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933A - 조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933A
KR20030011933A KR1020027017824A KR20027017824A KR20030011933A KR 20030011933 A KR20030011933 A KR 20030011933A KR 1020027017824 A KR1020027017824 A KR 1020027017824A KR 20027017824 A KR20027017824 A KR 20027017824A KR 20030011933 A KR20030011933 A KR 2003001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etal plate
bent
ferromagnetic metal
bottom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다케하라
Original Assignee
다케하라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하라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하라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9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기재(14)로 구성한 용기 본체(10)의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강자성 금속판(3)이 중첩되어 있는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강자성 금속판(3)에 그 개구 에지부(7)를 저부 외측 평면부(11) 측으로 향하는 굴곡부(5)가 형성된 개구부(6)를 갖고, 강성을 갖는 평면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저부 내측 평면부(12)를 지지한 상태에서 굴곡부(5)를 저부 외측 평면부(11)를 향하는 자세로 가압하여 굴곡부(5)를 용기 본체(10)의 저부 내에 압입함으로써,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있어서의 강자성 금속판(3)의 굴곡부(5)에 대응하는 엠보싱부(13)의 표면 상태를 변화시키고, 표면 상태의 차이로 인한 모양이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6)로서, 저부 외측 평면부(11)의 중앙부에 위치를 맞추어서, 개구 에지부(7)를 용기 본체(10) 측을 향하여 굴곡시킨 중앙 개구부(9)를 강자성 금속판(3)에 형성하고, 개구 에지부(7)를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삽입하여, 용기 본체(10)를 구성하는 기재(14)를 중앙 개구부(9)로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리용 용기 {COOKING CONTAINER}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는 냄비 등의 조리용 용기는 냄비를 예로 들면, 알루미늄 판으로부터 냄비 형상으로 성형한 냄비의 표면에, 연마 가공 또는 알루마이트 처리를 실시했을 뿐이고 시판되어 있고, 일부에는 엠보싱(embossing) 모양으로 하여 요철을 붙여, 의장성을 개선한 엠보싱 냄비 형태의 외관을 갖추게 한 냄비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냄비에 의해 물을 끓였을 때의 비등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 같은 의도는 보이지 않는다. 즉, 종래의 조리용 용기에는 모양을 붙인 것이 있지만, 조리를 할 때의 효과를 얻는 것과 같은 모양을 붙인 조리용 용기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재를 알루미늄으로 하여 조리용 용기를 사용하기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저부 내면에 모양을 형성하고, 조리용 용기의 내면에 미관을 부여함과 동시에, 그 조리용 용기를 이용하여, 특히 전자 조리기를 이용하여 조리할 때의 비등 상태로 변화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자성 금속재를 기재(基材)로 하는 용기 본체의 저부(底部) 외면에 형성된 저부 외측 평면부에 강자성 금속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리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냄비의 내면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그 외면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강자성 금속판을 중첩한 냄비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압입 전의 강자성 금속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중첩 전에 용기 본체 측에서 본 강자성 금속판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은 강자성 금속판을 용기 본체의 저부에 중첩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로, 도 6(a)는 결합 전을 나타내고, 도 6(b)는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냄비로 물을 끓였을 때의 비등 상태를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조리용 용기의 예로서의 다른 냄비의 내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내면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그 냄비를 저부 외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외면의 일부의 냄비 저부에 평행한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는 각각, 용기 본체에 고착하는 강자성 금속판의 굴곡부의 변화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3은 기타 예에 의한 냄비를 이용하여 전자 조리기에 의해 물을 끓인 경우의 비등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그 증기 포말 생성점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5는 강자성 금속판에 형성하는 개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강자성 금속판을 중첩한 냄비의 저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강자성 금속판을 중첩하여 고착한 냄비의 저부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대표되는 비자성 금속 재료를 기재로 하는 용기 본체의 저부 외면에 저부 외측 평면부가 형성되어, 그 저부 외측 평면부에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강자성 금속판을 일체로 결합하고 있는 냄비나 프라이 팬 등의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강자성 금속판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 에지부를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에 중첩시키는 측으로 향해서 굴곡시켜 형성한 굴곡부를 갖추게 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의 저부의 내면에는 저부 내측 평면부를 형성한다. 그 저부 내측 평면부를 강하게 형성한 평면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강자성 금속판의 굴곡부를 형성한 측을 용기 본체의 저부 외측 평면부를 향한 자세로 가압하고, 각각의 굴곡부를 저부 외면 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내에 압입한다. 이 굴곡부를 압입함으로써, 상기 강자성 금속판을 저부 외측 평면부에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용기 본체에 중첩시킨다. 또, 상기 강자성 금속판을 상기 용기 본체를 향해서 가압하면, 상기 강자성 금속판은 전체적으로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로부터 기재 내에 삽입되고, 상기 강자성 금속판의 상기 저부의 기재 내에서의 저부 내면 측으로의 사영(射影) 영역에 압축 변형을 발생시킨다. 이 사영 영역에 발생하는 압축 변형에 따라, 상기 강자성 금속판의 배치 영역에 대응하는 저부 내측 평면부에 엠보싱부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굴곡부에 대응하는 엠보싱부는 그 내측 기재의 압축이 심하기 때문에, 가압력을 해제한 뒤에도 어느 정도 주위보다 돌출된 낮은 돌출부로 되고, 또, 상기 사영 영역의 내면인 저부 내측 평면부에서는 상기 사영 영역이 전체적으로 압축 가공되었을 때에 평면형의 금형에 눌려져 표면이 평활화되고, 또는 상기 엠보싱부의 주위보다도 압밀(壓密)되어 광휘성(光輝性)을 증가시키도록 표면 상태가 변화된다. 저부 내측 평면부에서의 엠보싱부가 평활화되고, 또는 광휘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저부 내측 평면부의 연마 마무리나 정밀한 기계 가공 마무리 시에 남는 미세한 돌출부가 짓눌려져 미세한 홈이나 리세스를 막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 형성된 엠보싱부에서, 엠보싱부의 주위와는 상이한 표면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에 모양이 형성된 점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양은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구비되는 굴곡부가 압입되고, 그에 따라서 강한 압축 변형을 받은 영역에 대응하는 저부 내측 평면부가 약간 돌출되어 낮은 돌출부를 형성한 엠보싱부가 주위와 외관적으로 다른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엠보싱부는 그 내측이 압축 가공을 받기 때문에, 표면이 압축 가공에 의해 평활화되고 광휘성이 증가되어, 광휘성의 차이에 의해 모양이 나타나는 것도 있다. 이렇게 해서, 용기 본체의 저부 내면에는 저부 내측 평면부의 표면 상태의 차이에 의해 모양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굴곡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굴곡부를 용기 본체의 기재 내에 압입할 때에, 그 기재로부터 굴곡부에 미치게 되는 반력이 벤딩 외력으로서 상기 굴곡부에 작용하는 경향을 갖지만, 그 굴곡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그 벤딩 외력에 견디기 쉽기 때문이다. 그 굴곡부를 용기 본체에 압입한 결과로,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 내측 평면부에는 상기 압입된 굴곡부에 대응하여 환형의 엠보싱부가 명료하게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엠보싱부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데에는 상기 굴곡부를 거의 동일한 치수의 펀치와 다이스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터릿 펀치 프레스라고 불리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즉, 가공을 효율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부를 저부 내측 평면부에 균등하게 분산 배치하면, 이 조리용 용기를 전자 조리기에 올려놓은 경우에, 증기 포말(蒸氣泡) 발생점이 균등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치우친 가열이나 국부 비등을 초래하는 일없이, 결과적으로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엠보싱부가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에서의 면적 비율이 균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조리용 용기 내에서 증기 포말이 균등하게 생성되기 때문에, 찜 등의 경우에 부분적으로 덜 익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강자성 금속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균등하게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 개구 직경이 상이한 개구부를 갖추는 경우에는 상기 엠보싱부의 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증기 포말 발생점을 조리용 용기의 저부 내측 평면부에 균등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표면 상태의 변화를 상기 낮은 돌출부에 의해 초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의 저부의 두께는 알루미늄재를 이용한 경우에 1.6∼2.6mm 정도가 가장 적절하다. 이것에 중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강자성 금속판은 그 재질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또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경우에는 그 두께가 기재 두께의 15∼25%(즉, 강자성 금속판의 두께는 0.24∼0.6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상태의 변화는 강자성 금속판의 두께에 따라 그 양태가 달라, 엠보싱부로서 20미크론 정도 또는 이에 미치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높이의 낮은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엠보싱부의 표면의 평활도가 높아지고, 또는 광휘성이 높아지거나 하는 것이다. 상기 낮은 돌출부는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 형성되는 굴곡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에 압입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관한 냄비로 물을 끓일 때, 냄비를 전자 조리기에 올려놓으면, 강자성 금속판은 발열되지만,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기재는 발열되지 않는다. 또한, 비자성 금속재가 알루미늄이면, 열 전도가 매우 빠르고,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에서의 엠보싱부에서는 상기 강자성 금속판의 발열에 즉시 추종한다. 그 때문에, 상기의 모양에 대응하여, 엠보싱부에서는 강하게 비등하고, 그 주위 부분에서는 증기 포말을 그다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하는 모양에 대응하여, 냄비의 내부에서 비등 상태의 모양이 생성된다. 이렇게 해서 비등점의 위치를 국한시킬 수 있으므로, 비산도 방지하기 용이하다.
이 엠보싱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저부 내측 평면부에 복수로 분산 배치되어 있는 낮은 돌출부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 복수의 동일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 에지부에 형성된 굴곡부를 각각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로부터 용기 본체의 저부 내에 압입하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면, 먼저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 표면 측으로부터 이면 측(즉, 냄비 저부에 중첩하는 쪽)을 향해서, 다이스 내에 상기 강자성 금속판을 관통시켜 펀치를 박아 넣음으로써, 주위 에지로부터 굴곡된 원통형부를 갖는 개구를 형성하는 버링(burring)가공을 실시하여, 상기 이면 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굴곡부를 갖는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 굴곡부는 각각의 개구부의 외주부에 원통형또는 절개된 원통형(裂開筒狀)으로 형성된다. 즉, 가공에 있어서 미리 천공하는 하부 구멍의 직경의 개구 직경에 대한 비율에 의해, 또는 펀치의 선단부의 형상에 의해, 상기 굴곡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절개된 원통형으로, 또는 그 선단부가 첨단으로서 형성된다. 하부 구멍의 직경이 개구 직경에 비하여 크면 원통형이 되고, 하부 구멍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절개된 원통형이 되고, 더욱 작으면 첨단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굴곡부는 예를 들면 높이 1∼2.5mm 정도의 상승부로서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굴곡부는 용기 본체의 저부를 구성하는 기재 내에 깊게 압입되므로, 그 굴곡부의 선단으로부터 저부 내측 평면부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짧다. 예를 들면 저부의 두께가 1.6∼2.6mm이면, 상기 굴곡부의 선단은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의 표면 아래 0.5∼1mm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그 선단부에 가까운 저부 내면에 20미크론 정도 또는 그에 미치지 않는 요철을 형성하는 낮은 돌출부로서 엠보싱부가 형성된다. 이 엠보싱부는 약간 돌출되는 동시에, 표면이 평활화되어 광휘성이 풍부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냄비를 전자 조리기에 올려놓은 경우에는 그 굴곡부가 발열되기 때문에, 그 선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증기 포말이 생성되고, 평면적으로 거의 균일한 온도인 경우와 달리, 그 증기 포말 생성점이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을 끓이고 있는 상태에서 위에서 보면, 상기 엠보싱부에서 형성되는 모양과 동일한 증기 포말로 형성되는 모양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보통의 조리용 용기에서 비등하는 경우에는 환형으로 부풀어오르도록 끊는 물의 비등 액면이 상승하는 데 대하여, 증기 포말 생성점이 이산되고, 또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등 액면의 상승이 억제되어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증기 포말의 생성점은 냄비의 저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저부 내측 평면부에서의 모양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굴곡부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동일 직경의 개구부를 강자성 금속판에 균일하게 형성한다. 이것을 버링(burring) 등의 개구부의 주위에 칼라를 형성하는 가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면, 그에 따라서 형성되는 굴곡부를, 강성을 가지는 평면에 의해 저부 내측 평면부를 지지한 용기 본체의 저부 외측 평면부에 압입하면, 그 굴곡부에 대응하는 환형의 엠보싱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부 외측 평면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강자성 금속판에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 중앙 개구부의 개구 에지부에도, 그 개구 에지부를 이면 측을 향해서 굴곡시킨 굴곡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강자성 금속판을 저부 외측 평면부에 대하여 가압했을 때에, 이 굴곡부는 그 강자성 금속판의 기재 내로의 삽입보다 깊게 기재 내에 압입된다. 그 결과, 중앙부에서 강자성 금속판을 기재에 더욱 강하게 고착할 수 있다. 또, 그 중앙 개구부를 원형으로 형성하면, 그 압입에 의한 변형과 그 후의 열 이력에 의한 상기 강자성 금속판 내에서의 응력을 중앙 개구부에 의해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조리용용기를 전자 조리기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 조리기의 온도 센서에 강자성 금속판의 온도를 검출시키지 않으며, 조리 시에 가열 온도가 제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를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다. 이 예에서 조리용 용기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인 냄비 P이며, 그 용기 본체(10)의 기재(14)를 구성하는 비자성 금속재는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지고, 연마 가공을 실시한 것이다. 그 기재(14)의 두께는 2.3mm이며, 이것에 중첩하여 고착하는 강자성 금속판(3)으로는 외경 140∼220mm 정도로, 두께 0.4mm의 십자형으로 개구부(6)를 형성한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이하, 강자성 금속판(3) 대신,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이라고 함)을 이용한다. 도 1은 알루미늄재를 기재(14)로 하여 저부(1)의 주위에 측벽부(2)를 설치한 용기 본체(10)의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원형의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고착한 냄비 P의 내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냄비 P의 저부(1)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를 비운 십자형의 개구부(6)를 가지는 원형의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외면에 중첩하여 고착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 P의 저부 내측 평면부(12)에는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형상과 거의 동일 형상의 윤곽을 갖는 낮은 돌출부가 엠보싱부(13)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저부(1)의 두께는 1.6∼2.6mm가 가장 적절하지만, 이 예에서는 이것을 2.3mm로 한다. 또,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두께는 상기 저부의 두께의 15∼25%가 가장 적절하지만, 이 예에서는 이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판 두께를 0.4mm으로 하고, 상기 저부(1)의 두께로 대한 비율은 17%로 한다.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 P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10)의 저부(1)의 외면 측으로부터 저부 외측 평면부(11)를 향해서 가압된 결과, 용기 본체(10)의 저부(1)의 외면 측에 중첩하여 일체로 고착된다.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개구부(6)에는 용기 본체(10)의 기재(14)가 노출되어, 상기 개구부(6) 내를 일부 메우고 있다.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은 원형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를 비운 십자형의 개구부(6)가 기다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 에지부(7)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전체에 걸쳐 용기 본체(10)의 측(도면에서는 상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굴곡된 굴곡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외주 에지부(4)에도 동일한 측을 향해서 외주 전체에 걸쳐 경사지게 굴곡된 굴곡부(5)가 형성된다.
이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프레스 장치 등을 이용하여,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을 가지는 가압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한 쌍의 금형(15, 15)의 사이에 용기 본체(10)와 함께 끼워 장착하고, 용기 본체(10)의 저부면을 향해서 가압한다. 그러면,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은 용기 본체(10)의 저부(1)에 압입되어 삽입된다. 여기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에지부(4) 및 개구 에지부(7)에 형성된 굴곡부(5)가 상기 저부(1)에 저부 외측 평면부(11) 측으로부터 더욱 깊이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이 상기 저부(1)에 외면 측으로부터 삽입된 결과,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상기 용기 본체(10) 내의 저부 내측 평면부(12)로의 사영 영역의 기재(14)가 압축 변형된다. 상기 양 금형(15, 15)의 평면 사이의 거리는 최근접 점에서 상기 저부(1)의 두께와 거의 동등하며, 2.3mm 정도로 설정해 두면,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12)에는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대응하는 영역이 20미크론 정도 돌출된 낮은 돌출부로서 엠보싱부(13)가 형성된다. 그 결과, 냄비 P의 내면 측에는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를 비운 십자형의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형성된 개구부(6)와 동일한 윤곽을 나타내는 모양이 형성된다.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에지부(4)에 굴곡 형성된 굴곡부(5)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압입 공정에 있어서, 저부 외측 평면부(11)로부터기재(14) 내에 경사지게 압입되고, 상기 에지부(4)를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고착시킨다. 따라서, 이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중첩한 냄비 P를 반복 사용하고,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온도를 반복 상승시키더라도,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이 용기 본체(10)로부터 부상하여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냄비 P를 전자 조리기에 올려놓고 물을 끓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형상이 상기 냄비 P의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증기 포말 B에 의해 모양으로서 부상한다. 즉, 냄비 P의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형성된 엠보싱부(13)의 영역에서는 비등하여 증기 포말 B를 생성하고,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형성된 개구부(6)에 대응하는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12)의 영역에서는 강한 비등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 증기 포말 B에 의해 부상하는 모양은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형성된 모양과 거의 일치한다. 상기 냄비 P를 전자 조리기로 가열하면,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이 발열되고, 그 열이 기재(14)인 알루미늄재를 통하여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형성된 엠보싱부(13)에 전달되고, 그 엠보싱부(13)의 영역에서 증기 포말 B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형성된 개구부(6)에서는 여기에 노출되는 기재(14)를 구성한 알루미늄재가 발열되지 않으므로, 상기 개구부(6)에 대응하는 저부 내측 평면부(12)의 영역에서는 상기 엠보싱부(13)만큼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증기 포말 B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포말 B가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12)를 4분할한 상태로 생성되어 모양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형성되는 개구부(6)의 형상및 배치를 고려하면, 냄비 P의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여러 가지 모양을 증기 포말 B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6)를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별 모양으로 배치하여 형성하면, 증기 포말 B에 의해 형성되는 모양은 별 모양이 된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에 있어서도, 조리용 용기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냄비이고, 그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비자성 금속재는 알루미늄재이며, 그 두께는 2.3mm이고, 여기에 고착되는 강자성 금속판(3)으로는 두께 0.4mm인, 원형의 다이스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스를 이용한 버링 가공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한 개구부(6)를 분산 배치한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을 이용한다. 도 8은 버링 가공을 실시한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중첩하여 고착한 냄비 P의 내면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 내측 평면부(12)에는 환형의 낮은 돌출부가 표면이 평활화되어 광휘성이 부여된 엠보싱부(13)로서 복수 분산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그 냄비 P의 저부 외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용기 본체(10)의 저부 외측 평면부(11)에는 원형의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이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6)에는 그 하나를 확대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기재(14)인 알루미늄재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6)에는 그 일부에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지는 기재(14)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주부에는 각각이 약간 돌출된 환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굴곡부(5)의 알루미늄재 내에의 압입에 대한 저항에 의해, 상기 굴곡부(5)의 배후, 즉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6)의 개구 에지부(7)의 위치에서,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이 약간 돌출된다.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는 먼저 도 4에 나타낸 에지부(4)와 마찬가지로, 에지부에 굴곡부(6)가 형성되는 동시에, 전체면에 걸쳐 용기 본체(10) 측을 향해, 복수 분산 형성한 원형의 개구부(6)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개구 에지부(7)에도 굴곡부(6)가 굴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 개구부(6)를 버링 가공 등에 의하여 펀치 시어링(punching and shearing) 성형을 할 때에, 개구부(6)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12(a), 도 12(b),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개구부(6)의 주위에 굴곡 형성되는 높이 약 1.8mm의 상승부(8)가 상기 굴곡부(5)로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측이 펀치를 밀어낸 이면 측이다. 이 상승부(8)의 형상은 하부 구멍의 크기나, 펀치와 다이스의 간극, 및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판 두께의 관계 등에 의하여 변화되고, 원통형이거나(도 12(a) 참조), 상승 방향을 따라 절개된 원통형이거나(도 12(b) 참조), 선단부 T가 첨예하게 형성된 날카로운 돌기이다(도 12(c) 참조).
이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 또한 먼저 도 6(a) 및 도 6(b)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굴곡부(5)가 각각 굴곡 형성된 측의 이면 측을 용기 본체(10)의 저부 외측 평면부(11)를 향해서 압착시켜,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상기 용기 본체(10)에 저부(1)의 외면 측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10)에 중첩시켜 고착시킨다. 여기서는 굴곡부(5)가 다수 형성되어 있고, 또한 거의 직각으로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굴곡부(5)는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의 기재(14) 내에 저부 외측 평면부(11)측으로부터 깊게 압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착되는 동시에, 상기 상승부(8)는 비교적 강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 T가 용기 본체(10)의 저부 내측 평면부(12)의 내면 근방에까지 도달한다. 그 선단부 T는 내면으로부터 약 0.5mm까지 도달한다. 즉, 전술한 환형의 낮은 돌출부가 엠보싱부(13)로서 형성되는 것은 이 상승부(8)의 선단부 T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이 냄비 P를 이용하여 전자 조리기로 물을 끓이는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5)를 형성하는 상승부(8)의 선단부 T에 가까운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형성된 엠보싱부(13)에 증기 포말 B의 생성점이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엠보싱부(13)는 열점(heat spot)을 형성한다. 따라서, 저부 내측 평면부(12)에서는, 이것을 확대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엠보싱부(13)로부터 연속하여 증기 포말 B가 생성되고, 그 발포점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증기 포말 B의 생성점이 이동하지 않고, 연속하여 증기 포말 B를 생성하고, 그대로 거의 바로 위를 향해서 상승하고, 대류하는 비등액면 F로부터의 끊은 물 A는 그 사이에 하강한다. 그 결과, 냄비 P의 내부에서는 작은 영역에서의 대류가 일어나, 큰 대류를 일으키지 않고 균등하게 비등한다. 따라서, 그 비등 상태는 잔잔하여 끊은 물 A의 비등액면 F는 그다지 상승하지 않고 안정된다. 그 결과, 종래의 냄비와 같이 환형으로 비등액면 F가 부풀어올라, 비산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발생하는 증기 포말이 저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합병하는 보통의냄비 저부에서 종종 보이는 돌연 비등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복수로 형성되는 개구부(6)의 개구 에지부(7)에 형성되는 상승부(8)에 의해 상기 엠보싱부(13)가 주로 그 선단부 T의 근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그 개구부(6)의 개구 직경이나 배치를 변화시키면,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12)에 형성되는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엠보싱부(13)가 각각 열점이 되기 때문에, 끊는 물 A가 비등할 때에 냄비 P의 내부에 놓을 수 있는 대류의 형태를 원하는 형태로 제어할 수 있고, 비등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또한, 강자성 금속판의 중앙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에는 개구부(6)의 하나로서 원형의 중앙 개구부(9)를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중앙부에 형성한다(또한, 도 15에서는 중앙 개구부(9) 이외의 개구부(6)는 도시를 생략했다). 그 중앙 개구부(9)의 개구 에지부(7)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전체에 걸쳐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용기 본체(1) 측(도면에서는 상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굴곡되고, 상기 개구 에지부(7)에 굴곡부(5)를 형성한다. 그 외측에서,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에지부(4)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다른 개구부(6)(도시를 생략)에는 상기 2개의 형태로 설명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이외에, 임의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냄비 P의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중첩시켜 고착하면,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11)의 기재(14) 내에 상기 굴곡부(5)가 그 중앙 개구부(9)의 중심을 향하는 성분을 가지는 삽입력에 의해 주위보다도 깊게 압입되어,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확실하게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고착한다.
이 경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저부 외측 평면부(11)에 압입하는 것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공정을 응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용기 본체(10)에 고착한 상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개구부(9)에는 상기 기재(14)로서의 알루미늄재가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판 두께의 거의 전체에, 또는 그 판 두께 방향의 일부에 충전되어 노출된다. 그리고, 그 외표면은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의 표면보다도 어느 정도 낮아진다. 이렇게 해서 중앙 개구부(9)내에 노출된 기재(14)인 알루미늄재는 상기 개구 에지부(7)에 의해 그 중심 측으로의 저항력을 받고 있고,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을 그 중앙 개구부(9)로 확실하게 고정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강자성 스테인리스 판(3)은 그 중앙 개구부(9)의 존재에 의해, 중앙부에서 직경 방향의 응력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전자 조리기에 의해 가열을 반복하더라도 용기 본체(10)로부터 벗겨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중앙 개구부(9)에 대응하는 저부 내측 평면부(12)의 중앙부, 즉 냄비 P의 중앙부에서는 증기 포말 B가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순두부 냄비로서 조리용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냄비의 중앙부에 놓이는 국물 용기(出汁 容器)의 밑으로부터는 증기 포말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국물 용기가 증기의 압력에 의해 움직이는 일없이 안정되고, 사용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 일반적으로 전자 조리기에는 그 위 면의 중앙부에, 냄비 저부의 온도를검출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온도 센서를 갖추고 있지만, 이 온도 센서의 위치에 전자 유도에 의해 발열되는 강자성 금속판이 존재하면, 실제의 조리용 용기의 온도인 용기 본체의 온도를 검지하지 않고, 그것보다 고온인 강자성 금속판의 온도를 검지한다. 그 결과, 용기 본체의 온도가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아도 조리용 용기의 온도가 한계 온도에 도달했다고 하여 가열을 정지하게 되어, 과열 방지를 위한 한계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를 최고 온도로서 온도 조절하여 버린다. 즉, 그 온도 센서에 의해 온도를 검지하는 부위에, 발열되는 강자성 금속판의 중앙 개구부를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온도 센서는 노출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기재의 온도를 검출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 온도를 낮게 하여 버리는 장애를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조리용 용기는 내면에 모양을 형성하여 미관을 높이고, 또한, 전자 조리기에 의해 물을 끓이는 경우에, 그 증기 포말에 의해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가 열 전도도가 양호한 비자성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자 조리기에 이용하는 경우에 열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에지부를 용기 본체의 기재 내에 압입함으로써, 강자성 금속판을 용기 본체에 벗겨지기 어렵게 고착하고, 전자 조리기의 반복 가열에 견디는 조리용 용기가 되도록 한다.

Claims (10)

  1. 비자성 금속재로 형성한 용기 본체의 저부 외측 평면부에 강자성 금속판을 중첩시키는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 그 개구 에지부를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 측을 향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개구부를 갖고, 강성을 갖는 평면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 내측 평면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를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를 향하는 자세로 가압하고, 상기 굴곡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 내에 압입함으로써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에서의 상기 강자성 금속판의 상기 굴곡부에 대응하는 엠보싱부의 표면 상태를 변화시켜서, 상기 표면 상태의 차이로 인한 모양이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에 형성되는 조리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은 환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엠보싱부로 형성되는 조리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용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에 균등하게 분산 배치되는 조리용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저부 내측 평면부에서의 면적 비율이 균등하게 되도록 분산 배치되는 조리용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조리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는 표면 측으로부터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 측을 향해서 다이스 내에 펀치를 삽입하여 천공 가공을 행하는 버링(burring) 가공 또는 신장 플랜지 가공을 실시하여 복수 개소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 각각의 주위 에지에 설치하여 형성되는 플랜지에 의해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의 각각을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 내에 삽입하는 조리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다이스로서 원통형의 내면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동시에, 상기 펀치로서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조리용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의 중앙부에 위치를 맞추어서, 개구 에지부를 상기 저부 외측 평면부 측을 향해서 굴곡시킨 중앙 개구부를 상기 개구부 하여 상기 강자성 금속판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 에지부를 상기 저부 외면으로부터 상기 저부 내에 삽입시켜서,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중앙 개구부로부터 노출시키는 조리용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개구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조리용 용기.
KR1020027017824A 2000-06-30 2001-06-26 조리용 용기 KR200300119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7773 2000-06-30
JP2000237773 2000-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933A true KR20030011933A (ko) 2003-02-11

Family

ID=1872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824A KR20030011933A (ko) 2000-06-30 2001-06-26 조리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39682B2 (ko)
KR (1) KR20030011933A (ko)
CN (1) CN1204845C (ko)
TW (1) TWI250006B (ko)
WO (1) WO2002001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2449C (zh) * 2003-09-05 2008-08-20 福建融林塑胶五金实业有限公司 复合底厨具
CN201414675Y (zh) * 2008-06-27 2010-03-03 舒岳光 一种凹凸导磁锅
WO2009156783A1 (de) * 2008-06-27 2009-12-30 Shu yue guang Eine magnetisch leitende composite-pfanne
IT1393002B1 (it) * 2009-02-12 2012-04-02 Tvs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entole e simili, e pentola realizzata con tale procedimento
JP5404917B2 (ja) * 2009-05-06 2014-02-05 ガストロ アーゲー 料理を保温する誘導加熱用食器
CN103517657B (zh) * 2011-05-10 2016-01-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煮饭器和煮饭器用锅
WO2013061483A1 (ja) * 2011-10-26 2013-05-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炊飯器用鍋およびそれを用いた炊飯器
EP3030043A1 (de) 2014-12-05 2016-06-08 Gastros Switzerland AG Induktionsgeschirr zum Warmhalten von Speis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8598U (ko) * 1984-08-29 1986-04-01
JPS6158192A (ja) * 1984-08-30 1986-03-25 アサヒ軽金属工業株式会社 電磁調理器兼用なべおよびその製造法
JPS6337752Y2 (ko) * 1984-11-08 1988-10-05
JPS6212294U (ko) * 1985-07-05 1987-01-24
JPH038521U (ko) * 1989-06-12 1991-01-28
JPH0898772A (ja) * 1994-09-29 1996-04-16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電磁調理用鍋の素材の製造方法及び電磁調理用鍋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8273819A (ja) * 1995-03-29 1996-10-18 Sanyo Electric Co Ltd 調理用鍋
JP2885154B2 (ja) * 1995-11-28 1999-04-1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0252A (zh) 2003-09-03
JP4139682B2 (ja) 2008-08-27
CN1204845C (zh) 2005-06-08
TWI250006B (en) 2006-03-01
WO2002001991A1 (fr)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0612U (ja) 調理器
KR20030011933A (ko) 조리용 용기
KR20170083941A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KR101887206B1 (ko) 열변형 방지 구조를 갖는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6104A (ko) 제어된 변형을 가지는 조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어진 용기
JP3889414B2 (ja) 誘導加熱用調理鍋
US20050204928A1 (en) Cooking utensil the covering of which comprise an ornamental piec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US6114667A (en) Integral rivet for attachment of parts including an annular recess
KR20090090555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88894B1 (ko)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JP2004290661A (ja) 調理用容器の底部に配設される金属板及び該金属板を備えた調理用容器並びに該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JP2001321269A (ja) 電磁調理用調理器具の製造方法
EP3214983B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ob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cooking vessel
CN107951379B (zh) 电磁烹饪器具的内锅、电磁烹饪器具及其内锅的制造方法
KR100824835B1 (ko)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US11589699B2 (en) Cookware with metal mesh embedded in the base
JP2003204872A (ja) 電磁調理器用鍋
JP3116675U (ja) 調理用容器の底部に配設される金属板及び該金属板を備えた調理用容器
JP2002178071A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JP2001169901A (ja) 加熱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4360513A1 (en) Method for making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and respective container for cooking food
KR20190002156U (ko)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KR102571064B1 (ko) 열변형 방지 조리용기
JP3008521U (ja) 調理用鍋
JP6320670B2 (ja) 電磁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