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543A -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543A
KR20050113543A KR1020040038800A KR20040038800A KR20050113543A KR 20050113543 A KR20050113543 A KR 20050113543A KR 1020040038800 A KR1020040038800 A KR 1020040038800A KR 20040038800 A KR20040038800 A KR 20040038800A KR 20050113543 A KR20050113543 A KR 2005011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conductive
container body
conductive metal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영
Original Assignee
김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영 filed Critical 김양영
Priority to KR1020040038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3543A/ko
Publication of KR2005011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매우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을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되지 않고, 특히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결합된 도전성 금속판(20)을 포함한 하면이 극히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매끄러운 미감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인덕션 작용을 크게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COOKING VESSEL FOR INDUCTION RANGE AND THER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도전성 용기본체와 도전성 금속판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와 도전성 금속판이 매우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는 고전압의 전원이 인가될 경우 코일을 통한 자장을 발생시켜 도전성 금속판이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기구를 말한다.
인덕션 레인지는 가스를 이용한 불꽃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해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며 화재로부터 자유롭고, 특히 가스를 열원으로 할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가 생성되지 않으며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레인지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최근 들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하기 위한 조리용기는 자장에 의해 자기 유도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그 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v)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b)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v)를 나타내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이다.
통상적으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v)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과 같이 비철금속으로 된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에 인덕션 레인지로부터 제공된 자장에 자기 감응되도록 철(Fe) 성분을 함유한 도전성 금속판(b)이 접합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v)는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에 다수의 구멍(h)이 뚫린 도전성 금속판(b)을 밀착시킨 후 유압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여 도전성 금속판(b)의 다수의 구멍(h)을 통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의 일부가 비집고 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접합을 완료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도전성 금속판(b)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비도전성 용기본체(a) 하면과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v)는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열팽창율과 도전성 금속판(b)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관계로 인하여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경우 비도전성 용기본체(a)와 도전성 금속판(b)이 상호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도전성 금속판(b)과 비도전성 용기본체(a) 상호간을 유압 프레스 등으로 긴밀하게 가압하더라도 도전성 금속판(b)의 다수의 구멍(h)에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일부가 비집고 나올 수 있는 체적이 균일하지 못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v)의 하면을 제공할 수밖에 없고, 이는 곧 평평할수록 매끄러운 미감을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인덕션 작용이 최대화될 수 있다는 점에 오히려 반하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비도전성 용기본체와 도전성 금속판이 상호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비도전성 용기본체와 도전성 금속판을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분리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비도전성 용기본체에 접합된 도전성 금속판을 포함한 하면이 극히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도전성 용기본체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이 장착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의 주위에 홈을 각각 갖도록 하는 단계와,
(2) 상기 다수의 홈에 각각 안착되도록 상기 도전성 금속판에 절곡부를 각각 제공하고 이들 절곡부의 중심에 상기 다수의 돌기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을 갖도록 하는 단계와,
(3) 상기 다수의 돌기에 상기 다수의 구멍이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상기 도전성 금속판을 밀착시키는 단계와,
(4)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와 상기 도전성 금속판을 서로 압착시켜 상기 다수의 돌기가 상기 절곡부를 눌러주면서 상기 다수의 홈을 채워주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도전성 용기본체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이 장착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는 하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의 주위에 다수의 홈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금속판은 상기 다수의 홈에 각각 안착되는 절곡부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절곡부의 중심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이 각각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돌기에 상기 다수의 구멍이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상기 도전성 금속판을 압착시켜 상기 다수의 돌기가 상기 절곡부를 각각 눌러주면서 상기 다수의 홈을 채워주도록 하여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와 상기 도전성 금속판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의 핵심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에 의한 (1) 단계 및 (2) 단계와, 도 4에 의한 (3) 단계, 도 5에 의한 (4) 단계로 각각 설명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의 제조방법은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다수의 돌기(11)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11)의 주위에 홈(12)을 각각 갖도록 하는 (1) 단계를 수행하고, 이어서 다수의 홈(12)에 각각 안착되도록 도전성 금속판(20)에 절곡부(21)를 각각 제공하고 이들 절곡부(21)의 중심에 다수의 돌기(11)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22)을 갖도록 하는 (2) 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1) 단계 및 (2) 단계의 역순이 가능함은 이론이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밀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로서, 다수의 돌기(11)에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끼워지도록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밀착시키는 (3)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도전성 금속판(20)에 접착제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밀착시킨 후 유압 프레스(미 도시됨) 등으로 압착시켜 일체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로서,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을 서로 압착시켜 다수의 돌기(11)가 절곡부(21)를 눌러주면서 다수의 홈(12)을 채워주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4) 단계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후, (4) 단계에 더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일체화된 도전성 금속판(20)의 하면을 그라인딩 가공하여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5) 단계를 더 추가할 경우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의 하면은 매우 매끄러운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매끄러운 구조는, 도전성 금속판(20)의 다수의 구멍(22)에 이미 노출된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돌기(11)를 그라인딩 가공할 경우 종래의 도전성 금속판(b)을 그라인딩 하는 것보다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돌기(11)를 그라인딩 가공하기가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며, 이는 주로 알루미늄 재질인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가공처리에 대한 용이성을 십분 활용하기 위함이다.
상대적으로, 종래의 도전성 금속판(b)과 비도전성 용기본체(a) 상호간을 유압 프레스 등으로 긴밀하게 가압하더라도 도전성 금속판(b)의 다수의 구멍(h)에 비도전성 용기본체(a)가 비집고 들어올 수 있는 체적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그라인딩 가공시 철 성분으로 된 도전성 금속판(b)이 오히려 깍이는 현상이 발생함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의 제조방법은 크게 유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는 비도전성 용기본체(10)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이 매우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그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면 비도전성 용기본체(10)는 하면에 다수의 돌기(11)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11)의 주위에 다수의 홈(12)이 각각 구비되며, 도전성 금속판(20)은 다수의 홈(12)에 각각 안착되는 절곡부(21)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절곡부(21)의 중심에는 다수의 돌기(11)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제공되며, 다수의 돌기(11)에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끼워지도록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압착시켜 다수의 돌기(11)가 절곡부(21)를 각각 가압하면서 다수의 홈(12)을 채워주도록 함으로써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결국,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므로써,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다수의 돌기(11)가 도전성 금속판(20)의 각각의 절곡부(21)를 충분하게 가압하면서 다수의 홈(12)을 채워주는 구조(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므로써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매우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을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결합된 도전성 금속판(20)을 포함한 하면이 극히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매끄러운 미감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 인덕션 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은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므로써, 즉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다수의 돌기(11)가 도전성 금속판(20)의 각각의 절곡부(21)를 충분하게 가압하면서 다수의 홈(12)을 채워주는 구조(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므로써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매우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을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결합된 도전성 금속판(20)을 포함한 하면이 극히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매끄러운 미감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인덕션 작용을 크게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나타내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밀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밀착시킨 후 압착시켜 일체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비도전성 용기본체 11 : 돌기
12 : 홈 20 : 도전성 금속판
21 : 절곡부 22 : 구멍
100 :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Claims (3)

  1. 비도전성 용기본체(10)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이 장착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다수의 돌기(11)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11)의 주위에 홈(12)을 각각 갖도록 하는 단계와,
    (2) 상기 다수의 홈(12)에 각각 안착되도록 상기 도전성 금속판(20)에 절곡부(21)를 각각 제공하고 이들 절곡부(21)의 중심에 상기 다수의 돌기(11)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22)을 갖도록 하는 단계와,
    (3) 상기 다수의 돌기(11)에 상기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상기 도전성 금속판(20)을 밀착시키는 단계와,
    (4)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상기 도전성 금속판(20)을 서로 압착시켜 상기 다수의 돌기(11)가 상기 절곡부(21)를 눌러주면서 상기 다수의 홈(12)을 채워주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 이후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일체화된 상기 도전성 금속판(20)의 하면을 그라인딩 가공하여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5)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의 제조방법.
  3. 비도전성 용기본체(10)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이 장착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10)는 하면에 다수의 돌기(11)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11)의 주위에 다수의 홈(1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금속판(20)은 상기 다수의 홈(12)에 각각 안착되는 절곡부(21)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절곡부(21)의 중심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11)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돌기(11)에 상기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상기 도전성 금속판(20)을 압착시켜 상기 다수의 돌기(11)가 상기 절곡부(21)를 각각 눌러주면서 상기 다수의 홈(12)을 채워주도록 하여 상기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상기 도전성 금속판(20)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
KR1020040038800A 2004-05-29 2004-05-29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3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800A KR20050113543A (ko) 2004-05-29 2004-05-29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800A KR20050113543A (ko) 2004-05-29 2004-05-29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543A true KR20050113543A (ko) 2005-12-02

Family

ID=3728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800A KR20050113543A (ko) 2004-05-29 2004-05-29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3543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33B1 (ko) * 2005-08-30 2006-12-20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0670611B1 (ko) * 2005-05-26 2007-01-17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32946B1 (ko) * 2006-06-21 2007-06-29 주식회사 에이아이씨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도전판
KR100819952B1 (ko) * 2006-08-31 2008-04-07 주식회사 에이아이씨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도전판 및 그를 이용한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824835B1 (ko) * 2006-11-17 2008-04-23 손완호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KR100834027B1 (ko) * 2008-01-08 2008-05-30 김양영 인덕션 용기
KR100889722B1 (ko) * 2007-04-13 2009-03-20 정정숙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0953370B1 (ko) * 2009-08-26 2010-04-20 임현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및 그에 의한 조리용기
KR100986247B1 (ko) * 2008-02-21 2010-10-07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05263B1 (ko) * 2008-04-01 2011-01-04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034769B1 (ko) * 2010-07-22 2011-05-17 주식회사 동산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WO2011152612A2 (ko) * 2010-06-01 2011-12-08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KR101109457B1 (ko) * 2009-09-18 2012-02-06 박경미 인덕션 렌지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272B1 (ko) * 2009-07-21 2012-03-20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전자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101133259B1 (ko) * 2009-08-13 2012-04-05 박경미 인덕션 렌지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47783B1 (ko) * 2009-10-22 2012-05-21 김영승 이중 바닥을 갖는 조리용기
EP2656757A1 (en) * 2012-04-23 2013-10-30 Seowon Pallas Inc. Conduction plate of induction heating cooking vessel
WO2015012571A1 (ko) * 2013-07-25 2015-01-29 주식회사 캔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
KR20170001498A (ko) 2015-06-26 2017-01-04 (주)피스월드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659311A (zh) * 2014-04-28 2017-05-10 爱客有限公司 电磁炉用烹饪容器
KR20180005426A (ko) * 2016-07-06 2018-01-16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
KR20180022130A (ko) * 2016-08-23 2018-03-06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
KR20180051989A (ko) * 2016-11-09 2018-05-17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ih)
KR102318147B1 (ko) 2020-11-20 2021-10-28 (주)알이오 인덕션용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41132B1 (ko) 2022-02-07 2022-09-06 김귀영 주물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11B1 (ko) * 2005-05-26 2007-01-17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9733B1 (ko) * 2005-08-30 2006-12-20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0732946B1 (ko) * 2006-06-21 2007-06-29 주식회사 에이아이씨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도전판
KR100819952B1 (ko) * 2006-08-31 2008-04-07 주식회사 에이아이씨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도전판 및 그를 이용한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824835B1 (ko) * 2006-11-17 2008-04-23 손완호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KR100889722B1 (ko) * 2007-04-13 2009-03-20 정정숙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0834027B1 (ko) * 2008-01-08 2008-05-30 김양영 인덕션 용기
KR100986247B1 (ko) * 2008-02-21 2010-10-07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05263B1 (ko) * 2008-04-01 2011-01-04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117272B1 (ko) * 2009-07-21 2012-03-20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전자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101133259B1 (ko) * 2009-08-13 2012-04-05 박경미 인덕션 렌지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1025142A2 (ko) * 2009-08-26 2011-03-03 Lim Hyun Wo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및 그에 의한 조리용기
WO2011025142A3 (ko) * 2009-08-26 2011-04-21 Lim Hyun Wo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및 그에 의한 조리용기
KR100953370B1 (ko) * 2009-08-26 2010-04-20 임현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및 그에 의한 조리용기
KR101109457B1 (ko) * 2009-09-18 2012-02-06 박경미 인덕션 렌지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47783B1 (ko) * 2009-10-22 2012-05-21 김영승 이중 바닥을 갖는 조리용기
WO2011152612A3 (ko) * 2010-06-01 2012-01-26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WO2011152612A2 (ko) * 2010-06-01 2011-12-08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KR101034769B1 (ko) * 2010-07-22 2011-05-17 주식회사 동산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EP2656757A1 (en) * 2012-04-23 2013-10-30 Seowon Pallas Inc. Conduction plate of induction heating cooking vessel
WO2015012571A1 (ko) * 2013-07-25 2015-01-29 주식회사 캔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
KR101489800B1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캔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
CN106659311A (zh) * 2014-04-28 2017-05-10 爱客有限公司 电磁炉用烹饪容器
KR20170001498A (ko) 2015-06-26 2017-01-04 (주)피스월드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05426A (ko) * 2016-07-06 2018-01-16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
KR20180022130A (ko) * 2016-08-23 2018-03-06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
KR20180051989A (ko) * 2016-11-09 2018-05-17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ih)
KR102318147B1 (ko) 2020-11-20 2021-10-28 (주)알이오 인덕션용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41132B1 (ko) 2022-02-07 2022-09-06 김귀영 주물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3543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72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1034769B1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JPH07289439A (ja) 厨房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814673B (zh) 在感应式或传统式表面上烹饪食物的容器及其形成方法
KR100834027B1 (ko) 인덕션 용기
US580963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ulinary vessel with reinforced bottom
KR10074502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WO2006126848A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rang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JP5927641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WO2005115207A1 (en) Cooking utensil for induction range
KR20090090555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9733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JP3196620U (ja) 電磁調理器具
KR100799741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20050105127A (ko) 은판이 적층된 고기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7652B1 (ko) 인덕션 렌지의 밥솥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용기
JP2006000357A (ja) Ih加熱装置用鍋
JP2004173737A (ja) 電磁調理用器具
JP2020517417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容器の加熱磁性体
KR10117324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KR20070047263A (ko)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JPS6337752Y2 (ko)
CN107072438A (zh) 用于感应炉的烹饪器皿和用于制造该烹饪器皿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