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563A -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563A
KR20030014563A KR1020020036202A KR20020036202A KR20030014563A KR 20030014563 A KR20030014563 A KR 20030014563A KR 1020020036202 A KR1020020036202 A KR 1020020036202A KR 20020036202 A KR20020036202 A KR 20020036202A KR 20030014563 A KR20030014563 A KR 2003001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gas
thin film
vapor phase
high 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039B1 (ko
Inventor
사카모토히토시
야하타나오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 C23C16/448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by in situ generation of reactive gas by chemical or electrochemical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0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 halides
    • C23C16/14Deposition of only one other metal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은 고순도 구리를 염소 가스를 함유한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상기 고순도 구리를 에칭함으로써, 활성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CuxCly가스를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으로 반송해서 구리 박막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저가의 고순도 구리와, 저가의 염소, 염화 수소 또는 염소 및 수소를 원료 가스로서 이용함으로써 탄소와 같은 불순물이 잔류하지 않고 또한 막질이 양호한 구리 박막을 높은 재현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및 장치{METAL FILM VAPOR PHASE DEPOSITION METHOD AND VAPOR PHASE DEPOS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배선 재료 막의 형성 등에 적용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및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배선 재료 등에서 이용되는 구리(Cu) 박막은 진공증착법, 이온도금법, 스퍼터링과 같은 물리적인 성막법과, 화학적 기상 성장법(CVD)에 의해서 형성된다. 특히, CVD는 표면 피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CVD를 이용하는 종래의 공지된 구리 박막 형성 방법은 구리·헥사플루로아세틸아세톤에이트·트리메틸비닐실란과 같은 액체의 유기 구리 복합체를 원료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2-72066 호, 제 1992-74866 호 및 1997-53177 호 공보에는 플루오르를 함유하지 않은 유기 금속 복합체를 원료로서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원료는 승화되고, 반송되고, 열, 광 또는 플라즈마에 의해서 여기되어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에 구리 박막을 성막한다.
불행하게도, 상술한 종래의 구리 박막 형성 방법은 하기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1) 원료 화합물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성막된 구리 박막의 가격이 높게 된다.
(2) 승화의 경우에 제어가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균질의 구리 박막을 높은 재현성으로 성막하는 것이 곤란하다.
(3) 탄소를 함유한 유기 화합물의 경우에, 구리 박막중에 탄소가 혼합되어 전기적 특성 등에 악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인 고순도 구리와, 저가인 염소, 염화 수소 또는 염소 및 수소를 원료 가스로서 이용함으로써 탄소와 같은 불순물을 잔류시키지 않고 막질이 양호한 구리 박막을 높은 재현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특성을 가진 구리 박막의 성막을 실현할 수 있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은 고순도 구리를 염소 가스를 함유한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상기 고순도 구리를 에칭함으로써, 활성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CuxCly가스를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으로 반송해서 구리 박막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은 고순도 구리를 염화 수소 가스를 함유한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상기 고순도 구리를 에칭함으로써, 활성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CuxCly가스를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으로 반송해서 구리 박막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은 고순도 구리를 염소 가스 및 수소를 함유한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상기 고순도 구리를 에칭함으로써, 활성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 및 수소를 함유하는 혼합 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가스를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으로 반송해서 구리 박막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200℃ 내지 400℃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판은 100℃ 내지 200℃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는 피처리 기판이 내부에 위치된 반응 용기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상기 피처리 기판과 대향해서 배치된 고순도 구리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 가스 및 염화 수소 가스의 가스를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 및 염화 수소의 플라즈마를 발생하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 수단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는 피처리 기판이 내부에 위치된 반응 용기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상기 피처리 기판과 대향해서 배치된 고순도 구리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 공급관과, 상기 반응 용기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수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 공급관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 및 수소의 플라즈마를 발생하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 수단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는 상기 고순도 구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온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는 상기 기판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온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에서 알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이점은 이후에 특별히 지적되는 기구 및 조합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리 박막 성장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 부재2 : 반응 부재
3 : 가열 부재4 : 고순도 구리판
6, 13, 14 : 가스 공급관8 : RF 코일
10 : 피처리 기판11 : CuxCly플럭스
17 : CuxCly+ H 플럭스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상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저부에 진공 펌프와 같은 배기 부재(1)가 연결되는 박스형 반응 용기(2)내에는 피처리 기판이 탑재되는 제 2 온도 제어 수단, 예를 들면 평판형 가열 부재(3)가 배치되어 있다. 고순도 구리, 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4)은 반응 용기(2)의 상부에 가열 부재(3)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언급하는 고순도 구리라는 것은 구리의 순도가 99.9% 또는 그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순도 구리의 형상은 평판이 아니라 예를 들면 블록일 수 있다.
제 1 온도 제어 수단, 예를 들면 가열/냉각 부재(5)는 가열 부재(3)의 대향면으로 멀리 고순도 구리판(4)의 표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염소 가스를 함유하는 가스(또는 연화수소 가스를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6)은 반응 용기(2)의 상부 측벽에 연결되어 있다. 유량 제어기(7)는 반응 용기(2)의 외부에 위치하는 가스 공급관(6)의 부분내에 설치된다.
RF 코일(8)은 반응 용기(2)의 상부 측벽 둘레에 권취된다. RF 전원(9)은 RF 코일(8)에 연결되고, 13,56㎒의 RF 파워를 상기 RF 코일(8)에 인가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발생 수단은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발생기로 한정되지 않고,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 발생기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순도 구리판(4)이 반응 용기(2)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고, 피처리 기판(10)이 탑재되는 가열 부재(3) 및 배기 부재(1)가 반응 용기(2)의 하부에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방향 위치 관계는 반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를 이용하여 구리 성막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기판(10)은 반응 용기(2)내의 가열 부재(3)상에 위치된다. 배기 부재(1)를 작동시켜 반응 용기(2)내의 가스(공기)를 소정의 진공도로 설정한다.
다음에, 염소(Cl2)를 함유하는 가스가 가스 공급관(6)을 통해 반응 용기(2)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염소 함유 가스의 유량은 가스 공급관(6)내에 설치된 유량 제어기(7)에 의해 제어된다. 반응 용기(2)의 상부에 위치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는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제어된 후에, RF 전원(9)은 13.56㎒의 RF 파워를 RF 코일(8)에 인가하며, 이에 의해 반응 용기(2)내의 고순도 구리판(4)의 아래 근방에서 염소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이러한 염소 함유 플라즈마의 발생에 따라서 과도하게 상승된다면, 가열/냉각 부재(5)가 고순도 구리판(4)을 목적 온도로 제어한다.
따라서, 반응 용기(2)내에 염소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고순도 구리판(4)은 여기 염소(excited chlorine)에 의해 에칭되고 반응하여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CuxCly플럭스(11)는 가열 부재(3)에 의해 가열된 기판(10)으로 전달되고, 기판(10)의 표면상에 구리 박막(12)을 석출한다. 여기에서 CuxCly가스의 x 및 y는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반응은 하기의 수학식 1로 표시된다.
반응에 관여되지 않은 가스 및 에칭 생성물은 배기 부재(1)에 의해 배기된다.
예를 들면, 구리 박막의 두께는 1㎚ 내지 1㎛이다.
염소(Cl2)를 함유한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염소 가스 단독으로 또는 희석 가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희석 가스는 헬륨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 염소 가스를 희석한 것으로 염소 농도가 50% 또는 그 이하이다.
가열 부재(3)에 의해 기판(10)을 가열하는 것은 실용적인 구리 성막 속도를 얻기 위해서 고순도 구리(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의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실행하여 CuxCly가스의 기판 표면으로의 흡착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가 너무 낮다면, 염화물이 구리 박막중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순도 구리의 온도가 200℃ 내지 400℃로 설정된다면, 기판의 온도는 예를 들면 100℃ 내지 20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를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 0 내지 600℃의 범위내로 조절함으로써, 염소 플라즈마 분위기에 있어서 표면 에칭 속도 및 에칭 형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하한 온도는 염소 가스가 응집되지 않는 온도이며, 상한 온도는 고순도 구리가 용해되지 않는 온도이다. 즉,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내에서 상승되는 경우, 에칭 속도(CuxCly생성 량)를 증가시키고, 구리 성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리의 박막 품질을 고려하여, 온도는 에칭 반응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200℃ 내지 400℃의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용기(2)내의 염소 가스의 압력은 진공 분위기에서 고순도 구리판을 실용적인 속도로 에칭하기 위해서 0.1 Torr 내지 10 Torr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저가인 고순도 구리(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4)가 배치된 반응 용기(2)내로 저가인 염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가스 공급관(6)을 통해서 공급한다. RF 전원(9) 및 RF 코일(8)은 반응 용기(2)내의 고순도 구리판(4) 아래 근방에서 염소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고순도 구리판(4)은 여기 염소에 의해 에칭되고 반응하여 CuxCly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CuxCly플럭스(11)는 기판(10)으로 전달되어 기판(10)상에 구리 박막(12)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고순도 구리의 온도, 염소 가스의 압력 및 유량, 및 피처리 기판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승화법을 이용하는 성막과 비교해서 제어 파라메터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탄소와 같은 불순물을 잔류시키지 않고 박막 품질이 양호한 구리 박막을 기판상에 높은 재현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리 성막 방법을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피처리 기판(10)은 반응 용기(2)내의 가열 부재(3)상에 위치된다. 배기 부재(1)를 작동시켜 반응 용기(2)내의 가스(공기)를 소정의 진공도로 한다.
다음에, 염화 수소(HCl)를 함유하는 가스가 가스 공급관(6)을 통해 반응 용기(2)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염화 수소 함유 가스의 유량은 가스 공급관(6)내에 설치된 유량 제어기(7)에 의해 제어된다. 반응 용기(2)의 상부에 위치된 고순도 구리판(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는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제어된 후에, RF 전원(9)은 13.56㎒의 RF 파워를 RF 코일(8)에 인가하며, 이에 의해 반응 용기(2)내의 고순고 구리판(4)의 아래 근방에서 염화 수소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이러한 염화 수소 함유 플라즈마의 발생에 따라서 과도하게 상승된다면, 가열/냉각 부재(5)가 고순도 구리판(4)을 목적 온도로 제어한다.
따라서, 반응 용기(2)내에 염화 수소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고순도 구리판(4)은 여기 염소에 의해 에칭되고 반응하여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CuxCly플럭스(11)는 가열 부재(3)에 의해 가열된 기판(10)으로 전달되고, 기판(10)의 표면상에 구리 박막(12)을 석출한다. 여기에서 CuxCly가스의 x 및 y는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반응은 하기의 수학식 2로 표시된다.
반응에 관여되지 않은 가스 및 에칭 생성물은 배기 부재(1)에 의해 배기된다.
예를 들면, 구리 박막의 두께는 1㎚ 내지 1㎛이다.
염화 수소(HCl)를 함유한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수소 가스 단독으로 또는 희석 가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희석 가스는 헬륨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 염화 수소 가스를 희석한 것으로 염소 농도가 50% 또는 그 이하이다.
가열 부재(3)에 의해 기판(10)을 가열하는 것은 실용적인 구리 성막 속도를 얻기 위해서 고순도 구리(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의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실행하여 CuxCly가스의 기판 표면으로의 흡착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가 너무 낮다면, 염화물이 구리 박막중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순도 구리의 온도가 200℃ 내지 400℃로 설정된다면, 기판의 온도는 예를 들면 100℃ 내지 20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를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 0 내지 600℃의 범위내로 조절함으로써, 염화 수소 플라즈마 분위기에 있어서 표면 에칭 속도 및 에칭 형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하한 온도는 염소 가스가 응집되지 않는 온도이며, 상한 온도는 고순도 구리가 용해되지 않는 온도이다. 즉,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내에서 상승되는 경우, 에칭 속도(CuxCly생성 량)를 증가시키고, 구리성막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리의 박막 품질을 고려하여, 온도는 에칭 반응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200℃ 내지 400℃의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용기(2)내의 염화 수소 가스의 압력은 진공 분위기에서 고순도 구리판을 실용적인 속도로 에칭하기 위해서 0.1 Torr 내지 10 Torr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저가인 고순도 구리(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4)가 배치된 반응 용기(2)내로 저가인 염화 수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가스 공급관(6)을 통해서 공급한다. RF 전원(9) 및 RF 코일(8)은 반응 용기(2)내의 고순도 구리판(4) 아래 근방에서 염화 수소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고순도 구리판(4)은 여기 염소에 의해 에칭되고 반응하여 CuxCly가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CuxCly플럭스(11)는 기판(10)으로 전달되어 기판(10)상에 구리 박막(12)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고순도 구리의 온도, 염화 수소 가스의 압력 및 유량, 및 피처리 기판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승화법을 이용하는 성막과 비교해서 제어 파라메터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탄소와 같은 불순물을 잔류시키지 않고 박막 품질이 양호한 구리 박막을 기판상에 높은 재현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도 2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기상 성장 장치는 반응 용기(2)의 상부 측벽에 연결되어 염소를 함유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 공급관(13)과, 상기 제 1 가스 공급관(13)과 반대측의 반응 용기(2)의 상부 측벽에 연결되어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 공급관(14)을 포함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가스 공급관(13, 14)에는 유량 제어기(15, 16)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순도 구리(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4)가 탑재되어 있고, 피처리 기판(10)이 탑재되는 가열 부재(3) 및 배기 부재(1)가 반응 용기(2)의 하부에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방향 위치 관계는 반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순도 구리의 형상은 평판이 아니라 예를 들면 블록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를 이용하여 구리 성막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기판(10)은 반응 용기(2)내의 가열 부재(3)상에 위치된다. 배기 부재(1)를 작동시켜 반응 용기(2)내의 가스(공기)를 소정의 진공도로 설정한다.
다음에, 염소(Cl2)를 함유하는 가스가 제 1 가스 공급관(13)을 통해 반응 용기(2)내로 공급되고, 수소가 제 2 가스 공급관(14)을 통해 반응 용기(2)내로 공급된다. 이들 염소 함유 가스 및 수소의 유량은 가스 공급관(13, 14)내에 설치된 유량 제어기(15)에 의해 제어된다. 반응 용기(2)내에, 예를 들면 상부에 위치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는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제어된 후에, RF 전원(9)은 13.56㎒의 RF 파워를 RF 코일(8)에 인가하며, 이에 의해 반응 용기(2)내의 고순고 구리판(4)의 아래 근방에서 염소 + 수소의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이러한 염소 + 수소의 플라즈마의 발생에 따라서 과도하게 상승된다면, 가열/냉각 부재(5)가 고순도 구리판(4)을 목적 온도로 제어한다.
따라서, 반응 용기(2)내에 염소 + 수소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고순도 구리판(4)은 여기 염소에 의해 에칭되고, 수소의 해리가 발생되어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의 플럭스(17)가 생성된다. 이러한 플럭스(17)는 가열 부재(3)에 의해 가열된 기판(10)으로 전달되고, 기판(10)의 표면상에 구리 박막(12)을 석출한다. 여기에서 CuxCly가스의 x 및 y는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반응은 하기의 수학식 3으로 표시된다.
반응에 관여되지 않은 가스 및 에칭 생성물은 배기 부재(1)에 의해 배기된다.
예를 들면, 구리 박막의 두께는 1㎚ 내지 1㎛이다.
염소(Cl2)를 함유한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염소 가스 단독으로 또는 희석 가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희석 가스는 헬륨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 염소 가스를 희석한 것으로 염소 농도가 50% 또는 그 이하이다.
가열 부재(3)에 의해 기판(10)을 가열하는 것은 실용적인 구리 성막 속도를 얻기 위해서 고순도 구리(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의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실행하여 CuxCly가스의 기판 표면으로의 흡착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가 너무 낮다면, 염화물이 구리 박막중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순도 구리의 온도가 200℃ 내지 400℃로 설정된다면, 기판의 온도는 예를 들면 100℃ 내지 20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를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 0 내지 600℃의 범위내로 조절함으로써, 염소 + 수소의 플라즈마 분위기에 있어서 표면 에칭 속도 및 에칭 형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하한 온도는 염소 가스가 응집되지 않는 온도이며, 상한 온도는 고순도 구리가 용해되지 않는 온도이다. 즉,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내에서 상승되는 경우, 에칭 속도(CuxCly생성 량)를 증가시키고, 구리 성막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리의 박막 품질을 고려하여, 온도는 에칭 반응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200℃ 내지 400℃의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용기(2)내의 염소 가스의 압력은 진공 분위기에서 고순도 구리판을 실용적인 속도로 에칭하기 위해서 0.1 Torr 내지 10 Torr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용기(2)내의 수소 가스의 압력은 환원반응에 의해 구리 박막의 석출(성막)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0.1 Torr 내지 10 Torr 범위내에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저가인 고순도 구리(예를 들면 고순도 구리판)(4)가 배치된 반응 용기(2)내로 저가인 염소 및 수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제 1 및 제 2 가스 공급관(13, 14)을 통해서 공급한다. RF 전원(9) 및 RF 코일(8)은 반응 용기(2)내의 고순도 구리판(4) 아래 근방에서 염소 및 수소의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고순도 구리판(4)의 여기 염소에 의한 에칭과 수소의 해리에 의해서 CuxCly및 H의 플럭스(17)를 생성한다. 이러한 플럭스(17)는 기판(10)으로 전달되어 기판(10)상에 구리 박막(12)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고순도 구리의 온도, 염소 가스 및 수소의 압력 및 유량, 및 피처리 기판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승화법을 이용하는 성막과 비교해서 제어 파라메터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탄소와 같은 불순물을 잔류시키지 않고 박막 품질이 양호한 구리 박막을 기판상에 높은 재현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300㎜인 피처리 기판(10)은 반응 용기(2)내에 가열 부재(3)상에 설치되고, 200℃로 가열된다. 배기 부재(1)를 작동시켜 반응 용기(2)내의 가스(공기)를 배기해서 소정의 진공도로 설정한다.
다음에, 염소(Cl2)를 가스 공급관(6) 및 유량 제어기(7)를 통해서 반응 용기(2)내에 100 sccm의 유량으로 공급한다. 반응 용기(2)내의 염소의 압력은 5 Torr 이다. 반응 용기(2)의 상부에 배치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는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서 300℃로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제어된 후에, RF 전원(9)으로부터 RF 코일(8)로 13.56㎒의 RF 파워가 인가되어, 반응 용기(2)내의 고순도 구리판(4) 아래 근방에서 염소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따라서, 고순도 구리판(4)이 여기 염소에 의해 에칭되고 반응해서 CuxCly플럭스(11)가 생성되어, 기판(10)의 표면상에 두께가 500㎚인 구리 박막(12)을 석출했다. 반응에 관여되지 않은 가스 및 에칭 생성물은 배기 부재(1)에 의해 배기된다.
상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 구리 박막이 100㎚/분의 속도로 그리고 3% 또는 그 이하의 편차로 기판상에 균질로 성막된다. 이러한 구리 박막은 벌크 구리(bulk copper)의 저항률과 동등한 특성을 갖고 있다.
(실시예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300㎜인 피처리 기판(10)은 반응 용기(2)내에 가열 부재(3)상에 설치되고, 170℃로 가열된다. 배기 부재(1)를 작동시켜 반응 용기(2)내의 가스(공기)를 배기해서 소정의 진공도로 설정한다.
다음에, 염화 수소(HCl)를 가스 공급관(6) 및 유량 제어기(7)를 통해서 반응 용기(2)내에 100 sccm의 유량으로 공급한다. 반응 용기(2)내의 염소의 압력은 5 Torr 이다. 반응 용기(2)의 상부에 배치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는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서 300℃로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제어된 후에, RF 전원(9)으로부터 RF 코일(8)로 13.56㎒의 RF 파워가 인가되어, 반응 용기(2)내의 고순도 구리판(4) 아래 근방에서 염화 수소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따라서, 고순도 구리판(4)이 여기 염화 수소에 의해 에칭되고 반응해서 CuxCly플럭스(11)가 생성되어, 기판(10)의 표면상에 두께가 500㎚인 구리 박막(12)을 석출했다. 반응에 관여되지 않은 가스 및 에칭 생성물은 배기 부재(1)에 의해 배기된다.
상술한 실시예 2에 있어서, 구리 박막이 100㎚/분의 속도로 그리고 3% 또는 그 이하의 편차로 기판상에 균질로 성막된다. 이러한 구리 박막은 벌크 구리(bulk copper)의 저항률과 동등한 특성을 갖고 있다.
(실시예 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300㎜인 피처리 기판(10)은 반응 용기(2)내에 가열 부재(3)상에 설치되고, 150℃로 가열된다. 배기 부재(1)를 작동시켜 반응 용기(2)내의 가스(공기)를 배기해서 소정의 진공도로 설정한다.
다음에, 염소 가스를 제 1 가스 공급관(13) 및 유량 제어기(15)를 통해서 반응 용기(2)내에 100 sccm의 유량으로 공급한다. 또한, 수소를 제 2 가스 공급관(14) 및 유량 제어기(16)를 통해서 반응 용기(2)내에 500 sccm의 유량으로공급한다. 반응 용기(2)내의 염소 가스 및 수소의 압력은 각각 2.5 Torr 와 5 Torr 이다. 반응 용기(2)의 상부에 배치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는 가열/냉각 부재(5)에 의해서 300℃로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순도 구리판(4)의 온도가 제어된 후에, RF 전원(9)으로부터 RF 코일(8)로 13.56㎒의 RF 파워가 인가되어, 반응 용기(2)내의 고순도 구리판(4) 아래 근방에서 염소 및 수소의 플라즈마를 발생한다. 따라서, 고순도 구리판(4)의 여기 염소에 의한 에칭과 수소의 해리에 의해서 CuxCly및 H의 플럭스(17)를 생성되어, 기판(10)의 표면상에 두께가 500㎚인 구리 박막(12)을 석출했다. 반응에 관여되지 않은 가스 및 에칭 생성물은 배기 부재(1)에 의해 배기된다.
상술한 실시예 3에 있어서, 구리 박막이 100㎚/분의 속도로 그리고 3% 또는 그 이하의 편차로 기판상에 균질로 성막된다. 이러한 구리 박막은 벌크 구리(bulk copper)의 저항률과 동등한 특성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가의 고순도 구리와, 저가의 염소, 염화 수소 또는 염소 및 수소를 원료 가스로서 이용함으로써 탄소와 같은 불순물이 잔류하지 않고 또한 막질이 양호한 구리 박막을 높은 재현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배선 재료 막의 형성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을 가진 구리 박막의 성막을 실현할 수 있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추가적인 장점 및 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시되고 개시된 특정 상세 및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 개념의 정신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의 고순도 구리와, 저가의 염소, 염화 수소 또는 염소 및 수소를 원료 가스로서 이용함으로써 탄소와 같은 불순물이 잔류하지 않고 또한 막질이 양호한 구리 박막을 높은 재현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배선 재료 막의 형성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에 있어서,
    고순도 구리를 염소 가스를 함유한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상기 고순도 구리를 에칭함으로써, 활성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CuxCly가스를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으로 반송해서 구리 박막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판의 형상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200℃ 내지 400℃로 가열되며, 상기 기판은 100℃ 내지 200℃로 가열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4.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에 있어서,
    고순도 구리를 염화 수소 가스를 함유한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상기 고순도 구리를 에칭함으로써, 활성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CuxCly가스를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으로 반송해서 구리 박막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판의 형상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200℃ 내지 400℃로 가열되며, 상기 기판은 100℃ 내지 200℃로 가열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7.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에 있어서,
    고순도 구리를 염소 가스 및 수소를 함유한 가스의 플라즈마에 노출시켜 상기 고순도 구리를 에칭함으로써, 활성 CuxCly(x = 1 내지 3, y = 1 내지 3) 가스 및 수소를 함유하는 혼합 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가스를 피처리 기판의 표면상으로 반송해서 구리 박막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판의 형상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200℃ 내지 400℃로 가열되며, 상기 기판은 100℃ 내지 200℃로 가열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10.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 기판이 내부에 위치된 반응 용기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상기 피처리 기판과 대향해서 배치된 고순도 구리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 가스 및 염화 수소 가스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스를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 및 염화 수소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의 플라즈마를 발생하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 수단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수단을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판의 형상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온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온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14.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 기판이 내부에 위치된 반응 용기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상기 피처리 기판과 대향해서 배치된 고순도 구리와,
    상기 반응 용기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가스 공급관과,
    상기 반응 용기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수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가스 공급관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상기 고순도 구리의 근방에 염소 및 수소의 플라즈마를 발생하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 수단과,
    상기 반응 용기내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수단을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가 판의 형상인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순도 구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온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온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리 박막 기상 성장 장치.
KR10-2002-0036202A 2001-08-08 2002-06-27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KR100510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1168 2001-08-08
JP2001241168 2001-08-08
JPJP-P-2002-00025975 2002-02-01
JP2002025975A JP3680029B2 (ja) 2001-08-08 2002-02-01 金属薄膜の気相成長方法およびその気相成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63A true KR20030014563A (ko) 2003-02-19
KR100510039B1 KR100510039B1 (ko) 2005-08-25

Family

ID=2662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202A KR100510039B1 (ko) 2001-08-08 2002-06-27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048973B2 (ko)
EP (2) EP1284305B1 (ko)
JP (1) JP3680029B2 (ko)
KR (1) KR100510039B1 (ko)
DE (1) DE60234001D1 (ko)
TW (1) TW550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5790A1 (en) * 2002-02-05 2003-08-07 Hitoshi Sakamoto Metal film production apparatus and metal film production method
DE60329344D1 (de) * 2002-03-08 2009-11-05 Canon Anelva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Metall-Schichten
JP4845455B2 (ja) * 2005-09-01 2011-12-28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薄膜作製装置及び薄膜作製方法
JP4401338B2 (ja) * 2005-09-06 2010-01-20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薄膜作製装置及び薄膜作製方法
JP4401340B2 (ja) * 2005-09-14 2010-01-20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薄膜作製装置及び薄膜作製方法
KR100960958B1 (ko) * 2007-12-24 2010-06-03 주식회사 케이씨텍 박막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US10181653B2 (en) 2016-07-21 2019-01-15 Infineon Technologies Ag Radio frequency system for wearable device
US10218407B2 (en) 2016-08-08 2019-02-26 Infineon Technologies Ag Radio frequency system and method for wearable device
US10466772B2 (en) 2017-01-09 2019-11-05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of gesture detection for a remote device
US10505255B2 (en) 2017-01-30 2019-12-10 Infineon Technologies Ag Radio frequency device packages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US10602548B2 (en) 2017-06-22 2020-03-24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sensing
US10718860B2 (en) * 2018-01-11 2020-07-21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range accuracy in FMCW radar using FSK modulated chirps
US11346936B2 (en) 2018-01-16 2022-05-31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vital signal sensing using a millimeter-wave radar sensor
US11278241B2 (en) 2018-01-16 2022-03-22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vital signal sensing using a millimeter-wave radar sensor
US10795012B2 (en) 2018-01-22 2020-10-06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human behavior modelling and power control using a millimeter-wave radar sensor
US10576328B2 (en) 2018-02-06 2020-03-03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sensing on a treadmill
US10705198B2 (en) 2018-03-27 2020-07-07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air flow using a millimeter-wave radar sensor
US10775482B2 (en) 2018-04-11 2020-09-15 Infineon Technologies Ag Huma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in a setting using millimeter-wave radar
US10761187B2 (en) 2018-04-11 2020-09-01 Infineon Technologies Ag Liquid detection using millimeter-wave radar sensor
US10794841B2 (en) 2018-05-07 2020-10-06 Infineon Technologies Ag Composite material structure monitoring system
US10399393B1 (en) 2018-05-29 2019-09-03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 sensor system for tire monitoring
US10903567B2 (en) 2018-06-04 2021-01-26 Infineon Technologies Ag Calibrating a phased array system
US11416077B2 (en) 2018-07-19 2022-08-16 Infineon Technologies Ag Gestu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radar sensor
US10928501B2 (en) 2018-08-28 2021-02-23 Infineon Technologies Ag Target detection in rainfall and snowfall conditions using mmWave radar
US11183772B2 (en) 2018-09-13 2021-11-23 Infineon Technologies Ag Embedded downlight and radar system
US11125869B2 (en) 2018-10-16 2021-09-21 Infineon Technologies Ag Estimating angle of human target using mmWave radar
US11360185B2 (en) 2018-10-24 2022-06-14 Infineon Technologies Ag Phase coded FMCW radar
US11397239B2 (en) 2018-10-24 2022-07-26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 sensor FSM low power mode
EP3654053A1 (en) 2018-11-14 2020-05-20 Infineon Technologies AG Package with acoustic sensing device(s) and millimeter wave sensing elements
US11087115B2 (en) 2019-01-22 2021-08-10 Infineon Technologies Ag User authentication using mm-Wave sensor for automotive radar systems
JP6887688B2 (ja) * 2019-02-07 2021-06-16 株式会社高純度化学研究所 蒸発原料用容器、及びその蒸発原料用容器を用いた固体気化供給システム
JP6901153B2 (ja) * 2019-02-07 2021-07-14 株式会社高純度化学研究所 薄膜形成用金属ハロゲン化合物の固体気化供給システム。
US11355838B2 (en) 2019-03-18 2022-06-07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ion of EBG structures (single layer/multi-layer) for isolation enhancement in multilayer embedded packaging technology at mmWave
US11126885B2 (en) 2019-03-21 2021-09-21 Infineon Technologies Ag Character recognition in air-writing based on network of radars
US11454696B2 (en) 2019-04-05 2022-09-27 Infineon Technologies Ag FMCW radar integration with communication system
US11327167B2 (en) 2019-09-13 2022-05-10 Infineon Technologies Ag Human target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1774592B2 (en) 2019-09-18 2023-10-03 Infineon Technologies Ag Multimode communication and radar system resource allocation
US11435443B2 (en) 2019-10-22 2022-09-06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ation of tracking with classifier in mmwave radar
US11808883B2 (en) 2020-01-31 2023-11-07 Infineon Technologies Ag Synchronization of multiple mmWave devices
US11614516B2 (en) 2020-02-19 2023-03-28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 vital signal tracking using a Kalman filter
US11585891B2 (en) 2020-04-20 2023-02-21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based vital sign estimation
US11567185B2 (en) 2020-05-05 2023-01-31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based target tracking using motion detection
US11774553B2 (en) 2020-06-18 2023-10-03 Infineon Technologies Ag Parametric CNN for radar processing
US11704917B2 (en) 2020-07-09 2023-07-18 Infineon Technologies Ag Multi-sensor analysis of food
US11614511B2 (en) 2020-09-17 2023-03-28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 interference mitigation
US11719787B2 (en) 2020-10-30 2023-08-08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based target set generation
US11719805B2 (en) 2020-11-18 2023-08-08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 based tracker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 and invariant feature transform (IFT)
US11662430B2 (en) 2021-03-17 2023-05-30 Infineon Technologies Ag MmWave radar testing
US11950895B2 (en) 2021-05-28 2024-04-09 Infineon Technologies Ag Radar sensor system for blood pressure sensing,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3019A (en) * 1971-10-07 1974-04-09 Hewlett Packard Co Sputtering system
US3849283A (en) * 1972-05-01 1974-11-19 Era Patents Ltd Sputtering apparatus
JPH0618176B2 (ja) * 1986-03-14 1994-03-09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半導体製造装置
JPH0660409B2 (ja) * 1987-03-13 1994-08-10 科学技術庁長官官房会計課長 金属膜の形成法
EP0322466A1 (en) * 1987-12-24 1989-07-05 Ibm Deutschland Gmbh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for deposition of tungsten or layers containing tungsten by in situ formation of tungsten fluorides
JPH02163368A (ja) * 1988-12-15 1990-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パッタリング装置
JPH0320484A (ja) 1989-06-19 1991-01-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ドライエッチング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856782B2 (ja) 1989-10-12 1999-02-10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レテユ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低温cvdによる銅薄膜の形成方法
JP2799763B2 (ja) 1990-07-11 1998-09-21 同和鉱業株式会社 有機金属錯体を用いる薄膜の製造法
JP2802676B2 (ja) 1990-07-13 1998-09-24 同和鉱業株式会社 1,3―ジケトン系有機金属錯体を用いる薄膜の製造方法
US5085885A (en) * 1990-09-10 1992-02-04 University Of Delaware Plasma-induced, in-situ generation, transport and use or collection of reactive precursors
FR2691984B1 (fr) * 1992-06-03 1995-03-24 France Telecom Procédé de dépôt de métal sur un substrat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JP2793472B2 (ja) * 1993-06-24 1998-09-03 日本電気株式会社 銅微細加工方法および銅微細加工装置
JP3584091B2 (ja) 1995-08-11 2004-11-04 同和鉱業株式会社 Cvd用銅源物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膜法
JPH09298184A (ja) * 1996-05-07 1997-11-18 Hitachi Ltd 銅又は銅合金のエッチング方法
US5803342A (en) * 1996-12-26 1998-09-08 Johnson Matthey Electronics, Inc. Method of making high purity copper sputtering targets
US6008140A (en) * 1997-08-13 1999-12-28 Applied Materials, Inc. Copper etch using HCI and HBr chemistry
US6280563B1 (en) * 1997-12-31 2001-08-28 Lam Research Corporation Plasma device including a powered non-magnetic metal member between a plasma AC excitation source and the plasma
US6521108B1 (en) * 1998-12-29 2003-02-18 Tosoh Smd, Inc. Diffusion bonded sputter targ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423161B1 (en) * 1999-10-15 2002-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purity aluminum materials
FI20000099A0 (fi) * 2000-01-18 2000-01-18 Asm Microchemistry Ltd Menetelmä metalliohutkalvojen kasvattamiseksi
WO2001073159A1 (fr) * 2000-03-27 2001-10-0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de former un film metallique
JP2001295046A (ja) 2000-04-10 2001-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銅薄膜の気相成長装置
US6440494B1 (en) * 2000-04-05 2002-08-27 Tokyo Electron Limited In-situ source synthesis for metal CVD
JP4338113B2 (ja) * 2000-05-29 2009-10-07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作製方法及び金属超微粒子作製装置
WO2002043466A2 (en) * 2000-11-30 2002-06-06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on-thermionic sputter material transport device, methods of use, and materials produc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0677B (en) 2003-09-01
US20060118046A1 (en) 2006-06-08
US7048973B2 (en) 2006-05-23
KR100510039B1 (ko) 2005-08-25
EP1284305A2 (en) 2003-02-19
US20030031791A1 (en) 2003-02-13
EP1284305B1 (en) 2009-10-14
JP3680029B2 (ja) 2005-08-10
DE60234001D1 (de) 2009-11-26
EP2071052A2 (en) 2009-06-17
JP2003119565A (ja) 2003-04-23
EP2071052A3 (en) 2009-09-16
EP1284305A3 (en) 2004-01-07
US20090071402A1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039B1 (ko) 구리 박막 기상 성장 방법
KR102626263B1 (ko)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주기적 증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5306666A (en) Process for forming a thin metal film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US5580822A (en)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KR100538422B1 (ko) 금속막, 금속막 제조 방법 및 금속막 제조 장치
JPS63203772A (ja) 銅薄膜の気相成長方法
US6004885A (en) Thin film formation on semiconductor wafer
JPH088212A (ja) プラズマcvd方法
WO2019103995A1 (en) Methods of reducing or eliminating defects in tungsten film
EP0240314B1 (en) Method for forming deposited film
JPS6235265B2 (ko)
JP3522738B2 (ja) 化学気相成長による金属薄膜形成方法
JP3534676B2 (ja) Cu又はCu含有膜の形成方法、及び装置
JP2726149B2 (ja) 薄膜形成装置
JPH07161687A (ja)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2164290A (ja) 多結晶シリコン膜の製造方法
KR100302584B1 (ko) 산화탄탈륨박막제조방법
JPH0660408B2 (ja) 薄膜作製方法および装置
JP3975207B2 (ja) 金属膜作製装置及び金属膜作製方法
JP2004027352A (ja) 金属膜作製装置及び金属膜作製方法
JP2003160867A (ja) 化学気相成長による薄膜形成方法
JPH02240266A (ja) 薄膜形成方法および薄膜形成装置
JP2001181847A (ja) 薄膜の製造方法
JPH0647735B2 (ja) 堆積膜形成法
JPH01283374A (ja) アルミニウム薄膜の堆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