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534A - 편직기용 선침 장치 및 선침용 모듈 핑거 - Google Patents

편직기용 선침 장치 및 선침용 모듈 핑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534A
KR20030017534A KR1020027016850A KR20027016850A KR20030017534A KR 20030017534 A KR20030017534 A KR 20030017534A KR 1020027016850 A KR1020027016850 A KR 1020027016850A KR 20027016850 A KR20027016850 A KR 20027016850A KR 20030017534 A KR20030017534 A KR 2003001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needle
receiving member
modu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684B1 (ko
Inventor
와타나베카즈히사
아이다노부오
Original Assignee
왁 데이타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발루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왁 데이타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발루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왁 데이타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선침용 모듈 핑거(30)는, 핑거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로 구성된다. 핑거부재(31)는 버트접촉부(33)와 지지부(34)를 갖고, 지지부(34)는 그 하방에 돌출부(35,36)를 갖는다. 또, 핑거수용부재(4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상기 지지부(34)의 하방의 돌출부(35,36)를 수용하는 요홈(42, 42a)을 갖는 연결부(41)와, 핑거회동지지부(43) 및 압전체결합부(45)를 갖는다. 핑거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는 핑거부재(31)의 돌출부(35,36)를 핑거수용부재(40)의 요홈(42, 42a)에 삽입하여 위치결정되고, 돌출부(35)와 연결부(41)에 설치된 구멍(37, 37a)에 핀(50)이 삽입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편직기용 선침 장치 및 선침용 모듈 핑거{needle selec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 and module finger of needle selection}
환편기 또는 횡편기와 같은 편직기에서는, 플로피 디스크등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편성 수순에 기초하여 편침의 상하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편조직을 갖는 편직물을 편성한다. 이 편침의 상하 운동을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선침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침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편직기에서의 선침 작업의 개요를 도4A 내지 도4C에 도시한 환편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A는 환편기의 기본적인 편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편기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편성실린더(1)를 포함한다. 편성실린더(1)의 외주면에는 그 장축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세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에 편침(2)이 요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편침 (2)의 하방에는 통상적으로 선침 잭(12)이 편침(2)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편성 실린더(1)의 하방에는 실린더상의 캠 받침(15a)이 고정 배치되어있고, 그 캠 받침(15a)의 상방에는 소정형상의 올림 캠(15)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편성의 기본원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회전하는 편성 실린더(1) 상의 각각의 편침(2)이 올림 캠(15)에 의해 선침 잭(12)의 도움으로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면, 그 결과 편성 실린더(1) 상면의 윗쪽으로 편침(2)이 돌출된다. 이 돌출된 편침(2)의 후크에 북(yarn bobbin)(6)에서 뽑혀 나온 실(5)을 줌으로써 실의 루프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다음으로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기구에 의해 편침(2)을 하방으로 내림으로써 1개의 스티치(stich)를 형성한다. 따라서 편침(2)을 상하운동 시킬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선택함으로써 스티치를 하거나, 또는 스티치 하지 않고 다음의 편성 공정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원하는 편직물을 편성할 수 있다. 편침이 그와 같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선침 잭(12)을 편침(2)의 하방과 접촉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편성 수순을 기억시킨 기억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제어기(4)에서 출력된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선침 장치(3)를 이용하여 선침 잭(12)과 올림캠(15)과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편침의 상하 운동이 제어된다.
다음으로 편침(2), 선택 잭(12) 및 선침 장치(3)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4B 및 도4C를 참조하여, 선침 수단으로서 압전체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4B 및 도4C는 선침 수단의 동작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개략도이다.
압전체(7)는 전압의 인가 방법에 따라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시키거나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4B와는 반대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압전체(7)의 선단부에는 핑거(9)가 연계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4B, 도4C에 있어서 압전체(7)와 핑거(9) 및 올림캠(1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지면내에 위치결정되고 편침(2)과 선침 잭(12)은 편성 실린더(1)와 함께 도면의 지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혹은 그 반대로) 원운동을 하고 있다. 선침 잭(12)은 지지점(12a)을 중심으로하여 요동 가능하고, 또한 선침용 버트(butt)(13)(상방) 및 올림캠용 버트(14)(하방)가 선침잭(12)으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압전체(7)가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운동하는 선침 잭(12)의 선침용 버트(13)와 핑거(9)가 충돌한다. 그 결과, 선침 잭(12)이 지지점(12a)을 중심으로하여 시계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고, 그 결과 선침 잭(12)의 올림 캠용 버트(14)는 올림 캠(15)과 결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올림캠(15)이 선침 잭(12)을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없기 때문에 그 결과 편침(2)이 상방으로 올라갈 수 없게 된다.
한편,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압전체(7)가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전체(7)의 선단부의 핑거(9)는 편성 실린더(1)와 함께 원운동하는 선침 잭(12)의 선침용 버트(13)와 충돌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선침 잭(12)은 수직 방향의 자세를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선침 잭(12) 하방의 올램 캠용 버트(14)와 올림캠(15)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선침 잭(12)이 올림캠(15)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그에 따라 편침(2)도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또한 도4B, 도4C에 참조부호 25로 지시한 부재는 선침장치의 프레임(frame)의 일부로 구성된 핑거 회동 스토퍼(stopper)이고, 부재(25)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핑거(9)와 선침용 버트(13)와의 결합이 확실히 이루어져 핑거(9)가 선침용 버트(13)와의 접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선침 잭(12)의 선침용 버트(13)와 압전체(7) 선단의 핑거(9)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면 편침(2)의 상방 이동을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고 소정의 편조직을 갖는 편직물을 편성할 수 있다.
이 압전방식 선침장치(3)에서 압전체(7)와 핑거(9)의 관계를 도5에 나타낸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모르프형 압전소자를 갖는 압전체(7)에 핑거(9)를 가동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압전체(7)에 전력을 인가하여 핑거(9)를 동작시키고, 이 핑거(9)의 동작을 이용하여 선침을 수행함으로써(보다 상세히는 선침 잭(12)에 의해), 소정의 편조직을 갖는 편직물의 편성이 가능해진다. 압전체(7)의 후단부는 구형 회전체(20)에 의해 지지체(21) 또는 하우징의 요홈(22)에 가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압전체(7)의 선단부는 회전체(16)에 의해 핑거(9) 후단부의 "U"자형 홈(17)(이하 슬릿(17)이라 함)내에 가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압전체(7) 후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의 지지체(24) 또는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설한 회전체(23)에 끼워서 배치한다.
핑거(9)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간부(9b)가 핀(18)에 의해 지지체(10b)에 지지되고, 그로 인하여 압전체(7)가 만곡 운동을 할 때, 그 운동이 핑거(9)의 후단(압전체 결합 부분)(9a)을 상하 운동 시킨다. 그 결과, 핑거(9)는핑거(9)의 회동지지점이 되는 핀(1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지지체(10a)의 개구부(11)를 통해 돌출한 핑거(9)의 막대형상 부분 (9C)를 요동시키고, 결과로서 선단부(9d)를 상하 운동시킨다. 이 선단부(9d)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술한 편침(2)의 상승 운동이 선택된다.
도6A에 종래 공지의 핑거(9)의 측면도, 도6B에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6A,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9)는 선단부의 버트 접촉면(9d)으로부터 회동 지지점(18a)을 갖는 중앙부(9b)까지의 가늘고 길이가 긴 막대 형상 부재(9c)와, 상기 중앙부에서 타방으로 연장된 압전체 결합부분(9)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회동지지점(18a)은 가늘고 길이가 긴 막대 형상 부재(9C)의 장축 (9X1)상에 있다. 압전체 결합부분(9a)에는 압전체의 만곡운동부분(16)을 수용하는 슬릿(17)이 설치되어 있다.
도6A,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의 핑거(9)는 편성 실린더측의 선단측인 버트 접촉면(9d)으로부터 선침장치측의 압전체 결합부분(9a)에 이르기까지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있다.
그러나 편직기의 형태, 선침 장치의 형태 및 그 편직기에서 편성하고자 하는 편직물의 편조직에 대응하여 핑거의 형상 및 크기는 달라진다. 이때문에 편직기의 선침장치 제조업자들은 많은 종류의 핑거들의 재고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편성 실린더의 선침 잭에 결합되는 버트 접촉면을 갖는 핑거의 동작상의 하류부(이하의 설명에서 '핑거 부재'라 한다)와, 선침장치의 압전체 결합부를갖는 핑거의 동작상의 상류부(이하의 설명에서 '핑거 수용 부재'라 한다)를 별개의 제조 공정에서 각각 만들어 각각 보관해 두고, 핑거가 사용될 편직기의 종류 및 목적으로 하는 편직물의 편조직에 대응하여 핑거 수용 부재와 핑거 부재를 적절히 선정하여, 조합함으로써 소정의 핑거를 구성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재고 핑거의 종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핑거 수용 부재와 핑거 부재를 목적에 맞게 조합하여 구성한 핑거(이하 '모듈 핑거'라 한다)가 최근 개시되었다. 이 일예를 도7A, 도7B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7A에 도시한 모듈 핑거(30a)는 핑거부재(31a)와 핑거수용부재(40a)로 구성되고, 핑거 부재(31a)는 선단부에 버트 접촉면(32a)을 갖는 버트 접촉부(33a)와 그 버트 접촉부(33a)에서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부(34a)로 구성된다. 한편, 핑거수용부재(40a)는 하방에 압전체 결합부(45a)를 형성하는 금속판으로 제조된 슬릿(44a)을 갖추고, 그 상측에 결합용 플레이트(46)가 연결되어 있다.
도7A에서 모듈 핑거(30a)에서 핑거부재(31a)와 핑거수용부재(40a)의 결합은 핑거부재(31a)의 지지부(34a)의 하방과 핑거수용부재(40a)의 상측의 결합용 플레이트(46)를 수작업으로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이 방법으로 얻어진 모듈 핑거(30a)는 버트 접촉면(32a)과 압전체 결합부(45a)와의 위치관계의 정밀도가 낮고 고속 회전에는 이용할 수가 없다. 또 합성수지를 이용한 복잡한 수작업이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7B에 도시한 모듈핑거(30b)는 금속으로 제조된 실질적으로 도7A에 도시한핑거부재(31a)와 동일한 핑거부재(31b)와, 합성수지로 만든 핑거부재(40b)로 구성된다. 도7B에 도시한 모듈핑거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즉, 먼저 핑거부재(31b)를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제조하여 보관해 둔다. 그리고 특정 모듈 핑거(30b)를 제조할 때에는 편직물의 편조직에 적합한 구조의 핑거 부재(31b)를 선정한 후, 목적하는 핑거수용부재(40b)의 구조에 대응하는 금형을 장착하고, 상기 핑거 부재(31b)를 사출성형기의 금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 후 사출성형기로 합성수지를 사출한다.
위에 서술한 방법으로 얻은 도7B에 예시한 모듈 핑거(30b)는 치수 정밀도가 뛰어나지만, 그 제조시에 고가의 사출성형기를 이용해야 하며, 또한 그 사출형성기는 숙련작업자가 조작하여야 하므로, 그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모듈 핑거의 비용이 높다.
따라서 핑거의 재고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임기응변적으로 제조 가능한 모듈 핑거에 대한 요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모듈 핑거는 사실상 보급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 공지의 모듈 핑거의 과제를 해결하여 다종다양한 형상이 요구되는 핑거를 필요에 따라 단시간에 염가로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모듈 핑거를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직기용 선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선침용 핑거와 이것을 이용한 편직기용 선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직기용 선침장치에 이용되는 모듈핑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1에 도시한 모듈 핑거의 핑거 부재(31)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모듈 핑거의 핑거 부재(31)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모듈 핑거의 핑거수용부재(40)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핑거수용부재(40)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핑거수용부재(40)의 상면도이다.
도 4A는 편직기의 편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편직기 전체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4B는 편직기의 편성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선침장치의 핑거가 선침 잭의 선침 패드에 결합한 상태를 도사한 것이다.
도 4C는 편직기의 편성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선침장치의 핑거가 선침 잭의 선침 패드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편직기의 선침장치에 있어서 압전체와 핑거와의 동작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종래 공지의 핑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핑거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핑거 부재와 핑거수용부재의 두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한 모듈 핑거의 종래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두 부재를 수지로 결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핑거 부재와 핑거수용부재의 두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한 모듈 핑거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금속제 핑거 부재를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수지제 핑거수용부재에 넣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편직기용 선침 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상술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편직기용의 선침 장치에 이용되는 모듈 핑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듈 핑거(30)는 핑거 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로 구성된다.
도 2A, 도 2B는 핑거 부재(31)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측면도이다. 또, 도 3A 내지 도 3C는 핑거수용부재(4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핑거 부재의 측면도, 도 3C는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A,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 부재(31)는 선단에 버트 접촉면(32)을 갖는 버트 접촉부(33)와, 버트 접촉부(33)에서 막대상으로 연장된 지지부(34)로 구성되고, 지지부(34)의 하방에는 도 2A의 예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돌출부(35)와, 좌측으로 연장된 삽입돌출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돌출부(35)에는 핑거수용부재(40)의 구멍(37a)에 대응하는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핑거 부재(31)는 측면도인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 제작되었다.
또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수용부재(40)는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플라스틱제 본체(41)로 구성된다. 핑거수용부재(40)의 상방(핑거 부재 (31)측)에는 핑거 부재(31)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의 상방에는 압전체(7)와 결합하기 위한 압전체 결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41)에는 전술한 핑거 부재(31)의 지지부(34)의 일부가 수용되는 요홈(4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요홈(42)의 좌측에는 핑거 부재(31)의 삽입 돌출부(36)가 삽입되는 삽입형요홈(42a)이 형성되어 있고, 요홈(42)의 우측상부에는 핑거부재(31)의 돌출부(35)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핑거 부재(31)의 삽입돌출부(36)가 핑거수용부재(40)의 삽입형요홈(42)에 끼워짐으로써 두개의 부재(31)(40)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두 부재(3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핑거수용부재(40)의 핑거부재의 구멍(3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구멍(37a)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핑거 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는, 도 1 및 도 3C에서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핑거 부재(31)를 핑거 보관부재(40)의 삽입형 요홈(42a)을 향해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이때 핑거 부재(31)의 삽입돌출부(36)가 핑거수용부재(40)의 삽입형 요홈(42a)에 삽입됨으로써 두 부재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두 부재(31)(40)가 조합되면 핑거 부재(31)의 구멍(37)과 핑거수용부재(40)의 구멍(37a)이 일직선상에 정합되므로, 이 구멍들 (37)(37a) 내에 핀형상 부재(50)를 삽입하면 두 부재(31)(40)는 일체로 결합된다. 또 이 핀 형상 부재는 두 부재(31)(40)의 위치 결정에도 도움이 된다.
도 1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41)와 압전체 결합부(45)의 사이에는 회동 지지부(43)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지지부(43)는 핀(18)(도5 참조)이 삽입되어 모듈 핑거(30)가 요동운동을 행하는 지점이다. 또, 압전체 결합부(45)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릿(44)을 갖는다. 이 슬릿(44)은 압전체(7)의 모듈 핑거(30)측의 선단(16)이 압전체(7)의 요동운동에 따라 요동하는 공간이고, 압전체 결합부(45)는 압전체(7)의 선단(16)이 결합하는 부분이다. 또, 이들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핑거의 구성에 있어서 종래 공지의 구조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 도 2A, 도 2B, 도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모듈 핑거의 예는 본 발명의 모듈 핑거의 일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에 도시한 모듈 핑거(30)에서 핀형상 부재(50)를 이용하지 않고 핑거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를 접착제 또는 초음파 용착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부재의 위치 결정은 핑거부재(31)의 삽입돌출부(36)를 핑거수용부재(40)의 삽입형 요홈(42a)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핑거 부재(30)의 지지부(34) 하방의 적어도 일부(35, 36)를 수용하는 요홈(42), 삽입형요홈(42a)을 핑거수용부재(40)의 일단에 형성하고, 요홈에지지부를 삽입하여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지지부(34)와 연결부(41)를 관통하는 구멍이 생기도록 각 부재에 구멍(37)(3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를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구멍(37)(37a)에 의해 얻어지는 관통구에 핀형상 부재(50)를 삽입함으로써 핑거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의 일체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핑거 부재(31)의 버트 접촉부(32)와 핑거수용부재(40)의 압전체 결합부(45)의 위치관계(혹은, 버트 접촉부(32)와 핑거수용부재(40)의 회동지지부(43)의 위치관계)는 핑거수용부재(40)의 요홈(42), 삽입형요홈(42a)에 핑거부재(30)의 지지부(35, 36)가 삽입됨으로써 결정된다. 그리고 또한 핑거수용부재(40)의 연결부(41)와 핑거 부재(31)의 돌출부(35)를 관통하는 구멍(37a, 37)에 핀형상부재(50)를 배치함으로써 핑거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의 위치결정이 또한 확실해 짐과 동시에 핑거부재(31)와 핑거수용부재(40)의 일체결합이 이루어 진다.
또, 핑거수용부재(40)의 요홈(42, 42a)과 핑거부재(31)의 지지부(35, 36)에 의한 위치결정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요컨대 핑거 부재의 버트 접촉면과 핑거수용부재의 압전체 결합부(혹은 회동지지부)의 상대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규정하도록 핑거 부재의 일부와 핑거수용부재의 일부의 면대면 접합부의 수를 하나 이상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상의 핑거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 핑거 부재(31)를 다양한 편직물의 그물 조직에 대응하여 각종류별로 여러개 제조하여 재고를 준비해 둔다. 또 핑거수용부재(40)에 대해서도 핑거 모듈의 조립처인 선침 장치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제조해 둔다. 그리고 목적으로 하는 편직물의 그물 조직에 따라 핑거 부재를 선택하여, 조립처인 선침장치에 대응하여 핑거수용부재를 선택하고, 선택된 핑거 부재와 핑거수용부재를 도 1, 도 2A, 도 2B,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하고 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다양한 핑거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핑거 부재의 선단의 버트 접촉면은 편성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다수의 선침 잭의 버트에 고속으로 간헐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핑거 부재는 내충격성 및 내 마모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핑거수용부재는 이 압전체 결합부에서 압전체의 일단과 결합하여 압전체의 요동운동을 수용한다. 이 때 핑거수용부재와 압전체는 항상 접촉되어 있으므로 형상에 대해서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만 핑거 부재와 같이 높은 내 충격성 및 내 마모성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공성이 좋고 상대적으로 염가인 플라스틱등의 수지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듈 핑거는 제조측면에서 및 동작측면에서 달리 요구되는 성능이 다른 핑거 부재와 핑거수용부재를 별도의 재료로 제작하여 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다종다양한 핑거를 비교적 적은 종류의 핑거 부재와 핑거수용부재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간단하고 확실한 일체 결합 방법을 이용하므로 고품질 핑거의 새로운 수요에 신속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싼값으로 대응할 수 있다.

Claims (13)

  1. 편성 실린더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세로 홈(縱溝)에, 적어도 하나의 버트(butt)를 돌출시킨 선침 잭이, 그 선침 잭에 접촉하는 편침을 상하 동작 시키도록 요동자재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는 편직기용 선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침 장치가 편직기의 선침 잭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선침 잭을 요동시키는 모듈핑거와, 상기 모듈 핑거를 미리 정해진 편성 수순에 기초하여 회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모듈 핑거가,
    선단부에 버트 접촉면을 갖는 버트접촉부와 상기 버트 접촉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는 핑거부재와,
    일방 단부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재의 지지부의 일부를 장착하여 상기 핑거부재의 위치결정을 가능케 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와, 타방 단부에 있어서 상기 편직기용 선침장치의 구동부재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단부 사이에 있어서 모듈 핑거의 회동지지점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회동지지부를 갖는 핑거 수용 부재를 갖추고,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의 일부를 상기 핑거 수용 부재의 연결부에 장착하여 얻어진 위치 결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핑거 부재와 상기 핑거 수용 부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용 선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시키는 구동부재가 압전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용 선침 장치.
  3. 편직기용 선침 장치의 선침용 모듈 핑거에 있어서,
    핑거 부재와 핑거 수용부재를 갖추고,
    상기 핑거 부재는 선단부에 버트 접촉면을 갖는 버트 접촉부와 상기 버트 접촉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핑거 수용부재는 일방의 단부에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의 일부를 장착하여 상기 핑거 부재의 위치 결정을 가능케 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와, 타방의 단부에 상기 편직기용 선침장치의 구동부재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의 일부를 상기 핑거 수용 부재의 연결부에 장착하여 얻어진 위치결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핑거 부재와 상기 핑거 수용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수용 부재는 상기 단부 사이의 위치에 해당 모듈 핑거의 회동의 중심이 되도록 형성된 회동지지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은 상기 핑거 부재와 상기 핑거 수용 부재를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가 상기 핑거 수용 부재에 위치결정수단을 병용하여 초음파 용착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의 하방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요홈을 갖고,
    상기 접합 수단은 상기 핑거 수용 부재의 요홈과 상기 요홈에 수용된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핀형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핑거 부재와 상기 핑거 수용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의 선단에 삽입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핑거 수용부재의 요홈의 선단에 상기 핑거 부재의 삽입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주면을 갖는 삽입형요부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돌출부를 상기 삽입형요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핑거 부재의 상기 핑거 수용 부재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재가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수용부재가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
  11. 버트 접촉면을 갖는 버트 접촉부를 선단부에 갖추고 동시에 상기 버트 접촉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춘 핑거부재를 제조하는 공정과,
    일방 단부에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의 일부를 장착하여 상기 핑거 부재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와, 타방의 단부에 상기 편직기용 선침장치의 구동부재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갖춘 핑거수용부재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핑거 부재의 지지부의 일부를 상기 핑거수용부재의 연결부에 장착하여 상기 핑거부재와 상기 핑거수용부재를 위치맞춤하고, 상기 위치 맞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핑거 부재와 상기 핑거 수용 부재를 접합하는 공정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은, 여러 종류의 편성 무늬 패턴에 대응하여여러 종류의 금속제 핑거 부재를 제조하여 보존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하는 공정은, 편성 무늬 패턴에 대응하여 선택된 핑거 부재와 상기 핑거수용부재를 조합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침용 모듈 핑거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수용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은 선침장치의 형태에 대응한 다수 종류의 핑거수용부재를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으로 제조하여 보존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 공정은 편성 무늬 패턴에 대응하여 선택된 핑거부재와, 펀직기의 형태에 대응하여 선택된 핑거수용부재를 조합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침용 모듈 핑거의 제조방법.
KR10-2002-7016850A 2001-04-16 2002-04-11 편직기용 선침 장치 및 선침용 모듈 핑거 KR100469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7394 2001-04-16
JP2001117394 2001-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534A true KR20030017534A (ko) 2003-03-03
KR100469684B1 KR100469684B1 (ko) 2005-02-02

Family

ID=1896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850A KR100469684B1 (ko) 2001-04-16 2002-04-11 편직기용 선침 장치 및 선침용 모듈 핑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94780B2 (ko)
EP (1) EP1388600B1 (ko)
JP (1) JP3950057B2 (ko)
KR (1) KR100469684B1 (ko)
CN (1) CN1257323C (ko)
DE (1) DE60234332D1 (ko)
TW (1) TWI257966B (ko)
WO (1) WO20020862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134A (ko) * 2015-11-12 2018-07-13 산토니 에쎄.뻬.아. 개방 및 폭-가변식 웹 제작을 위한 개방형 환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399A1 (ja) * 2006-06-22 2007-12-27 Wac Data Service Kabushiki Kaisha 編機用選針装置
ITBS20070159A1 (it) * 2007-10-18 2009-04-19 Sys Tec S R L Dispositivo di selezione di sottoaghi
IT1393024B1 (it) * 2008-07-09 2012-04-11 Sys Tec S R L Levetta di selezione di sottoaghi di una macchina tessile per maglieria
IT1390594B1 (it) * 2008-07-09 2011-09-09 Sys Tec S R L Gruppo di selezione di sottoaghi di macchine tessili per maglieria
IT1401861B1 (it) * 2010-10-08 2013-08-28 Sys Tec S R L Dispositivo di selezione di sottoaghi per una macchina tessile
CN102899800B (zh) * 2012-10-29 2014-01-15 芮国林 可更换压电陶瓷驱动片的压电陶瓷选针器
CN108914355A (zh) * 2018-09-05 2018-11-30 诸暨市通威针织机械厂 用于袜面成孔的袜机拨针装置及其网孔袜机
CN111197196A (zh) * 2020-01-19 2020-05-26 重庆胜普昂凯科技有限公司 压电选针片及压电选针组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6477B (it) * 1986-07-08 1988-11-16 Lonati Spa Dispositivo per la selezione degli aghi in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in particolare per calze
JPH0213509Y2 (ko) * 1987-12-22 1990-04-13
JPH0213509A (ja) 1988-06-30 1990-01-17 Fuji Electric Co Ltd 全方向移動駆動コンベア
JPH0694619B2 (ja) * 1988-10-05 1994-11-24 ワツクデータサービス株式会社 編機用選針装置
JPH08109554A (ja) * 1994-10-07 1996-04-30 Wac Data Service Kk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フィンガ
JPH09256252A (ja) * 1996-03-19 1997-09-30 Fukuhara Seiki Seisakusho:Kk 圧電体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編みツール制御装置
ES2228055T3 (es) * 1998-06-25 2005-04-01 Wac Data Service Kabushiki Kaisha Selector de aguja para maquina tejedora.
JP4108190B2 (ja) * 1998-08-25 2008-06-2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丸編機用アクチュエーターフィンガー
JP2002266210A (ja) * 2000-12-27 2002-09-18 Mitsutech Kk 編機用選針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134A (ko) * 2015-11-12 2018-07-13 산토니 에쎄.뻬.아. 개방 및 폭-가변식 웹 제작을 위한 개방형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8600B1 (en) 2009-11-11
CN1257323C (zh) 2006-05-24
DE60234332D1 (de) 2009-12-24
EP1388600A4 (en) 2004-08-18
US6694780B2 (en) 2004-02-24
JPWO2002086216A1 (ja) 2004-08-12
CN1460138A (zh) 2003-12-03
US20030164008A1 (en) 2003-09-04
WO2002086216A1 (fr) 2002-10-31
EP1388600A1 (en) 2004-02-11
JP3950057B2 (ja) 2007-07-25
KR100469684B1 (ko) 2005-02-02
TWI257966B (en)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684B1 (ko) 편직기용 선침 장치 및 선침용 모듈 핑거
KR910007622B1 (ko) 편직기용 선침장치
CN102227526B (zh) 用于制造设有花纹的针织物的针织机和为此的针床
US6112558A (en) Computer-controlled ground mesh jacquard knitting machine
KR100397029B1 (ko) 원형편기에있어서의편직기구제어장치
CN211079508U (zh) 一种可自动复位的移圈针及具有该移圈针的移圈机构
JP6577685B1 (ja) 給糸位置が変更可能な横編機用給糸器
KR20010013570A (ko) 편물기용 선침장치
US5775244A (en) Needle clamping mechanism of a sewing machine
JPH1037050A (ja) アクチュエータのフィンガの製法
KR102179409B1 (ko) 다양한 얀 공급 위치를 갖는 횡편기 얀 공급기
WO2007148399A1 (ja) 編機用選針装置
US11421354B2 (en) Flat knitting machine yarn feeder with variable yarn feeding positions
JP2000017550A (ja) 編機用圧電選針装置
EP0533632A2 (e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selecting the needle actuating sinkers in an automatic flat knitting machine
KR20010113833A (ko) 스타킹 편물기용 니들 제어장치
JP2009215672A (ja) 刺しゅう縫機能付きミシンの刺しゅう枠取付装置
JPH10331060A (ja) 電磁選択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編みツール制御装置
KR20220032695A (ko) 17색사 편성이 가능한 전자식 헤드구동 양말편기
JP2003278059A (ja) フィンガのバウンド運動を抑制する編機用選針装置とその方法
KR100483572B1 (ko) 레이스 편직기
KR200194874Y1 (ko) 재봉틀
JPH0733985U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
KR200280939Y1 (ko) 재봉기 및 자수기의 보빈보관장치
KR200154269Y1 (ko)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