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027B1 - 인덕션 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027B1
KR100834027B1 KR1020080002045A KR20080002045A KR100834027B1 KR 100834027 B1 KR100834027 B1 KR 100834027B1 KR 1020080002045 A KR1020080002045 A KR 1020080002045A KR 20080002045 A KR20080002045 A KR 20080002045A KR 100834027 B1 KR100834027 B1 KR 10083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tal
metal plate
induction
conductiv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영
박남수
Original Assignee
김양영
박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영, 박남수 filed Critical 김양영
Priority to KR102008000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027B1/ko
Priority to JP2008187342A priority patent/JP200916037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하면에 낱개의 홈(61)을 부여함과 동시에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압착시켜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열팽창율과 도전성 금속판(70)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낱개의 금속판(70)의 결합에 의하여 면적 대비 열팽창의 누적없이 도전성 금속판(70)의 들뜸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인덕션 용기(200)에 관한 것이다.
비도전성 금속판, 도전성 금속판, 인덕션 용기, 들뜸현상

Description

인덕션 용기{COOKING VESSEL FOR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인덕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덕션 레인지의 유도가열로 음식물을 조리토록 할 수 있는 인덕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이 인가될 경우 자장을 발생하는 코일을 내장하며, 이 코일의 자장이 미치는 영역에 있는 자성체(유도 가열판)가 가열되는 원리, 즉 유도 가열판을 구비한 인덕션 용기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기기를 일컫는다.
그리고, 주방용기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비자성체인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SUS304)을 사용하지만,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되는 주방용기, 즉 인덕션 용기는 최소한 인덕션 레인지의 그릴에 닿는 부분, 즉 밑바닥이 자성을 지닌 유도 가열판을 구비하여야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인덕션 용기는 밑바닥에 Fe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냄비 프라이팬 주전자 압력밥솥 등과 같은 인덕션 용기는 비철로 된 몸체의 바 닥면에 자성체, 즉 유도 가열판이 부착되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인덕션 용기의 몸체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도 가열판은 Fe 성분을 지닌 24종 스테인레스 스틸(SUS430)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용기(v)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b)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용기(v)를 나타내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용기(v)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과 같이 비철금속으로 된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에 인덕션 레인지로부터 제공된 자장에 자기 감응되도록 철(Fe) 성분을 함유한 도전성 금속판(b)이 접합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에 다수의 구멍(h)이 뚫린 도전성 금속판(b)을 밀착시킨 후 유압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여 도전성 금속판(b)의 다수의 구멍(h)을 통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하면의 일부가 비집고 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접합을 완료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전성 금속판(b)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비도전성 용기본체(a) 하면과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용기(v)는 비 도전성 용기본체(a)의 열팽창율과 도전성 금속판(b)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관계로 인하여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경우 상호간의 부착력의 한계로 비도전성 용기본체(a)와 도전성 금속판(b)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전성 금속판(b)과 비도전성 용기본체(a) 상호간을 유압 프레스 등으로 긴밀하게 압착하더라도 도전성 금속판(b)의 다수의 구멍(h)에 비도전성 용기본체(a)의 일부가 비집고 나올 수 있는 체적이 균일하지 못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한 인덕션 용기(v)의 하면을 제공할 수밖에 없고, 이는 곧 평평할수록 매끄러운 미감을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인덕션 작용이 최대화될 수 있다는 점에 오히려 반하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 3a는 본원 출원인이 선 출원한 인덕션 용기(100; 10-2004-0038800, 실제 출원 명칭: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100)의 제조방법은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다수의 돌기(11)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11)의 주위에 홈(12)을 각각 갖도록 하는 (1) 단계를 수행하고, 이어서 다수의 홈(12)에 각각 안착되도록 도전성 금속판(20)에 절곡부(21)를 각각 제공하고 이들 절곡부(21)의 중심에 다수의 돌기(11)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22)을 갖도록 하는 (2) 단계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도 4는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밀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로서, 다수의 돌기(11)에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끼워지도록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밀착시키는 (3)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도전성 금속판(20)에 접착제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는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밀착시킨 후 유압 프레스(미 도시됨) 등으로 압착시켜 일체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로서,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을 서로 압착시켜 다수의 돌기(11)가 절곡부(21)를 눌러주면서 다수의 홈(12)을 채워주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4)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후, (4) 단계에 더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일체화된 도전성 금속판(20)의 하면을 그라인딩 가공하여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5) 단계를 더 추가할 경우 인덕션 용기(100)의 하면은 매우 매끄러운 평평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100)는 비도전성 용기본체(10)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이 매우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그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면 비도전성 용기본체(10)는 하면 에 다수의 돌기(11)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11)의 주위에 다수의 홈(12)이 각각 구비되며, 도전성 금속판(20)은 다수의 홈(12)에 각각 안착되는 절곡부[21; 이 절곡부에 의해 도전성 금속판(20)이 미리 굽혀져 있어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의 압착 결합시 도전성 금속판(20)의 불균일한 변형을 미연에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돌기(11)의 압착시 절곡부(21)를 확실하게 누르면서 평탄화시킬 수 있게 됨]가 각각 구비되고 이들 절곡부(21)의 중심에는 다수의 돌기(11)를 각각 받아들이는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제공되며, 다수의 돌기(11)에 다수의 구멍(22)이 각각 끼워지도록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20)을 압착시켜 다수의 돌기(11)가 절곡부(21)를 각각 가압하면서 다수의 홈(12)을 채워주도록 함으로써 비도전성 용기본체(10)와 도전성 금속판(20)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100)는 도전성 금속판(20)이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전체적으로 씌워져 일체화되므로 인하여 고가의 원자재인 도전성 금속판(10)을 다량 구매하여야만 하여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비도전성 용기본체(10)의 열팽창율과 도전성 금속판(20)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른 관계로 인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10)에 전체적으로 씌워진 넓은 면적의 도전성 금속판(20)의 어느 한 부분에서라도 상이한 열팽창에 의한 들뜸현상이 초래될 경우 다른 부분에는 그보다 더 크게 누적된 열팽창 현상에 의한 더 큰 면적의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결국 전체적인 들뜸현상으로 발전되어 인덕션 용기(100)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을 노정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덕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도전성 용기본체 하면에 낱개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낱개의 홈 중심에 각각 솟아오른 결합봉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봉에 끼워지는 홀을 지니면서 상기 낱개의 홈에 각각 안착되는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을 구비하여 유압 프레싱으로 상기 결합봉이 상기 홀 주변의 상기 도전성 금속판을 압착시켜 상호 일체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은 면적(소량)으로 된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이 비도전성 용기본체 하면에 각각 부여된 낱개의 홈에 압착되므로써 원자재의 소비량의 축소로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낱개의 홈을 부여함과 동시에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을 압착시키므로써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열팽 창율과 도전성 금속판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면적 대비 열팽창의 누적없이 도전성 금속판의 들뜸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도전성 용기본체에 부여된 홈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솟아올라 유압 프레싱으로 압착되면서 도전성 금속판의 외곽 테두리를 눌러주는 덧살을 더 포함하여 결합봉이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의 중앙을 압착시키는 것과 더불어 덧살에 의한 도전성 금속판의 외곽 테두리를 함께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고정력 및 밀폐력(틈새에 물 등이 침입되지 않음 => 세균 증식 방지)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도전성 금속판의 홀 주변을 따라 내측 낮은 홈을 부여하여 결합봉이 압착될 경우 인덕션 용기 하면의 평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전성 금속판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외측 낮은 홈을 부여하여 덧살이 압착될 경우 인덕션 용기 하면의 평탄성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또한, 도전성 금속판을 외곽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차츰 휘어지는 오목형으로 제작하여 유압 프레싱에 의해 탄성적으로 펼쳐지면서 홈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측 낮은 홈 및 외측 낮은 홈 그리고 결합봉 및 덧살에 의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오목형으로 된 도전성 금속판을 유압 프레싱으로 가압하여 홈에 펼쳐지면서 밀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밀착력 및 고정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도전성 용기본체(60) 하면에 낱개의 홈(61)을 구비하고, 이 낱개의 홈(61) 중심에 각각 솟아오른 결합봉(62)을 구비한다.
그리고, 결합봉(62)에 끼워지는 홀(71)을 지니면서 낱개의 홈(61)에 각각 안착되는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구비하여 유압 프레싱으로 결합봉(62)이 홀(71) 주변의 도전성 금속판(70)을 압착시켜 상호 일체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는 작은 면적(소량)으로 된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이 비도전성 용기본체(60) 하면에 각각 부여된 낱개의 홈(61)에 압착되므로써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하면에 낱개의 홈(61)을 부여함과 동시에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압착시키므로써 비도전성 용기 본체(60)의 열팽창율과 도전성 금속판(70)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면적 대비 열팽창의 누적없이 도전성 금속판(70)의 들뜸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밀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밀착시킨 후 유압 프레싱으로 압착시켜 일체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는 비도전성 용기본체(60)에 부여된 홈(6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솟아올라 유압 프레싱으로 압착되면서 도전성 금속판(70)의 외곽 테두리를 눌러주는 덧살(63; 덧붙은 살)을 더 포함하여 결합봉(62)이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의 중앙을 압착시키는 것과 더불어 덧살(63)에 의한 도전성 금속판(70)의 외곽 테두리를 함께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전성 금속판(70)의 홀(71) 주변을 따라 내측 낮은 홈(72)을 부여하여 결합봉(62)이 압착될 경우 인덕션 용기(200) 하면의 평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전성 금속판(70)의 외곽 테두리 역시 외측 낮은 홈(73)을 부여하여 덧살(63)이 압착될 경우 인덕션 용기(200) 하면의 평탄성을 함께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장 특징적으로 도전성 금속판(70)은 외곽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차츰 휘어져 유압 프레싱에 의해 탄성적으로 펼쳐지면서 홈(61)에 밀착되도록 오목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내측 낮은 홈(72) 및 외측 낮은 홈(73) 그리고 결합봉(62) 및 덧살(63)에 의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오목형으로 된 도전성 금속판(70)을 유압 프레싱으로 가압하여 홈(61)에 펼쳐지면서 밀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밀착력 및 고정력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200)는 비도전성 용기본체(60)의 하면에 각각 부여된 낱개의 홈(61)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이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화되므로써 원자재의 소비를 줄여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서로 다른 열팽창율에 의한 영향을 낱개의 작은 면적으로 최소화시켜 상호간의 들뜸현상의 극소화로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명을 함께 극대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인덕션 레인지의 유도가열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인덕션 용기, 즉 주방용기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나타내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도 3a는 선 출원된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정면도.
도 4는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밀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도 5는 선 출원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도전성 금속판을 밀착시킨 후 유압 프레스 등으로 압착시켜 일체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 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을 부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분해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을 밀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용기본체의 하면에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을 밀착시킨 후 유압 프레싱으로 압착시켜 일체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단면을 포함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비도전성 용기본체 61 : 홈
62 : 결합봉 63 : 덧살
70 : 도전성 금속판 71 : 홀
72 : 내측 낮은 홈 73 : 외측 낮은 홈
200 : 인덕션 용기

Claims (5)

  1. 비도전성 용기본체(60) 하면에 낱개의 홈(61)을 구비하고, 상기 낱개의 홈(61) 중심에 각각 솟아오른 결합봉(62)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봉(62)에 끼워지는 홀(71)을 지니면서 상기 낱개의 홈(61)에 각각 안착되는 낱개의 도전성 금속판(70)을 구비하여 유압 프레싱으로 상기 결합봉(62)이 상기 홀(71) 주변의 상기 도전성 금속판(70)을 압착시켜 상호 일체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용기(2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70)의 홀(71) 주변을 따라 내측 낮은 홈(72)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용기(2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6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솟아올라 유압 프레싱에 의해 압착되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70)의 외곽 테두리를 눌러주는 덧살(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용기(2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7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외측 낮은 홈(73)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용기(2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판(70)은 외곽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차츰 휘어져 유압 프레싱에 의해 탄성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홈(61)에 밀착되도록 오목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용기(200).
KR1020080002045A 2008-01-08 2008-01-08 인덕션 용기 KR10083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45A KR100834027B1 (ko) 2008-01-08 2008-01-08 인덕션 용기
JP2008187342A JP2009160372A (ja) 2008-01-08 2008-07-18 インダクション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045A KR100834027B1 (ko) 2008-01-08 2008-01-08 인덕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027B1 true KR100834027B1 (ko) 2008-05-30

Family

ID=3966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045A KR100834027B1 (ko) 2008-01-08 2008-01-08 인덕션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160372A (ko)
KR (1) KR100834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56B1 (ko) 2009-07-27 2012-02-14 주식회사 패트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2055529B1 (ko) * 2019-10-08 2019-12-13 (주)코메탈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자기장 전달판 결합 구조 어셈블리와 그 결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2053B2 (ja) * 2014-01-29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200482858Y1 (ko) * 2016-11-07 2017-03-10 김광남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820930B1 (ko) 2017-04-27 2018-01-22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FR3070246B1 (fr) * 2017-08-30 2020-10-02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fond muni d'elements ferromagnetiques independants
JP7245105B2 (ja) * 2019-04-09 2023-03-23 日東精工株式会社 異種金属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543A (ko) * 2004-05-29 2005-12-02 김양영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2235A (ko) * 2005-05-26 2006-11-30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6993A (ko) * 2006-11-17 2007-01-12 손완호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21U (ko) * 1989-06-12 1991-01-28
JP2825781B2 (ja) * 1995-01-19 1998-11-18 若井産業株式会社
JPH09225561A (ja) * 1996-02-22 1997-09-02 Showa Alum Corp 異種金属接合部材
JP2006000357A (ja) * 2004-06-17 2006-0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h加熱装置用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543A (ko) * 2004-05-29 2005-12-02 김양영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2235A (ko) * 2005-05-26 2006-11-30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6993A (ko) * 2006-11-17 2007-01-12 손완호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56B1 (ko) 2009-07-27 2012-02-14 주식회사 패트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2055529B1 (ko) * 2019-10-08 2019-12-13 (주)코메탈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자기장 전달판 결합 구조 어셈블리와 그 결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60372A (ja)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027B1 (ko) 인덕션 용기
KR20050113543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72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US580963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ulinary vessel with reinforced bottom
CN104814673B (zh) 在感应式或传统式表面上烹饪食物的容器及其形成方法
KR20170083941A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CN205548308U (zh) 烹饪器具
KR20110044010A (ko) 이중 바닥을 갖는 조리용기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US20050204928A1 (en) Cooking utensil the covering of which comprise an ornamental piec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CN203244268U (zh) 一种电热水壶
JP2006000275A (ja) 誘導加熱用調理鍋
JP2006000357A (ja) Ih加熱装置用鍋
KR100824835B1 (ko)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KR100970454B1 (ko)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CN104799675B (zh) 一种复合材料锅具及其制造方法
KR100987350B1 (ko)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99741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JPS6337752Y2 (ko)
CN202665215U (zh) 石质内胆铝锅
CN107072438A (zh) 用于感应炉的烹饪器皿和用于制造该烹饪器皿的方法
CN2544654Y (zh) 铝质锅的复合锅底
KR101049495B1 (ko) 유도가열용기의 바닥면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48510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4970687A (zh) 一种烹饪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