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894B1 -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894B1
KR101088894B1 KR1020110099178A KR20110099178A KR101088894B1 KR 101088894 B1 KR101088894 B1 KR 101088894B1 KR 1020110099178 A KR1020110099178 A KR 1020110099178A KR 20110099178 A KR20110099178 A KR 20110099178A KR 101088894 B1 KR101088894 B1 KR 10108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oove
heating pattern
pattern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창보
가부시키 가이샤 타이에이-쟈팬
김태석
김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보, 가부시키 가이샤 타이에이-쟈팬, 김태석, 김정욱 filed Critical (주)창보
Priority to KR102011009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894B1/ko
Priority to JP2011270322A priority patent/JP201307513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은, 비자성 금속으로 된 본체에 자성 금속으로 된 가열 패턴 부재가 결합된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판상의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돌출부 내측은 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열 패턴 부재를 가공하는 가열 패턴 부재 가공 단계; 상기 본체에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홈부는 그 깊이 방향에서 상부에 배치된 제1홈부 및 상기 제1홈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홈부 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2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결합 홈부 형성 단계;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 후에 상기 돌출부의 하단이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상기 가열 패턴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그 가열 패턴 부재를 상기 본체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턱을 붕괴시키면서 상기 본체와 결합하며, 붕괴된 상기 단턱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 외측 하부의 공간을 채우는 결합단계; 및 상기 결합단계 후에 상기 본체의 상면을 연마하여 그 본체와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oking container for induction heater}
본 발명은 인덕션 히터에 사용되는 용기의 바닥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비자성 용기의 바닥에 자성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가스 공급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가열 시설의 변화를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가스에 의한 가열시설은 유해가스가 많이 발생하며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가스 가열시설은 일산화탄소가 발생하여 주부 건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여러 선진국에서는 인덕션 히터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인덕션 히터는 전자기유도에 의해 발열이 되는 가열기로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화재에도 비교적 안전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인덕션 히터(전자 조리기)에 사용하기 위한 용기는 특수한 구조로 제조된다. 즉, 알루미늄과 같은 비자성 금속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음식물을 전자파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전자파에 의한 가열작용이 가능한 자성금속판,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자성금속판을 해당 조리기의 바닥판 외측에 부착 설치해 주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리적 성질, 특히 열팽창 정도가 서로 다른 두 이종의 금속판을, 상당한 온도차의 가열과 냉각이 반복되는 사용조건에서 상호 간의 들뜸이나 변형, 탈락 등이 일어나지 않는 견실 안정적인, 그리고 외관상 미려한 상태로 접합시켜 목적하는 음식물의 바닥판부를 형성하는 것은 단순한 용접이나 압접 등의 방법으로는 달성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 종래의 한 방법으로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자성금속판의 한쪽 면에 꽃 모양의 돌출물들을 형성하고, 이 자성금속판을 상기 돌출물들이 비자성금속판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자성 금속판 및 비자성 금속판을 서로 프레스 압접시키면 상기 자성 금속판상의 돌출물들이 비자성 금속판 쪽으로 파고들면서 변형되어 양 금속판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 바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공개특허 제2004-0004034호나 등록특허 제103475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들에서도 여전히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상기 제2004-0004034호의 문제점은 자성 금속인 스테인리스가 비자성 금속인 알루미늄을 파고들어가면서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이 변형되어 크랙이 발생하거나 스테인리스의 돌출부가 알루미늄에 제대로 결합이 되지 않고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알루미늄과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34759호는 알루미늄에 홈을 형성한 후에 스테인리스의 돌출부를 그 홈에 결합한 후 알루미늄을 압착함으로써 그 홈부를 메우도록 된 구조이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34579호에 개시된 방법은 홈부를 메우기 위해 알루미늄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표면이 변형되어 굴곡이 발생하거나 알루미늄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덕션 히터에 사용되는 용기의 바닥판에 자성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비자성체와 자성체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열효율이 우수한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 방법은, 비자성 금속으로 된 본체에 자성 금속으로 된 가열 패턴 부재가 결합된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판상의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돌출부 내측은 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열 패턴 부재를 가공하는 가열 패턴 부재 가공 단계;
상기 본체에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홈부는 그 깊이 방향에서 상부에 배치된 제1홈부 및 상기 제1홈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홈부 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2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결합 홈부 형성 단계;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 후에 상기 돌출부의 하단이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상기 가열 패턴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그 가열 패턴 부재를 상기 본체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턱을 붕괴시키면서 상기 본체와 결합하며, 붕괴된 상기 단턱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 외측 하부의 공간을 채우는 결합단계; 및
상기 결합단계 후에 상기 본체의 상면을 연마하여 그 본체와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에서, 상기 본체가 판재나 주물로 제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에 수용되는 삽입부; 및 상기 바닥판에 의해 덮이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평탄부 보다 높게 형성하며, 그 높이 차이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두께보다 0.1mm 내지 0.3mm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에서, 상기 본체가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에 수용되는 삽입부; 및 상기 바닥판에 의해 덮이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평탄부 보다 높게 형성하며, 그 높이 차이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에서,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와 같도록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2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에서,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외주 테두리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판에 대해 45°상향 각도로 굽힘으로써 가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은, 비자성체인 본체에 2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자성체인 가열 패턴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홈에 형성된 단턱을 붕괴시키면서 그 붕괴된 부위가 상기 돌출부와 홈 사이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본체와 가열 패턴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본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열효율이 향상된 전자 조리기용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바닥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바닥판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홈부 형성단계 후의 본체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 후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단계 직전의 용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단계 후의 용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연마단계 후의 용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바닥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바닥판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홈부 형성단계 후의 본체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 후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단계 직전의 용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단계 후의 용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연마단계 후의 용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10)의 제조방법은, 비자성 금속으로 된 본체(20)에 자성 금속으로 된 가열 패턴 부재(30)가 결합된 전자 조리기용 용기(10)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자 조리기용 용기(10)의 제조방법은,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S1)와, 결합홈부 형성단계(S2)와, 결합단계(S3)와, 연마단계(S4)를 포함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S1)에서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에 상기 본체(20)와 결합하기 위한 부분을 가공한다.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는 바닥판(32)과 돌출부(34)와 구멍(36)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판(32)은 판상의 부재이다. 상기 바닥판(32)은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몸체에 해당한다.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바닥판(32)으로부터 후술하는 본체(20)를 향해 돌출된 부위다. 상기 돌출부(34)는 예컨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돌출부(34)의 내측은 구멍(36)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4)의 길이는 2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34)의 길이가 2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본체(20)와 결합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4)의 길이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20)와 결합시 그 본체(20)에 삽입되는 양이 커져서 상기 본체(20)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S1)에서,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에 가압부(38)를 형성한다. 상기 가압부(38)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외주 테두리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38)는 상기 바닥판(32)에 대해 45°상향 각도로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38)는 후술하는 결합단계에서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를 본체(20)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 지지부가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38)는 상기 결합단계(S3)에서 펴짐으로써 본체(20)와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강판과 같은 자성체로 제조된다.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는 프레스 가공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부 형성단계(S2)에서는, 본체(20)에 상기 돌출부(34)와 결합되는 홈부(22)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20)는 내부에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그릇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20)의 바닥면의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체(20)는 홈부(22)와, 삽입부(27)와, 평탄부(28)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22)는 상기 본체(2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부(22)는 제1홈부(24)와 제2홈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홈부(24)는 상기 홈부(22)의 깊이 방향에서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홈부(25)는 상기 제1홈부(24)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홈부(24)는 상기 제1홈부(24) 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 상기 제1홈부(24)와 상기 제2홈부(25)의 폭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제1홈부(24)와 상기 제2홈부(25) 경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26)이 형성된다. 상기 홈부(22)의 크기는 상기 돌출부(34)가 상기 단턱(26)을 붕괴시켜서 그 돌출부(34) 하측 공간이 메워질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부(24)와 제2홈부(25) 사이에 계단 형태로 각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턱(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7)는 상기 결합홈부 형성단계(S2)에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7)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에 형성된 돌출부(34) 내측으로 수용된 부위다. 즉, 상기 삽입부(27)는 상기 구멍(36)의 내측에 수용된다.
상기 평탄부(28)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바닥판(32)에 의해 덮이는 부위다. 상기 평탄부(28)와 상기 삽입부(27) 사이에 상기 홈부(22)가 배치된다. 상기 삽입부(27)의 높이는 상기 평탄부(28)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20)가 판재나 주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27)와 상기 평탄부(28)의 높이의 차이(h)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두께보다 0.1mm 내지 0.3mm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의 차이(h)가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두께보다 0.1mm 미만으로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연마단계(S4)에서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가 연마됨으로써 그 가열 패턴 부재(30)의 두께가 얇아져서 내구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높이의 차이(h)가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두께보다 0.3mm를 초과할 만큼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연마단계(S4)에서 상기 삽입부(27)의 상부를 연마하여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연마하는 공정의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본체(20)가 주물로 제조되는 경우에 상기 삽입부(27)와 상기 평탄부(28)는 상기 본체(20)를 주조한 후에 바닥면을 절삭하여 형성한다. 상기 본체(20)를 판재로 제조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부(27)와 상기 평탄부(28)는 단조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한편, 상기 결합홈부 형성단계(S2)에서, 상기 본체(20)가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27)의 높이는 상기 평탄부(28) 보다 높게 형성하나, 그 높이 차이(h)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본체(20)가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27)의 상단부가 상기 연마단계(S4)에서 연마되는 양이 거의 없을 정도로 미미하기 때문이다. 상기 본체(20)를 다이캐싱 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부(27)과 상기 평탄부(28)는 다이 캐스팅 금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본체(20)를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20)와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결합단계 후의 경계부위의 평탄도가 판재나 주조 방식의 경우보다 우수하다.
상기 결합홈부 형성단계(S2)에서, 상기 홈부(22)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34)의 길이와 같도록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단계(S3)에서는, 상기 본체(20)와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를 상호 결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홈부 형성단계(S2) 후에 상기 돌출부(34)의 하단이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를 배치한다. 즉, 상기 돌출부(34)가 상기 제1홈부(24)에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를 상기 본체(20)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34)가 상기 단턱(26)을 붕괴시키면서 상기 본체(20)로 파고들면서 결합한다. 붕괴된 상기 단턱(26)은 상기 돌출부(34)에 형성된 구멍 외측 하부의 공간을 채운다. 즉, 상기 단턱이 붕괴되어 제2홈부(25) 및 상기 제2홈부(25)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상기 돌출부(34)가 상기 본체(20)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마단계(S4)에서는, 상기 결합단계(S3) 후에 상기 본체(20)의 상면을 연마한다. 상기 연마단계(S4)에서, 상기 본체(20)와 상기 가열 패턴 부재(30)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 연마단계(S4)가 완료된 용기의 단면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은 자성체인 가열 패턴 부재와 비자성체인 본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에 압력을 직접적으로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결합단계에서 본체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돌출부가 제1홈부 및 제2홈부의 2단으로 형성된 경계부위의 단턱을 붕괴시키면서 그 홈부의 공간을 메우므로 본체가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단계의 결합효율이 향상되며 본체 내부에 결함발생이 적게 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자 조리기용 용기에 식용유를 담아서 인덕션 히터로 220℃까지 5회 가열한 후 용기 바닥 중앙 부위가 바닥의 직경의 길이에 대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기는 바닥 변화율이 0.8~1.5% 였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용기는 0.5% 이하의 바닥 변화율을 보임으로써 종래 방법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열효율 측면에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기는 유도전력이 1.7~1.8kW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1.55~1.6kW의 값을 보였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용기는 유도전력이 1.8~1.9kW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1.7~1.8kW의 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용기의 열효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은, 비자성체인 본체에 2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자성체인 가열 패턴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홈에 형성된 단턱을 붕괴시키면서 그 붕괴된 부위가 상기 돌출부와 홈 사이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본체와 가열 패턴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며 본체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열효율이 향상된 전자 조리기용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 : 전자 조리기용 용기 20 : 본체
22 : 홈부 24 : 제1홈부
25 : 제2홈부 26 : 단턱
27 : 삽입부 28 : 평탄부
30 : 가열 패턴 부재 32 : 바닥판
34 : 돌출부 36 : 구멍
38 : 가압부 h : 삽입부와 평탄부의 높이 차이
S1 :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 S2 : 결합홈부 형성단계
S3 : 결합단계 S4 : 연마단계

Claims (5)

  1. 비자성 금속으로 된 본체에 자성 금속으로 된 가열 패턴 부재가 결합된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판상의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 돌출부 내측은 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열 패턴 부재를 가공하는 가열 패턴 부재 가공 단계;
    상기 본체에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홈부는 그 깊이 방향에서 상부에 배치된 제1홈부 및 상기 제1홈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홈부 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2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결합 홈부 형성 단계;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 후에 상기 돌출부의 하단이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상기 가열 패턴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그 가열 패턴 부재를 상기 본체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턱을 붕괴시키면서 상기 본체와 결합하며, 붕괴된 상기 단턱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 외측 하부의 공간을 채우는 결합단계; 및
    상기 결합단계 후에 상기 본체의 상면을 연마하여 그 본체와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에서, 상기 본체가 판재나 주물로 제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에 수용되는 삽입부; 및 상기 바닥판에 의해 덮이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평탄부 보다 높게 형성하며, 그 높이 차이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두께보다 0.1mm 내지 0.3mm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에서, 상기 본체가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에 수용되는 삽입부; 및 상기 바닥판에 의해 덮이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평탄부 보다 높게 형성하며, 그 높이 차이는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부 형성 단계에서,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와 같도록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2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패턴 부재 가공단계에서, 상기 가열 패턴 부재의 외주 테두리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판에 대해 45°상향 각도로 굽힘으로써 가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10099178A 2011-09-29 2011-09-29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KR10108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178A KR101088894B1 (ko) 2011-09-29 2011-09-29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JP2011270322A JP2013075136A (ja) 2011-09-29 2011-12-09 電磁調理器用容器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178A KR101088894B1 (ko) 2011-09-29 2011-09-29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894B1 true KR101088894B1 (ko) 2011-12-07

Family

ID=4550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178A KR101088894B1 (ko) 2011-09-29 2011-09-29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75136A (ko)
KR (1) KR1010888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1718A (zh) * 2011-12-30 2013-07-03 胡程韶 带复合底的铝锅及其制造方法
CN103222795A (zh) * 2013-04-16 2013-07-3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用智能锅具及电磁加热组件
WO2019203390A1 (ko) * 2018-04-16 2019-10-24 (주)쓰리바바 열변형 방지 구조를 갖는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5150B1 (ko) * 2020-05-08 2020-11-06 (주)쓰리바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466A (ja) 1996-08-02 1998-02-20 Sugiyama Kinzoku Kk 電磁調理器用鍋の製造法
JP2008000609A (ja) 2006-06-21 2008-01-10 Aic Co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容器の導電板
KR101034769B1 (ko) 2010-07-22 2011-05-17 주식회사 동산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466A (ja) 1996-08-02 1998-02-20 Sugiyama Kinzoku Kk 電磁調理器用鍋の製造法
JP2008000609A (ja) 2006-06-21 2008-01-10 Aic Co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容器の導電板
KR101034769B1 (ko) 2010-07-22 2011-05-17 주식회사 동산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1718A (zh) * 2011-12-30 2013-07-03 胡程韶 带复合底的铝锅及其制造方法
CN103222795A (zh) * 2013-04-16 2013-07-3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用智能锅具及电磁加热组件
WO2019203390A1 (ko) * 2018-04-16 2019-10-24 (주)쓰리바바 열변형 방지 구조를 갖는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5150B1 (ko) * 2020-05-08 2020-11-06 (주)쓰리바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75136A (ja)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894B1 (ko) 전자 조리기용 용기의 제조방법
KR101951487B1 (ko) 제어된 변형을 가지는 조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어진 용기
KR101034769B1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US9814342B2 (en) Vessel for cooking food for induction or conventional surfaces
KR20070055448A (ko)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JP5591491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底部およびフェライト系または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ボウルを有する食物調理機器
KR20170083941A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KR10074502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JP7065251B2 (ja) 熱変形防止構造を有する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8888B1 (ko)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CN106623569A (zh) 一种带加热功能的钣金冲压装置
KR10098624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595796A (zh) 一种钛锅具及其复底工艺
KR102074055B1 (ko) 금속판재 3장이 개재된 인덕션용 프라이팬 및 인덕션 프라이팬 제조방법
KR101931745B1 (ko)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CN208404097U (zh) 一种锅具
KR20080092817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ES2333396A2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utensilio de cocina apto para cocinas de induccion.
KR101049495B1 (ko) 유도가열용기의 바닥면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072438A (zh) 用于感应炉的烹饪器皿和用于制造该烹饪器皿的方法
KR100512539B1 (ko) 전자조리기의 바닥판과 그 제조방법
KR10054353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05052547A (ja) 電磁誘導加熱用鍋及び該鍋の製造方法
KR10045354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용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