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56U -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56U
KR20190002156U KR2020180000725U KR20180000725U KR20190002156U KR 20190002156 U KR20190002156 U KR 20190002156U KR 2020180000725 U KR2020180000725 U KR 2020180000725U KR 20180000725 U KR20180000725 U KR 20180000725U KR 20190002156 U KR20190002156 U KR 20190002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ring
cooking vessel
shap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만
Original Assignee
장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만 filed Critical 장동만
Priority to KR2020180000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156U/ko
Publication of KR20190002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과,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철금속재의 발열판은 발열판의 외주연을 따라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비철금속재의 본체는 발열판이 압착되는 바닥면의 대응 부분에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구비됨으로써, 발열판을 본체의 바닥면에 압착시키면,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발열판에 형성된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를 완전히 에워싸는 형태로 변형되어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Heating plate for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capable of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heating plate}
본 고안은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과,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이하에서 간략하게 "IH 조리용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철금속재의 발열판은 발열판의 외주연(外周緣)을 따라 링 모양(環狀)의 분리방지결합부가 구비되는 한편, 비철금속재의 조리용기용 본체는 발열판이 압착되는 바닥면의 대응 부분에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구비됨으로써, 발열판을 본체의 바닥면에 압착시키면,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발열판에 형성된 분리방지결합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변형되고, 이에 의해 본체로부터 발열판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은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가열용 조리용기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는 이러한 알루미늄 계열의 소재로만 제작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철금속재의 소재는 자화되지 않으므로, 자기장에 의한 발열을 일으킬 수 없고, 따라서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는 열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철금속재의 소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철금속재의 소재를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성형된 알루미늄 조리용기에 발열판을 브레이징(brazing) 하는 방법이 한국 공개특허 특2003-2852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조리용기의 밑바닥에 여러 개의 통공이 형성된 발열판을 부착하는 방법인데, 비자성체의 조리용기에 자성체의 발열판을 부착하되, 발열판의 통공 주위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전열면적이 증가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열판과 조리용기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IH 조리용기에 사용되는 이종 재질의 접합 방식으로는 용접이 보편적이지만, 간편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조리용기의 제작에 종종 이용되는 다이캐스팅 방식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즉, 용접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생산량에 한계가 있어 비용이 상승하고,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조리용기를 생산할 경우에는 이종 재질인 조리용기용 본체와 조리용기용 전열판(또는 발열판)을 일체화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일체화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열판(또는 발열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 예를 들면 철금속재의 자성 강판으로 이루어진 발열판이 비철금속재의 조리용기용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점점 이탈이 되고, 이에 의해 본체의 바닥면과 자성 강판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열전도율이 낮아지는 문제점과, 조리용기의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자성 강판의 외주연(가장자리 둘레)이 떨어져 나와 조리용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는, 조리용기의 본체의 저면부 외주연에 체결테와 체결홀이 구현됨과 아울러 그 안쪽에 다수 개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발열판의 외주연에 결합테가 구현됨과 아울러 안쪽에 다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용기의 본체의 저면부에 발열판이 견고하게 맞물려 이탈되는 일이 없고, 또한 본체의 저면부에 발열판이 균일하게 밀착되어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인덕션 레인지용 또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에서도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로부터 강판 소재의 발열판이 점차 이탈되어 둘 사이가 헐거워져 열전도가 불균일해지는 등의 문제는 남아 있어 좀 더 개선할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034769호(2011.05.06.)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재의 조리용기용 본체의 바닥면에 스테인리스 강판과 같은 철금속재의 발열판을 압착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에 있어서의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착 완료시, 발열판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본체의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에 의해 IH 조리용기의 바닥에 완전히 매립되어 양자가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조리용기의 본체와 발열판의 사이에 틈이 벌어져 헐거워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본체의 바닥면을 통한 전열이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열판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도 없어 조리용기의 장수명화가 달성될 수 있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일정 치수 및 모양을 갖도록 철금속재의 판재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으로서, 비철금속재의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압착되어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형성하는 상기 발열판은, 다수의 결합 구멍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각각의 결합 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 모양의 결합 돌기가 본체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발열판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며,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발열판의 외주연(外周緣, 외측 둘레)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2] 상기 [1]에 있어서, 분리방지결합부는, 발열판의 외주연을 따라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 외주연으로부터 일정 치수만큼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의 외측연(外側緣)을 따라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 발열판의 이면(裏面) 방면으로 돌출되는 일정 높이의 이탈방지벽, 및, 수평 연장부와 이탈방지벽과 발열판의 외주연에 의해 구획되는 링 모양의 압입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3] 외주연을 따라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철금속재의 발열판과, 발열판이 압착되는 바닥면의 대응 부분에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비철금속재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압착변형결합부와 발열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분리방지결합부의 압착변형에 의해, 링 모양의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가 조리용기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4] 상기 [3]에 있어서, 발열판에는, 다수의 결합 구멍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각각의 결합 구멍의 둘레를 따라 링 모양의 결합 돌기가 본체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발열판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며,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발열판의 외주연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발열판이 압착되는 본체의 바닥면의 대응 부분에는, 발열판의 결합 구멍에 끼워지는 다수의 체결 돌기가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발열판의 분리방지결합부와의 압착변형에 의해 링 모양의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이루는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본 고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는 철금속재의 발열판에 구비된 분리방지결합부와 비철금속재의 본체에 구비된 압착변형결합부가 서로 압착되어 일체화된 링 모양의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가 조리용기의 바닥측에 매립된 형태이기 때문에, 양자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발열판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장수명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는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 돌기 및 체결홈이 발열판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구멍 및 결합 돌기에 끼워 맞춰지므로, 본체의 바닥면에 발열판이 빈틈없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헐거워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체의 바닥면을 통한 전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열판은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방지결합부를 갖지 않는 종래 구성의 발열판에 비해 외주연이 덜 날카로워, 취급 과정에 있어서의 손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열판을 표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열판을 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발열판이 본체의 바닥면에 압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발열판이 본체의 바닥면에 압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열판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범위가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단수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를 포함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요소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열판을 표면(表面)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열판을 이면(裏面)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열판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우선,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열판(100)은 일정 치수 및 모양을 갖도록 스테인리스 강판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으로서, 후술하는 비철금속재의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압착되어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형성한다.
제1 실시예의 발열판(100)에는 다수의 결합 구멍(120)이 스테인리스 강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 있고, 각 결합 구멍(120)의 둘레에는 결합 구멍의 형상을 따르는 링 모양의 결합 돌기(130)가 후술하는 본체의 바닥면에 접하는 발열판(100)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발열판(100)의 외주연에는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110)가 이 외주연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발열판(100)의 외주연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110)는, 외주연으로부터 일정 치수만큼 외측으로 돌출된 수평 연장부(110A)와, 수평 연장부(110A)의 외측연(外側緣)을 따라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발열판(100)의 이면 측으로 돌출되는 일정 높이의 이탈방지벽(110C), 및, 수평 연장부(110A)와 이탈방지벽(110C)과 발열판(100)의 외주연으로 둘러싸인 링 모양의 압입홈(110B)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발열판(100)의 경우는, 발열판(100)의 중앙 부분에 지름이 큰 원형의 결합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발열판(100)의 구성과 사실상 동일하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발열판(100)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결합 구멍(120)을 가질 수 있다.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의 실시형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발열판이 본체의 바닥면에 압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발열판이 본체의 바닥면에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는,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110)가 외주연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발열판(100)과, 발열판(100)이 압착되는 바닥면의 대응 부분에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소재의 본체(20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압착변형결합부(210)와 발열판(1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분리방지결합부(110)는 서로의 단부(端部)가 견고하게 맞물린 형태로 압착변형되어 링 모양의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300)를 이루며, 이러한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300)는 조리용기의 바닥 측에 매립되게 된다.
또한, 본체(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 돌기(220)와 체결홈(230)이 발열판(10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구멍(120)과 결합 돌기(130)에 각각 끼워져, 본체(200)의 바닥면에 발열판(100)이 긴밀하게 밀착된다.
또한, 본체(200)의 압착변형결합부(210)에는, 링 모양의 결합홈(240)이 구비되어 있어, 발열판(100)의 분리방지결합부(110)가 이 결합홈(240)에 끼워진 상태로 압착되면서 변형되어 양자가 일체화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및 작용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과 수정 및 균등물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발열판
110…분리방지결합부
110A…수평 연장부
110B…압입홈
110C…이탈방지벽
120…결합 구멍
130…결합 돌기
200…본체
210…압착변형결합부
220…체결 돌기
230…체결홈
240…결합홈
300…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

Claims (4)

  1. 일정 치수 및 모양을 갖도록 철금속재의 판재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으로서,
    비철금속재의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압착되어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를 형성하는 상기 발열판은,
    다수의 결합 구멍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각각의 결합 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 모양의 결합 돌기가 본체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발열판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며,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발열판의 외주연(外周緣, 외측 둘레)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방지결합부는,
    발열판의 외주연을 따라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 외주연으로부터 일정 치수만큼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의 외측연(外側緣)을 따라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 발열판의 이면(裏面) 방면으로 돌출되는 일정 높이의 이탈방지벽, 및
    수평 연장부와 이탈방지벽과 발열판의 외주연에 의해 구획되는 링 모양의 압입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3. 외주연(外周緣)을 따라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철금속재의 발열판과, 발열판이 압착되는 바닥면의 대응 부분에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비철금속재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압착변형결합부와 발열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분리방지결합부의 압착변형에 의해, 링 모양의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가 조리용기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발열판에는, 다수의 결합 구멍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각각의 결합 구멍의 둘레를 따라 링 모양의 결합 돌기가 본체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발열판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며, 링 모양의 분리방지결합부가 발열판의 외주연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발열판이 압착되는 본체의 바닥면의 대응 부분에는, 발열판의 결합 구멍에 끼워지는 다수의 체결 돌기가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발열판의 분리방지결합부와의 압착변형에 의해 링 모양의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이루는 링 모양의 압착변형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KR2020180000725U 2018-02-14 2018-02-14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KR201900021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25U KR20190002156U (ko) 2018-02-14 2018-02-14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25U KR20190002156U (ko) 2018-02-14 2018-02-14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56U true KR20190002156U (ko) 2019-08-22

Family

ID=6776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25U KR20190002156U (ko) 2018-02-14 2018-02-14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1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729B1 (ko) * 2021-08-04 2022-12-29 조창원 밑면의 구조가 개선된 인덕션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69B1 (ko) 2010-07-22 2011-05-17 주식회사 동산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69B1 (ko) 2010-07-22 2011-05-17 주식회사 동산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729B1 (ko) * 2021-08-04 2022-12-29 조창원 밑면의 구조가 개선된 인덕션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347B1 (ko)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접촉 요소에 접속하는 접속 방법
US2715169A (en) Switch contact
US10035221B2 (en) Metal bond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 bonded product
KR20050113543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525771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ing utensil
KR20190002156U (ko)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용 발열판 및 발열판 분리 방지 구조를 가진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
JPH07223078A (ja) ボルトの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方法
JP6322453B2 (ja) 鋳造製品、構造物および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95478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2006035244A (ja) 冷間圧接方法及び金属接合体
EP2105071B1 (en) Induction heated cooking utensil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06025533A (ja) 積層鉄心のかしめ構造
KR20120133245A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10291696B (zh) 环状芯片和环状芯
JP2006000357A (ja) Ih加熱装置用鍋
EP3214983B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ob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cooking vessel
CN1208975A (zh) 家用电器的零件固定装置
KR100824835B1 (ko)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JP2004290661A (ja) 調理用容器の底部に配設される金属板及び該金属板を備えた調理用容器並びに該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KR102055529B1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자기장 전달판 결합 구조 어셈블리와 그 결합 방법
JP6237360B2 (ja) 金属接合方法
KR20030011933A (ko) 조리용 용기
KR102265064B1 (ko) 브레이크 패드 유지 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H10179383A (ja) 誘導加熱調理器用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7647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