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295B1 -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295B1
KR101129295B1 KR1020100050185A KR20100050185A KR101129295B1 KR 101129295 B1 KR101129295 B1 KR 101129295B1 KR 1020100050185 A KR1020100050185 A KR 1020100050185A KR 20100050185 A KR20100050185 A KR 20100050185A KR 101129295 B1 KR101129295 B1 KR 10112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hin plate
coil base
induction he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714A (ko
Inventor
이창룡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2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제품의 기능성 및 제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코일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의 박판형 가열코일이 균일하게 구비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삽탈되도록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내솥의 외주를 감싸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베이스; 및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밀착되어 구비되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는 박판형 가열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oker}
본 발명은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구비되는 가열코일에 의해 내솥 자체가 발열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장치에 의해 밥, 국, 찌게 등의 다양한 음식물이 조리되는 기구로서, 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전기압력밥솥이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압력밥솥과 같은 조리기기는 가열방식에 따라 열판가열식 조리기기와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근래에는 내솥 자체가 발열되어 가스불과 같은 강한 화력이 발생됨과 아울러 정교한 열량 조절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는 전자기력으로 열이 나게 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으로서, 자력선의 방향이 변화되는 자계 안에 금속을 높으면 금속 자체가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생되는 소용돌이 모양의 전류를 통해 자체적으로 발열되는 원리가 적용된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전기압력밥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기압력밥솥에 한정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1)는 외장을 이루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내측에 고정되어 수용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코일베이스(5)와, 상기 코일베이스(5)의 수용공간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솥(7)과, 상기 코일베이스(5)의 외면에 설치되어 자력선이 발생되는 가열코일(working coil)(9)과, 상기 본체(3)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사이드 히터(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1)는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가열코일(9)에 의해 그 내측에 자력선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코일베이스(5)에 수용된 상기 내솥(7)의 스테인레스층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류로 인하여 발생된 열이 열전도율이 높은 상기 내솥(7)의 알루미늄층을 통하여 내솥(7) 전체에 퍼져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1)는 구리재질의 도선이 여러개 감겨져 형성된 상기 가열코일(9)이 주로 상기 코일베이스(5)의 외면 하측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이를 통한 상기 내솥(7)의 발열량은 상기 내솥(7)의 상하단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발생되므로 상기 내솥(7)의 상단부까지 채워진 음식물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리되지 않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를 보완하도록 상기 코일베이스(5)의 외면 상단부에 보조열원으로서 상기 사이드 히터(11)가 더 구비되기는 하나, 상기 사이드 히터(11)의 추가로 인해 구성부품수가 증가되어 제작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도 번거로워져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솥의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도록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구비되는 박판형 가열코일이 코일베이스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기능성 및 제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삽탈되도록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내솥의 외주를 감싸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베이스; 및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전자기유도에 의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형합되도록 딥드로잉 가공되어 형성된 전도체 박판이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나선 권취형으로 밀착되어 구비되는 박판형 가열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열성을 고려하여 표면이 절연 코팅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욱이,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은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다중으로 나선 권취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의 양단에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베이스와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의 사이에는 실리콘 접착층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코일베이스가 개재되도록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하측에 하부케이스의 체결연장부가 체결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부 하면에 하향 돌설된 하부 체결부가 형성되는 고정지지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내측에 내솥이 수용되는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되는 전도체 박판을 딥드로잉 가공에 의해 구비하는 제1단계; 상기 딥드로잉 가공된 전도체 박판을 실리콘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코일베이스 외면에 밀착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코일베이스 외면에 밀착된 상기 전도체 박판을 레이저 트리밍하여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전자기유도에 의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도록 나선 권취형의 박판형 가열코일로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나선 권취형의 박판형 가열코일은,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다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트리밍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는 박판형 가열코일이 코일베이스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원공급에 따라 코일베이스의 내측에 구비된 내솥의 상하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열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조리량에 관계없이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므로 제품의 기능성 및 사용자의 만족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박판형 가열코일의 형성은 코일베이스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딥드로잉 가공된 전도체 박판이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형합된 상태에서 레이져 트리밍되어 단선 또는 다선 즉, 다중으로 간단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의 제작 및 형성이 간편하여 제작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박판형 가열코일은 코일베이스 외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사이드 히터와 같은 보조열원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필요가 없고 특히, 박판형 가열코일은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실리콘 접착층에 의해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가열코일의 고정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고정구도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따라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의 구성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제작비용의 절감될 수 있다.
넷째, 하부케이스가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지지부에 의해 단계적으로 결합되어 견고히 조립되되,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연장부가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부 체결부 및 본체 체결부의 돌출정도에 따라 그 돌출정도가 적절히 조절되어 구비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파손 및 형상변형의 위험이 최소화되어 조립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박판형 가열코일을 나타낸 상세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베이스에 가열코일이 형성되는 순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의 박판형 가열코일이 구비된 코일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의 본체 및 고정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가 구비된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29)는 본체(31), 코일베이스(41) 및 박판형 가열코일(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31)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면서 조리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31)의 상부 내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35)이 삽탈되도록 개구부(3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본체(3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코일베이스(41),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 및 전원공급부 등의 내장부품이 장착된 후 하부에 하부케이스(37)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코일베이스(41)는 상기 내솥(35)의 외주를 감싸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면에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31)에 장착되며, 내열성이 좋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계열 수지 등의 합성수지 사출물로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은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밀착되어 구비되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내솥(35)을 유도가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은 전도성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열성 향상 및 부식방지와 절연을 위해서 에나멜 등의 절연제로 코팅처리 또는 도금처리되어 구비된다.
더욱이, 이와 같이 절연 코팅처리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은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에 형합되도록 딥드로잉 가공되어 상기 외면에 밀착되는 전도체 박판이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나선 권취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선 권취형이라 함은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 전체를 나선형으로 감겨지도록 구비된 형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조리기기는 가열코일이 코일베이스의 외면 하측 및 밑바닥에만 설치되므로 내솥의 발열량이 상기 내솥의 상하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발생되어 상기 내솥의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솥(35)이 고르게 발열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은 그 제작 및 형성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등의 전도체가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딥드로잉 가공되어 상기 전도체 박판으로 형성된 이후,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에 형합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트리밍 가공됨으로써 상기 코일베이스(41)에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트리밍 가공은 대상체에 레이저광을 집속 조사하여 대상체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가공법을 말한다.
한편,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상기 코일베이스(41)에 밀착되게 형성될 시 상기 코일베이스(41)와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의 사이에는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실리콘 접착층(5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딥드로잉 가공을 통해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기 전도체 박판이 상기 코일베이스(41)에 형합될 시 상기 코일베이스(41) 외면에 형성된 실리콘 접착층(53)에 의해 상기 전도체 박판이 밀착 고정된 후, 나선형으로 트리밍 가공됨으로써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로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은 상기 실리콘 접착층(53)에 의해 상기 코일베이스(41) 외면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의 고정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고정구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은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사이드 히터와 같은 보조열원도 구비될 필요가 없어 조리기기의 구성부품수가 최소화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박판형 가열코일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55)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의 양단에는 전원공급부(55)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5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원연결부(57)는 링 터미널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55)에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연결부(57)는 상기 링 터미널 뿐만 아니라 절연성의 열가소성 수지된 형성된 각종 전기 커넥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베이스에 가열코일이 형성되는 순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솥이 감싸지도록 형성된 코일베이스(41)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박판형 가열코일(51)이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균일하게 권취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코일베이스(41)에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구비되기 위해서는 우선, 전도체 박판(51a)을 딥드로잉 가공에 의해 구비한다. 즉, 소정의 전도체가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다이로 펀치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에 형합되는 상기 전도체 박판(51a)을 구비한다.
이후, 상기 딥드로잉 가공된 전도체 박판(51a)을 실리콘 접착층(53)이 형성된 상기 코일베이스(41) 외면에 형합하여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도체 박판(51a)이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에 밀착되면 상기 전도체 박판(51a)을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나선 권취형의 박판형 가열코일(51)로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코일베이스(41)에는 그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태의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에 나선 권취형의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구비될 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51)이 단선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트리밍이 수행될 수도 있으나, 상기 내솥에 발생되는 기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코일베이스(41)의 외면을 따라 다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트리밍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의 박판형 가열코일이 구비된 코일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판형 가열코일(103x, 103y)은 내솥에 발생되는 기전력을 고려하여 코일베이스(101)의 외면을 따라 다중의 나선 권취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단선으로 형성되는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103x, 103y) 각각이 병렬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다중의 나선 권취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체를 통과하는 자력선의 양을 변화시키면 상기 도체에 기전력이 발생되는 전자기유도현상에 기초하여 내솥에 발생되는 기전력을 증가시켜 이에 따라 상기 내솥의 발열량이 증가되도록 코일베이스(101)에 형합된 전도체 박판을 다수회 레이저 트리밍함으로써 단선의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103x, 103y)이 병렬되게 배치되어 다중의 나선 권취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상기 레이저 트리밍의 제어만으로 박판형 가열코일이 단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중으로 형성될 수도 있어 제작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의 본체 및 고정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가 구비된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31) 내부에는 상기 본체 하측에 하부케이스(37)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별개의 고정지지부(7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부(71)에는 상기 코일베이스(41)가 개재되도록 내측에 관통홀(89)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관통홀(89)의 테두리부(73) 상면에는 상기 고정지지부(71)가 상기 본체(31)에 결합되도록 본체 체결부(81)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73) 하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7)가 연결되어 상기 본체(31)에 결합되도록 하부 체결부(75)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 체결부(81)는 상기 테두리부(73)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체결홀(81z)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부 체결부(75)는 상기 테두리부(73)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내측에 체결홀(75z)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개구부(도 2의 33)의 테두리부 하면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연장부(83)에 상기 본체 체결부(81)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나사 등의 결합부재로 상호 결합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지지부(71)가 상기 본체(31)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31)와 상기 고정지지부(71)의 결합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상기 본체 체결부(81)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연장부(83)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면, 상기 고정지지부(71)가 상기 본체(31)에 결합될 시 상기 체결연장부(83)의 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본체 체결부(81)의 체결홀(81z)과 상기 체결연장부(83)의 체결홀이 간단히 일치될 뿐만 아니라 그 일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의한 체결작업도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31)에 대한 상기 고정지지부(71)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지지부(71)의 하부 체결부(75)에 의해 상기 본체(31)에 하부케이스(37)가 결합된다.
즉, 상기 하부케이스(37)의 내면에도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연장부(85)가 상기 하부 체결부(75)에 대향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37)의 체결연장부(85)와 상기 하부 체결부(75)가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37)가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7)가 상기 고정지지부(71)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기 본체(3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31) 및 상기 하부케이스(37)의 각 체결연장부(83, 85)에 대한 돌출정도가 적절히 조절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종래에는 본체에 하부케이스가 직접적으로 결합되었기 때문에 상기 본체 및 상기 하부케이스 각각의 체결연장부는 상호 결합되도록 최대한 돌출되어 형성되었다. 더욱이, 상기 본체 내부 공간에는 코일베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내장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는 상기 각 체결연장부의 내경 크기는 최소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최소한의 내경으로 최대한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각 체결연장부는 그 지지력이 저하되어 외부 충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조리시 내솥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휘어짐과 같은 형상 변형이 빈번히 초래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결합상태가 뒤틀어지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31) 및 상기 하부 케이스(37)의 각 체결연장부(83, 85)의 지지력 향상 및 상기 본체(31)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고려하여 상기 고정지지부(71)를 통해 상기 본체(31)에 상기 하부케이스(37)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지지부(71)의 본체 체결부(81) 및 하부 체결부(75)에 의해 상기 본체(31) 및 상기 하부 케이스(37)에 형성되는 각 체결연장부(83, 85)는 무리하게 돌출될 필요없이 상기 본체 체결부(81) 및 상기 하부 체결부(75)의 돌출정도에 따라 그 돌출정도가 적절히 조절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각 체결연장부(83, 85)는 상기 본체(31)의 내부 공간 중 상대적으로 많은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본체(31)의 상하측에 형성 및 배치되므로 상기 각 체결연장부(83, 85)는 상기 여유공간이 고려된 최대한의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어 그 지지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71)의 상기 하부 체결부(75)에는 그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외주에 보강지지부(79)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보강지지부(79)는 상기 관통홀(89)의 내주 연장부(77)에 연결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보강지지부(79)의 일단이 상기 관통홀(89)의 테두리부(73)에 연결되게 형성되어, 이와 같이 형성된 보강지지부(79)가 상기 하부 체결부(75)의 외주에 복수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부 체결부(75)의 지지력도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강지지부(79)는 상기 본체 체결부(81) 및 상기 체결연장부(83, 85)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89)의 내주 연장부(77)는 상기 하부 체결부(75)의 돌출정도에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코일베이스(41)를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하부 체결부(75)에 대한 내솥으로부터의 열전달이 최소화되어 상기 열전달에 따른 상기 하부 체결부(75)의 형상 변형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력이 현저히 향상된 각 체결연장부(83, 85)가 상기 고정지지부(7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31)과 상기 하부케이스(37)가 견고히 결합되므로 조리기기(29)의 조립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9: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31: 본체
33: 개구부 35: 내솥
37: 하부케이스 41, 101: 코일베이스
51: 박판형 가열코일 53: 실리콘 접착층
55: 전원공급부 57: 전원연결부
71: 고정지지부 73: 관통홀의 테두리부
75: 하부 체결부 77: 내주 연장부
79: 보강지지부 81: 본체 체결부
83, 85: 체결연장부 89: 관통홀

Claims (9)

  1.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삽탈되도록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내솥의 외주를 감싸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베이스; 및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전자기유도에 의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형합되도록 딥드로잉 가공되어 형성된 전도체 박판이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나선 권취형으로 밀착되어 구비되는 박판형 가열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열성을 고려하여 표면이 절연 코팅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은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다중으로 나선 권취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의 양단에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베이스와 상기 박판형 가열코일의 사이에는 실리콘 접착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코일베이스가 개재되도록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하측에 하부케이스의 체결연장부가 체결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부 하면에 하향 돌출된 하부 체결부가 형성되는 고정지지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8. 내측에 내솥이 수용되는 코일베이스의 외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되는 전도체 박판을 딥드로잉 가공에 의해 구비하는 제1단계;
    상기 딥드로잉 가공된 전도체 박판을 실리콘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코일베이스 외면에 밀착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코일베이스 외면에 밀착된 상기 전도체 박판을 레이저 트리밍하여 선택적인 전원공급에 따라 전자기유도에 의해 상기 내솥을 유도가열하도록 나선 권취형의 박판형 가열코일로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의 제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나선 권취형의 박판형 가열코일은,
    상기 코일베이스의 외면을 따라 다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트리밍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의 제작방법.
KR1020100050185A 2010-05-28 2010-05-28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KR10112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185A KR101129295B1 (ko) 2010-05-28 2010-05-28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185A KR101129295B1 (ko) 2010-05-28 2010-05-28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714A KR20110130714A (ko) 2011-12-06
KR101129295B1 true KR101129295B1 (ko) 2012-03-26

Family

ID=4549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185A KR101129295B1 (ko) 2010-05-28 2010-05-28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2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762B1 (ko) * 1997-10-02 1999-12-15 구자홍 유도가열밥솥의 워킹코일 배치구조
JP3924572B2 (ja) * 2004-05-21 2007-06-06 有限会社ナカイ 電磁誘導加熱装置
KR20070119262A (ko) * 2006-06-14 2007-12-20 김형우 전기밥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762B1 (ko) * 1997-10-02 1999-12-15 구자홍 유도가열밥솥의 워킹코일 배치구조
JP3924572B2 (ja) * 2004-05-21 2007-06-06 有限会社ナカイ 電磁誘導加熱装置
KR20070119262A (ko) * 2006-06-14 2007-12-20 김형우 전기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714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238B1 (ko) 인덕션 가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45948B1 (ko) 전자기 유도가열용 워크 코일 조립체
KR20170071171A (ko) 전기밥솥
JP569350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126089B2 (ja) 加熱側壁方式調理器具および方法
CN201379449Y (zh) 电磁电饭煲及其电磁感应加热装置
KR10117324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KR20200108273A (ko) 조리대용 인덕션 가열기
KR10112929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CN205657864U (zh) 一种电磁线盘
AU689535B2 (en) Induction heating element
US11503678B2 (en) Cooking applianc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device
WO2019080628A1 (zh) 烹饪器具的盖体结构及烹饪器具
KR101079803B1 (ko) 고주파 유도가열 조리기
KR20170013546A (ko) 전기밥솥
JP4345491B2 (ja) 誘導加熱装置
JP2011003490A (ja) 誘導加熱装置
JP4935197B2 (ja) 炊飯器
KR20190040881A (ko) 다중 열선을 이용한 세라믹 가열 플레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CN203871555U (zh) 导线固定装置和电加热器具
CN109419314B (zh) 电饭煲
KR102029129B1 (ko) 디지털 전기 프라이팬
JP2006302505A (ja) 誘導加熱装置
KR20170082067A (ko) 전기밥솥
KR102377828B1 (ko) 전기밥솥용 면상발열체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