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795B1 -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795B1
KR100490795B1 KR10-2003-0038340A KR20030038340A KR100490795B1 KR 100490795 B1 KR100490795 B1 KR 100490795B1 KR 20030038340 A KR20030038340 A KR 20030038340A KR 100490795 B1 KR100490795 B1 KR 10049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groove
lower mold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316A (ko
Inventor
장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선홈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선홈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선홈웨어
Priority to KR10-2003-003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795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본체와 자성을 띠는 발열판의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몰드(2)를 구성하는 바닥부(6)에 발열판(24)의 통공(26)과 일치하는 요홈(12)을 촘촘히 형성하고, 좌우에는 요홈을 대신하는 통공을 통하여 스프링(14)(16)에 탄력지지되는 고정핀(18)(20)이 돌출되게 하여 고정핀(18)(20)에 의해 발열판(24)이 상시 정위치에 결합되게 하고 또 가압성형시 보조수단없이도 본체(28)의 융기부(30)가 요홈(12)에 의해 발열판(24) 저부로 일부돌출되게 하여 융기부의 압착으로 강한 접합력을 갖도록 하며, 요홈(12) 외측에 빙둘러 형성되는 돌출테(22)는 발열판(24)의 테두리부(32)를 압착하여 본체(28) 내부를 파고들어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 및 본체(28)와 발열판(24)의 열팽창갯수 차이나 충격등에 의한 박리방지로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Junction device of electron induction heating type cooker}
본 발명은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접합을 위한 작업공정을 줄이면서 보다 견고히 접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는 경량이면서 열효율이 우수하고 또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가 있는 알루미늄합금제 본체 외면에 자성을 띠는 금속제 발열판을 접합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크게 발열판이 안치된 몰드 내에 알루미늄 용탕을 주입하여 가압후 탈형하는 주물타입과, 1차성형된 알루미늄 본체 저면에 발열판을 압입고정하는 시트타입으로 접합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주물타입은 발열판과의 접합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하겠으나 접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돌기를 형성해 주어야 하고 특히 알루미늄 용탕이 응고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제껏 거의 대부분 시트타입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시트타입 역시 주물타입에 비해 우수할 뿐 많은 결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시트타입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는 일본 특개평10-127491호를 예로 들 수가 있으며, 이는 발열판 상면에 쐐기형 돌기를 촘촘히 돌출형성하여 그 위에 기 성형된 본체를 얹고 프레싱하게 되면 쐐기형 돌기가 본체 저부로부터 깊숙히 파고 들어 서로 일체감있게 접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발열판 상에 쐐기형 돌기를 촘촘히 형성해 주기 위한 까다로운 제조공정이 추가되므로 생산성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또 쐐기형 돌기는 바닥면과 직각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강도약화시 압착과정에서 알루미늄제 본체 내부를 파고들지 못하고 쉽게 휘어져 해당부분은 접합이 이루어질 수가 없게 되며 쐐기형 돌기를 갖지 못한 테두리부는 본체와 단순한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조리시 본체와 가열판이 갖는 열팽창 갯수 차이로 박리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또 약한 충격에도 쉽게 박리되므로 사용수명이 짧은 등의 치명적인 결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후 쐐기형 돌기를 이용한 접합시의 결점들을 해소하고자 통공이 촘촘히 형성된 발열판과 이역시 발열판의 통공과 일치되는 무수한 통공을 갖는 받침판을 겹쳐서 하부몰드 상에 안치시키고 그 위에 1차성형된 알루미늄 본체를 공급하여 가압하게 되면 알루미늄 본체의 일부가 발열판과 받침판이 갖는 통공 내부로 융기되어 받침판의 강제분리시 그 융기부가 발열판 저부로 일부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융기부를 프레싱으로 압착하여 리벳이음형태로 본체와 발열판이 일체감있게 접합되도록 한 접합방법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매회 발열판과 받침판을 통공이 일치되게 일체감있게 연결해 주어야 하고 또 접합후에는 받침판을 분리시켜 주기 위한 작업공정이 추가되므로 생산성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또 통공을 갖지 못한 발열판의 테두리부분은 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낮은 열전도율로 열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결점들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정으로 보다 견고히 접합해 줄 수가 있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목적달성을 위하여 하부몰드의 바닥면에 발열판의 각 통공과 연통되는 요홈을 형성하여 접합시 보조수단없이도 본체의 융기부가 발열판 저부로 일부돌출되도록 하고, 요홈을 빙둘러서 발열판의 직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돌출테를 형성하여 접합시 발열판의 테두리부는 본체 내부로 침투하여 견고히 접합되게 하며, 하부몰드가 갖는 요홈 중 좌우선택된 위치에는 요홈을 대신하는 통공을 통하여 스프링에 탄력지지되는 고정핀을 돌출형성하여 발열판이 고정핀에 의해 상시 정위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승강작동하는 하부몰드(2)와 이와 마주하는 상부몰드(4)로 구성되며, 하부몰드(2)는 고정된 바닥부(6)와 스프링(8)이 탄력지지하는 측면부(10)로 구성된다.
하부몰드(2)의 바닥부(6)가 갖는 바닥면에는 무수한 요홈(12)을 형성하고, 좌우선택된 위치에는 요홈을 대신하는 같은 직경의 통공을 형성하여 그 저부로부터 스프링(14)(16)에 탄력지지되는 고정핀(18)(20)을 삽입하여 바닥부(6) 상부로 일부돌출되게 하며, 요홈을 빙둘러서 돌출테(22)를 형성한다.
상기에 있어, 통공을 포함한 요홈(12)의 직경과 갯수 및 위치는 미리 주어진 발열판(24)의 통공(26)과 일치하도록 하며, 고정핀(18)(20)은 발열판(24)의 통공(26)에 여유를 갖고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한다.
또한 돌출테(22)는 발열판(24)의 직경과 같은 외경을 갖도록 하며, 그 내경은 요홈(12)을 피해 적절히 형성된다.
다만 발열판(24)은 반드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형상에 따라 사각이나 팔각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발열판이 갖는 형상에 따라 돌출테(22)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해 주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몰드(2)의 바닥부(6) 상에 기 제작된 발열판(24)을 안치시켜 바닥부(6)가 갖는 고정핀(18)(20)이 발열판(24)의 해당 통공(26)에 결합되게 하면 발열판(24)은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또 발열판(24)이 갖는 통공(26)과 하부몰드(2)의 요홈(12)은 각기 연통하게 된다.
발열판(24)의 안치후 1차성형된 알루미늄 본체(28)를 스프링(8)이 탄력지지하는 측면부(10) 상에 공급하고, 하부몰드(2)를 상승시켜 주게 되면 알루미늄 본체(28) 저면은 그 가압력에 의해 공간을 갖는 발열판(24)의 통공(26)과 하부몰드(2)의 요홈(12) 내부로 융기되어 융기부(30)를 갖게 되며, 발열판(24)의 테두리부(32)는 하부몰드(2)의 바닥부(6)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테(22)에 의해 압착되어 본체(28) 저면에 깊숙히 파고 들게 되므로 본체(28)와 발열판(24)은 가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압성형후 하부몰드(2)가 하강하게 되면 하부몰드(2)의 측면부(10)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8)의 반발력으로 탈형되며, 이때 본체(28)의 융기부(30)는 발열판(24)의 통공(26)을 관통하여 하부몰드(2)가 갖는 요홈(12)의 깊이만큼 돌출하게 된다.
탈형후에는 별도의 성형틀을 이용한 프레싱공정으로 발열판(24) 저부로 일부돌출된 융기부(30)를 압착해 주므로서 완전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하부몰드(2)의 돌출테(22)에 의해 압착된 발열판(24)의 테두리부(32)는 하부금형(2)이 갖는 돌출테(22)의 강한 압착력으로 절곡되면서 본체(28) 저면으로부터 깊숙히 파고 들게 되므로 그 테두리부(32)는 본체(28)와 강한 접합력을 갖게 된다.
도 5는 본체(28)의 융기부(30)를 압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발열판(24) 저부로 돌출된 융기부(30)의 압착시 그 융기부(30)는 발열판(24)의 통공(26)이 갖는 직경보다 크게 확장되면서 리벳이음시와 같이 접합되므로 강한 접합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몰드(2)에 발열판(24)이 갖는 통공(26)과 연통되게 요홈(12)을 형성해 주므로서, 다른 보조수단없이도 본체(28)로부터 융기되는 융기부(30)를 발열판(24) 저부로 일부돌출시켜 줄 수가 있고 또 요홈을 대신하는 통공을 관통하여 일부돌출되는 좌우 고정핀(18)(20)에 의해 발열판(24)의 결합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으며, 발열판(24)의 테두리부(32)는 하부몰드(2)가 갖는 돌출테(22)에 압착되어 본체(28) 내부로 깊숙히 파고들어 강한 접합력을 갖게 되므로 사용중 열팽창갯수 차이나 충격에 의한 발열판(24)의 박리우려가 없어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을 이용한 접합시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3 : 접합전 조리기구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에 의해 접합된 조리기구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에 의한 접합후 융기부를 압착한 조리기구의 일부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하부몰드 (4)--상부몰드
(6)--바닥부 (8)(14)(16)--스프링
(10)--측면부 (12)--요홈
(18)(20)--고정핀 (22)--돌출테
(24)--발열판 (26)--통공
(28)--본체 (30)--융기부
(32)--테두리부

Claims (2)

  1. 상하몰드(2)(4) 중 하부몰드(2)의 바닥부(6)에 각기 발열판(24)의 통공(26)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요홈(12)과, 좌우선택된 위치에 요홈을 대신하는 통공을 통하여 상부로 출몰하며 스프링(14)(16)에 탄력지지되는 고정핀(18)(20)으로 구성하여서 된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몰드(2)의 바닥부(6)에 요홈(12)을 피해 발열판(24)과 같은 외형을 갖는 돌출테(22)를 돌출형성하여서 된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KR10-2003-0038340A 2003-06-13 2003-06-13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KR10049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340A KR100490795B1 (ko) 2003-06-13 2003-06-13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340A KR100490795B1 (ko) 2003-06-13 2003-06-13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316A KR20040107316A (ko) 2004-12-20
KR100490795B1 true KR100490795B1 (ko) 2005-05-19

Family

ID=3738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340A KR100490795B1 (ko) 2003-06-13 2003-06-13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444A (ko) * 2015-12-29 2017-07-07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열간 가압 접합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930B1 (ko) * 2017-04-27 2018-01-22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레인지 조리용기의 발열자성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444A (ko) * 2015-12-29 2017-07-07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열간 가압 접합용 지그
KR101888596B1 (ko) * 2015-12-29 2018-08-14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열간 가압 접합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316A (ko)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49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72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049079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의 접합장치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KR200448030Y1 (ko) 전자유도 가열식 조리용기의 발열판 제조용 금형
CN111630685B (zh) 二次电池的顶板安全阀制造方法和制造装置、顶板制造方法、二次电池用顶板
KR10098624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99741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JP2514481B2 (ja) 金属板の溶接方法および溶接位置決め用突起体の形成方法
CN211588829U (zh) 回流焊定位焊接工装
KR20090105142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101002364B1 (ko) 인덕션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16387B1 (ko)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조리용기
CN218515132U (zh) 一种黑糖生产用多形状压块装置
CN211240318U (zh) 一种柔性线路板压合补强治具
CN210547457U (zh) 一种厚材料下料模结构
US4266922A (en) Mold for manufacturing abrasive segments
CN213469462U (zh) 汽车离合器产品盖总成装配模具
JP3517559B2 (ja) コイニングによる抵抗溶接用リング溝の成形方法
CN219805191U (zh) 一种内胆模具
CN111545655B (zh) 一种电子连接器接触头热处理用胀口模具
CN217603094U (zh) 一种高效基座粘接工具
KR20040004034A (ko) 전자조리기의 바닥판과 그 제조방법
JP3936626B2 (ja) 高周波誘導加熱式炊飯釜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5786139U (zh) 一种圆形截面零件的深拉延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