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879A -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879A
KR20030014879A KR1020010048766A KR20010048766A KR20030014879A KR 20030014879 A KR20030014879 A KR 20030014879A KR 1020010048766 A KR1020010048766 A KR 1020010048766A KR 20010048766 A KR20010048766 A KR 20010048766A KR 20030014879 A KR20030014879 A KR 2003001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floor
front side
panel
vehicle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4879A/ko
Publication of KR2003001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와 서브 프레임,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플로어 패널, 터널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하단부의 센터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 하단부에 양쪽 대칭으로 설치되는 '

Description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Double impact dispersion-absorption structure of center floor the lower part}
본 발명은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Front Side Lower Member) 하단에 'ㄷ'자 형태의 절곡부를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여 외측은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결합시키고 내측은 충격 하단 터널부에 상기 터널부 단면과 중첩되게 절곡 성형된 보강 부재와 중첩 결합시킴으로써 정면 충돌시 서브 프레임 마운팅 리어부를 통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충돌 하중을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보강판으로 2단 분산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나누어서 차체와 샤시로 구분되는데, 상기 차체는 차량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차체 실내, 엔진룸, 트렁크 룸, 펜더 등으로 구성되고, 샤시는 차체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엔진 등과 같은 주행에 필요한 모든 구성장치 등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차체와 후방 차체로 구분되는데, 상기 전방 차체는 대쉬 패널과 휠 하우스 및 전방 펜더를 갖춘 내판 부분과 후드와 전방 선단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외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차체는 플로어 뒤쪽에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것 이외에는 외부에서의 힘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얇은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플로어 패널과 사이드 패널, 루프 패널, 카울 패널 및 도어 등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후방차체는 후방 플로어 패널과 후방 펜더 및 하부 백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센터 플로어 하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면에 도시하였듯이, 자동차의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구조는 길이 방향의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가 좌우로 엔진과 변속기를 지지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의 후방으로는 대쉬 패널(2)이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대쉬 패널(2) 하부측으로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가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4)까지 연장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의 A′-A′단면에 대한 단면도와 A - A 단면에 대한 사시도인 도 2와 도 3에 도시하였듯이 ''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4)는 차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5)의 하부측에 양쪽 대칭으로 부착 고정되고,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5) 양측부에는 양쪽 대칭으로 'ㅁ'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실 사이드 패널(6)이 부착 고정되며,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5)의 중간부에 형성된 터널부(7)의 상부면에 부착 고정되는 보강재(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센터 플로어 하단부 구조는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의 단면이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작은 단면으로 변화되는 구간이 짧아 정면 충돌시 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와 샤시의 서브 프레임에서 들어오는 충돌 하중이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좁은 단면으로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므로 대쉬 패널 하단부에 연결되는 센터 플로어 패널 하부의 변형 량이 커지고, 심한 변형으로 인해 운전자 및 승객의 하반신 상해치가 커서 충돌 안전성 측면에서 불리한 구조이며, 공회전시 터널부의 구조 강성이 취약하여 패널 진동에 의한 실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에서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로의 하중 분산 경로를 2 군데로 분산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쉬패널 하단부의 차체 변형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운전자 및 승객의 충돌 안전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 하단에 'ㄷ'자 형태로 절곡 성형된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좌우 대칭으로 2 군데 설치하여 상기 제 1 절곡부는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결합시키고 제 2 절곡부에는 센터 플로어 터널부 상부측에 부착된 보강재를 제거하고 하부측에 상기 터널부 단면과 중첩되게 절곡 성형된 보강판을 설치하여 부착시킴으로써 정면 충돌시 서브 프레임 마운팅 리어부를 통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충돌 하중을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터널부로 분산 흡수시키는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센터 플로어 하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 - A 단면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 - B 단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단면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 20 :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30 : 보강판 40 : 서브 프레임
50 : 대쉬 패널 60 : 실 사이드 패널
70 : 터널부 80 : 실사이드 인너 패널
90 : 플로어 패널 100 : 제 1 절곡부
110 : 제 2 절곡부
본 발명은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 하단에 절곡 성형된 절곡부를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여 사이드 멤버와 센터 플로어 터널부 하부측에 부착된 보강 부재와 중첩 결합시킴으로써 전면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 하중을 센터 플로어 사이드멤버와 보강판으로 2단 분산 흡수시키는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단면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 - B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였듯이,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가 좌우로 엔진과 변속기를 지지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의 후방으로는 대쉬 패널(50)을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대쉬 패널(50) 하부측으로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가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까지 연장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에서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로의 하중 분산 경로를 2군데로 분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 하단부에는 ''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 1 절곡부(100)와 제 2 절곡부(110)가 양측 대칭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00)는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의 일단측과 중첩되게 결합되고 제 2 절곡부(110)는 센터 플로어 터널부(70) 하부측에 상기 터널부(70) 단면에 중첩되게 부착되는 보강판(30)에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 1절곡부(100)에 연결되는 ''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는 차체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90)의 하부측에 양쪽 대칭으로 부착 고정된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90) 양측부에는 양쪽 대칭으로 'ㅁ'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실 사이드 패널(60)이 부착 고정된다.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90)의 중간부에 형성된 터널부(70)의 내측부에는 상기 터널부(70)의 단면과 중첩되게 절곡 성형된 보강판(30)이 상기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와 함께 결합 고정되면서 동시에 상기 보강판(30)은 제 2 절곡부(110)에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하였듯이, 정면 충돌시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에서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로 전달되는 충돌 하중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 하단에 양측 대칭으로 형성된 ''자 모양의 단면형상을 갖는 제 1 절곡부(100)와 제 2 절곡부(110)에 각각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에서 전달되는 충돌 하중은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로 전달 흡수되고 서브 프레임(40)에서 전달되는 충돌 하중은 터널부(70)의 내측에 부착된 보강판(30)에 전달되어 흡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정면 충돌시 차체로 전달된 충돌 하중이 2단 분산 흡수되어 대쉬 하단부의 변형량이 감소하여 운전자 및 승객의 충돌 안전성이 향상되고, 공회전시 터널부의 구조 강성이 증가하여 패널 진동에 의한 실내 소음이 제거되므로 실내 쾌적성이 증가하며, 종래의 플로어 패널의 터널부에서 설치되는 보강재가 삭제되므로 부품수와 작업 공정수, 그리고, 차량 제작비용이 감소됨과 동시에 차량의 경량화를 기대할 수 있고 경량화로 인한 연비가 개선된다.

Claims (1)

  1.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와 서브 프레임,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플로어 패널, 터널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하단부의 센터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프론트 사이드 리어 로우어 멤버(10) 하단부에 양쪽 대칭으로 설치되는 ''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 1 절곡부(100)와 제 2 절곡부(110), 상기 제 1 절곡부(100)에 일단측이 중첩 결합되는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0) 및 상기 제 2 절곡부(110)에 일단측이 중첩 결합되는 보강판(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 흡수 구조.
KR1020010048766A 2001-08-13 2001-08-13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 KR20030014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66A KR20030014879A (ko) 2001-08-13 2001-08-13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66A KR20030014879A (ko) 2001-08-13 2001-08-13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879A true KR20030014879A (ko) 2003-02-20

Family

ID=2771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766A KR20030014879A (ko) 2001-08-13 2001-08-13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487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5779A (ja) * 1985-10-31 1987-05-1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S6426581U (ko) * 1987-08-11 1989-02-15
KR19990019315A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JPH1178991A (ja) * 1997-09-16 1999-03-23 Fuji Heavy Ind Ltd 車両の前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5779A (ja) * 1985-10-31 1987-05-1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S6426581U (ko) * 1987-08-11 1989-02-15
KR19990019315A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JPH1178991A (ja) * 1997-09-16 1999-03-23 Fuji Heavy Ind Ltd 車両の前部車体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KR20220086890A (ko) 전방 차체 구조
JP5076718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1016822A (ja) 自動車の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20030014879A (ko) 자동차 센터 플로어 하단부의 2단 충격 분산-흡수 구조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JP2001130450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CN218662067U (zh) 机舱纵梁与a柱连接结构和车辆
JP2000016334A (ja) コンバーチブル車の車体前部構造
JPH075027Y2 (ja) ダツシユパネルの補強構造
JPH0628372Y2 (ja) 自動車のハンドルサポ−ト構造
JPH0514947Y2 (ko)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00339236B1 (ko) 자동차의 충돌 충격 완화 장치
JP3636043B2 (ja) シート取付部構造
KR19980061050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JPH09216575A (ja) 自動車の衝突時の衝撃吸収構造
JPH11255050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構造
KR100192217B1 (ko)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
KR20050011521A (ko) 자동차용 대시 판넬 보강 구조
KR19980038286U (ko) 차량의 프론트 시트 크로스 멤버 보강구조
KR19990008936U (ko) 자동차의 카울 컴플리트패널 어셈블리의 구조
KR19980024572U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20010035861A (ko) 자동차용 전방 충돌력 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