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656B1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656B1
KR101111656B1 KR1020090068538A KR20090068538A KR101111656B1 KR 101111656 B1 KR101111656 B1 KR 101111656B1 KR 1020090068538 A KR1020090068538 A KR 1020090068538A KR 20090068538 A KR20090068538 A KR 20090068538A KR 101111656 B1 KR101111656 B1 KR 10111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plate
cooking vessel
plate
sensitive
induction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075A (ko
Inventor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패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패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패트론
Priority to KR102009006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6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개시한다.
그러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는,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와,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감응판과, 상기 감응판의 전체면 중에서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을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억지 끼움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끼움결합부 및 제2 끼움결합부 그리고, 상기 감응판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 사이에 표면 경사도를 부여하여 상기 감응면적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지지부를 포함한다.
감응판, 표면 경사도 부여, 변형 억제, 경사지지부, 내구성 향상

Description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cooking vessel for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에 사용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조리용기는 자기(磁氣)를 유도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감응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응판은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바닥면에서 인덕션 렌지의 코일부와 감응하여 자기유도방식에 의해 열에너지를 발생하면서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감응판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또는 중력 주조)으로 조리용기를 성형할 때 통상의 인서트(insert) 성형으로 고정되어 조리용기의 바닥면 측에서 일면(감응면적)이 노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구조에 의하면, 감응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결합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상태로 조리용기 측에 감응판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감응판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중에는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홀들이 관통 형성된 다공판(多孔板) 형태로 감응판을 만들어서 인서트 성형시 홀들 내부로 알루미늄 원료가 채워진 상태로 굳어지면서 감응판을 잡아주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여러 개의 홀들이 뚫려진 다공판 형태의 감응판은 충격이나 열에 의한 내구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나 고열 등에 의해 감응판이 비틀어지거나 용기 바닥면에서 일부가 들뜨면서 비정상으로 변형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여러 개의 홀들이 관통 형성되면 감응판의 표면적이 줄어들어서 감응면적이 축소되므로 감응판 본연의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감응판의 감응면적이 축소되면 조리용기로 물을 끓이거나 음식들을 조리할 때 만족할 만한 열 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조리용기의 성형시 인서트 방식으로 감응판을 부착 고정하면, 작업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성과 생산성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감응판의 내구성과 결합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감응판;
상기 감응판의 전체면 중에서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을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억지 끼움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끼움결합부 및 제2 끼움결합부;
상기 감응판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 사이에 표면 경사도를 부여하여 상기 감응면적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지지부;
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끼움결합부와 제2 끼움결합부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 측에 억지 끼움결합으로 감응판을 간편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감응판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 사이에 표면 경사도를 부여하여 일종의 보강리브 기능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사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종 외력이나 고열 등에 의해 감응면적이 비정상으로 변형되는 현상을 상기 감응판의 표면 경사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지지부의 구조에 의하면 감응판의 전체면을 감응면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다공판 형태의 감응판을 사용하는 종래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갖는 문제(감응력 및 열 효율 저하)들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이하 "용기 본체"라고 함.)를 지칭한다.
상기 용기 본체(2)는 내측에 조리공간(S)을 구비한 통상의 냄비나 팬(pan)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또는 중력 주조)으로 성형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금형 내부로 액상의 성형용 원료를 주입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작업은,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 본체(2) 하부에는 감응판(4)이 제공된다.
상기 감응판(4)은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응판(4)은 특히 자기(磁器) 유도가 가능한 금속판 중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고 각종 주방 용품 제조에 널리 사용하는 24종 스테인레스 스틸판(예: SUS409호, SUS430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응판(4)은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미 잘 알려진 전단(shearing) 작업으로 금속판을 절단하여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감응면적(F)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는 제1 끼움결합부(6) 및 제2 끼움결합부(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끼움결합부(6, 8)는 억지 끼움결합으로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 상기 감응판(4)을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끼움결합부(6, 8)는, 상기 감응판(4)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을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 고정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1 및 제2 끼움결합부(6, 8)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끼움결합부(6, 8)는,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 형성된 걸림부(H1)와, 이 걸림부(H1) 측에 억지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응판(4) 측에 형성되는 끼움부(H2)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H1)는 예를 들어,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용기 본체(2) 바닥면의 가운데와 가장자리 측에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H2)는 상 기 감응판(4)의 가운데와 가장자리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걸림부(H1)와 끼움부(H2)들은 상기 용기 본체(2)와 감응판(4)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용기 본체(4)와 감응판(4)의 둘레를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걸림부(H1)와 끼움부(H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용기 본체(2) 또는 감응판(4)을 만들 때 일체로 형성하거나, 후작업으로 직접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끼움결합부(6, 8)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 상기 감응판(4)을 밀어 넣으면, 상기 걸림부(H1) 측에 끼움부(H2)가 억지 끼움결합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끼움부(H2)들은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H1)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감응판(4)의 분리 방향으로 저항력(마찰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측에 상기 감응판(4)을 끼움결합 방식으로 간단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끼움결합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H1)의 윗면을 통상의 방법으로 눌러서 상기 끼움부(H2)를 걸림 접촉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걸림돌기(K)들을 형성하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는, 경사지지부(1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지지부(10)는 상기 감응판(4) 측에 표면 경사도를 부여하여 각종 충격이나 고열 등에 의해 상기 감응판(4)이 변형되면서 상기 용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저항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경사지지부(1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경사지지부(10)는, 상기 감응판(4)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 경사부(Q1)와 제2 경사부(Q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응판(4)의 전체면 중에서 가장자리와 가운데 지점 사이는 상기 제1 경사부(Q1)와 제2 경사부(Q2)에 의해 각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되면서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 안쪽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Q1, Q2)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상기 감응판(4)을 만들 때 또는 상기 감응판(4)과 용기 본체(2)를 끼움결합할 때 통상의 프레스 작업으로 상기 감응판(4)을 직접 누르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은 예를 들어, 용기를 성형할 때 상기 경사부(Q1, Q2)들과 대응하는 경사도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거나, 후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Q1, Q2)들의 경사각도(A)는 예를 들어, 상기 감응판(4)의 일측면을 기준선으로 할 때 이 기준선에서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을 향하여 대략 0.5도 내지 20도 이내로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한 경사각도(A) 범위보다 더 작으면 만족할 만한 저항력(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상기한 경사각도(A) 범위보다 더 크면 상기 감응판(4)의 평면도(평탄도)가 낮아져서 감응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한 경사지지부(1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감응판(4)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사이에 표면 경사도를 부여하여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감응판(4)이 변형(예: 들뜨는 현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감응판(4)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사이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Q1, Q2)에 의해 각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감응면적(F)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일종의 보강리브 작용이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감응판(4)은 억지 끼움결합으로 용기 본체(2)의 바닥면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한층 향상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응판(4) 측에 각종 외력이나 고열 등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경사지지부(10)의 변형 억제력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경사지지부(10)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감응판(4) 측에 표면 경사도를 부여하여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부(1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감응판(4) 일면 전체를 감응면적(F)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다공판 형태의 감응판을 사용하는 종래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가 갖는 단점(감응면적 축소, 열효율 저하)들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는 보강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12)는 상기 감응판(4)의 표면 변형을 더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12)는, 상기 감응판(4) 상에서 상기 용기 본체(2)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보강돌기(R)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돌기(R)들은 예를 들어, 상기 감응판(4)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하거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슬릿 타입의 돌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돌기(R)들은 상기 감응판(4)의 감응면적(F) 내에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된다.
상기한 보강돌기(R)들은 예를 들어, 상기 감응판(4)을 만들 때 또는 상기 감응판(4)을 용기 본체(2) 측에 억지 끼움결합으로 부착할 때 통상의 프레스 작업으로 일면을 직접 눌러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돌기(R)들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감응판(4)의 감응면적(F) 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각종 외력이나 고열 등에 의해 상기 감응판(4)이 비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일종의 보강리브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보강돌기(R)들은 상기 감응판(4)의 내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외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1 및 제2 끼움결합부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경사지지부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6)

  1.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감응판;
    상기 감응판의 전체면 중에서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을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억지 끼움결합으로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끼움결합부 및 제2 끼움결합부;
    상기 감응판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부분 사이에 표면 경사도를 부여하여 상기 감응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지지부;
    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응판은,
    양쪽면이 비관통 상태인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결합부 및 제2 끼움결합부는,
    걸림부와 끼움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와 감응판의 부착면 사이에서 억지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부는,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는,
    상기 감응판의 가장자리와 가운데 사이가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 안쪽을 향하여 각을 이루면서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제2 경사부는,
    상기 알루미늄 조리용기 본체의 바닥면 안쪽을 향하여 0.5도 내지 20도의 각도 범위 내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는,
    상기 감응판과 대응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감응판의 일면을 눌러서 돌출 형성한 보강돌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20090068538A 2009-07-27 2009-07-2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11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38A KR101111656B1 (ko) 2009-07-27 2009-07-2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38A KR101111656B1 (ko) 2009-07-27 2009-07-2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75A KR20110011075A (ko) 2011-02-08
KR101111656B1 true KR101111656B1 (ko) 2012-02-14

Family

ID=4377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538A KR101111656B1 (ko) 2009-07-27 2009-07-2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688B1 (ko) * 2016-07-29 2018-03-22 하예림 세라믹 조리 용기용 열전도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40B1 (ko) * 2011-04-27 2013-10-23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102342276B1 (ko) * 2020-04-22 2021-12-22 주식회사 제이온 인덕션 구조를 강화한 이중조리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648B1 (ko) 2006-02-01 2006-08-11 (주)케이티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0799741B1 (ko) 2006-11-28 2008-02-01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0834027B1 (ko) 2008-01-08 2008-05-30 김양영 인덕션 용기
KR100953370B1 (ko) 2009-08-26 2010-04-20 임현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및 그에 의한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648B1 (ko) 2006-02-01 2006-08-11 (주)케이티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0799741B1 (ko) 2006-11-28 2008-02-01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0834027B1 (ko) 2008-01-08 2008-05-30 김양영 인덕션 용기
KR100953370B1 (ko) 2009-08-26 2010-04-20 임현우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및 그에 의한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688B1 (ko) * 2016-07-29 2018-03-22 하예림 세라믹 조리 용기용 열전도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75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656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66701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6945142B2 (ja) 圧力式炊飯器
JP4276632B2 (ja) 食品加熱用皿
KR20100138512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434567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401557Y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3168813U (ja) 電磁調理器用発熱板及びそれを備える電磁調理器用調理器具
JP4120654B2 (ja) 電磁誘導加熱用の調理具
JP4120653B2 (ja) 電磁誘導加熱用の器具
KR200413993Y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CN104501989B (zh) 一种电饭煲温度传感器
KR20110100975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092556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JP2010071571A (ja) 加熱調理器の組込み構造、組込み型加熱調理器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JP5542882B2 (ja) 加熱調理器
JP4248449B2 (ja) 電磁調理用容器
JP2006221952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2448351A (zh) 自热容器
JP2006238977A (ja) 真空二重容器
KR20140048510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09863272U (zh) 烹饪器具
JP5669275B2 (ja)
JP3849493B2 (ja) 炊飯器
JP5636858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