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930B1 -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 Google Patents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930B1
KR101820930B1 KR1020170054643A KR20170054643A KR101820930B1 KR 101820930 B1 KR101820930 B1 KR 101820930B1 KR 1020170054643 A KR1020170054643 A KR 1020170054643A KR 20170054643 A KR20170054643 A KR 20170054643A KR 101820930 B1 KR101820930 B1 KR 10182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old
cooking container
induction ran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하우스
Priority to KR102017005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930B1/ko
Priority to CN201880025056.9A priority patent/CN110545702B/zh
Priority to JP2020509402A priority patent/JP7162052B2/ja
Priority to US16/488,054 priority patent/US11213163B2/en
Priority to PCT/KR2018/001849 priority patent/WO2018199448A1/ko
Priority to EP18790614.4A priority patent/EP3616577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유도가열방식에 의한 인덕션레인지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자성체를 조리용기(A)의 바닥에 조리용기(A) 제조 시 금형(B)과 부합되도록 한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A)의 발열자성체(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비자성체의 조리용기(A) 바닥에 하면이 노출되게 결합 구성된 자성체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2)와,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마주보며 절개되어 가운데가 상향 돌출되도록 양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2)와 연결되게 상향 절곡 형성되면서 가운데는 양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금형(B)에서 조리용기(A)의 성형 시 베이스플레이트(2)가 안치된 하형(B2)과 대응되는 상형(B1)의 가압 시 상형(B1)의 하면에 동시에 접하여 탄력 지지되도록 해서 조리용기(A)의 성형 후 바닥의 상면에 이르게 구성된 수개의 탄성지지구(3)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지지구(3)는 가운데에 상형(B1)의 하면과 점접촉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첨단접부(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A)의 불량률을 최소화시키며, 조리용기(A)의 바닥부 성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기 바닥에서의 배부름현상을 방지 및 내구성 향상 및 원활한 고주파유도가열이 가능한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Exothermic magnetic substance of induction range cookware}
본 발명은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주파유도가열방식에 의한 인덕션레인지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자성체를 조리용기의 바닥에 조리용기 제조 시 금형과 부합되도록 해서 보다 견고하고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인덕션레인지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중의 하나로서, 산소 소모가 없고 폐가스의 배출이 없으면서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으며, 10kHz를 초과하는 고주파 전류를 코일에 공급하면 코일에서 교류자기장이 발생되어 자성체(磁性體)에서 맴돌이전류(eddy current, = 소용돌이전류/와전류)가 발생되면서 맴돌이전류의 줄열(Joule's heat)에 의해서 자성체에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바, 이러한 인덕션레인지에 사용되는 가열용기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자성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가열용기만으로는 열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자성체 금속 재질로 된 일반 가열용기의 바닥 하면에 인덕션레인지의 코일에서 발생되는 교류자기장에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도록 자성체 금속을 부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년 제38486호(2004년 5월 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조리용기의 용기본체 바닥에 도전판(=자성체)을 바로 부착시키거나, 공개특허 2003년 제90585호(2003년 11월 2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다이캐스팅으로 제작된 주방용기의 몸체 하부면에 자성판과 비자성판과 자성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고주파 열융착 등으로 부착 구성되도록 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의 용기 바닥에 자성체를 판형태로 부착만 하였을 시 인덕션레인지에 의해서 자성체에서 고온의 열이 발산되면 알루미늄 합금의 용기 바닥과 자성체판의 연신율이 상이하여 용기 바닥이 내부로 배가 불러지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용기 바닥과 자성체판이 비틀어지면서 분리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어 가열용기의 수명이 극히 짧았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 바닥과 자성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년 제95799호(2002년 12월 2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된 용기본체와 도체인 스테인리스판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압입되는 돌기 및 구멍(또는 홈)을 형성한 후 이들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가압시키도록 한 기술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공개특허 2001년 제10381호(2001년 2월 5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도체인 금속 발열판에 다수의 절개부와 걸림수단이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뚫어서 구성하여 금형에 위치시킨 후 알루미늄용탕을 가압 응고하여 알루미늄 합금과 일체로 되게 구성하되, 도체인 발열판의 구멍에 박리방지턱을 구성한 기술이 존재하고 있었는바, 상기 공개특허 2002년 제95799호는 용기와 도체에 각각 돌기와 구멍을 형성하거나 구멍을 경사지게 형성하더라도 가열용기를 자주 가열하여 사용하다 보면 용기에서 도체가 쉽게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으면서 용기 바닥에 내측으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으며, 상기 공개특허 2001년 제10381호는 도체의 구멍에 박리방지턱을 구성하여 이탈방지효과가 좋았으며, 도체인 발열판에 열팽창 완화를 위한 다수의 절개부와 구멍을 뚫어도 용기 바닥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재질이 상이하여 연신율이 다르므로 연신율이 높은 알루미늄 합금의 용기 바닥 내측으로 배부름 현상이 일어나는 것과 서로 분리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년 제24630호(2010년 3월 8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도전판에 인덕션 용기와 긴밀하게 결속할 수 있는 걸림부재가 역(逆)브이자형태로 구비된 기술이 공지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기술은 인덕션 용기와 도전판을 보다 긴밀하게 결합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도전판이 단지 용기바닥면에서 하부에 위치만 할 뿐이므로 금형의 상형과 하형에 의해서 인덕션 용기를 가압 성형하면 도전판이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가압 고정되지 못하여 도 7에서와 같이 도전판(100) 하부로 인덕션 용기의 용융물이 배어 나오는 등의 불량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10-2004-0038486 A 2004. 5. 8. KR 10-2003-0090585 A 2003. 11. 28. KR 10-2002-0095799 A 2002. 12. 28. KR 10-2001-0010381 A 2001. 2. 5. KR 10-2010-0024630 A 2010. 3. 8.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덕션레인지의 코일에서 발생된 교류자기장에 반응하여 발생되는 맴돌이전류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 자성체로 이루어진 발열자성체를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용기의 바닥에 하면이 노출되게 결합 구성하되, 발열자성체와 조리용기의 결합력을 월등히 향상시켜서 내구성을 월등히 향상시키며,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를 금형에 의해서 제작할 시 상형과 하형 사이에 발열자성체가 탄력 지지되게 하여 발열자성체의 하부로 용기의 용융물이 배어 나와 굳어버리거나, 용기 바닥의 상부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등을 해결하여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제조 시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금형의 상형을 탄력 지지하는 발열자성체의 탄성지지구를 조리용기의 바닥상면까지 돌출시키더라도 조리용기의 성형 후 탄성지지구의 상단이 조리용기의 바닥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서 불량률을 보다 더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를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는 비자성체의 조리용기 바닥에 하면이 노출되게 결합 구성된 자성체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서 마주보며 절개되어 가운데가 상향 돌출되도록 양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되게 상향 절곡 형성되면서 가운데는 양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금형에서 조리용기의 성형 시 베이스플레이트가 안치된 하형과 대응되는 상형의 가압 시 상형의 하면에 동시에 접하여 탄력 지지되도록 해서 조리용기의 성형 후 바닥의 상면에 이르게 구성된 수개의 탄성지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구는 가운데에 상형의 하면과 점접촉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첨단접부가 구비되되,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된 양단부에서 각각 일정 구간(ℓ)에 소정 너비(t)를 갖도록 형성된 버팀부와 양측 버팀부의 상측에서 가운데의 첨단접부로 점차 너비가 협소해지도록 형성된 부분편협부가 구비되거나,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된 양단부에서 각각 가운데의 첨단접부로 점차 너비가 협소해지도록 형성된 전체편협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는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제작 시 바닥을 상형과 하형에 의해서 가압 성형할 때 하형에 안치되는 발열자성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지지구의 상단이 상형에 탄력 지지되어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발열자성체가 탄력 지지되므로 비자성체인 조리용기의 알루미늄합금 용융물이 발열자성체 하부로 배어 나오지 못하여 불량률을 최소화시키며, 이때 금형의 상형을 탄력 지지하는 발열자성체의 탄성지지구를 조리용기의 바닥상면까지 돌출시키더라도 조리용기의 성형 후 탄성지지구의 상단이 조리용기의 바닥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서 불량률을 보다 더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발열자성체에 상부로 고르게 돌출된 수개의 탄성지지구에 의해서 상형이 조리용기의 바닥부분 알루미늄합금을 균등하게 가압하므로 조리용기의 바닥 상면이 균일하게 성형되어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 바닥부가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조리용기를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에서 가장 중요한 바닥부의 성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더불어 상기 조리용기의 알루미늄합금 용융물이 발열자성체의 탄성지지구 사이사이로 고르게 유입되면서 통공으로 관통되어 경화 후 발열자성체와 용기의 바닥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져서 결합력을 높이므로 비자성체이면서 연신율이 높은 조리용기와 자성체이면서 상대적으로 연신율이 낮은 발열자성체를 결합시키더라도 용기 바닥에서의 배부름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장기간 사용 후에도 조리용기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불량률을 더 감소시키면서 수명을 보다 장구히 늘일 수 있으며, 발열자성체와 조리용기의 향상된 결합력에 의해서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에 통공과 탄성지지구를 형성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제작이 현저히 용이하며, 제조원가도 월등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탄성지지구에 의해서 조리용기의 바닥부 저면에서 상면까지 이어지면서 조리용기의 하면에 발열자성체의 베이스플레이트 하면이 조리용기의 바닥부에서 하부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인덕션레인지의 코일에서 발산되는 교류자기장을 발열자성체에서 직접적으로 받아들여서 고주파유도가열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열자성체의 바람직한 제1실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도 1의 발열자성체 평면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발열자성체를 이용하여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를 금형에서 제작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성형과정을 거쳐서 성형된 발열자성체가 결합된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열자성체의 제2실례를 보인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열자성체의 제3실례를 보인 입체도
도 7은 종래 공개특허 2010년 제24630호의 전도판으로 조리용기를 제작할 시 발생되는 불량을 보인 도면대용 사진
도 8은 종래 공개특허 2010년 제24630호의 전도판에서 걸림부재를 조리용기의 바닥 상면까지 이르게 하였을 시 조리용기의 바닥 상면의 불량을 보인 도면대용 사진
본 발명은 고주파유도가열방식에 의한 인덕션레인지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자성체를 조리용기의 바닥에 조리용기 제조 시 금형과 부합되도록 해서 보다 견고하고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A)의 발열자성체(1)는 제1실례로 도 1의 입체도와 도 2의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베이스플레이트(2)(baseplate)와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수개의 탄성지지구(3)(彈性支持具)로 대분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뚫린 수개의 통공(4)(通孔)이 형성된다.
이러한 발열자성체(1)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알루미늄합금 등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A)의 바닥에 하면이 노출되게 결합 구성되며, 이러한 발열자성체(1)는 전체가 주로 철 또는 STS 400계열의 철이 많이 함유된 스테인리스강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져서 인덕션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coil)에서 발산되는 교류자기장에 의해서 맴돌이전류가 발생되어 줄열에 의해서 고온의 열이 발생되도록 해서 조리용기(A)에 열을 제공하므로 조리용기(A)의 내부에서 요리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발열자성체(1)는 자성체의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개의 탄성지지구(3)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이러한 탄성지지구(3)는 마주보며 절개되어 가운데가 상향 돌출되도록 양단부가 상기의 베이스플레이트(2)와 연결되게 상향 절곡 형성되면서 가운데는 양측이 양단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탄성지지구(3)가 상향 돌출된 베이스플레이트(2)에는 절개공(31)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상기 수개의 탄성지지구(3)는 도 3에서와 같이 금형(B)에서 조리용기(A)의 성형 시 베이스플레이트(2)가 안치된 하형(B2)과 대응되는 상형(B1)을 가압할 때 상형(B1)의 하면에 동시에 접하여 탄력 지지되도록 해서 도 4에서와 같이 조리용기(A)의 성형 후 조리용기(A) 바닥의 상면에 상단이 이르게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상하로 뚫린 수개의 통공(4)으로는 도 3과 같이 조리용기(A)를 제작할 시 비자성체인 조리용기(A)의 알루미늄합금 용융물이 내입된 후 경화 시 재질이 상이하고 연신율이 상이하며 자성체의 발열자성체(1)와 비자성체의 조리용기(A)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면서, 인덕션레인지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조리용기(A)의 바닥부가 하부의 발열자성체(1)에서 분리되어 배부름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탄성지지구(3)는 도 1의 확대도와 도 3에서처럼 가운데에 상형(B1)의 하면과 점접촉(點接觸)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첨단접부(5)(尖端接部)가 구비되며, 이러한 탄성지지구(3)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와 연결된 양단부에서 각각 일정 구간(ℓ)에 소정 너비(t)를 갖는 버팀부(6)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버팀부(6)의 상측에서 가운데의 첨단접부(5)로 점차 너비가 협소해지는 부분편협부(7)가 형성되되, 상기 부분편협부(7)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버팀부(6) 상단에서 첨단접부(5)로 너비가 직선적으로 협소해지거나, 도 5의 제2실례를 보인 입체도에서와 같이 버팀부(6) 상단에서 첨단접부(5)로 너비가 곡선적으로 협소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구(3)는 도 6의 제3실례를 보인 입체도에서와 같이 버팀부(6)가 없이 베이스플레이트(2)와 연결된 양단부에서 각각 가운데의 첨단접부(5)로 전체의 너비가 점차 협소해지는 전체편협부(8)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상형(B1)의 가압 시 탄력 지지하는 힘이 약하므로 버팀부(6)가 있을 때보다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지지력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A)의 발열자성체(1)는 자성체로 이루어져서 비자성체의 조리용기(A)의 바닥부에 결합 성형되어 인덕션레인지 전용 조리용기(A)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형(B)의 상형(B1)과 하형(B2)으로 조리용기(A)의 성형 시 상형(B1)과 하형(B2) 사이에 본 발명의 발열자성체(1)가 탄력 지지되게 개재되어 상형(B1)과 하형(B2)이 가까워지게 가압 시 하형(B2)에 안치된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상향 돌출된 수개의 탄성지지구(3)에 의해서 상형(B1)이 탄력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인덕션조리용기(A)의 성형 시 금형(B)의 상형(B1)과 하형(B2) 사이에서 발열자성체(1)가 탄력 지지로 보다 강하게 가압 지지되므로 도 7의 종래 도전판(100)에서 걸림부재(200)가 용기성형용 금형(B)의 상형(B1)과 하형(B2)에 지지되지 못하여 용기의 알루미늄합금 용융물이 도전판(100) 하부로 배어 나오는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발열자성체(1)의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상향 돌출된 탄성지지구(3) 가운데의 최상부에 상부로 뾰족한 첨단접부(5)가 구비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조리용기(A)의 성형 후 탄성지지구(3)의 첨단접부(5)가 조리용기(A) 바닥의 상면에까지 이르게 구성되더라도 조리용기(A) 바닥 상부로 노출되지 않는 반면, 도 7의 종래 도전판(100)에서 일정 폭을 가지면서 상향 돌출된 걸림부재(200)를 용기 바닥의 상면에까지 이르게 구성할 시 도 8에서와 같이 용기 바닥의 상부로 걸림부재(200)의 폭만큼 노출이 되어 불량 내지 조리를 위한 용기로 사용할 수 없어서 기존에 단지 용기와 도전판(100)을 견고히 결합하기 위해 걸림부재(200)를 상향 돌출시킨 공개특허 2010년 제24630호의 도전판(100)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열자성체(1)는 엄연히 상이한 목적과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자성체(1)를 이용하여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A)를 제작할 시 발열자성체(1)의 하부로 조리용기(A)의 용융금속이 배어 나오지 않고, 조리용기(A) 바닥 상부로 발열자성체(1)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조리용기(A)와 발열자성체(1)의 결합력을 높여서 인덕션레인지로 장기간 가열하여 사용하더라도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내구성을 월등히 향상시켜서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으며,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A)의 바닥 하부로 발열자성체(1)가 노출되게 결합되면서 조리용기(A) 바닥부의 상면에 이르기까지 구성되어 인덕션레인지의 코일에 의한 교류자기장을 발열자성체(1)에서 직접적으로 받아들여서 고주파유도가열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A:조리용기
B:금형 B1:상형 B2:하형
1:발열자성체
2:베이스플레이트
3:탄성지지구 31:절개공
4:통공
5:첨단접부
6:버팀부
7:부분편협부
8:전체편협부
100:도전판 200:걸림부재

Claims (4)

  1. 비자성체의 조리용기(A) 바닥에 하면이 노출되게 결합 구성된 자성체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2);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마주보며 절개되어 가운데가 상향 돌출되도록 양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2)와 연결되게 상향 절곡 형성되면서 가운데는 양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수개의 탄성지지구(3);
    가 포함되며,
    베이스플레이트(2)는 금형(B)에서 조리용기(A)의 성형 시 하형(B2)의 상면에 안치되며;
    탄성지지구(3)는 금형(B)에서 조리용기(A)의 성형 시 상형(B1)의 하면과 점접촉하도록 가운데가 뾰족하게 형성된 첨단접부(5)가 구비되어;
    금형(B)의 상형(B1)과 하형(B2) 사이에서 동시에 접하면서 탄력 지지되도록 해서 금형(B)에서 조리용기(A)의 성형 후 첨단접부(5)가 조리용기(A) 바닥의 상면에 이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지지구(3)는 베이스플레이트(2)와 연결된 양단부에서 각각 일정 구간(ℓ)에 소정 너비(t)를 갖도록 형성된 버팀부(6);
    양측 버팀부(6)의 상측에서 가운데의 첨단접부(5)로 점차 너비가 협소해지도록 형성된 부분편협부(7);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3. 삭제
  4. 삭제
KR1020170054643A 2017-04-27 2017-04-27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KR10182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43A KR101820930B1 (ko) 2017-04-27 2017-04-27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CN201880025056.9A CN110545702B (zh) 2017-04-27 2018-02-12 电磁炉烹饪容器的发热磁体
JP2020509402A JP7162052B2 (ja) 2017-04-27 2018-02-12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容器の加熱磁性体
US16/488,054 US11213163B2 (en) 2017-04-27 2018-02-12 Heating magnetic body for cooking container for an induction range
PCT/KR2018/001849 WO2018199448A1 (ko) 2017-04-27 2018-02-12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EP18790614.4A EP3616577A4 (en) 2017-04-27 2018-02-12 EXOTHERMAL MAGNETIC SUBSTANCE OF AN INDUCTION AREA COOK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43A KR101820930B1 (ko) 2017-04-27 2017-04-27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930B1 true KR101820930B1 (ko) 2018-01-22

Family

ID=6109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43A KR101820930B1 (ko) 2017-04-27 2017-04-27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3163B2 (ko)
EP (1) EP3616577A4 (ko)
JP (1) JP7162052B2 (ko)
KR (1) KR101820930B1 (ko)
CN (1) CN110545702B (ko)
WO (1) WO20181994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152B1 (ko) 2018-03-06 2019-07-23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용기용 발열체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729B1 (ko) * 2021-08-04 2022-12-29 조창원 밑면의 구조가 개선된 인덕션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372A (ja) 2008-01-08 2009-07-23 Yang Yeong Kim インダクション容器
CN203555525U (zh) * 2013-09-04 2014-04-23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一种复底铸铝炊具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680A (ja) * 1996-09-19 1998-04-07 Mitsui Sekika Sanshi Kk 目地シーリング材用突起部つきジョイナー材及び、ジョイナー材とガスケット材の固定用突起部つき治具
KR100381820B1 (ko) 1999-07-20 2003-04-26 주식회사 남선홈웨어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EP1282476B1 (en) * 2000-05-19 2004-07-28 Società Italiana Pentole S.p.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ooking vessels
KR100402929B1 (ko) 2000-09-01 2003-10-30 정우실업 주식회사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674154B1 (ko) * 2001-02-26 2007-01-24 다케하라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수지 피막 및 그 피막을 내면에 구비한 기물
KR20020095799A (ko) 2001-06-15 2002-12-28 세광알미늄주식회사 이중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0515250B1 (ko) 2002-11-01 2005-09-16 이기화 인덕션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작방법
KR100490795B1 (ko) * 2003-06-13 2005-05-19 주식회사 남선홈웨어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KR100626556B1 (ko) 2003-11-07 2006-09-21 백봉기 인덕션 레인지 겸용 주방용기
JP4248449B2 (ja) * 2004-03-05 2009-04-02 銀峯陶器株式会社 電磁調理用容器
ES2254020B1 (es) * 2004-11-17 2007-02-16 Comercial Valira, S.A. Metodo para insertar una placa inductora de calor en el fondo de asiento de un recipiente para coccion, medios para su realizacion y recipiente resultante.
CN2852882Y (zh) * 2005-05-25 2007-01-03 银峰陶器株式会社 电磁烹调用容器
CN201123726Y (zh) * 2007-05-22 2008-10-01 宁波成誉电器模具有限公司 电磁灶用的铝质锅的铝钢铆合锅底
KR100954074B1 (ko) * 2008-01-29 2010-04-23 이신근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KR100994528B1 (ko) 2008-07-22 2010-11-15 포테그라랩스 주식회사 태양전지
KR20100024630A (ko) * 2008-08-26 2010-03-08 주식회사 피엔풍년 도전판
KR101375176B1 (ko) 2008-09-24 2014-03-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약 공급 장치
KR101525247B1 (ko) 2008-10-06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99196A (ja) * 2008-10-22 2010-05-06 Jung Suk Jung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KR101545590B1 (ko) 2009-02-06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095799A (ko)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광대역 안테나 및 이에 포함된 복사 소자
KR20120005362U (ko) * 2011-01-14 2012-07-24 장동만 유도가열 조리용기용 전열판
KR101275669B1 (ko) * 2011-02-09 2013-06-17 주식회사 셰프라인 예산 인덕션 히팅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231801B (zh) * 2014-05-26 2017-12-19 宁波卡特马克智能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锅底以及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372A (ja) 2008-01-08 2009-07-23 Yang Yeong Kim インダクション容器
CN203555525U (zh) * 2013-09-04 2014-04-23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一种复底铸铝炊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152B1 (ko) 2018-03-06 2019-07-23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용기용 발열체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38237A1 (en) 2020-05-07
EP3616577A4 (en) 2021-02-24
CN110545702B (zh) 2022-12-09
US11213163B2 (en) 2022-01-04
JP7162052B2 (ja) 2022-10-27
JP2020517417A (ja) 2020-06-18
WO2018199448A1 (ko) 2018-11-01
CN110545702A (zh) 2019-12-06
EP3616577A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930B1 (ko)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KR10088972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EP1455622B1 (en) Cooking vessel comprising a base made of a multilayer material and a side wall, and article of multilayer material
KR101590856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KR102002152B1 (ko) 인덕션용기용 발열체모듈
KR101567570B1 (ko) 인덕션렌지용 가열용기
JP2010042212A (ja) 誘導加熱調理容器
KR101537102B1 (ko) 인덕션렌지에 사용되는 가열용기
KR20070047263A (ko)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CN210745597U (zh) 一种耦合加热装置及加热系统
WO2011152259A1 (ja) 電磁調理器具
KR101498778B1 (ko) 인덕션 레인지용 금속판 및 그 금속판을 사용하여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KR20100102314A (ko) 고주파 유도가열 조리기
KR101033743B1 (ko) 고주파 유도 가열 감응장치
CN214856084U (zh) 一种便于内锅受热的电饭煲外锅组件
JP4304853B2 (ja) 電磁調理器
CN212677402U (zh) 用于电磁感应加热装置的隔热装置及其加热装置
KR20030034485A (ko) 유도가열 밥솥
KR102377828B1 (ko) 전기밥솥용 면상발열체의 고정구조
KR101671901B1 (ko) 유도가열 조리기
JP373870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46154Y2 (ko)
CN205646219U (zh) 一种接线端子及含有其的线圈盘和电磁加热烹饪电器
KR10112929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