이미지를 줄 수도 있다는 위험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본질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이며, 그 목적은 종래기술에 의해 제공된 간소성과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적은 조작으로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행할 수가 있는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원의 절약과 쓰레기 배출량의 감축에 공헌할 수 있는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형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도포막 전사구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한 지지체상에 설치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4는 지지체의 공급릴 근방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5는 지지체의 권취릴 근방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6은 헤드보지체, 권취릴, 및 공급릴을 하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지지체와 헤드보지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8은 지지체와 헤드보지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9는 지지체와 헤드보지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0은 지지체와 헤드보지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1은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12는 도11에 도시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13은 다른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14는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15는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16은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17은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18은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19는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20은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도21은 종래의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22는 종래의 도포막 전사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23은 도22에 도시한 도포막 전사구용의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나타내는 도.
도24는 종래의 도포막 전사구에서의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나타내는 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점으로, 본 발명의 제1의 양상에 의하면, 테이프의 일측면에 박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전사층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케이스 부재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본체 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2개의 케이스 부재중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배치하고, 그 하나의 케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스 부재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헤드 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공급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달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공급릴과 권취릴은 본체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어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며, 반면에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밀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의 양상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 헤드보지체 및 본체 케이스내에 형성된 각각의 부재의 동작이 서로 연동될 수가 있다. 즉, 본체 케이스 부재의 하나를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시켜 개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되고, 공급릴과 권취릴은 노출되어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기 위하여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할 수가 있다. 그 다음에, 본체 케이스 부재의 하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밀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될 뿐만 아니라 헤드의 회전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한다. 그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체 케이스를 개방하고,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교환하여, 본체 케이스를 밀폐하는 것에 의하여만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시킬 수가 있다. 그래서, 수동으로 개별적으로 행하곤 하였던 번거로운 조작의 필요성이 제거될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위하여 필요한 조작을 극히 간소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양상에 의하면, 테이프의 일측면에 박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전사층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는 본체 케이스와그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수동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지지체를 설치하고, 그 지지체에는 지지체의 동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헤드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공급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달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지지체는 본체 케이스 외부로 이동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며, 반면에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의 양상에 의하면, 지지체, 헤드보지체 및 지지체에 형성된 각각의 부재의 동작이 서로 연동될 수가 있다. 즉,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본체 케이스로 부터 지지체를 인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지지체는 본체 케이스로부터 이동하여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 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할 수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체 케이스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하게 될 뿐만 아니라헤드의 회전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한다. 그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본체 케이스를 개방하고,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교환하여, 본체 케이스를 밀폐하는 것에 의하여만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시킬 수가 있다. 그래서, 수동으로 개별적으로 행하곤 하였던 번거로운 조작의 필요성이 제거될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위하여 필요한 조작을 극히 간소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양상에 의하면, 발명의 제2의 양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보지체에는 본체 케이스에 형성된 랙(rack)과 맞물리기 위한 기어 및, 상기 공급릴과 연동하기 위한 래치트(ratchet)를 설치하고,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상기 지지체의 공급릴에는 공급릴의 회전중심축과 동축상에 중심축을 갖는 기어와, 헤드보지체에 설치된 래치트에 걸리도록 한 톱니멈춤쇠를 설치하며,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상기 권취릴에는 권취릴의 회전중심축과 동축상에 중심축을 갖는 기어를 설치하며, 공급릴과 권취릴상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기어와 연동하기 위하여 지지체에 중간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의 양상에 의하면, 헤드보지체, 공급릴 및 권취릴의 동작이 서로 연동될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본체 케이스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본체 케이스로 부터 지지체를 개방함으로써, 지지체상의 각각의 부재는 연동방식으로 동작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 때, 사용자는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교환하여야 하고, 그로 인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막 전사구의 내부에 형성된 구성부재들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조정작업을 행하는 필요성이 제거될 수가 있다. 그래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 때 사용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행하곤 하였던 조정작업을 행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조작을 극히 간소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3의 양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면,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공급릴과 권취릴 사이로 이동하고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양상에 의하면, 지지체의 동작과 연동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 때 본체 테이스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본체 케이스로 부터 지지체를 끌어당기는 경우에 헤드보지체가 자동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공급릴과 권취릴 사이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헤드로 부터 해제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헤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완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의 양상중 어느 하나에 설명한 바와 같은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내에 수납되면,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될 뿐만 아니라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양상에 의하면, 지지체를 지지체의 동작과 연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함으로써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 때, 헤드보지체는 그 반대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 헤드는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하게 되어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제거할 수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헤드와 결합하게 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조정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완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양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의 양상중 어느 하나에 설명된 바와 같은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회전궤적상에 위치된 본체 케이스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벽에는 상기 회전벽을 회전된 위치에서 그 회전전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위한 편심기구(biasing mechanism)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양상에 의하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기 위하여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헤드 또는 지지체의 일부는 회전벽과 접촉하게 되며, 이것이 일어남에 따라 회전벽은 지지체의 동작을 방해함이 없이 이동된다. 그래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한 후에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벽은 또한 지지체와 접촉하게 되고 지지체의 동작을 방해함이 없이 이동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일어남에 따라, 편심기구가 회전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벽을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벽에 언제나 힘이 가해지고, 이에 의하여 회전벽은 개방된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7의 양상에 의하면, 테이프의 일측면에 박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전사층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케이스 부재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본체 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2개의 케이스 부재중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배치하고, 그 하나의 케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스 부재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헤드 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공급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달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공급릴과 권취릴은 본체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어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체하며, 반면에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밀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전사테이프를 제거하는 조작,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제거한 후에 리필용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공급릴과 권취릴에 장착하는 조작, 및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내로 지지체를 복귀시키는 조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체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7의 양상에 의하면,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는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제거하고,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제거한 후에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공급릴과 권취릴에 부착하며,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도포막 전사구의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케이스 부재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본체 케이스가 도포막 전사구 본체상에 설치되고, 그 2개의 케이스 부재중 하나가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그 하나의 케이스 부재는 회전을 위하여 하나의 케이스 부재의 동작과 연동하도록 된 헤드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착탈가능케 부착하는 공급릴, 테이프를 다 사용한 후에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사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케이스부재를 개방함으로써 헤드는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공급릴과 권취릴은 노출되어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그로 부터 제거되어 리필형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된다. 이에 반하여, 하나의 케이스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케이스부재를 밀폐함으로써 헤드는 그 반대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더우기, 본 발명의 다른 도포막 전사구의 구성에 따르면, 도포막 전사구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수동으로 회전가능케 형성된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그 지지체는 회전을 위하여 지지체의 동작과 연동하도록 된 헤드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착탈가능케 부착하는 공급릴, 테이프를 다 사용한 후에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사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케이스부재로부터 지지체를 인출함으로써 헤드는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지지체는 본체 케이스로부터 이동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그로 부터 제거되어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된다. 이에 반하여,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함으로써 헤드는 그 반대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간소성과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적은 조작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행할 수가 있는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교환될 구성부재들이 도포막 전사테이프,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코어 및 테이프 체결체 등으로 한정되므로, 자원의 절약은 물론 쓰레기 배출량량의 감축에 공헌할 수가 있는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형태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의 본체 1은 상부 케이스 11, 하부 케이스 13 및 지지체(중간 케이스) 12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케이스는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체의 내부의 주요기구는 지지체 12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체 12는 상부 케이스 11과 하부 케이스 13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 11, 135에서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있는 축 12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때 용이하게 개방할 수가 있다. 회전벽 14는 지지체 12를 개방할때 지지체 12 또는 헤드 68의 부분과 접촉하게 되며, 이 때, 회전벽 14는 지지체 1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한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도포막 전사구의 본체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편리상의 이유에 의해 지지체 12의 측벽 122이 절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한 지지체에 배치된 각각의 구성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체 1의 상부 케이스 11과 하부 케이스 13은 상부 케이스 11에 형성된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하부 케이스 13에 형성된 홀 131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함께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 13에 형성된 홀 13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부 케이스 측면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홀 131에 단단히 삽입되는 정도의 치수로 되어 있다.
회전벽 14는 그 일단의 양가장자리에 축 141을 설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부 케이스 11의 홀(도시하지 않음)과 하부 케이스 13의 홀 134에 축 141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상태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더우기, 편심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판스프링 142는 회전벽 14에 장착되어 조립시, 판스프링 142의 단부 1421가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체결홈 133에 삽입되어 체결되어진다. 회전벽 14는 이 판스프링 142와 시계반대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회전벽을 자동적으로 밀폐할 수가 있다. 더우기, 하부 케이스 13 내부에 접합부 136을 형성함으로써, 판스프링 142에 의해 치우치게 되는 회전벽 14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가동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재의 판스프링 142를 편심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판스프링과 동등한 기능을 하는 한, 판스프링과는 다른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판스프링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부재를 회전벽 1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을 사용하여 편심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체 12는 각각 지지부 111과 135에 형성된 홀 112와 132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는 말단부에 형성된 축 12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지지체 12에는 공급릴 5, 헤드보지체 6, 중간기어 4 및 권취릴 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부재를 지지체상에 장착하는 경우의 각각의 부재에 대한 위치관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2와 도3은 각각의 부재의 세부사항을 명확히 설명하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그 설명에 있어서는 도4 내지 도6을 참조한다.
도4는 지지체의 공급릴 근방 부분의 구성을 보인 일부단면도이다.
도5는 지지체의 권취릴 근방 부분의 구성을 보인 일부단면도이다.
도6은 도2와 도3에서 명확히 할 수 없는 부재의 배열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그 부재를 거꾸로 바라본 상태에서의 부재의 사시도이다.
공급릴 5는 리테이닝 캡(retaining cap) 54, 원통체(cylinderical body) 52, 마찰체(frictional body) 51 및 기어부재 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테이닝 캡 54, 원통체 52와 기어부재 53은 각각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마찰체 51은 펠트(felt)를 링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리테이닝 캡 54의 상부부분에는 4개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테이닝 캡 54는 이들 요홈부에 삽입되는 도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회전될 수가 있다. 다음에, 각각의 부재를 장착하는 경우의 그 각각의 부재에 대한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는, 먼저 기어부재 53의 두꺼운 축 부분 533에 마찰체 51을 헐겁게 배치하며, 그 위로 부터 마찰체 51상에 원통체 52를 헐겁게 배치한다. 그 다음에, 기어부재 53의 얇은 축 부분 534에 리테이닝 캡 54를 헐겁게 배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공급릴 5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나서, 리테이닝 캡 54에서, 기어부재 53의 얇은 축 부분 534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용 톱니멈춤쇠 532가 홀 541의 원주부분에 형성된 단차부의 상면 542에 체결되는 상태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이 때, 마찰체 51은 원통체52의 저면과 기어부재 53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마찰 클러치를 구성하게 된다. 즉, 마찰체 51의 두께와 원통체 52의 높이와의 합이 두꺼운 축 부분 533의 높이보다 약간 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마찰체 51은 수직방향으로 압축되고 원통체 52가 회전할때 원통체 52와 마찰체 51 사이의 접촉면에서 일어나는 마찰에 의하여 일정한 하중이 발생된다. 도포막 전사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코어 23은 원통체 52와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원통체 52에 삽입된다. 이 때,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공급릴에 의해 공급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양이 권취릴에 의해 권취된 동일한 전사테이프의 양과 같게 되도록 마찰 클러치 기구에 의해 조절된다. 즉, 권취릴에 의해 권취되는 전사테이프의 양은 공급릴에 의해 공급되는 전사테이프의 양보다 크게 되고, 권취릴에 의한 권취량의 초과분은 마찰 클러치 부분의 미끄러짐에 의해 흡수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늘어지거가 끊기는 일이 없게 되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채로 안정하게 이송될 수가 있다.
더우기, 헤드 68은 안내 플랜지(flange) 65와 롤러 66으로 구성되며, 공급릴 5의 하부부분 아래에 위치된 헤드보지체 6에는 래치트 61과 기어부재 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치트 61은 공급릴의 회전방향을 규제하기 위하여 공급릴의 기어부재 53에 형성된 아암 536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용 톱니바퀴멈춤쇠과 맞물린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릴은 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지만 시계반대방향으로는 그 회전을 할 수가 없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가동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되므로,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사용시 잘못된 방향으로 인출되는 일이 없다.
공급릴 5와 헤드보지체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들을 장착할때 그들간의 위치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보지체 6은 헤드보지체 6의 중앙에 형성된 홀 62에서 지지체 12에 형성된 두꺼운 축 128에 헐겁게 배치됨으로써, 헤드보지체 6이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보지체 6의 테두리(rim) 63은 지지체 12에 형성된 제1의 요홈 126내로 안내되며, 헤드보지체 6의 하부부분에 형성된 기어부재 67은 지지체 12에 형성된 제2의 요홈부 129내로 안내된다. 그 다음에, 헤드보지체의 단부 69는 지지체 12상에 형성된 두꺼운 축 부분 128의 상면 1281과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다음에, 공급릴 5는 그 홀 535에서 지지체 12에 형성된 얇은 축 127에 헐겁게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공급릴 5는 헤드보지체 6의 가장자리부 69와 두꺼운 축 부분 128의 상면 1281에 배치됨으로써, 공급릴 5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이 때, 공급릴 5의 기어부재 53에 설치된 아암 536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용 톱니바퀴멈춤쇠 5361이 헤드보지체 6에 형성된 래치트 61내에 체결된다.
다음에, 지지체 12에 형성된 축 123에 중간기어 4가 헐겁게 배치되어 장착된다. 중간기어 4에 형성된 홀 41은 축 123의 외측 직경보다 다소 큰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중간기어 4는 축 12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이 때, 중간기어 4는 공급릴 5의 기어부재 53과 맞물린다.
다음에, 지지체 12에 형성된 축 124에 권취릴 3이 헐겁게 배치되고 나서, 그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 311을 갖는 리테이닝 캡 31이 권취릴 3에 장착되고, 이에 의하여 권취릴 3이 고정된다. 리테이닝 캡 31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 311은 축 124에 형성된 홀 1241에 단단하게 삽입된다. 이 때, 축 124가 권취릴 3보다 높게 형성되고 권취릴 3에 형성된 홀 34가 축 124의 외측 직경보다 다소 크게 되므로, 권취릴 3은 축 12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권취릴 3의 하부에 형성된 기어부분 33은 중간기어 4와 맞물리게 된다. 더우기, 권취릴 3의 테두리 35는 공급릴 5의 기어부재 53의 상부부분으로부터 약각 이격되어 있는 곳에 위치되고, 이에 의하여 기어부재 53의 수직이동이 제한되어서 공급릴 5가 축으로부터 변위되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에, 테이프 유니트 2는 사용시 릴에 장착된다. 이 테이프 유니트 2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테이프 22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톱니바퀴멈춤쇠 231이 형성되어있는 내부의 테이프 코어 23 둘레에 감겨져 있고, 둥근 축형상의 테이프 고정체 21은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유니트를 릴에 장착할때, 도포막 전사테이프 22가 감겨져 있는 코어 23은 공급릴 5에 장착되고, 그 반면에 테이프 고정체 21은 권취릴 3에 형성된 슬릿(slit) 32의 하나에 장착된다. 이 때, 공급릴 5에 형성된 원통체 5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용 톱니바퀴멈춤쇠 521은 테이프 코어 23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용 톱니바퀴멈춤쇠 231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테이프 유니트 2는 원통체 5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원통체 52에 장착된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기어부재 53의 상면에 형성된 턱부 531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마찰 클러치가 작용할때 도포막 전사테이프에 불필요한 회전하중이 인가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는 지지체 12가 하부 케이스 13에 장착될때, 헤드보지체 6에 형성된 기어부분 67은 하부 케이스 13에 형성된 랙 137과 맞물리게 되고, 이에 의하여 랙 137, 헤드보지체 6, 공급릴 5, 중간기어 4 및 권취릴 3이 서로 연관하여 동작하게 된다.
테이프 유니트 2의 세부사항은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그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 설명한다.
도7 내지 도10은 지지체 12와 헤드보지체 6 사이의 연결된 동작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각 도면에는 설명에 필요한 부재만을 도시하고, 다른 부재는 생략하여 그 외부구성만을 도시하였다. 더우기, 내부기구의 동작의 명확성을 위하여 본체 케이스를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도7은 지지체 12가 밀폐되어 있고 헤드보지체 6의 좌측부분 64a가 지지체 12상의 단차부 125a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지지체 12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헤드보지체 6의 하부부분에 형성된 기어부재 67이 지지체 12에 형성된 랙 135와 맞물리게 되므로, 헤드보지체 6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헤드보지체 6의 부분은 회전벽 14와 접촉하게 되고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벽 14를 회전시킨다. 더우기, 지지체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헤드보지체 6의 하부부분에 형성된 기어부재 67은 지지체 12에 형성된 랙 135로 부터 해제된다. 이 때, 헤드보지체의 우측부분 64b는 지지체 12상의 단차부 125b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에, 지지체 12의 회전이 진행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12가 본체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된다. 이는 지지체 12를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의 헤드보지체 6의 동작이며, 지지체 12를 본체 케이스내에 수납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헤드보지체 6은 그 동작방향이 역전된다. 즉, 헤드보지체 6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헤드보지체의 좌측부분 64a는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 12를 완전히 수납하는 단계에서 지지체 12의 단차부 125a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헤드보지체 6의 동작이 완료되고 도7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앞서 설명한 일련의 동작을 전제로 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장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11 내지 도13은 실시형태에 사용하기 위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1과 도12는 홀더방식의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13은 다른 방식의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11과 도12를 참조하여 홀더방식의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의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 7은 테이프 유니트 2와 기판 71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유니트 2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테이프 22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톱니바퀴멈춤쇠 231가 형성되는 내부의 테이프 코어 23 둘레에 감겨지고, 둥근 축형상의 테이프고정체 21이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일단부에 부착된다. 더우기 체결부 232와 211은 각각 테이프 코어 23과 테이프고정체 21의 하부부분에 형성되고, 이들 체결부는 기판 71에 형성된 장착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기판 71은 수지 판형상의 부재이며, 그 기판에 형성된 것은 릴장착부 713, 테이프 고정체 장착부 712 및 안내 장착부 711이다. 더우기, 다수의 절결부 715는 테이프 고정체 장착부 712와 릴장착부 713의 주변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각각의 장착부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기판 71에 장착될 각각의 부재를 에의 장착및/또는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우기, 안내부재 72의 하부부분에 형성된 장착부 721은 안내장착부 711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이 안내부재 72에 의하여 안내된다.
도13에 도시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은 그 테이프에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홀더방식의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것과 기본적으로 공통한다. 테이프 유니트 2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테이프 22는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톱니바퀴멈춤쇠 231이 형성되는 내부의 테이프 코어 23 둘레에 감겨져 있고, 둥군 축형상의 테이프 고정체 21은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일단부에 부착된다. 다음에,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부분은 테이프를 감지 않는 방식으로 그곳에 고정하기 위하여 박리가능한 접착재료 84에 의하여 그 다른 부분에 접착된다.
그래서, 앞서 설명한 것은 실시형태에 사용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구성이며, 도14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4 내지 도20은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과장에서의 각각의 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지지체 12가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될때, 헤드보지체 6은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헤드보지체 6이 회전벽 14와 접촉하게 될때, 회전벽 14는 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지체 12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도15에 도시된 상태를 거쳐 도16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도16에 도시된 상태는 도10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한다.
이 상태에서, 도포막 전사테이프 22는 공급릴 5와 권취릴 3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헤드 68로 부터 해제되므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공급릴 5와 권취릴 3으로 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상기한 홀더방식의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71상에 장착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는 각각의 부재를 그 장착위치에 맞추는 상태로 장착되고, 그 후에 압압시킴으로써 기판 71이 제거되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이 완료된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된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기판 71을 제거한 상태에서 여전히 늘어진 상태에 있는 동안, 테이프는 헤드의 외부부분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그 위치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지지체를 화살표 D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헤드보지체 6이 화살표 E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헤드 68과 권취릴 3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 22는 헤드 68과 단단하게 맞물리게 된다. 그 다음에, 지지체가 더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내에 수납되면, 도포막 전사테이프 22는 헤드 68상에 늘어나서 팽팽한 상태로 놓이게 되고, 헤드 68은 그 회전전의 위치와 같은 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의하여 모든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에 대하여, 모든 교환작업은 ①지지부재를 개방하고, ②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고, ③지지체를 밀폐하는 등의 3가지 조작에 의하여 완료되며, 그 조작을 행하는 절차는 명확하고 간단하다.
더우기, 교환되는 부재에 대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함께 교환되어야 하는 부재는 테이프 코어와 테이프 고정체 만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는 자원의 절약과 쓰레기 배출량양의 감축에 공헌한다.
그래서, 지금까지 설명한 것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테의 구성이지만, 본 발명에 의한 도포막 전사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와 같은 2개의 케이스 부재로 분할하여 형성되는본체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상부 케이스를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랙은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에 설치된 것은 장착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헤드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하는 공급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감는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하기 위한 전달기구이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처럼 디자인되는 케이스를 조립할때, 상부 케이스는 헤드보지체에 형성된 랙과 기어부가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헤드보지체는 케이스의 개방 및/또는 밀폐시에 소정 구간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구성한다.
그 구성에 따르면, 본체 케이스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될때,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공급릴과 권취릴은그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어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한다. 이에 반하여, 본체 케이스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를 밀폐할때, 헤드는 그 반대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맞물리게 될 뿐만 아니라 헤드의 회전전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복귀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전의 실시형태처럼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도포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식으로 실시되고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 헤드보지체 및 본체 케이스에 형성된 각각의 부재의 동작이 서로 연동할 수가 있다. 즉, 뵨체 케이스부재중 하나를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지지체는 그 케이스로부터 이동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 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체 케이스부재중 하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밀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맞물리게 될 뿐만 아니라, 본체 케이스부재의 회전전의 위치와 같은 위치로 복귀한다. 그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체 케이스를 개방하고,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며, 본체 케이스를 밀폐하는 것만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할 수가 있다. 그래서, 수동적으로 개별적으로 행하곤 하였던 번거로운 조작의 필요성을 없앨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에 필요한 조작을 극히 간소화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 헤드보지체 및 지지체에 형성된 각각의 부재의 동작이 서로 연동할 수가 있다. 즉,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로부터 지지체를 개방함으로써 지지체상의 각각의 부재가 연결된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를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할 수가 있다. 그래서, 수동으로 개별적으로 행하곤 하였던 번거로운 조작의 필요성을 없앨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에 필요한 조작을 극히 간소화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보지체, 공급릴 및 권취릴의 동작이 서로 연동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로 부터 지지체를 개방함으로써 지지체상의 각각의 부재가 연동방식으로 동작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때, 사용자는 단지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해야 하므로,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막 전사구의 내부에 형성된 구성부재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조정작업을 행할 필요성이 없게 된다. 그래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때 사용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행하곤 하였던 조정작업의 필요성을 없앨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에 필요한 조작을 극히 간소화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의 동작과 연동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때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하는 경우, 헤드보지체는 자동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 헤드는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공급릴과 권취릴 사이에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되게끔 동작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헤드로 부터 해제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헤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완료할 수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제5의 양상에 의하면, 지지체를 지지체의 동작과 연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함으로써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할 때, 헤드보지체는 그 반대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 헤드는 그렇게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하게 되고, 헤드보지체와 연동하는 공급릴과 권취릴이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제거할 수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헤드와 결합하게 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조정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완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교환하기 위하여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헤드 또는 지지체의 일부는 회전벽과 접촉하게 되며, 이것이 일어남에 따라 회전벽은 지지체의 동작을 방해함이 없이 이동된다. 그 다음에,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한 후에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벽은또한 지지체와 접촉하게 되고 지지체의 동작을 방해함이 없이 이동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일어남에 따라, 편심기구가 회전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벽을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벽에 언제나 힘이 가해지고, 이에 의하여 회전벽은 개방된 상태로 되는 일이 없게 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는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제거하고,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제거한 후에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공급릴과 권취릴에 부착하며,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을 완료할 수가 있다.

Claims (7)

  1. 테이프의 일측면에 박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전사층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케이스 부재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본체 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2개의 케이스 부재중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배치하고, 그 하나의 케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스 부재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헤드 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공급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달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공급릴과 권취릴은 본체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어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며, 반면에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밀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2. 테이프의 일측면에 박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전사층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는 본체 케이스와그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수동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지지체를 설치하고,
    그 지지체에는 지지체의 동동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헤드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공급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달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지지체는 본체 케이스 외부로 이동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며, 반면에 지지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내에 지지체를 수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보지체에는 본체 케이스에 형성된 랙(rack)과 맞물리기 위한 기어 및, 상기 공급릴과 연동하기 위한 래치트(ratchet)를 설치하고,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상기 지지체의 공급릴에는 공급릴의 회전중심축과 동축상에 중심축을 갖는 기어와, 헤드보지체에 설치된 래치트에 걸리도록 한 톱니멈춤쇠를 설치하며,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상기 권취릴에는 권취릴의 회전중심축과 동축상에 중심축을 갖는 기어를 설치하며,
    공급릴과 권취릴상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기어와 연동하기 위하여 지지체에 중간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면,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공급릴과 권취릴 사이로 이동하고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내에 수납되면,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될 뿐만 아니라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늘어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회전궤적상에 위치된 본체 케이스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벽에는 상기 회전벽을 회전된 위치에서 그 회전전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위한 편심기구(biasing mechanism)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막 전사구.
  7. 테이프의 일측면에 박리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전사층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막 전사구에 있어서,
    도포막 전사구 본체에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케이스 부재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본체 케이스를 설치하고,
    그 2개의 케이스 부재중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다른 케이스 부재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배치하고, 그 하나의 케이스 부재는 하나의 케이스 부재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헤드 보지체, 도포막 전사테이프가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공급릴,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 및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기 위한 전달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회전하여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공급릴과 권취릴은 본체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어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그로부터 제거하여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로 교환하며, 반면에 하나의 케이스 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밀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헤드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교환된 리필형 도포막 전사테이프와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헤드의 이동전과 같은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로 부터 인출하여서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제거하는 조작, 다 사용한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제거한 후에 리필용 도포막 전사테이프를 공급릴과 권취릴에 장착하는 조작, 및 지지체를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내로 지지체를 복귀시키는 조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
KR1020020033094A 2001-09-11 2002-06-14 도포막 전사구 및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 KR100918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5634 2001-09-11
JP2001275634A JP4690607B2 (ja) 2001-09-11 2001-09-11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677A true KR20030022677A (ko) 2003-03-17
KR100918324B1 KR100918324B1 (ko) 2009-09-22

Family

ID=1910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094A KR100918324B1 (ko) 2001-09-11 2002-06-14 도포막 전사구 및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99363B2 (ko)
JP (1) JP4690607B2 (ko)
KR (1) KR100918324B1 (ko)
CN (1) CN100396585C (ko)
DE (1) DE10229009B4 (ko)
HK (1) HK1054362B (ko)
TW (1) TWI236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2045B2 (ja) * 2001-08-20 2010-10-27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US7204287B2 (en) * 2003-01-23 2007-04-17 Xyron, Inc. Transfer devices
US20060144512A1 (en) * 2005-01-04 2006-07-06 Michael Carroll Handheld tape applicator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4644840B2 (ja) * 2005-04-27 2011-03-09 コクヨ株式会社 カバーの係止構造及び転写具
US7776173B2 (en) * 2005-05-05 2010-08-17 Elmer's Products, Inc. Adhesive dispensing system
JP2006327037A (ja) * 2005-05-26 2006-12-07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およびこれに用いるカートリッジ
JP4759712B2 (ja) * 2005-06-23 2011-08-31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4918368B2 (ja) * 2007-01-12 2012-04-18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4972786B2 (ja) * 2007-07-27 2012-07-11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DE102007035417A1 (de) * 2007-07-28 2009-01-29 Chemische Fabrik Budenheim Kg Halogenfreies Flammschutzmittel
JP4966821B2 (ja) * 2007-10-29 2012-07-04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US7775584B2 (en) * 2008-04-14 2010-08-17 Honda Motor Co., Ltd. Impact absorbing armrest for a motor vehicle
JP4899023B2 (ja) * 2008-07-16 2012-03-21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KR101068246B1 (ko) * 2008-10-30 2011-09-28 주식회사 동기실업 도포구
US8771439B2 (en) * 2009-04-01 2014-07-08 Ut-Battelle, Llc Titanium aluminide intermetallic alloys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US20100263798A1 (en) * 2009-04-21 2010-10-21 Tsai Yuh Yi Transferring device for light-reflectable tape
JP5350997B2 (ja) * 2009-11-26 2013-11-27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2011110786A (ja) * 2009-11-26 2011-06-09 Plus Corp 塗布膜転写具
JP4793608B2 (ja) * 2009-12-28 2011-10-12 有限会社アイツォー研究所 テープ送出装置及びテープ貼付器
JP5528843B2 (ja) * 2010-02-12 2014-06-25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6355447B2 (ja) * 2014-06-20 2018-07-11 プラス株式会社 回転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ケース体
CN104106945B (zh) * 2014-06-24 2017-01-18 海门黄海创业园服务有限公司 一种幼儿所使用的卷纸式画椅
JP6418821B2 (ja) * 2014-07-09 2018-11-07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DE102015209034A1 (de) * 2015-05-18 2016-11-24 Robert Bosch Gmbh Klebevorrichtung
CN106079983B (zh) * 2016-08-03 2017-12-26 富联(厦门)办公用品有限公司 具有指示箭头的涂抹笔
CN106364233B (zh) * 2016-08-31 2018-06-12 泉州市一扬文化用品有限公司 一种改进型修正带
CN107344468B (zh) * 2017-07-19 2022-08-26 金陵科技学院 一种修正带
JP7031269B2 (ja) * 2017-12-08 2022-03-08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CN115635275A (zh) * 2022-10-26 2023-01-2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铰链翻转结构的风洞移动带地板装备换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6357C2 (de) * 1987-10-27 1995-11-09 Pelikan A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r Trägerfolie auf ein Substrat
JP2532967Y2 (ja) * 1991-05-09 1997-04-16 ゼネラル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H06286927A (ja) * 1993-04-06 1994-10-11 Fujicopian Co Ltd 転写リボンカセットと該カセットを装着するケース
JP2807805B2 (ja) * 1993-09-22 1998-10-08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3420347B2 (ja) * 1994-08-12 2003-06-23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の連動機構
JP2943134B2 (ja) * 1995-11-01 1999-08-30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TW318812B (ko) * 1994-12-12 1997-11-01 Yutoku Gum Kogyo Kk
JPH08310714A (ja) * 1995-05-16 1996-11-26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容器
JP3520138B2 (ja) * 1995-06-16 2004-04-19 ゼネラル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転写テープ詰替方法
US5707482A (en) * 1996-05-16 1998-01-13 Fusselman; Stephen M. Removable highlighting tape
DE19702345A1 (de) * 1997-01-23 1998-07-30 Tipp Ex Gmbh & Co K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2000025392A (ja) * 1998-07-08 2000-01-25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6249575B1 (en) * 1998-12-11 2001-06-19 Securelogix Corporation Telephony security system
JP4279397B2 (ja) * 1999-04-28 2009-06-17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の塗布膜転写ヘッド
JP2001089011A (ja) * 1999-09-21 2001-04-03 Plus Kogyo Kk 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転写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90607B2 (ja) 2011-06-01
TWI236979B (en) 2005-08-01
HK1054362B (zh) 2008-09-26
JP2003080893A (ja) 2003-03-19
HK1054362A1 (en) 2003-11-28
CN1406852A (zh) 2003-04-02
CN100396585C (zh) 2008-06-25
DE10229009A1 (de) 2003-03-27
KR100918324B1 (ko) 2009-09-22
DE10229009B4 (de) 2013-03-28
US20030047286A1 (en) 2003-03-13
US6599363B2 (en) 200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324B1 (ko) 도포막 전사구 및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
KR100873544B1 (ko) 도포막 전사구 및 도포막 전사테이프의 교환방법
US7793883B2 (en) Transfer tool
US8360128B2 (en) Transfer tool
US7900679B2 (en) Transfer tool
CA2683319C (en) Transfer tool
US20070113987A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19990029732A (ko) 필름코팅전사장치의 클러치기구 및 필름코팅전사장치
JP2000025392A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7866362B2 (en) Transfer tool
US8297329B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EP1555140B1 (en) Gear of a transfer device
JPH11348493A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7703715B2 (en) Transfer tool
CA2490118C (en) Transfer device
JP3420364B2 (ja) 転写具の連動機構
KR100279218B1 (ko) 전자기기의리본카트리지장치
JP4178196B2 (ja) 塗膜転写具
JPH10235969A (ja) 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