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546A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546A
KR20170013546A KR1020150106322A KR20150106322A KR20170013546A KR 20170013546 A KR20170013546 A KR 20170013546A KR 1020150106322 A KR1020150106322 A KR 1020150106322A KR 20150106322 A KR20150106322 A KR 20150106322A KR 20170013546 A KR20170013546 A KR 2017001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trip
ring
shaped case
film layer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448B1 (ko
Inventor
김동원
김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0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4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면상발열체가 이격 배치되어 내솥으로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며 전기소비효율 및 발열효율이 향상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밥솥{ Electric rice cooker }
본 발명은 코일베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밥솥은 본체의 상부에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솥이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며, 이 내솥을 덮을 수 있도록 내솥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고, 본체 내에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즉 쌀이나 잡곡, 기타 음식재료에 열을 전달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 가열 방식 또는 열판 방식의 히터가 구비된다.
전기 압력 밥솥은 본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록킹수단과, 본체 내부의 증기 배출을 조절하는 증기배출밸브(솔레노이드밸브)가 더 구비된다.
한편, 도 1에는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1909호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반적인 유도가열원리를 이용한 전기밥솥을 나타내었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유도가열원리를 이용한 전기밥솥은, 제품의 본체(1)와 본체(1)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2)로 크게 구성된다. 본체(1)의 내부에는 내솥(11)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솥(11)의 외주면에는 내솥(11)을 유도가열시키기 위한 워킹코 일(13)이 설치된다.
그리고 워킹코일(13)과 내솥(11)의 사이에는 코일베이스(15)가 게재되어 워킹코일(13)을 지지한다. 코일베이스(15)는, 유도가열된 내솥(11)의 열량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성이 좋은 PET계열 수지 사출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내솥(11)의 측면 상부에는 링케이스(21)가 부착되고, 링케이스(2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링케이스(21)를 가열시키는 케이스히터코일(23)이 구성된다. 케이스히터코일(23)은 취사완료 후 주로 보온시 동작하게 되고 때로는 가열시 보조열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선형의 케이스히터코일이 링케이스의 외주면을 둘러서 배치되므로, 국부적으로 내솥으로 열을 전달할 뿐 균일한 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전기소비효율도 낮으며, 히터의 길이가 길어서 발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19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면상발열체를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발열 효율이 균일하여, 내솥으로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전기소비효율이 향상된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면상발열체를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면상발열체에 개별적으로 전기를 인가하여, 내솥의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온력이 우수한 발열층에 전기를 인가하여 발열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면상발열체가 링형 케이스의 외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고정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밥솥본체; 상기 밥솥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밥솥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솥을 가열하는 코일베이스; 상기 코일베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링형 케이스;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되,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면상발열체는 개별적으로 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는, 내솥에 인접한 제1필름층 및 상기 제1필름층보다 내솥으로부터 외측에 배치된 제2필름층과, 상기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하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전극띠 및 제1(-)전극띠와, 상기 제1(+)전극띠 및 제1(-)전극띠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가 인가되는 발열층과, 상기 제1(+)전극띠 및 제1(-)전극띠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전선 및 (-)전선과, 상기 (+)전선 및 (-)전선의 타단에 결합되는 전선연결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는 테이프에 의해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면상발열체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의 면상발열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전원부에 고정되는 전선연결단자로부터 거리가 멀리 떨어진 발열층 표면을 줄일 수 있어서 발열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균일한 발열이 가능하다. 즉, 내솥으로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전기소비효율도 향상된다.
또한, 면상발열체의 길이가 짧아서, 링형 케이스에 대한 고정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면상발열체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의 면상발열체에 개별적으로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그래서 내솥의 내용물의 양의 따라, 내솥의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면상발열체의 발열층은 전기인가가 없을 경우에도 냉각되는 속도가 느려서 보온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에너지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제 또는 띠 또는 테이프를 통해 면상발열체가 링형 케이스의 외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도가열밥솥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베이스, 링형 케이스 및 면상발열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면상발열체가 펼쳐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_A단면도.
도 6은 면상발열체의 전극띠 및 발열층의 구조도.
도 7은 전선연결부의 내부 구조도.
도 8은 전선과 전극띠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링형 케이스에 복수개의 면상발열체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링형 케이스에 복수개의 면상발열체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은, 밥솥본체; 상기 밥솥본체에 힌지 결합 되어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밥솥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솥을 가열하는 코일베이스(100); 코일베이스(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링형 케이스(150);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면상발열체(200,400); 를 포함하되, 면상발열체(200,400)는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의 몸체에는 취사 운전 중 또는 취사 후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밥솥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비롯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2-0067848호, 한국등록특허 제0997758호 등 종래에 많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는 코일베이스(100), 링형 케이스(150) 및 면상발열체(20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본 설명은 도 2, 도 4 내지 도 6의 도시한 좌표를 따라 설명한다.
코일베이스(100)는 도 2 내지 도 3의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진다.
코일베이스(100)는 상기 밥솥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코일베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내솥(미도시)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코일베이스(100)의 중앙부 및 하부에는 외주를 따라 코일(110)이 배치되어 코일베이스(100)에 열을 가한다. 그래서 상기 내솥을 가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베이스(100)의 내측면에는 단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링형 케이스(150)는 코일베이스(100)의 내측 상부에 끼워져, 단턱(120)의 상단에 올려진다.
링형 케이스(15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이 상하 관통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링형 케이스(150)의 상단 외주 및 하단 외주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중공인 원형 돌출부(151)가 각각 형성된다.
링형 케이스(150)의 하단에 위치한 원형 돌출부(151)는 단턱(120) 위에 올려진다.
이하에는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면상발열체(200,400)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200,400)는 전기밥솥에 적용 가능하다.
면상발열체(200,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이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면상발열체(200,400)는,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즉, 면상발열체(200,400)는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 각각은 상하 높이에 비해,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띠 형상을 이룬다.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240,440) 및 (-)전선(241,441)과,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선연결단자(270,470)를 각각 포함한다.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는 도 9와 같이,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되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래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는 각각의 전선연결단자(270,470)를 통해 개별적으로 전기가 인가되어 각각의 발열량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가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고정된 후, 두 개의 전선연결단자(270,470)는 코일베이스(100)의 왼쪽 또는 오른쪽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 전체를 하나의 면상발열체로 감쌀 때에 비해,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를 원주방향으로 분할하여 고정하므로,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의 좌우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하나의 면상발열체로 감쌀 경우,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선연결단자(270,470)로부터, 거리가 멀리 떨어진 발열층(230) 표면은 발열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로 분할되어 좌우 길이가 짧아서, 전원부에 연결되는 전선연결단자(270,470)로부터, 거리가 멀리 떨어진 발열층(230) 표면을 줄일 수 있어, 발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는, 발열층(200)의 발열 효율이 저하되는 표면을 줄일 수 있어, 상기 내솥, 즉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을 따라 균일하게 발열, 즉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전기효율도 향상된다.
그리고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의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고정할 때 배치간격 및 치수 조절 등이 용이하다. 즉, 링형 케이스(150)에 대한 고정작업이 더 용이하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면상발열체(500) 및 제2면상발열체(600)가 링형 케이스(15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제1면상발열체(500) 및 제2면상발열체(600)는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전선(540,640), (-)전선(541,641) 및 전선연결단자(570,670)를 포함하여 개별적으로 전기가 인가된다.
한편, 상기 내솥의 담긴 음식물의 양에 따라 가열이 필요한 높이가 달라 지게 된다. 즉, 음식물의 양이 많을 때는 상기 내솥의 더 높은 위치까지 가열해야 하고, 음식물의 양이 적을 때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까지만 가열해도 된다.
따라서, 제1면상발열체(500) 및 제2면상발열체(600)가 상하방향으로 이격 되어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면, 상기 내솥에 담긴 음식물의 양에 따라, 제1면상발열체(500) 및 제2면상발열체(600)에 대한 전기인가량을 조절하여 개별적으로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내솥에 대한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다.
면상발열체(200,400)는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통해 쉽고 간단하게 고정이 가능하므로, 이상에 제시한 것과 같은 배치형태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면상발열체(200,400)를 다양한 형태로 이격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를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고정하는 제1실시예는,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를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이다.
즉,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에 접착 고정시킨다.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를 링형 케이스(150)의 외주면에 고정하는 제2실시예는, 테이프에 의해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를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에 고정하는 것이다.
즉,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를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에 접촉시킨 후, 테이프를 붙여 고정한다.
이상과 같은 고정구조를 통해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를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의 공통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은, 구분 없이 제1면상발열체(2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면상발열체(200)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솥, 즉 링형 케이스(150)에 인접한 제1필름층(206) 및 제1필름층(206)보다 상기 내솥, 즉 링형 케이스(150)로부터 외측에 배치된 제2필름층(208)과, 제1필름층(206) 및 제2필름층(208)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와,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해 이격된 발열층(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가 돌출되어 교대 배치되고, 발열층(230)과 접촉된다. 또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전선(240) 및 (-)전선(241)과, (+)전선(240) 및 (-)전선(241)의 타단에 결합되는 전선연결단자(270)를 포함한다.
또한, 제2필름층(208)의 외면에 은박지(280)를 더 포함하여, 단열 효과가 향상된다. 그래서 제1면상발열체(200)에 전기공급이 끊긴 후에도, 냉각되는 속도가 선형의 코일히터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더 느리므로, 링형 케이스(150) 외주면에 고르게 발열할 뿐 아니라 단열효과도 더 우수하다. 이와 같이 제1면상발열체(200)의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제1면상발열체(200) 외측에 배치되는 단열재(300)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링형 케이스(150) 외측의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 즉 제1필름층(206)이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된다.
그래서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는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과, 코일베이스(10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의 외측에는 단열재(300)가 배치된다. 즉, 단열재(300)는 면상발열체(200,400)와 코일베이스(100)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므로, 링형 케이스(150) 외측의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상발열체(200)는, 사각 띠 형상의 면상발열체몸체(201)와, 면상발열체몸체(201)의 일측에 형성된 전선연결부(202)와, 전선연결부(202)에 결합된 (+)전선(240) 및 (-)전선(241)과, 전선연결단자(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선연결단자(270)는 (+)전선(240) 및 (-)전선(24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면상발열체몸체(201)를 링형 케이스(150) 외주면에 둘러 고정한 후, (+)전선(240) 및 (-)전선(241)이 연결된 전선연결단자(270)를 전원부에 꽂아서 결합함으로써 전기를 용이하게 면상발열체몸체(201)에 통전시킬 수 있다.
즉, 제1면상발열체(200)를 링형 케이스(150)에 설치한 후, 전선연결단자(270)를 전원부에 꽂아 결합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전기를 통전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면상발열체몸체(201)의 단면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면상발열체(200)는 상기 내솥, 즉 링형 케이스(150)에 인접하도록 밥솥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제1필름층(206) 및 제1필름층(206)보다 상기 내솥, 즉 링형 케이스(150)로부터 외측에 배치되는 제2필름층(208)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필름층(206)과 제2필름층(208) 사이에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가 상하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는 외측면이 제2필름층(208)의 내측면에 접한다.
그리고 제2(+)전극띠(220)(도 5에 미도시) 및 제2(-)전극띠(221)의 외측면도 제2필름층(208)의 내측면에 접한다.
또한, 전기가 인가되는 발열층(230)은 제1필름층(206)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필름층(206)과 제2(-)전극띠(22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필름층(208)의 외면, 즉 외측면에는 은박지(280)가 접하여 접착된다(도 7 참고).
참고로, 도 5에는 제1면상발열체(200)의 단면배치를 이해하기 쉽도록, 제1(+)전극띠(210), 제1(-)전극띠(211) 및 제2(-)전극띠(221)가 제1필름층(206)과 이격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실제 제1면상발열체(200)는 제1필름층(206)부터 은박지(280)까지 서로 압착되어, 제1(+)전극띠(210), 제1(-)전극띠(211), 제2(-)전극띠(221)의 내측면이 제1필름층(206)의 외측면과 접촉된다.
이하에는, 도 6을 참고하여 제1면상발열체(200)의 내부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는 제1필름층(206) 및 제2필름층(208)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는 상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는 제1필름층(206) 및 제2필름층(208)의 상하 높이 이내에 배치된다.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는 상하높이가 좁고 좌우 길이가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가 돌출된다.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는 각각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는 제1면상발열체(2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교대로 배치되어 발열층(230)에 접촉된다.
제2(+)전극띠(220)는 상단이 제1(+)전극띠(210)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발열층(230)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전극띠(221)는 하단이 제1(-)전극띠(211)에 연결되어 있고, 상단이 발열층(23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발열층(230)은 상하 이격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해 이격되어 있다.
발열층(230)은 상하 높이(d2)가,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상하 높이(d5)보다 크다(d2 > d5).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따라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발열층(230)의 발열물질은 탄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재료는 높은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내열성, 내식성, 내마모성 및 윤활성 등 전기적,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다. 탄소 재료로 발열층(230)을 형성하면, 열전도도가 좋고 열팽창계수가 낮은 장점이 있으며, 열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사용 용도가 광범위하다.
발열층(230)은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를 통해 전기를 인가받아 발열된다.
즉, 도 7과 같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일측 단부에 각각 연결된 (+)전선(240) 및 (-)전선(241)을 통해 전기가 인가된다. 그리고 인가된 전기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를 거쳐 발열층(230)에 전송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이격거리(d1)는, 발열층(230)의 상하 높이(d2)보다 크다(d1 > d2). 그래서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재료 절감의 효과가 있다.
즉, 링형 케이스(150)에 접촉되는 발열층(230)의 면적에 대해, 발열층(230)에 접촉되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개수가 최적이다.
인접하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이격거리(d1)는, 발열층(230)의 상하 높이(d2)에 대해 1.5 내지 2배 범위 이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이격거리(d1)는, 제1(+)전극띠(210)의 상면과 제1(-)전극띠(211)의 하면 사이의 상하 높이(d3) 이상이다(d1 > d3). 그래서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재료 절감의 효과가 있다.
즉, 발열층(230)과 제1(+)전극띠(210)과 제1(-)전극띠(211)를 포함하는 상하높이에 대해, 발열층(230)에 접촉되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개수가 최적이다.
인접하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이격거리(d1)는, 제1(+)전극띠(210)의 상면과 제1(-)전극띠(211)의 하면 사이의 상하 높이(d3)에 대해 1배 초과 내지 1.1배 이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상하 높이(d5)는,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좌우폭(d4)과 동일하다(d5 = d4). 그래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인가된 전기가 용이하게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로 통전 된다.
또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한 발열층(230)의 이격거리(d7)는,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상하 높이(d5)보다 크다(d7 > d5). 그래서 전기스파크가 튈 위험이 적다.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한 발열층(230)의 이격거리(d7)가,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상하 높이(d5)에 비해 작을수록 전기스파크가 튈 위험이 높아진다.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한 발열층(230)의 이격거리(d7)는,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상하 높이(d5)에 대해 1배 초과 내지 1.2배 이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의 길이는 발열층(230)의 상하 높이(d2)보다 크다. 그리고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한 제2(-)전극띠(221) 및 제2(+)전극띠(220)의 단부의 이격거리(d6)는,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한 발열층(230)의 이격거리(d7)보다 작다.
그래서 제2(+)전극띠(220) 및 제2(-)전극띠(221)가 발열층(230)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접촉되어, 발열층(230)에 상하 방향으로 균일한 전기 인가가 가능하다.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한 발열층(230)의 이격거리(d7)는,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에 대한 제2(-)전극띠(221) 및 제2(+)전극띠(220)의 단부의 이격거리(d6)에 대해 1배 초과 내지 1.2배 이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전선연결부(202)에 대해 상술한다.
전선연결부(202)는 외면을 이루는 테이프와, 테이프 내부에 배치되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 고정된 금속단자(250)와, 금속단자(250)를 고정시키는 리벳(2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연결부(202)는 면상발열체몸체(201)의 일단에 위치한다. 그래서 면상발열체몸체(201)의 일단부 양면에 사각 형상의 테이프가 접착된다.
그리고 전선연결부(202)의 내부에는 (+)전선(240) 및 (-)전선(241)이 결합 된다.
도 7 및 도 8에 전선연결부(202)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는 각각 사각 형상의 금속단자(250)가 고정된다. 그리고 금속단자(250)에는 (+)전선(240) 및 (-)전선(241)이 고정된다. (+)전선(240) 및 (-)전선(241)은 금속단자(250)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단자(2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 접착되는 제1단자부(251)와, 제1단자부(251)의 타면에 접하여 (+)전선(240) 및 (-)전선(241)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2단자부(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단자부(251) 및 제2단자부(252)는 서로 접하여 중첩되어 있다.
제1단자부(251) 및 제2단자부(252)는 사각 판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단자부(251) 및 제2단자부(252)의 일측은, 면상발열체몸체(201), 즉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와 함께 리벳(254)으로 관통되어 결합 된다.
즉, 제1단자부(251) 및 제2단자부(252)의 일측은 리벳(254)에 의해 면상발열체몸체(201)에 고정되어,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 연결된다.
리벳(254)을 통해 제1단자부(251), 제2단자부(252) 및 면상발열체몸체(201)가 견고히 결합 되며 제작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단자부(251)의 일면은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결합이 한층 더 견고하다.
그리고 전선연결부(202) 외부에는 사각 형상의 테이프가 접착되어 외면을 이룬다. 테이프는 (+)전선(240) 및 (-)전선(241)의 일단부 및 면상발열체몸체(201)의 일단부가 덮히도록 접착된다.
이상과 같은 금속단자(250)를 포함하여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로 전기인가가 용이하다. 또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 (+)전선(240) 및 (-)전선(241)의 일단이 연결되고, (+)전선(240) 및 (-)전선(241)의 타단이 전선연결단자(270)에 연결되어 있어, 제1면상발열체(200)에 대한 전기 인가가 쉽고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전극띠(210) 및 제1(-)전극띠(211)의 단부에 금속단자(250) 없이 (+)전선(240) 및 (-)전선(241)이 직접 연결된 후, 테이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작 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가 링형 케이스(150)의 외면에 위치하여, 상기 내솥으로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전기소비효율도 향상된다. 또한, 제1면상발열체(200) 및 제2면상발열체(400)는 전기인가가 없을 경우에도 냉각되는 속도가 느려서 보온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에너지절감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코일베이스 110: 코일
120: 단턱 150: 링형 케이스
151: 원형돌출부 200,500: 제1면상발열체
201: 면상발열체몸체 202: 전선연결부
206: 제1필름층 208: 제2필름층
210: 제1(+)전극띠 211: 제1(-)전극띠
220: 제2(+)전극띠 221: 제2(-)전극띠
230: 발열층 240,440,540,640: (+)전선
241,441,541,641: (-)전선 250: 금속단자
251: 제1단자부 252: 제2단자부
254: 리벳 260: 테이프
270,470,570,670: 전선연결단자 280: 은박지
300: 단열재 400,600: 제2면상발열체

Claims (5)

  1. 밥솥본체;
    상기 밥솥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밥솥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솥을 가열하는 코일베이스;
    상기 코일베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링형 케이스;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되,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면상발열체는 개별적으로 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는,
    내솥에 인접한 제1필름층 및 상기 제1필름층보다 내솥으로부터 외측에 배치된 제2필름층과,
    상기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하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전극띠 및 제1(-)전극띠와,
    상기 제1(+)전극띠 및 제1(-)전극띠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가 인가되는 발열층과,
    상기 제1(+)전극띠 및 제1(-)전극띠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전선 및 (-)전선과
    상기 (+)전선 및 (-)전선의 타단에 결합되는 전선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전기밥솥.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는 테이프에 의해 상기 링형 케이스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50106322A 2015-07-28 2015-07-28 전기밥솥 KR102264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22A KR102264448B1 (ko) 2015-07-28 2015-07-28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22A KR102264448B1 (ko) 2015-07-28 2015-07-28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546A true KR20170013546A (ko) 2017-02-07
KR102264448B1 KR102264448B1 (ko) 2021-06-15

Family

ID=5810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22A KR102264448B1 (ko) 2015-07-28 2015-07-28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810A (ko) 2020-06-22 2021-12-29 류현미 조리기구
KR102552263B1 (ko) * 2023-03-07 2023-07-17 주식회사 레가토 측면가열 관통형 조리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713A (ja) * 1997-09-17 1999-04-06 Sharp Corp 電気炊飯器
KR20040081909A (ko) 2003-03-17 200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밥솥
JP2005348916A (ja) * 2004-06-10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0438395Y1 (ko) * 2006-10-30 2008-02-13 웅진쿠첸 주식회사 입체 가열식 전기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713A (ja) * 1997-09-17 1999-04-06 Sharp Corp 電気炊飯器
KR20040081909A (ko) 2003-03-17 200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밥솥
JP2005348916A (ja) * 2004-06-10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KR200438395Y1 (ko) * 2006-10-30 2008-02-13 웅진쿠첸 주식회사 입체 가열식 전기밥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810A (ko) 2020-06-22 2021-12-29 류현미 조리기구
KR102552263B1 (ko) * 2023-03-07 2023-07-17 주식회사 레가토 측면가열 관통형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448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898B1 (ko) 전기밥솥
KR20170071171A (ko) 전기밥솥
KR102231034B1 (ko) 전기밥솥
KR100686034B1 (ko) 전기 레인지
CN204388191U (zh) 一种高频加热电暖器
KR20170013546A (ko) 전기밥솥
KR102377828B1 (ko) 전기밥솥용 면상발열체의 고정구조
KR20170071222A (ko)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전기 조리기
KR102377829B1 (ko) 전기밥솥
KR102421922B1 (ko) 전기밥솥
CN206507740U (zh) 一种真空电热丝加热锅
US6919545B2 (en) Device for advancing even distribution of high cycle wave magnetism
KR102454018B1 (ko) 전기 밥솥
KR20170071859A (ko) 전기밥솥
RU187953U1 (ru) Обогреватель емкости
RU2291595C2 (ru) Способ нагрева плоской поверхности предмета прилегающим к ней одной стороной плоским нагревателем
KR20170072635A (ko) 전기밥솥
EP4115913A1 (en) Scented candle and scented candle device
KR102492362B1 (ko) 전기밥솥
KR20170071857A (ko) 전기밥솥
KR102301813B1 (ko) 전기밥솥의 열판 지지구조
RU170028U1 (ru) Нагреват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лоский
CN108207048B (zh) 电磁加热线圈盘和电磁加热厨具及电磁加热方法
KR10112929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KR20170072638A (ko) 전기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