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174A -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 Google Patents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174A
KR20030014174A KR1020020047244A KR20020047244A KR20030014174A KR 20030014174 A KR20030014174 A KR 20030014174A KR 1020020047244 A KR1020020047244 A KR 1020020047244A KR 20020047244 A KR20020047244 A KR 20020047244A KR 20030014174 A KR20030014174 A KR 20030014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sitively charged
liquid development
layer
photosensi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모카와신이치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조우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조우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조우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66Dyes containing a methine or polymethine group
    • G03G5/0668Dyes containing a methine or polymethine group containing only one methine or polymethine grou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57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64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57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75Other polycondensates comprising nitrogen atoms with or without oxygen atoms in the main cha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7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 G03G5/075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7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 G03G5/075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5/076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a photoconductive moiety in the polymer backbone
    • G03G5/0763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a photoconductive moiety in the polymer backbone comprising arylamine moiety
    • G03G5/0764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a photoconductive moiety in the polymer backbone comprising arylamine moiety triarylam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7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 G03G5/075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5/076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a photoconductive moiety in the polymer backbone
    • G03G5/0763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a photoconductive moiety in the polymer backbone comprising arylamine moiety
    • G03G5/0765Polymeric photoconductive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a photoconductive moiety in the polymer backbone comprising arylamine moiety alkenylarylam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지지체 상에 전하 발생 물질, 전하 수송 물질 및 유기 결합제 수지를 함유하는 감광층을 구비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로서, 유기결합제 수지가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각각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를 나타내거나, R1및 R2는 결합하여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3, R4, R5, R6, R7, R8, R9, R10및 R11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아릴기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m 과 n 은 각각 총 70 내지 95몰%의 몰 백분율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POSTIVE CHARGING SINGLE-LAYER ORGANIC PHOTORECEPTOR FOR LIQUID DEVELOPMENT}
본 발명은 액체(또는 습식)현상 방식의 고해상도 전자 사진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양으로 작용하는 단층 유기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영상 형성 장치는 고속 처리가 가능하고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있기 때문에 프린터, 복사기, 팩스 등으로 주로 사무실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최근에, 특히 색 출력 가능 기구 및 경용량의 프린터의 분야에서의 전자 사진 영상 형성 기술들의 적용의 확대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 고계조성 및 고속화를 구현하는 전자 사진 영상 형성 기술은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개발의 결과를 반영하는 영상 형성 장치들의 시장 확대도 진행중이다.
이러한 시장의 동향에 대응하여, 상기 연구 개발에 따른 개량이 영상 형성 장치의 심장부라고 불리우는 감광체, 특히 유기 감광체에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유기 감광체는 전하 발생 기능을 가진 전하 발생층(CGL)과 전하 수송 기능을 가진 전하 수송층(CTL)을 포함하는 적층되거나 또는 이층 감광체와, 전하 발생 기능과 전하 수송 기능 둘다를 가진 감광층을 갖는 단층 감광체로 대별된다.
유기 감광체의 전자의 유형은 알루미늄 등의 원통형의 도전성 지지체를 포함하는데 이 위에 CGL 및 CTL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이들의 적용은 일반적으로 유기재료의 성질상 음전하를 띄는 영상 형성 장치에 한정된다. 후자 유형의 구조는 알루미늄 등의 원통형의 도전성 지지체를 포함하는데 이 위에 단층의 감광층이 제공되고, 원칙적으로 쉽게 고해상도를 제공하는 양전하를 띄는 영상 형성 장치에 주로 적용된다.
700 내지 800nm의 파장을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 또는 600 내지 700nm의 파장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를 노출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단층 및 적층 감광체는 전하 발생 물질(CGM)로서, 종종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들, 특히, 금속이 없는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같은 광도전성 재료를 함유한다.
CTL이 CGL 위에 적층된 기능 분리형의 적층 감광체는 전자 사진적 특성과 내구성 때문에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감광체에 사용되는 CTL은 재료적 제약에 의해 주로 정공(hole)수송 물질(HTM)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들감광체의 대부분은 음전하를 띄는 전자 사진 공정에 적합한 음전하를 띄는 층 구조를 가진다.
양성 코로나 방전과 비교해서, 음전하 영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음성 코로나 방전은 안정성이 적고 더 많은 오존을 발생시키고, 이의 강력한 산화작용으로 감광체와 사용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더 적은 오존을 발생시키는 양전하 방식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고, 이 방식에 필요한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는 일반적으로 음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 보다 저감도이다. 따라서, 고감도를 가지는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가 요구되고 있다. 양전하를 띄는 감광체는 주로 그 표면 근처에서 전하 발생 기능을 갖기 때문에, 정전기적 잠상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감광체 표면에 대한 전자들의 이동 거리가 음전하를 띄는 감광체 보다 짧다. 그 결과, 양전하를 띄는 감광체는 고해상도를 특징으로 한다.
양전하를 띄는 감광체의 감광층에 대해, 정공 수송층(HTL)위에 CGL을 갖는 적층형 및 전하 발생 물질(CGM)과 전하 수송 물질(CTM) 둘 다를 함유하는 단층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층 구조들이 제안되어왔다. 양전하를 띄는 적층형 감광체가 실용적인 적용에 있어 음전하를 띄는 적층형 감광체 보다 뒤지는데 이는 양전하를 띄는 적층형 감광체가 그 표면 위에 얇은 CGL을 가져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양전하를 띄는 단층 감광체는 전술한 감도 같은 전기적 특성의 면에서 음전하를 띄는 적층 감광체 보다 못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가능한 전자 수송 물질(ETMs)이 사용가능한 정공 수송 물질(HTMs)과 동일하거나 우수한 이동도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최근에, 많은 ETMs와 이를 사용하는 전자 사진 감광체가 JP-A-1-206349, JP-A-4-360148, 덴사이 사신 가카이시(Denshi Shashin Gakkaishi) 30권(1991)의 266-273페이지, JP-A-3-290666, JP-A-5-92936, Proceeding of Pan-Pacific Imaging Conference/Japan Hard Copy`98, 7월 15-17일, 1988, JA Hall, 도쿄, 일본, 207-210페이지, JP-A-9-151157, Proceedings of Japan Hardcopy`97, 7월 9-11일, 1998, JA Hall, 도쿄, 일본, 21-24페이지, JP-A-5-279582, JP-A-7-179775, Proceedings of Japan Hardcopy`92, 7월 6-8일, JA Hall, 도쿄, 일본, 173-176페이지 및 JP-A-10-73937에 발표되거나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JP-A-5-150481, JP-A-6-130688, JP-A-9-281728, JP-A-9-281729, 및 JP-A-10-239874에 기재된 HTM 과 ETM의 조합으로 이용되는 단층 감광체는 이들의 고감도 때문에 주목되어오고 있고 이들 중 일부는 실용화되고 있다.
한편, 전자 사진 장치들은 현상 방식에 따라 건식 현상용 또는 습식(액체)현상용으로 분류된다. 습식 현상 방식은 유전매질, 일반적으로 이소파(Isopar)(Exxon Chemicals 로부터 얻을 수 있음)와 같은 석유계 이소파라핀계 용매에 분산된 하전된 토너 입자들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액을 사용한다. 노출 처리에 의해 형성된 정전기적 잠상을 갖는 감광체는 액체 현상액에 침적되거나 접촉된다. 그 결과, 토너는 감광체와 별도로 설치된 현상 전극 사이에서 형성된 전기장에서 전기영동에 의해 잠상에 부착되어 잠상을 보이게 한다. 액체 현상 방식에서 사용된 토너는 건식 현상 방식에 사용되는 것(3 내지 10㎛)보다 작은 입자 크기(0.1 내지 1㎛)와 큰 표면적을 가지는데 이를 통해 더 큰 토너 전하를 얻는다. 그 결과, 토너 상의 어지럽힘이 전혀 일어나지 않으며 주변효과(edge effect)도 감소된다. 그리하여, 액체 현상 방식은 고해상도와 우수한 계조(gradation) 재현성의 영상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풍부한 색 영상 형성에 적합하다.
감광체가 전술한 석유계 파라핀계 용매에 침적되기 때문에, 감광층은 이 용매에 대해 내성을 가져야만 한다. 건식 현상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감광체들은 이러한 종류의 용매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외관에 상당한 악화뿐 아니라 용매 안으로 분산되는 CTM의 용출이 진행되어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에 현저한 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셀레늄 및 무정형 실리콘과 같은 무기 광도전성 물질이 액체 현상 방식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매 저항성 감광체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유기 감광체의 발전에 따라, 폴리(2,6-디메톡시안트라센-9,10-디올알칸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용매 저항성 감광체가 일본공개특허공보 JP-A-4-358157에서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감광체는 용매 저항성 보호막을 가지는 음전하를 띄는 적층 감광체이다. 음성 코로나 방전에 기인한 유해한 오존 발생의 문제를 아직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액체 현상에 사용될 수 있는 양전하를 띄는 단층 감광체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JP-A-2000-214610에 보호막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습식현상에 사용되는 주요 담체매질인 이소파에 대해 높은 내성을 보이고, CTM의 용출이 적으며, 실제 사용에 대해 고감도를 나타내는 습식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감광체의 구성이 기재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조사에 의하면, 제안된 감광체는 감도면에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고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공개특허공보 JP-A-2000-63456에는 용매에 의한 열화 및 용매로의 CTM의 용출이 없는 습식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감광체가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전하 수송 기능을 갖는 화학적 구조를 가진 블럭과 결합제 수지로서의 화학구조를 갖는 블럭의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제안된 단층 감광체의 감도는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히 고감도로 볼 수 없다 .
일본공개특허공보 JP-A-5-230202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체를 제안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반복단위로서 디아릴렌 비닐렌 아릴렌(diarylene vinylene arylene) 골격을 포함하고 전하 수송 기능을 갖는다. 상기 명세서에서는 단층 광도전성층에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사용을 언급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과 전기 사진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고 의도하지 않은 습식 현상용 감광체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습식 현상용 주요 담체매질인 이소파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 언급한 참고문헌은 아직 없다. 명세서로부터 단층 감광층을 갖는 감광체가 습식 현상에서 고감도에 도달하는지 못하는지는 불명확하다.
일본공개특허공보 JP-A-9-127713에는 표 1에서 디스티릴아민(distyrylamine) 골격(HTM으로 작용) 및 디스티릴아민 골격의 3차 아미노기에 결합된 페닐렌 그룹의 파라(para)위치에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디스티릴아민-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기재되어 있다. 비록 상기 명세서에서 상기 수지를 도 2 에 나타낸 단층 감광체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지만, 실시예 1 부터 16 에서 제조된 모든 감광체가 적층 감광체라는 것을 보면 상기 수지가 습식 현상 방식에서 뿐만 아니라 단층 감광체에서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험적 증거가 부족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현상에 사용되는 석유계 용매인 이소파라핀계 용매에 대해 높은 내성을 가지고, 용매로의 CTM 용출이 거의 없으며, 실제 사용에 대해 충분하게 고감도를 나타내는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효과들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감광체들에 대한 용매 침적 실험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에 의해 달성된다.
(1) 도전성 지지체상에 CGM, ETM 및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유기 결합제 수지를 함유하는 감광층이 구비된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 .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각각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를 나타내거나, R1및 R2는 결합하여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3, R4, R5, R6, R7, R8, R9, R10및 R11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아릴기,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m 과 n 은 각각 총 70 내지 95몰%의 몰백분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2) 상기 (1)에서, 상기 감광층이 금속이 없는 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
(3) 상기 (1)에서, 상기 감광층이 티타닐 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감광층이 정공 수송 물질을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
(5) 상기 (4)에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 및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중합체에서 정공 수송 기능을 가진 성분의 총 함량이 상기 전자 수송 물질의 함량 보다 큰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중합체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
(여기서 m 과 n 은 총 80 내지 90몰%이다.)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감광층의 상기 중합체의 함량이 70중량% 또는 그 이상인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감광체(10)는 원통형 도전성 기판(1),프리머(primer)층(2)을 통해 지지체상에 구비된 단층 감광층(3)을 포함한다. 프리머층(2)은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는 선택요소이다.
원통형 도전성 기판(1)은 감광체의 전극으로서 뿐만아니라 감광층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된다. 도전성 기판(1)을 만드는 재료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및 니켈과 같은 금속과 표면 처리에 의해 도전성을 갖게 된 유리 및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질을 포함한다. 대부분 알루미늄계 금속의 원통형 도전성 기판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프리머층(2)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이거나 산화 피막 처리된 알루미늄(Alumilite)과 같은 금속 산화물 필름이다. 프리머층(2)은 도전성 기판(1)으로부터 감광층(3)으로의 전하의 주입을 제어할 의도를 가진 적절하게 제어된 도전성(108내지 1012Ω㎝)을 갖는 것과 도전성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높은 전도성(108Ω㎝ 또는 그 보다 낮은 고유저항)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프리머층(2)은 기판의 표면 흠집을 덮고 도전성 기판(1)과 감광층(3)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리머층(2)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필름 형성 수지 물질(결합제 수지)은 카세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와 같은 절연중합체들; 및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피롤(polypyrrole)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도전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제 수지는 개별적으로 또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산화 티타늄 및 산화아연과 같은 금속 산화물의 입자를 결합제 수지 안으로 혼입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는 도전성을 갖도록 처리되거나 아미노실란(aminosilane)등으로 표면처리되어 결합제 수지 에서의 분산력을 향상시킨다.
프리머층이 높은 도전성을 가질 때, 이 위에 전하 주입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다른 프리머층(2)이 제공될 수 있다.
알루밀라이트(alumilite) 등의 금속 산화물 필름의 프리머층은 별도로하고,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의 프리머층은 주로 기판(1)을 수지 및 다른 첨가제를 적어도 하나의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서 제조된 프리머 조성물과 침적도포법에 의해 형성된다. 수지층의 프리머층(2)은 주로 0.01 내지 수십 미크론의 두께를 갖는다.
단층 구조의 감광층(3)은 기본적으로 필름형성결합제수지 및 CGM 으로서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을 포함한다. 감광층(3)은 고감도 특성을 제어하려는 필요에 의해 적정한 양의 HTM 및 ETM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감광층의 산화를 막기 위한 산화방지제, 감광층의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시약 및 전하제어제와 같은 첨가제를 감광층(3)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합제 수지로서, CTM으로 기능하기 위해 특정 화학구조의 CTM을 갖는 단위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화학구조를 가지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를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결합제 수지는 우수한 CTM으로 공지된 디스티릴아민 화합물과 비스페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디스티릴아민 골격의 중앙에 위치하며, 3차 아미노기에 결합되어지며, 폴리카보네이트 단위가 결합되어있는 페닐렌 그룹은 결합위치에 따라서 오르토(ortho), 메타(meta), 파라(para)형일 수 있다. 이들 중 메타형이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틸렌 등의 용매에서의 용해도 및 용해된 상태에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만일 점도 평균 분자량이 40,000이하이면, 생성된 감광층은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불충분한 감도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공중합 결합제 수지는 60,000 내지 100,000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000을 초과하면, 코팅 조성물은 식소트로피(thixotropy)가 너무 커서 필름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경향이 있다.
감광층이 공중합체 수지의 80%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하면, 120일 또는 그 이상의 침적에서 담체매질(이소파라핀 용매, 예를 들어, 이소파)에 대해 내성을 가질 것이다. 70%의 공중합체 함량을 갖는 감광체는 일주일 정도의 내성을 가질 것이다. 70%미만의 공중합체 함량의 경우는 용출현상이 나타날 것이고 내성은 하루정도로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감광층의 공중합 결합제 수지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70% 또는 그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또는 그 이상이다.
m 과 n 의 합이 70%미만인 화학식 1의 공중합체는 합성하기가 어렵다. 만일 (m+n)이 95%를 초과하면, 전하 수송 기능을 갖는 성분의 비율은 너무 작아서 정공수송 기능에서의 감소가 고감도를 얻기 위해서 적당한 양의 HTM을 별도로 첨가함으로써 보상되어져야 한다. 담체매질(예를 들어, 이소파)로 상당한 정도의 HTM 용출이 뒤따르는데, 반복사용후에 특성들의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난다. m 과 n 의 합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몰% 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JP-A-5-230202 및 JP-A-9-12771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합성될 수 있다.
고감도를 얻기 위해서 HTM을 감광층에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정해진 전기장 안에서 높은 정공 이동성성을 보이는 어떤 유기 물질이 HTM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유기물질로는 히드라존(hydrazones), 피라졸린(pyrazolines), 피라졸론(pyrazolones), 부타디엔(butadienes), 옥사디아졸(oxadiazoles), 아릴아민(arylamines), 벤지딘(benzidines), 스틸벤(stilbenes), 스티릴(styryls), 폴리비닐카바졸(polyvinylcarbazoles) 및 폴리실란(polysilanes)을 포함한다. 이러한 HTMs는 개별적으로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HTM은 정공 수송 능력 뿐만 아니라 CGM과 결합하는 상대적 이온화 퍼텐셜에서 만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TM은 감광층에 대하여 보통 0 내지 35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중량%가 사용된다.
정해진 전기장에서 높은 전자 이동성을 갖는 어떤 유기 물질이 ETM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ETMs(전자 수용체 화합물(electron acceptor compounds))의 예는 클로라닐(chloranil), 브로마닐(bromanil), 테트라시아노에틸렌(tetracyanoethylene), 오르토-니트로벤조산(o-nitrobenzoicacid), 말로노니트릴(malononitrile), 트리니트로플루오레논(trinitrofluorenone), 트리니트로티오크산톤(trinitrothioxanthone), 디니트로벤젠, 디니트로안트라센, 디니트로아크리딘(dinitroacridine), 니트로안트라퀴논, 디니트로안트라퀴논, 티오피란(thiopyranes), 퀴논(quinones), 벤조퀴논, 디페노퀴논, 나프토퀴논, 안트라퀴논, 스틸벤퀴논(stilbenequiones) 및 아조퀴논을 포함한다. 이러한 ETMs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이들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ETMs들은 감광층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와 비교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모든 "%" 및 "부(part)"은 중량(weight)이다.
실시예 1
지름 30mm, 길이 325mm의 감광체 드럼을 이소파 침적실험의 평가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을 밀(mill)분산기에서 충분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파이프를 분산액에 침적시킨후 60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25㎛의 단층형 감광층을 갖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를 얻었다.
조성물:
CGM: 화학식 5의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 1부
ETM: 화학식 6의 화합물 15부
전하 제어제: 화학식 7의 화합물 3부
산화방지제: 화학식 8의 BHT 1부
실리콘 오일: 신-에츠 케미켈사의 KF-54 0.15부
결합제 수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15 몰%(28.4%), 이데미츠 코산사로부터 입수가능) 80부
용매: 디클로로메틸렌/디클로로에탄(7/3) 900부
상기 조성물에서, ETM은 고체 함량의 15%를 차지한다. 공중합체 수지에서 정공 수송 기능을 갖는 블럭은 실질적으로 고체 함량의 22.7%(=28.4% x 0.8)를 차지한다.
실시예 2
지름 30mm의 감광체 드럼을 이소파 침적 실험의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을 밀분산기에서 충분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파이프를 분산액에 침적시킨후 60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25㎛의 단층형 감광층을 갖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를 얻었다.
조성물:
CGM: 화학식 5의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 1.5 부
ETM: 화학식 6의 화합물 15 부
HTM: 화학식 9의 화합물 9.5 부
전하 제어제: 화학식 7의 화합물 3 부
산화방지제: 화학식 8의 BHT 1부
실리콘 오일: 신-에츠 케미켈사의 KF-54 0.15 부
결합제 수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15 몰%(28.4%), 이데미츠 코산사로부터 입수가능) 70 부
용매: 디클로로메틸렌/디클로로에탄(7/3) 900 부
상기 조성물에서, ETM은 고체 함량의 15%를 차지한다. HTM과 공중합체 수지에서 정공 수송 기능을 갖는 블럭의 총 함량의 실질적 중량 비율은 총 고체 함량의 29.4%(=28.4% x 0.7 + 9.5%)이다.
실시예 3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결합제 수지를 하기의 화학식 3으로 나타나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15몰%(28.4%))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3의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단위가 디스티릴아민 골격의 3차 아미노기에 결합된 페닐렌기의 오르토 위치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 2의 수지와 다르다.
실시예 4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결합제 수지를 하기의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15몰% (28.4%))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4의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단위가 디스티릴아민 골격의 3차 아미노기에 결합된 페닐렌기의 파라 위치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 2의 수지와 다르다.
실시예 5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결합제 수지를 하기의 화학식 11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15몰% (28.4%))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11의 공중합체 수지는 디스티릴아민 골격의 중앙에 있는 페닐렌기가 메타-페닐렌기라는 점에서 실시예 1 에서 사용된 화학식 2의 수지와 다르다.
실시예 6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결합제 수지를 하기의 화학식 12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15몰% (28.4%))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12의 공중합체 수지는 디스티릴아민 골격의 중앙에 있는 페닐렌기가 오르토-페닐렌기라는 점에서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학식 2의 수지와 다르다.
실시예 7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결합제 수지를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 70,000; 100-(m+n)=5몰% (9.45%))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감광층 코팅 조성물의 조성에서, ETM은 고체 함량의 15%를 차지한다. HTM과 공중합체 수지에서 정공 수송 기능을 갖는 블럭의 총 함량의 실질적인 중량 비율은 총 고체 함량의 16.11% (=9.45% x 0.7 + 9.5%)이다.
실시예 8
액체 현상용 양전하 단층 유기 감광체를, 결합제 수지를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5몰% (18.9%))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감광층 코팅 조성물의 조성에서, ETM은 고체 함량의 15%를 차지한다. 공중합체 수지에서 정공 수송 기능을 갖는 블럭은 실질적으로 고체 함량의 15.12% (=18.9% x 0.8)를 차지한다.
실시예 9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결합제 수지를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 70,000; 100-(m+n)=5몰% (56.7%))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감광층 코팅 조성물의 조성에서, ETM은 고체 함량의 15%를 차지한다. 공중합체 수지에서 정공 수송 기능을 갖는 블럭은 실질적으로 고체 함량의 45.36% (=56.7% x 0.8)를 차지한다.
비교예 1
지름 30mm의 감광체 드럼을 이소파 침적 실험의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을 밀분산기에서 충분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파이프를 분산액에 침적시킨 후 60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25㎛의 단층형 감광층을 갖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를 얻었다.
조성물:
CGM: 화학식 5의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 1.5부
ETM: 화학식 6의 화합물 25부
HTM: 화학식 9의 화합물 9.5부
전하제어제: 화학식 7의 화합물 3부
산화방지제: 화학식 8의 BHT 1부
실리콘 오일: 신-에츠 케미켈사의 KF-54 0.15부
결합제 수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디스티릴아민-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점도-평균 분자량:70,000; 100-(m+n)=15 몰%(28.4%), 이데미츠 코산사로부터 입수가능) 60부
용매: 디클로로메틸렌/디클로로에탄 (7/3) 900부
상기 조성물에서, ETM은 고체 함량의 15%를 차지한다. HTM과 공중합체 수지에서 정공 수송 기능을 갖는 블럭의 총 함량의 실질적인 중량 비율은 고체 함량의 26.5%(=28.4% x 0.6+ 9.5%)이다.
비교예 2
지름 30mm의 감광체 드럼을 이소파 침적 실험의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을 밀분산기에서 충분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파이프를 분산액에 침적시킨후 60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25㎛의 단층형 감광층을 갖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를 얻었다. 조성물에서 사용된 결합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공지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조성물:
CGM: 화학식 5의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 1.5부
ETM: 화학식 6의 화합물 25부
HTM: 화학식 9의 화합물 24.5부
전하 제어제: 화학식 7의 화합물 3부
산화방지제: 화학식 8의 BHT 1부
실리콘 오일: 신-에츠 케미켈사의 KF-54 0.15부
결합제 수지: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 케미칼사로부터 입수가능한 팬라이트 TS 2050) 45부
용매: 디클로로메틸렌/디클로로에탄 (7/3) 900부
비교예 3
지름 30mm의 감광체 드럼을 이소파 침적 실험의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을 밀분산기에서 충분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파이프를 분산액에 침적시킨후 60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25㎛의 단층형 감광층을 갖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를 얻었다. 조성물에서 사용된 결합제 수지는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공지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조성물:
CGM: 화학식 5의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 1.5부
ETM: 화학식 6의 화합물 15부
HTM: 화학식 9의 화합물 24.5부
전하 제어제: 화학식 7의 화합물 3부
산화방지제: 화학식 8의 BHT 1부
실리콘 오일: 신-에츠 케미켈사의 KF-54 0.15부
결합제 수지: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 케미칼사로부터 입수가능한 팬라이트 TS 2050) 55부
용매: 디클로로메틸렌/디클로로에탄 (7/3) 900부
비교예 4
지름 30mm의 감광체 드럼을 이소파 침적 실험의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을 밀분산기에서 충분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파이프를 분산액에 침적시킨 후 60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25㎛의 단층형 감광층을 갖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를 얻었다. 조성물에서 사용된 결합제 수지는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공지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조성물:
CGM: 화학식 5의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 1.5부
ETM: 화학식 6의 화합물 10부
HTM: 화학식 9의 화합물 14.5부
전하 제어제: 화학식 7의 화합물 3부
산화방지제: 화학식 8의 BHT 1부
실리콘 오일: 신-에츠 케미켈사의 KF-54 0.15 부
결합제 수지: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 케미칼사로부터 입수가능한 팬라이트 TS 2050) 70부
용매: 디클로로메틸렌/디클로로에탄 (7/3) 900부
비교예 5
지름 30mm의 감광체 드럼을 이소파 침적 실험의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물을 밀분산기에서 충분하게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파이프를 분산액에 침적시킨후 60분 동안 100℃에서 건조시켜 두께 25㎛의단층형 감광층을 갖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를 띄는 유기 감광체를 얻었다. 조성물에서 사용된 결합제 수지는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공지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조성물:
CGM: 화학식 5의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 1.5부
ETM: 화학식 6의 화합물 5부
HTM: 화학식 9의 화합물 9.5부
전하 제어제: 화학식 7의 화합물 3부
산화방지제: 화학식 8의 BHT 1부
실리콘 오일: 신-에츠 케미켈사의 KF-54 0.15부
결합제 수지: 화학식 10으로 나타내어지는 비스페놀 Z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테이진 케미칼사로부터 입수가능한 팬라이트 TS 2050) 80부
용매: 디클로로메틸렌/디클로로에탄 (7/3) 900부
실시예 1 부터 9 그리고 비교예 1 부터 5 에서 제조된 감광체를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의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CGM으로 X-형 금속 없는 프탈로시아닌을 티타닐 프탈로시아닌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감광체에 동일한 실험을 행하면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측정과 실험조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10) (지름: 30mm; 길이: 325mm)의 길이의 3분의 1을 250ml용량의 플라스틱 병에 넣은 액체 현상액의 담체매질인 이소파(엑손케미컬) 200ml에, 23-25℃이고 상대습도 40-50%인 암실에서 1, 7, 또는 120일 동안 침적시켰다. 침적되지 않은 부분은 차광지로 싼다. 1일, 7일 또는 120일 동안 침적시킨후, 감광층의 외관 변화(색 변화 및 크래킹) 및 담체매질인 이소파의 색 변화(본질적으로 무색인데 감광층의 용출에 따라 옅은 적색으로 변하고 나아가 갈색으로 변한다.)를 관찰함으로써 감광층 물질의 용출을 조사하였다. 또한, 표면 퍼텐셜 암 감쇄 Vk5(%) 및 감도 E100(μJ/㎠)을 다음의 시험방법에 따른 다양한 목적의 정전기적 시험 방식에 의해 측정하여 감광체 특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암 감쇄(drak decay) Vk5
감광체 드럼을 회전하면서 약 650V로 대전시켰다. 드럼회전을 멈추고 5초후에 표면 퍼텐셜을 측정하여 초기 표면 퍼텐셜에 기초한 보전력(%)을 얻었다.
2) 감도
감광체 드럼을 상기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대전시켰다. 드럼 회전을 정지 시키자마자 드럼을 약 1.0㎼/㎠(드럼표면에서)의 빛에 노출시켜 광 감쇄곡선을 기록하였다. 600V 부터 100V 까지의 표면 퍼텐셜 감쇄를 초래한 노출(μJ/㎠)은 E100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번호 조성물(중량%) 침적시간 감광체 특성들 담체의 색깔 드럼의외관변화
저분자물질 CT중합체 다른결합제수지 암 감쇄 Vk5(%) 감도E100(μJ/㎠)
1 20 80 없음 초 기 84 1.8 - -
1d 84 1.8 무색 없음
7d 83 1.8 무색 없음
120d 78 2.7 옅은적색 없음
2 30 70 없음 초 기 87 1.0 - -
1d 87 1.1 무색 없음
7d 85 1.5 옅은적색 없음
120d 68 1.9 옅은적색 색변화/크래킹
3 20 80 없음 초 기 88 2.0 - -
1d 88 2.0 무색 없음
7d 83 2.4 옅은적색 없음
120d 70 3.3 옅은적색 색변화/크래킹
4 20 80 없음 초 기 86 2.0 - -
1d 85 2.0 무색 없음
7d 80 2.5 옅은적색 없음
120d 74 2.9 옅은적색 색변화/크래킹
5 20 80 없음 초 기 84 2.0 - -
1d 84 2.1 무색 없음
7d 79 2.8 옅은적색 없음
120d 70 3.2 옅은적색 색변화/크래킹
6 20 80 없음 초 기 87 2.0 - -
1d 87 2.0 무색 없음
7d 75 2.5 옅은적색 없음
120d 68 3.4 옅은적색 색변화/크래킹
7 30 70 없음 초 기 88 1.5 - -
1d 88 1.6 무색 없음
7d 83 1.8 무색 없음
120d 80 2.0 옅은적색 없음
8 20 80 없음 초 기 87 2.5 - -
1d 87 2.6 무색 없음
7d 85 2.6 무색 없음
120d 80 3.0 옅은적색 없음
9 20 80 없음 초 기 87 1.0 - -
1d 87 1.1 무색 없음
7d 85 1.3 옅은적색 없음
120d 70 3.3 옅은적색 색변화/크래킹
실시예번호 조성물(중량%) 침적시간 감광체 특성들 담체의색깔 드럼외관의 변화
저분자물질 CT중합체 다른결합제수지 암 감쇄Vk5 감도E100(μJ/㎠)
1 40 60 없음 초 기 86 0.9 - -
1d 82 1.5 옅은적색 없음
7d 77 2.3 갈색 없음
120d 69 4.5 갈색 색변화/크래킹
2 55 없음 45 초 기 88 1.0 - -
1d 89 3.8 옅은적색 색변화
7d 75 측정불가 갈색 색변화/크래킹
120d 70 측정불가 갈색 색변화/크래킹
3 45 없음 55 초 기 85 1.8 - -
1d 87 4.0 옅은적색 색변화
7d 77 측정불가 갈색 색변화/크래킹
120d 72 측정불가 갈색 색변화/크래킹
4 30 없음 70 초 기 88 3.6 - -
1d 89 4.0 무색 없음
7d 75 측정불가 옅은적색 없음
120d 70 측정불가 옅은적색 색변화/크래킹
5 20 없음 80 초 기 88 측정불가 - -
1d 87 측정불가 무색 없음
7d 85 측정불가 무색 없음
120d 80 측정불가 옅은적색 없음
실시예 1, 2, 7, 8 및 9의 감광체에서 사용된 결합제 수지들은 모두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데, 실시예 1과 2에서 (m+n)은 85몰%, 실시예 7에서는 95몰%, 실시예 8에서는 90몰%, 그리고 실시예 9에서는 70몰%이다. 담체에 120일 동안 침적되었을 때, 실시예 2와 9의 드럼들은 색이 변하기 시작했고 크래킹이 나타나서, 담체를 착색시켰지만, 감광체로서의 특성은 실제적으로 허용가능한 범위내에 있다.
화학식 2(실시예 1과 2), 화학식 3(실시예 3), 화학식 4(실시예 4), 화학식11(실시예 5)및 화학식 12(실시예 6)로 나타내어지는 실시예 1 부터 6 까지에서 사용된 공중합체 수지의 화학구조들은 감광체 특성들과 관계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화학식 2의 구조가 이들 중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광층에 대하여 60%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비교예 1의 감광체는 담체를 갈색으로 변하게 하고, 색 변화와 크래킹을 진행시키고, 담체 안에 120일 동안 침적되었을 때 암 감쇄율과 감도 모두 열화시켰다.
비교예 2 내지 5에서, PC-Z 형으로 공지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다양한 결합제 수지/CTM 비율로 결합제 수지로 사용하여 드럼에 대한 담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침적이 심각한 변화들을 일으켜 결합제 수지/CTM 비율과 무관하게 침적을 시작하자마자 감광체의 특성들을 열화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표 2의 측정불가(unmeasurable)는 측정한계를 초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5의 감광체는 담체에 의해 열화되지는 않지만 시험을 시작하자마자 감도를 나타내는데 실패하였다.
본 발명은 액체 현상에 사용되는 석유계 용매인 이소파라핀 용매에 대해 높은 내성을 가지며, 용매로 CTM의 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실제 사용에서 충분한 높은 감도를 나타내는 양전하를 띄는 단층 유기 감광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들과 수정들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7)

  1. 도전성 지지체 상에 전하 발생 물질, 전하 수송 물질 및 유기 결합제 수지를 함유하는 감광층을 구비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로서, 유기결합제 수지가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각각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를 나타내거나, R1및 R2는 결합하여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3, R4, R5, R6, R7, R8, R9, R10및 R11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아릴기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m 과 n 은 각각 총 70 내지 95몰%의 몰 백분율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금속이 없는 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티타닐 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정공 수송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과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중합체에서의 정공 수송 기능을 갖는 성분의 총 함량이 상기 전자 수송 물질의 함량 보다 큰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6.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중합체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m 과 n의 합은 80 내지 90몰%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에 있는 상기 중합체의 함량이 70중량% 또는 그 이상인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KR1020020047244A 2001-08-09 2002-08-09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KR20030014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2474 2001-08-09
JP2001242474A JP2003057856A (ja) 2001-08-09 2001-08-09 液体現像用単層正帯電型有機感光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174A true KR20030014174A (ko) 2003-02-15

Family

ID=1907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244A KR20030014174A (ko) 2001-08-09 2002-08-09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43557B2 (ko)
JP (1) JP2003057856A (ko)
KR (1) KR20030014174A (ko)
CN (1) CN1405636A (ko)
DE (1) DE10236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219B1 (ko) * 2003-12-23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중간층 형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유기 전계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99008B (zh) * 2003-11-18 2012-05-23 京瓷美达株式会社 湿式显影用电子照相感光体以及湿式图像形成装置
JP4538340B2 (ja) * 2004-07-27 2010-09-0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湿式現像用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湿式現像用画像形成装置
JP2006047404A (ja) 2004-07-30 2006-02-16 Ricoh Co Ltd 液体現像用電子写真感光体、及び該感光体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JP4535960B2 (ja) * 2004-08-27 2010-09-0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湿式現像用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4642447B2 (ja) 2004-08-27 2011-03-02 株式会社リコー 芳香族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
JP4655940B2 (ja) * 2005-01-05 2011-03-23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5816429B2 (ja) * 2010-06-04 2015-11-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7713A (ja) 1995-08-31 1997-05-16 Ricoh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US6027846A (en) * 1995-06-30 2000-02-22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and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for use therein
JP2000214610A (ja) 1999-01-26 2000-08-04 Kyocera Mita Corp 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
US6482560B2 (en) * 1999-12-20 2002-11-1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DE60132141T2 (de) * 2000-08-31 2008-12-18 Kyocera Mita Corp. Elektrophotographisches Material vom Einschichtty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219B1 (ko) * 2003-12-23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중간층 형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유기 전계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34213A1 (en) 2003-07-17
JP2003057856A (ja) 2003-02-28
CN1405636A (zh) 2003-03-26
DE10236427A1 (de) 2003-03-06
US6743557B2 (en)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446A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20030014174A (ko) 액체 현상용 양전하의 단층 유기 감광체
JP2507190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547822B2 (ko)
EP0852342B1 (en) Coating liquid composition for photosensitive member for electrophotograph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sensitive member for elelctrophotography using same
US6268095B1 (en) Photoconductor for electrophotography
JPH06295076A (ja) 画像形成部材
JPH07160017A (ja) 電子写真感光体
JP3674961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1078669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507187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4021265A (ja)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ドラム
JP5345312B2 (ja) 画像形成部材およびそれ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JP2998306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765061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643666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10260543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524505B2 (ko)
JPH0675386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4278959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5241362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239056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2162763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325774B2 (ko)
JPH04308852A (ja) 電子写真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