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510A - 유전체 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510A
KR20030010510A KR1020020043510A KR20020043510A KR20030010510A KR 20030010510 A KR20030010510 A KR 20030010510A KR 1020020043510 A KR1020020043510 A KR 1020020043510A KR 20020043510 A KR20020043510 A KR 20020043510A KR 20030010510 A KR20030010510 A KR 20030010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electric
resonator
base body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910B1 (ko
Inventor
다쿠보오사무
다시로고지
엔도겐지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소형화 및 낮은 신장화에 적합하고, 면고정장착이 가능하며, 공진주파수의 조정이 가능한 유전체 장치를 제공한다.
공진부(Q1,Q2)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구멍(41,42)은, 유전체 기본체(1)에 형성되어,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고, 단면(21) 및 대향면(22)에 개구하고, 내부에 제 1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공진부(Q1,Q2)의 각각에 있어서, 제 2 구멍(51,52)은, 제 1 구멍(41,42)으로부터 간격 D1을 두고 유전체 기본체 (1)에 형성되어,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고, 단면(21)에서만 개구하고, 바닥부가 닫혀 있으며, 내부에 제 2 내부 도체를 구비한다. 제 2 내부 도체는, 단면(21)에서 제 1 내부 도체에 연속하고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장치{DI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공진기, 발진기, 유전체 필터 또는 듀플렉서 등을 넓게 커버하는 유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유전체 장치는, 준(準)마이크로파대, 마이크로파대, 밀리파대 또는 서브밀리파대 등의 고주파영역에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인 적용예로서는, 위성통신기기, 이동체 통신기기, 무선통신기기, 고주파통신기기 또는 이들 통신기기를 위한 기지국 등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유전체 장치는, 그 전형적인 예로서 유전체 필터를 예로 들면, 세라믹 유전체를 공용하여, 복수의 공진부를 구성하고, 복수의 공진부를 용량결합 혹은 유도결합에 의해 단간(段間) 결합하여, 소정의 주파수성분을 추출하도록 되어 있다. 세라믹 유전체는, 복수의 공진부에서 공용되어, 개방단면을 제외한 바깥면의 대부분이, 도체막에 의해 덮여 있다.
공진부의 각각은, 개방단면으로부터, 이 개방단면과 마주 향하는 대향면(단락면)까지 관통하는 제 1 구멍을 가지고 있다. 세라믹의 개방단면에서 단락면까지의 높이는, 선택된 중심주파수의 파장을 λ로 하여, 일반적으로는, (λ/4)가 되도록 선택하고, 따라서, 제 1 구멍도 약(λ/4)의 길이가 된다.
그러나, 이 종류의 장치가 사용되는 위성통신기기, 이동체 통신기기, 무선통신기기 및 고주파통신기기에는, 전체 높이를 낮게 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의 강한 요청이 있으며, 세라믹 유전체의 개방단면에서 단락면까지의 높이를, (λ/4)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는 종래 기술로는 이 요청에 응할 수 없다.
유전체 필터의 소형화를 목적으로 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일본 특공평7-32321호 공보가 알려져 있다. 이 공지의 문헌에 개시된 유전체 필터는, 개념적으로는, 약 (λ/4)의 높이를 가진 세라믹 유전체를, (λ/4)의 반인 (λ/8)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얻어진 2개의 반조각을, 절단면이 동일면측이 되도록 하는 관계로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또, 절단면상에서, 2분된 관통 도체를 연속시키도록 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경우, 공진파장을 정하는 관통도체가, 세라믹 유전체의 높이에 일치하고, 그 치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진주파수의 조정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방단면과 단락단면이, 절단면과는 반대측 면에서, 각각, 반만큼씩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과 같은 관계로 나타난다. 이 때문에, 입출력단자의 외부접속구조를, 실제의 요망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즉, 이 종류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소형화 및 낮은 신장화의 요청으로부터, 회로기판에 면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단자구조를 취해야만 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개방단면과 단락단면이, 절단면과는 반대측 면에서, 각각, 반만큼씩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과 같은 관계로 나타나기 때문에, 개방단면과 단락단면이 존재하는 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개방단면에 나타난 관통도체에, 리드선을 접속하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없고, 면고정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화 및 낮은 신장화에 알맞은 유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공진주파수의 조정이 가능한 유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면고정장착이 가능한 유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공진기 길이와 공진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기판상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
도 20은 도 18의 20-20선에 따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26은 도 24의 26-26선에 따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36-36선에 따른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38-38선에 따른 단면도,
도 39는 도 35∼도 38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공진기 길이와 공진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0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3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6은 도 45의 46-46선에 따른 단면도,
도 47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8은 도 47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사시도,
도 52는 도 51에 나타낸 듀플렉서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53은 도 51, 도 52에 나타낸 듀플렉서의 주파수감쇠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54는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6은 도 55에 나타낸 듀플렉서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57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8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9는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전체 기본체 3 : 외부 도체막
11 : 제 1 단자12 : 제 2 단자
21 : 단면22 : 대향면
23 내지 25 : 오목부
40 : 오목홈41∼47 : 관통구멍
51∼57 : 비관통구멍61, 62 : 제 1 내부도체
71, 72 : 유전체 부분81 내지 84 : 제 2 내부도체
91 내지 93, 301 내지 304 : 도체막100 : 경사부
111, 112 : 결합전극
411, 421, 511, 512 : 큰 직경부
412, 422, 512, 522 : 작은 직경부g1, g2, g3 : 절연갭
P1, P2 : 도체패턴 Q1, Q2, Q3 : 공진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장치는, 유전체 기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가진다. 상기 유전체 기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단면을 제외한 바깥면이 연속하는 외부 도체막에 의해서 덮여 있다.
상기 공진부는,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을 향하고, 상기 단면 및 상기 대향면에 개구하고 있다. 즉, 제 1 구멍은 관통구멍이다. 제 1 구멍의 내부에는 제 1 내부 도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을 향하고, 상기 단면에서 개구하여, 바닥부가 닫혀 있다. 즉, 제 2 구멍은, 비관통구멍이다. 제 2 구멍의 내부에는, 제 2 내부 도체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내부 도체는 상기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도체에 연속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장치에 있어서, 공진부는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제 1 구멍은, 제 1 내부 도체를 구비하며, 유전체 기본체의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을 향하여, 단면 및 대향면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제 2 구멍은 제 1 구멍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에 향한다. 이 제 2 구멍은, 제 2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고, 제 2 내부 도체는 단면에서 제 1 내부 도체에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장치에서는, 공진파장을 정하는 공진기 길이가, 유전체 기본체의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까지의 높이에 대응하는 관통도체의 길이 H1와,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에 향하는 제 2 구멍의 깊이(높이) H2와, 제 2 구멍으로부터 제 1 구멍까지의 간격 D1의 합(H1+H2+D1)이 된다. 이것은, 소정의 공진파장을 얻을 경우, 유전체 기본체의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까지의 높이를,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을 향하는 제 2 구멍의 깊이와, 제 2 구멍으로부터 제 1 구멍까지의 간격(D1)과의 합(H2+D1)만큼 축소할 수 있고, 유전체 기본체의 소형화 및 낮은 신장화가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공진파장을, (λ/4)로 한 경우, 합(H2+ D1)=(λ/8)으로 하면, 유전체 기본체의 단면에서 그 대향면까지의 높이 H1도 (λ/8)이 되어, 그 높이를, 통상 요구되는(λ/4)에서 (λ/8)로 반감할 수 있다.
더구나, 제 2 구멍은, 대향면에서는 개구하지 않고, 닫혀 있고, 제 2 구멍과 대향면의 사이에는, 제 2 구멍의 깊이 H2와, 유전체 기본체의 높이 H1와의 차분(H1-H2)의 유전체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유전체부분을 이용하여, 제 2 구멍의 깊이 H2를 조정함으로써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구멍은 제 1 구멍에서 간격 D1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 D1를 조정함으로써도,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구멍은,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을 향하여, 단면에서 개구하고, 단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서는 개구하지 않고, 닫혀 있다. 따라서, 면고정을 위한 단자를, 단면과 대향하는 대향면, 또는, 측면 등의 적당한 위치에, 외부도체막으로부터 전기절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단자를, 장착 기판상에 면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자와 제 2 구멍의 내부 도체와의 사이에는, 그 사이의 유전체부분의 두께, 유전율 및 대향면적에 의해서 정해지는 결합용량이 발생한다. 단자를 유전체 기본체의 측면에 설치하고, 제 1 구멍의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시킬 수도 있다.
단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은, 공진파장(λ/4)인 경우는, 외부 도체막에 의해서 덮힌 면(단락면)이 되지만, 공진파장(λ/2)의 경우는, 대향면은 외부전극막을 가지지 않는 단면으로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장치는, 공진기, 발진기, 유전체 필터 또는 Duplexer(듀플렉서, 안테나공용기로도 불림)를 넓게 커버하는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공진기 또는 발진기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하나의 공진부로 충족한 경우가 있다.유전체 필터 또는 듀플렉서에 사용하는 경우는, 공진부는 복수이다.
유전체 필터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구비되고, 이들은, 입출력단자로서 사용된다. 제 1 단자는, 공진부의 한쪽에 구비된 제 2 구멍과, 유전체 기본체층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2 단자는, 또 하나의 공진부에 구비된 제 2 구멍과 유전체 부분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단자의 어느 쪽이나, 외부 도체로부터 절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단자를 장착기판상에 면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및 제 2 단자는, 대향면에 설치하여도 좋고, 단면 및 대향면을 제외한 유전체 기본체의 측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단자는, 제 1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듀플렉서(안테나공용기)에 사용하는 경우는, 적어도 3개의 공진부, 및, 제 1 내지 제 3 단자가 구비된다. 제 1 내지 제 3 단자는, 다른 공진부의 각각에 부설되어, 안테나접속단자, 수신측단자, 및, 송신측단자로서 사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단자를 장착기판상에 면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내지 제 3 단자는, 대향면에 설치하여도 좋고, 단면 및 대향면을 제외한 유전체 기본체의 측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 2 구멍의 깊이 조정, 및, 제 1 구멍과 제 2 구멍과의 사이의 간격조정에 의해서,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성 및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않음은 물론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2개의 공진부(Q1,Q2)를 가진 유전체 필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공진부(Q1,Q2)의 각각은, 유전체 기본체(1)를 공용하고, 유전체 기본체(1)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유전체 기본체(1)는, 주지의 유전체 세라믹스를 사용하며,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21)이 되는 한 면을 제외하고, 바깥면의 대부분이 외부 도체막(3)에 의해서 덮여 있다. 외부 도체막(3)은, 일반적으로, 동 또는 은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소성, 도금 등의 수단에 의해서 형성된다.
공진부(Q1)는 제 1 구멍(41)과, 제 2 구멍(51)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구멍 (41)은, 관통구멍으로,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고, 단면(21) 및 대향면(22)에 개구한다. 제 1 구멍(41)의 내부에는, 대향면(22)에 있는 외부 도체막 (3)에 연속하는 제 1 내부 도체(61)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내부 도체(61)는, 제 1 구멍(41)의 내면에 부착된 도체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도체(61)는, 외부 도체막(3)과 같은 재료 및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제 1 내부 도체(61)는 제 1 구멍(41)의 일부 또는 전체를 채우도록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구멍(51)은, 제 1 구멍(41)으로부터 간격(D1)을 두고, 제 1 구멍(41)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멍(51)은, 비관통구멍으로서,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고, 단면(21)에서만 개구하고 있다. 제 2 구멍(51)은, 단면(21)과 마주 향하는 대향면(22)측에서는 닫혀 있고, 제 2 구멍(51)의 바닥면과 대향면(22)의 사이에는, 두께 d1의 유전체 부분(71)이 존재한다.
제 2 구멍(51)은, 제 2 내부 도체(81)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내부 도체 (81)는 단면(21)에 있어서, 도체막(91)에 의해서 제 1 내부 도체(61)에 연속하고 있다. 제 2 내부 도체(81)는, 제 2 구멍(51)의 내면에 부착된 도체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2 내부 도체(81)는, 제 1 내부 도체(61)와 같은 재료 및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내부 도체(81)는, 제 2 구멍(51)의 일부 또는 전체를 채우도록,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공진부(Q2)는, 제 1 구멍(42)과, 제 2 구멍(52)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구멍(42)은, 관통구멍으로,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고, 단면(21) 및 대향면(22)에 개구한다. 제 1 구멍(42)의 내부에는, 대향면(22)에 있는 외부 도체막(3)에 연속하는 제 1 내부 도체(6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부 도체(62)는, 제 1 구멍(42)의 내면에 부착된 도체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2 구멍(52)은, 비관통구멍으로, 제 1 구멍(42)으로부터 간격(D2)을 두고, 제 1 구멍(42)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멍(52)은,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고, 단면(21)에서만 개구하고 있다. 제 2 구멍(52)은, 단면(21)과 마주 향하는 대향면(22) 쪽에서는 닫혀 있고, 제 2 구멍(52)의 바닥면과 대향면(22)의 사이에는, 두께 d2의 유전체부분(72)이 존재한다.
제 2 구멍(52)은, 제 2 내부 도체(82)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내부 도체(82)는 단면(21)에 있어서, 도체막(92)에 의해서 제 1 내부 도체(62)에 연속하고 있다. 제 2 내부 도체(82)는, 제 2 구멍(52)의 내면에 부착된 도체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공진부(Q1)는 도체막(91)으로부터 공진부(Q2) 방향으로 이어지는 결합전극(111)을 가지고 있으며, 공진부(Q2)는, 도체막(92)으로부터 공진부(Q1)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결합전극(112)을 가진다. 결합전극(111) 및 도체막 (91)과, 결합전극(112) 및 도체막(92)의 사이에는, 절연 갭(g1)이 확보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경우, 공진부(Q1,Q2)는, 결합전극(111) 및 도체막(91)과, 결합전극(112) 및 도체막(92)의 사이의 절연 갭(g1)을 통해, 용량결합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 기본체(1)의 대향면(22)에는, 입출력단자로 되는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단자(11)는, 제 2 구멍(51)과 유전체부분(71)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절연 갭(g2)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2 단자(12)는, 제 2 구멍(52)과 유전체부분(72)을 통해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절연 갭(g3)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 단자(11,12)는, 단면(21)과는 반대측의 대향면 (22)에 구비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11,12)와, 제 2 구멍(51,52)의 내부 도체(81,82)와의 사이에는, 그 사이의 유전체부분(71,72)의 두께, 그 유전율 및 대향면적에 의해서 정해지는 결합용량이 발생한다. 제 1 및 제 2 단자(11,12)는, 제 2 구멍(51,52)의내부 도체(81,82)와 겹칠 필요는 없다. 부분적으로 대향하거나, 또는,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또한, 절연 갭(g2,g3)은 하나의 갭으로서 연속시켜도 좋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장점에 대하여, 공진부(Q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진부(Q2)는, 공진부(Q1)와 같은 구조이고, 공진부(Q1)에 대한 설명을 그대로 적용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공진부(Q1)에 있어서, 제 1 구멍(41)은, 유전체 기본체(1)의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고, 단면(21) 및 대향면(22)에 개구한다. 이 제 1 구멍(41)은, 대향면(22)에 있는 외부 도체막(3)에 연속하는 제 1 내부 도체(61)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구멍(51)은 제 1 구멍(41)으로부터 간격 (D1)을 두고,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한다. 공진부(Q1)의 제 2 구멍 (51)은, 제 2 내부 도체(81)를 구비하고 있고, 제 2 내부 도체(81)는 단면(21)에 있어서 제 1 내부 도체(61)에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공진부(Q1)에 있어서, 공진파장을 정하는 공진기 길이는, 유전체 기본체(1)의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까지의 높이에 대응하는 관통구멍(41)의 길이 H1와,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을 향하는 제 2 구멍(51)의 깊이(높이) (H2)와, 제 2 구멍(51)으로부터 제 1 구멍(41)까지의 간격(D1)과의 합(H1+H2+D1)이 된다.
이것은, 소정의 공진파장을 얻는 데에, 유전체 기본체(1)의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까지의 높이 H1를, 제 2 구멍(51)의 깊이 H2와, 제 2 구멍(51)으로부터 제 1 구멍(41)까지의 간격 D1과의 합(H2+D1)만큼만 축소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전체 기본체(1)의 신장을 낮게 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공진파장(λ/4)의 유전체 필터의 경우, 합(H2+ D1)=(λ/8)으로 하면, 유전체 기본체(1)의 단면(21)으로부터 그 대향면(22)까지의 높이 H1도 (λ/8)이 되어, 그 높이를, 통상 요구되는 (λ/4)에서, (λ/8)로 반감할 수 있다. 공진부(Q1)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공진부(Q2)에서도 동일하다.
더구나, 제 2 구멍(51)은, 대향면(22)에서는 개구하지 않고, 닫혀 있으며, 제 2 구멍(51)과 대향면(22)의 사이에는, 제 2 구멍(51)의 깊이 H2와, 유전체 기본체(1)의 높이 H1와의 차분(H1-H2)에 대응하는 두께 d1의 유전체부분(71)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유전체부분(71)의 두께 d1를 이용하여, 제 2 구멍(51)의 깊이 H2를 조정함으로써,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도 5는 공진기 길이와 공진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에 공진기 길이(H1+H2+D1)를 취하고, 세로축에 공진주파수를 취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구멍(51)의 깊이 H2를 H2=0에서 H2=H1의 범위로 바꾼 경우, 공진주파수는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제 2 구멍(51)의 깊이 H2를 바꾸는 것에 의해,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구멍(51)은 제 1 구멍(41)으로부터 간격 D1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 D1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복수의 공진부(Q1,Q2)를 가진 실시예의 경우, 공진부(Q1,Q2)의 각각에 있어서, 개별로, 상술한 주파수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주파수의 조정이용이해진다.
제 2 구멍(51)은, 비관통구멍으로서, 단면(21)의 대향면(22)에서는 개구하지 않고, 닫혀 있다. 따라서, 면고정장착을 위한 제 1 단자(11)를, 대향면(22)에 있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절연 갭(g2)에 의해, 전기절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제 1 단자(11)를, 장착기판상에 면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진부(Q1)와 구성을 동일하게 하는 공진부(Q2)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제 2 단자(12)는, 대향면(22)의 면상에 있어,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절연 갭(g3)에 의해, 전기절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단자(12)를, 장착기판상에 면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기판상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전체 필터는, 기판(PC)에 설치한 도체패턴(P1,P2)에,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를, 납땜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서 접합함으로써, 기판 (PC) 위에 면고정장착되어 있다. 외부 도체막(3)은, 기판(PC) 위에 설치된 접지패턴(GND)에 접합되어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의 형상에 관한 개선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의 개구단가장자리를, 부드럽게 넓어지는 경사부(100)로 한다. 도시한 것은, 경사부(100)는 활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직선형상, 접힌 선형상 등이어도 좋다.
이러한 경사부(100)가 있으면, 제 1 내부 도체(61), 도체막(91) 및 제 2 내부 도체(81)를 포함하는 전송선로에서의 반사를 경감할 수가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을, 미리 부언해 둔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장치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 8 내지 도 60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상술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선행도면에 나타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 구멍(41,42) 및 제 2 구멍(51,52)은, 양 끝단이 원호형상의 긴 구멍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구멍(41,42) 및 제 2 구멍(51,52)은, 이 외에도, 여러가지 구멍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제 1 구멍(41,42) 및 제 2 구멍(51,52)의 구멍의 형상 선택에 의해, 공진부 (Q1,Q2)의 사이의 결합을 조정함과 동시에, 제 2 구멍(51,52)의 제 2 내부 도체 (81,82)(도 1 내지 도 4 참조)와,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의 사이의 결합용량을 조정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특징은, 공진부(Q1) 및 공진부(Q2)의 사이에서, 단면(21)에 도체막(301)을 형성하여, 공진부(Q1) 및 공진부(Q2)를 유도결합시킨 것이다. 도체막(301)은, 한 끝단만이 외부 도체막(3)에 연속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의 특징은, 공진부(Q1) 및 공진부(Q2)의 사이에서, 단면(21)에 도체막(302)을 형성하여, 공진부(Q1) 및 공진부(Q2)를 유도결합시킨 것이다. 도체막(302)은, 한 끝단만이 외부 도체막(3)에 연속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특징은, 인접하는 공진부(Q1,Q2)의 사이에 구비된 도체막(303,304)이 마주 대한 측면쪽에서 안쪽으로 이어져, 중간부에 설치된 절연 갭(g5)에 의해 사이를 두고 있는 것이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절연 갭(g5)의 치수에 따라서, 인접하는 공진부(Q1,Q2)의 사이의 유도결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공진부(Q1,Q2)의 사이에 오목부(23)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23)의 바닥면 및 안쪽면에, 외부 도체막(3)에 연속하는 도체막(302)을 형성한 것이다. 도체막(302)은, Cu, Ag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재료를, 오목부 (23)의 내면에, 도포하고, 충전하거나, 또는 도금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오목부(23)의 위치, 폭, 깊이 및 길이의 선정에 의해서, 인접하는 공진부(Q1,Q2) 사이의 유도결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의 특징은, 공진부(Q1,Q2)의 각각이 오목부(23,2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오목부(23,24)는, 단면(2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의 내부에는, 공진부(Q1)를 구성하는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이 포함되어 있고, 오목부(24)의 내부에는, 공진부(Q2)를 구성하는 제 1 구멍(42) 및 제2 구멍(52)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3)의 바닥면 및 기립면에는 도체막 (91)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4)의 바닥면 및 기립면에는 도체막(9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도, 공진부(Q1) 및 공진부(Q2)는 서로 용량결합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특징은, 오목부(23)의 내부에서의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의 배치와, 오목부(24)의 내부에서의 제 1 구멍(42) 및 제 2 구멍(52)의 배치인 점에 있다. 즉, 제 2 구멍(51)은, 제 1 구멍(41)을 기준으로 하여, 치수 △a1만큼 바깥쪽에 위치하고, 제 2 구멍(52)은, 제 1 구멍(42)을 기준으로 하여, 치수 △a2만큼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구멍(51)과 대응하는 제 1 단자(11) 및, 제 2 구멍(52)과 대응하는 제 2 단자(12)도, 제 1 구멍(41,42)을 기준으로 하여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4,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공진부(Q1) 및 공진부(Q2)는 서로 용량결합한다. 도 14,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는, 공진부(Q1) 및 공진부(Q2)의 용량결합이 치수 △a1의 선정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특징은, 오목부(23)의 내부에서의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의 배치와, 오목부(24)의내부에서의 제 1 구멍(42) 및 제 2 구멍(52)의 배치인 점에 있다. 즉, 제 2 구멍 (51)은, 제 1 구멍(41)을 기준으로 하여, 치수 △b1만큼 안쪽에 위치하고, 제 2 구멍(52)은, 제 1 구멍(42)을 기준으로 하여, 치수 △b2만큼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구멍(51)과 대응하는 제 1 단자(11) 및, 제 2 구멍(52)과 대응하는 제 2 단자(12)도, 제 1 구멍(41,42)을 기준으로 하여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도, 공진부(Q1) 및 공진부(Q2)는 서로 용량결합되어 있다.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공진부(Q1) 및 공진부 (Q2)의 용량결합을 치수 △b1의 선정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 도 17은, 제 2 구멍(51,52)의 위치를, 서로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진부(Q1,Q2)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4∼도 17의 실시예를 더욱 설명하면,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 및/또는, 제 1 구멍(42) 및 제 2 구멍(52)과,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 및/또는, 제 1 구멍(42) 및 제 2 구멍(52)을, 공진부(Q1,Q2)의 배치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하는 것과 같은 구조도 실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 도 20은 도 18의 20-20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구멍(41)은, 큰 직경부(411)와, 작은 직경부(412)를 포함하고 있다. 큰 직경부(411)는 단면(21)에 개구하고, 작은 직경부 (412)는 큰 직경부(411)의 아래쪽에 연속해 있다. 제 1 구멍(42)도, 큰 직경부 (421)와, 작은 직경부(422)를 포함하고 있고, 큰 직경부(421)는 단면(21)에 개구하고, 작은 직경부(422)는 큰 직경부(421)의 아래쪽에 연속해 있다. 제 1 구멍(41, 42)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직경부(412,422)가 유전체 기본체(1)의 대향면(22)에 개구한다.
도 18∼도 20의 실시예에서는, 제 2 구멍(51,52)도, 큰 직경부(511,521)와, 작은 직경부(512,522)를 포함하고 있다. 큰 직경부(511,521)는 단면에 개구하고, 작은 직경부(512,522)는 큰 직경부(511,521)의 아래쪽에 연속해 있고, 선단부에서 닫혀 있다.
대향면(22)에는, 외부 도체막(3)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 2 구멍(51,52)의 작은 직경부(512,5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11,12)는 절연 갭(g2,g3)에 의해,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된다.
도 18∼도 20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큰 직경부(411,421,511,521)의 구멍직경 선정에 의해, 공진부(Q1)와 공진부(Q2)와의 사이의 결합특성 및 각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대향면(22)에 개구하는 제 1 구멍(41,42)의 사이에, 양자를 연락하는 오목홈(40)을 형성하고 있다. 오목홈(40)의 내면에는 외부 도체막(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오목홈(40)의 깊이, 폭 등의 선정에 의해서 공진부(Q1,Q2)의 결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저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큰 직경부(411)는 대향면(22)에 개구하고, 작은 직경부(412)는 큰 직경부(411)의 위쪽, 즉, 단면(21) 방향에 연속해있다. 제 1 구멍(42)도, 큰 직경부(421)와, 작은 직경부(422)를 포함하고 있으며, 큰 직경부 (421)는 대향면(22)에 개구하고, 작은 직경부(422)는 큰 직경부(421)의 위쪽에 연속해 있다. 제 1 구멍(41,42)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직경부(412, 422)가 유전체 기본체(1)의 단면(21)에 개구한다.
대향면(22)에는, 외부 도체막(3)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 2 구멍(51,5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단자 (11,12)는 절연 갭(g2,g3)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된다.
도 22, 도 23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큰 직경부(411,421)의 구멍직경 선정에 의해, 공진부(Q1)와 공진부(Q2)와의 사이의 결합특성 및 각 공진부의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26은 도 24의 26-2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특징은,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가,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 및 대향면(22)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 1 단자(11)는, 갭(g2)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되고,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부분(71)을 통해, 제 2 구멍(51)의 내부 도체(81)와 용량결합하고 있다. 제 2 단자(12)는, 갭(g3)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 (3)으로부터 전기절연되고, 유전체부분을 통해, 제 2 구멍(52)의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한다.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를,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에 설치할 경우, 여러가지의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그 예를,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다.
도 27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를, 상단가장자리가 단면(21)을 따르도록 하여,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도 28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를, 상단가장자리가 단면(21)을 따르도록 하여, 유전체 기본체(1)의 모서리부를 구성하는 2개의 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기판에 장착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단자(11,12)가 공존하는 측면을, 기판에 대면시켜 면고정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에,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절연 갭(g2,g3)에 의해서 전기절연된 제 1 단자(11,12)를 설치하고, 제 1 단자(11,12)를, 제 1 구멍 (41,42)의 내부의 제 1 내부 도체(61,62)에, 용량결합시키고 있다.
도 1 내지 도 30은,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를, 유전체 기본체(1)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설치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를, 단면(21)상에 설치하는 구조이더라도 좋다.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구멍(41,42)을, 유전체 기본체(1)의 거의 중심선(중심폭) O1 위에 설치하고 있다. 제 2 구멍(51,52)은, 제 1 구멍(41,42)보다도 작은 직경이다. 이 실시예는, 제 1 구멍(41,42) 및 제 2 구멍(51,52)의 배치, 구멍직경 및 구멍형상에 관해서 대칭성을 갖게 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내지 도 32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유전체 필터의 내부구조는, 도 1∼도 4에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32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어느 경우도,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분명하다.
도 33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은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윗면쪽은, 도 1∼도 31에 도시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도 1∼도 32가 공진파장(λ/4)의 유전체 필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데 비하여, 공진파장(λ/2)의 유전체 필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공진파장(λ/2)의 유전체 필터의 경우, 원래의 단면(21)뿐만 아니라, 그 대향면(22)도, 외부 도체막(3)을 가지지 않은 또 하나의 단면을 구성한다. 제 1구멍(41,42)은 단면인 대향면(22)에 개구한다. 제 1 및 제 2 단자(11,21)는, 도 3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 2 구멍과 마주 향하는 관계로, 대향면(22)에 형성되어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는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33에 나타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윗면쪽이, 도 1∼도 31에 도시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도 33의 실시예와 같다. 또한, 공진파장(λ/2)의 유전체 필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도, 도 33의 실시예와 공통이다.
도 34에 도시한 실시예의 특징은,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가, 단면(21) 및 대향면(22)을 제외한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제 1 및 제 2 단자(11,12)는, 선행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윗면쪽은 도 1∼도 32에 도시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멍을 가진 점에 대해서도,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면, 공진파장(λ/2)의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과제가 달성되는 것은 분명하다.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36-3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공진부(Q1)는 제 1 구멍(41)과, 2개의 제 2 구멍(51,52)을 구비한다. 제 1 구멍(41)은 관통구멍이고,제 2 구멍(51,52)은 비관통구멍이며, 이들은, 간격 D1, D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멍(41), 제 2 구멍(51,52)의 내부에 구비된 제 1 내부 도체(61) 및, 제 2 내부 도체(81,82)는, 도체막(91)에 연속하고 있다.
공진부(Q2)도, 공진부(Q1)와 같은 구성이다. 즉, 공진부(Q2)는 제 1 구멍 (42)과, 2개의 제 2 구멍(53,54)을 구비한다. 제 1 구멍(42)은 관통구멍이고, 제 2 구멍(53,54)은 비관통구멍이고, 이들은, 간격 D1, D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멍(42) 및 제 2 구멍(53,54)의 내부에 구비된 제 1 내부 도체(62) 및, 제 2 내부 도체(83,84)는 도체막(92)에 연속하고 있다.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에는,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단자(11)는 제 2 구멍(52)에 구비된 제 2 내부 도체(82)에 용량결합하고, 제 2 단자(12)는 제 2 구멍(54)에 구비된 제 2 내부 도체(84)에 용량결합하고 있다.
도 37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38-38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는,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가 유전체 기본체(1)의 대향면(22)에 설치되는 점에서, 도 35및 도 36에 나타낸 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는, 도 35∼도 38에 도시한 것 외에도, 여러가지 배치위치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5∼도 38에 있어서, 공진부(Q1)의 제 2 구멍(51) 및 공진부(Q2)의 제 2 구멍(53)의 깊이 H2가, 공진부(Q1)의 제 2 구멍(52) 및 공진부(Q2)의 제 2 구멍(54)의 깊이 H3보다도 작아지고 있으나(H2<H3), 반대(H2>H3)이더라도 좋다. 깊이 H2,H3에 관해서는, 공진부(Q1,Q2)에 있어서, 같을 필요는 없다.
도 39는 도 35∼도 38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공진기 길이와 공진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에 공진기 길이(H1+H2+H3+D1 +D2)를 취하고, 세로축에 공진주파수를 취하고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진부(Q1)에 있어서, 제 2 구멍(51,52)의 깊이 H2,H3를 H2=H3=0에서 H2=H3=H1의 범위로 바꾼 경우, 공진주파수는 직선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제 2 구멍(51,52)의 깊이 H2, H3를 바꾸는 것에 의해,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제 1 구멍(41), 제 2 구멍(51,52)은, 간격 D1, D2를 두고, 차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 D1, D2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설명은 생략하지만, 공진부(Q2)에 있어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제 2 구멍(51∼54)은, 공진부(Q1,Q2)의 각각에 있어서, 2개일 필요는 없고, 그 이상의 개수이더라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공진부(Q1,Q2)를 가진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지만, 공진부의 개수는 임의이다. 다음에, 공진부의 개수를 증가시킨 경우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3개의 공진부(Q1,Q2,Q3)를 가진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공진부(Q1,Q2,Q3)의 각각은, 유전체 기본체(1)를 공용하고, 유전체 기본체 (1)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유전체 기본체(1)는, 단면(21)이 되는 한 면을 제외하고, 바깥면의 대부분이 외부 도체막(3)에 의해서 덮여 있다.
공진부(Q1)는 제 1 구멍(41)과 제 2 구멍(51)을 포함한다. 공진부(Q2)는 제 1 구멍(42)과 제 2 구멍(52)을 포함한다. 공진부(Q3)는 제 1 구멍(43)과 제 2 구멍(53)을 포함한다. 제 1 구멍(41∼43) 및 제 2 구멍(51∼53)의 개별적구조 및, 상대관계는,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공진부(Q1)와 공진부(Q2)는, 결합전극(111) 및 결합전극(112)을 통해 용량결합하고 있고, 공진부(Q2)와 공진부(Q3)는 결합전극(112) 및 결합전극(113)을 통해 용량결합하고 있다.
제 1 단자(11)는, 단면(21)과 대향하는 대향면(22)에 있어서, 제 2 구멍(5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연 갭(g2)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단자(12)는, 대향면(22)에 있어서, 제 2 구멍(53)과 대응하는 위치에, 절연 갭(g3)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보다 많은 공진부(Q1∼Q3)를 갖기 때문에, 주파수선택특성이 향상한다.
도 4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도 40에 도시한 표면구조를 가진 유전체 필터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40에 있어서의 제 2 구멍(53)을 관통구멍으로 한 것이다. 이 제 2 구멍(53)의 내부 도체에는, 대향면(22) 쪽에서, 제 2 단자(12)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제 2 단자 (12)는, 절연 갭(g3)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공진부(Q1,Q2)에 구비된 제 2 구멍(51,52)(도 40참조)중에, 제 2 구멍(5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 갭(g2)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된 제 1 단자막 (11)이 구비되어 있다.
도 42의 실시예의 경우, 제 2 단자(12)가 공진부(Q3)에 구비된 제 2 구멍 (53)의 내부 도체에는, 대향면(22) 쪽에서, 제 2 단자(12)가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공진부(Q3)가 입력용 또는 출력용의 공진기로서 작용한다. 그 이외에는 도 40, 도 41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도 43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공진부(Q2)와 공진부(Q3)의 사이에 도체막(303)을 형성하고 있다.
도체막(303)은 한 끝단이 외부 도체막(3)에 연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진부(Q2)와 공진부(Q3)는 유도결합한다. 공진부(Q1)와 공진부(Q2)는, 결합전극 (111) 및 결합전극(112)을 통해, 용량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공진부(Q1∼Q3)의 전체로서 본 경우, 용량결합 및 유도결합을 포함한 구조가 된다. 유전체 필터의 바닥면쪽, 즉, 대향면(22) 쪽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41 또는 도 42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진부(Q2)의 측부의 단면(21)상에, 공진부(Q1-Q3)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도체막(94)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유극성의 유전체 필터를 얻을 수 있고, 필터특성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다. 유전체 필터의 대향면(22)쪽은, 도 41 또는 도 42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할 수가 있다.
도 4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6은 도 45의 46-46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공진부(Q1∼ Q3)의 각각이 스텝형상의 오목부(23∼25)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23∼25)는, 단면 (21)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의 내부에는, 제 1 구멍(41) 및 제 2 구멍(51)이 개구하고 있고, 오목부(24)의 내부에는, 제 1 구멍(42) 및 제 2 구멍(52)이 개구하고 있으며, 오목부(25)의 내부에는, 제 1 구멍(43) 및 제 2 구멍(53)이 개구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23)의 바닥면 및 기립면에는 도체막(91)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4)의 바닥면 및 기립면에는 도체막(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25)의 바닥면 및 기립면에는 도체막(9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공진부(Q1∼ Q3)는 서로 용량결합된다.
또한, 단면(21) 위에 있어서의 공진부(Q2)의 측부에 공진부(Q1-Q3)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오목부(26)가 형성되며, 오목부(26)의 내벽면에 도체막(9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유극성(有極性) 유전체 필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필터특성의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다. 유전체 필터의 대향면(22) 쪽은, 도 41 또는 도 42에 나타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8은 도 47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유전체 필터는 4개의 공진부(Q1∼Q4)를 가진다. 공진부(Q1∼Q4)의각각은, 유전체 기본체(1)를 공용하고, 유전체 기본체(1)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유전체 기본체(1)는, 단면(21)이 되는 한 면을 제외하고, 바깥면의 대부분이 외부 도체막(3)에 의해서 덮여 있다.
공진부(Q1)는 제 1 구멍(41)과 제 2 구멍(51)을 포함한다. 공진부(Q2)는 제 1 구멍(42)과 제 2 구멍(52)을 포함한다. 공진부(Q3)는 제 1 구멍(43)과 제 2 구멍(53)을 포함한다. 공진부(Q4)는 제 1 구멍(44)과 제 2 구멍(54)을 포함한다. 제 1 구멍(41∼44)은 관통구멍이고, 제 2 구멍(51∼54)은 비관통구멍이다.
공진부(Q2)와 공진부(Q3)는, 결합전극(111) 및 결합전극(112)을 통해, 용량결합하고 있으며, 공진부(Q3)와 공진부(Q4)는 도체막(303)을 통해 유도결합하고 있다.
제 1 단자(11)는, 단면(21)과 대향하는 대향면(22)에 있어서, 제 2 구멍(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연 갭(g2)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단자(12)는, 대향면(22)에 있어서, 제 2 구멍(5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절연 갭(g3)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47 및 도 4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보다 많은 공진부(Q1∼Q4)를 갖기 때문에, 주파수선택특성이 더욱 향상한다.
도 47에 나타낸 표면측 구조를 가진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제 1 단자(11) 및 제 2 단자(12)에 관한 구조는, 도 48에 나타낸 기본구조 외에도,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 예를 도 49, 도 50에 나타낸다.
먼저, 도 49의 변형예에서는, 도 47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제 1 구멍(44)을 비관통구멍으로 하고, 도 47에 나타낸 제 2 구멍(54)을 관통구멍으로 한 예를 나타낸다. 대향면(22)의 제 2 구멍(44)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 단자(12)가 설치된다. 제 1 구멍(41∼43)은 관통구멍이고, 제 2 구멍(51∼53)(도 47 참조)은 비관통구멍이다.
다음에, 도 50은, 도 47에 나타내는 유전체 필터의 제 2 구멍(54)을 관통구멍으로 하고, 제 2 구멍(54)에 제 2 단자(12)를 접속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공진부(Q4)가 입력용 또는 출력용의 공진기로서 작용한다. 제 2 단자(12)는, 절연 갭(g3)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되어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장치는, 공진기, 발진기, 유전체 필터 또는 듀플렉서를 넓게 커버하는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유전체 필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도 1∼도 5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지면의 형편상, 유전체 필터에 대한 설명은, 이상의 설명에 그치지만, 보다 많은 공진부를 구비할 수 있는 점, 도시되어 설명된 각 실시예의 조합이 다수 존재할 수 있는 점 등은 자명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장치의 또 하나의 중요한 적용예인 듀플렉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사시도, 도 52는 도 51에 나타낸 듀플렉서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듀플렉서는 7개의 공진부(Q1∼Q7)를 가진다. 공진부(Q1∼Q7)의 각각은, 유전체 기본체(1)를 공용하고, 유전체 기본체(1)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유전체 기본체(1)는, 단면(21)이 되는 한 면을 제외하고, 바깥면의 대부분이 외부 도체막(3)에 의해서 덮여 있다.
공진부(Q1∼Q7)중에서, 공진부(Q1)는 제 1 구멍(41)과 제 2 구멍(51)과의 조합, 공진부(Q2)는 제 1 구멍(42)과 제 2 구멍(52)과의 조합, 공진부(Q3)는 제 1 구멍(43)과 제 2 구멍(53)과의 조합을 각각 포함한다. 공진부(Q5)는 제 1 구멍(45)과 제 2 구멍(55)과의 조합, 공진부(Q6)는 제 1 구멍(46)과 제 2 구멍(56)과의 조합, 공진부(Q7)는 제 1 구멍(47)과 제 2 구멍(57)과의 조합을 각각 포함한다. 제 1 구멍(41∼43, 45∼47)은 관통구멍이고, 제 2 구멍(51∼53, 55∼57)은 비관통구멍이다.
중간의 공진부(Q4)의 제 1 구멍(44) 및 제 1 구멍(54)은, 모두 관통구멍이고, 비관통구멍을 가지지 않는다. 단, 제 1 구멍(54)을 비관통구멍으로 하여도 좋다.
제 1 구멍(41∼47)과 제 2 구멍(51∼57)의 개별적구조 및, 상대관계의 상세한 내용은, 도 1∼도 5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듀플렉서는, 안테나공용기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공진부(Q1∼Q7)는, 송신용 및 수신용의 2개로 나누어진다. 이하, 공진부(Q1∼Q3)를 송신용으로서 사용하고, 공진부(Q5∼Q7)를 수신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진부(Q1∼Q3)의 공진특성은 송신주파수에 맞추어지고, 공진부(Q5∼Q7)의 공진특성은 수신주파수에 맞추어진다. 공진부(Q4)에는 안테나가 접속된다.
송신측의 공진부(Q1∼Q3)에 있어서, 공진부(Q2)와 공진부(Q3)의 사이 및, 공진부(Q3)와 공진부(Q4)와의 사이의 단면(21)의 면상에는, 도체막(301,30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송신측의 공진부(Q1∼Q3)는 유도결합에 의해서, 공진부(Q4)에 결합된다.
수신측의 공진부(Q5∼Q7)에 있어서, 공진부(Q4)와 공진부(Q5)와의 사이는 결합전극(111) 및 결합전극(112)에 의해서 용량결합되고, 공진부(Q5)와 공진부(Q6)와의 사이는 결합전극(112)과 결합전극(113)에 의해서 용량결합되어 있다.
송신측의 공진부(Q1∼Q3)중, 공진부(Q2)에 포함되는 제 2 구멍(52)에는, 대향면(22)에 설치된 송신용의 제 1 단자(11)가, 유전체 기본체(1)에 의한 유전체부분을 통해 용량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의 용량결합의 상세한 내용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수신측의 공진부(Q5∼Q7)중, 공진부(Q6)에 포함되는 제 2 구멍(56)에는, 유전체 기본체(1)의 대향면(22)쪽에 설치된 수신용의 제 2 단자(12)가, 유전체 기본체(1)에 의한 유전체부분을 통해 용량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의 용량결합의 상세한 내용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중간의 공진부(Q4)의 관통구멍(54)에 대해서는, 대향면(22) 쪽에서, 안테나접속용의 제 3 단자(13)가 접속된다. 따라서, 중간의 공진부(Q4)는 안테나접속용의 공진기로서 작용하게 된다.
제 1 내지 제 3 단자(11∼13)는, 대향면(22)에 있어서, 절연 갭(g2∼g4)에 의해서 외부 도체막(3)으로부터 전기절연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단자(11∼13)를 장착기판상에 면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구멍(51∼53,55∼57)의 깊이 및, 공진부(Q1∼Q7)의 각각에서의 구멍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공진파장을 조정하여, 공진주파수를 소정치로 고정밀도로 맞춰 넣을 수 있다.
도 53은 도 51, 도 52에 나타낸 듀플렉서의 주파수감쇠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에 주파수(MHz)를 채용하고, 세로축에 감쇠량(dB)을 취한다. 특성곡선 Rx는 수신측 주파수특성을 나타내고, 특성곡선 Tx는 송신측 주파수특성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측 주파수특성 Rx 및 송신측 주파수특성 Tx에, 다른 통과대역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54는, 도 51에 나타낸 표면쪽구조를 가진 듀플렉서에서 채용할 수 있는 바닥면쪽의 단자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4의 실시예에서는, 중간의 공진부(Q4)의 구멍(54)을, 비관통구멍으로 하고, 제 2 구멍(54)의 내부 도체에 대하여, 제 3 단자(13)를 용량 결합시키고 있다.
도 55는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6은 도 55에 나타낸 듀플렉서를, 바닥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51에 나타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이 실시예에서는, 공진부(Q1∼Q7)의 제 1 구멍(41∼47)은 관통구멍이고, 제 2 구멍(51∼57)은 비관통구멍이다. 유전체 기본체(1)의 대향면(22)은,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체면에 걸쳐 외부 도체막(3)에 의해서 덮여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11,12)는, 유전체 기본체(1)에 의한 유전체부분을 통해, 비관통구멍인 제 2 구멍(52 및 56) 내부의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한다. 제 3 단자(13)는, 공진부(Q4)의 제 2 구멍(54)에 구비된 내부 도체에 도체막(94)을 통해 직접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공진부(Q4)는 안테나접속용의 공진부로서 이용된다.
도 57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단자(11∼13)가,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에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단자(11,12)는, 유전체 기본체(1)에 의한 유전체부분을 통해, 비관통구멍인 제 2 구멍(52 및 56)의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하고 있다. 안테나접속단자가 되는 제 3 단자(13)는, 공진부(Q3)와 공진부(Q4)와의 사이에 형성된 도체막(302)에 연속하고 있다. 안테나접속단자가 되는 제 3 단자(13)는, 공진부(Q3, Q4)에 대하여 용량결합하게 된다.
도 58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단자(11∼13)는 유전체 기본체(1)의 측면에 설치된다. 제 1∼제 3 단자(11∼13)가 유전체 기본체(1)에 의한 유전체부분을 통해 비관통구멍인 제 2 구멍(52,54,56)의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하고 있다.
도 59는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측의 공진부(Q1∼Q3)에 포함되는 제 1 구멍(41∼43), 제 2 구멍(51∼53)은, 단면(21)의 면상에서 본 구멍직경이, 수신측의 공진부(Q4∼Q7)에 포함되는 제 1 구멍(44∼47) 및 제 2 구멍(54∼57)의 그것보다도 작다. 이 구조에 의하면, 구멍간격에 의해서,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의 공진주파수에 차를 갖게 하여, 주파수 선택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0은 본 발명에 관한 듀플렉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송신측의 공진부(Q1∼Q3)에 포함되는 제 1 구멍(41∼43) 및, 제 2 구멍(51∼53)의 간격 D11을, 수신측의 공진부(Q4∼Q7)에 포함되는 제 1 구멍(44∼47) 및 제 2 구멍(54∼57)의 사이의 간격 D12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이 구조에 의하면, 간격 D11과 간격 D12의 차에 의해서,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의 공진주파수에 차를 갖게 하여, 주파수 선택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듀플렉서에 대해서도, 유전체 필터로 예시한 각종 구조 (도 1 내지 도 50 참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소형화 및 낮은 신장화에 적합한 유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b) 면고정장착이 가능한 유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 공진주파수의 조정이 가능한 유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유전체 기본체와, 복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유전체 장치로서,
    상기 유전체 기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외한 바깥면이 외부 도체막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공진부의 각각은,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 및 상기 대향면에 개구하여, 내부에 제 1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에 개구하여, 바닥부가 닫혀 있고, 내부에 제 2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내부 도체는, 상기 단면에 형성된 도체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부 도체에 연속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진부중, 적어도 한셋트의 인접하는 공진부의 각각은, 상기 단면에 형성된 상기 도체와 연속하는 결합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합전극의 각각은, 한쪽의 공진부로부터, 다른 쪽의 공진부의 방향으로 이어진 절연갭을 통하여 대향하는 유전체 장치.
  2. 유전체 기본체와, 복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유전체 장치로서,
    상기 유전체 기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외한 바깥면이 외부 도체막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공진부의 각각은,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 및 상기 대향면에 개구하여, 내부에 제 1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에 개구하여, 바닥부가 닫혀 있고, 내부에 제 2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내부 도체는, 상기 단면에 형성된 도체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부 도체에 연속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진부중, 적어도 한셋트의 인접하는 공진부의 각각은, 스텝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단면에 형성되며, 그의 내부에 상기 제 1 의 구멍 및 상기 제 2 의 구멍을 공통으로 포함하는 유전체 장치.
  3. 유전체 기본체와, 복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유전체 장치로서,
    상기 유전체 기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외한 바깥면이 외부 도체막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공진부의 각각은,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 및 상기 대향면에 개구하여, 내부에 제 1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구멍은,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큰 직경부는, 상기 단면에 개구하고, 상기 작은 직경부는 상기 큰 직경부의 아래쪽으로 이어지며,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에 개구하여, 바닥부가 닫혀 있고, 내부에 제 2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내부 도체는, 상기 단면에 형성된 도체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부 도체에 연속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진부중, 적어도 한셋트의 인접하는 공진부에서, 상기 제 2 의 내부 도체끼리가, 상기 유전체 기본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유전체 장치.
  4. 유전체 기본체와, 복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유전체 장치로서,
    상기 유전체 기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외한 바깥면이 외부 도체막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공진부의 각각은,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 및 상기 대향면에 개구하여, 내부에 제 1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제 1 구멍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단면으로부터 그 대향면으로 향하고, 상기 단면에 개구하여, 바닥부가 닫혀 있고, 내부에 제 2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내부 도체는, 상기 단면에 형성된 도체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부 도체에 연속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진부중, 적어도 한셋트의 인접하는 공진부는, 상기 단면에서, 상기 외부 도체막과 연속하는 도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유전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은, 상기 외부 도체막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제 1 내부 도체는, 상기 대향면상에 존재하는 상기 외부 도체막에 연속하는 유전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은, 상기 외부도체막을 가지지 않는 유전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구멍의 각각은,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 2 내부 도체가 상기 단면에서 연속하는 유전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공진부의 적어도 하나와 용량결합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유전체 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공진부의 다른 적어도 하나와 용량결합하고 있는 유전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유전체 기본체의 상기 바깥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층을 통해, 상기 제 1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하고 있는 유전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유전체 기본체의 상기 바깥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층을 통해, 상기 제 2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하고 있는 유전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유전체 기본체의 상기 바깥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층을 통해, 상기 제 1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하고 있는 유전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유전체 기본체의 상기 바깥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전체 기본체층을 통해, 상기 제 2 내부 도체와 용량결합하고 있는 유전체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중, 인접하는 2개는 용량결합하고 있는 유전체 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중, 인접하는 2개는 유도결합하고 있는 유전체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큰 직경부는 상기 단면에 개구하고, 상기 작은 직경부는 상기 큰 직경부의 아래쪽으로 연속해 있는 유전체 장치.
  16.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은,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큰 직경부는 상기 단면에 개구하고, 상기 작은 직경부는 상기 큰 직경부의 아래쪽으로 연속해 있는 유전체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큰 직경부는 상기 대향면에 개구하고, 상기 작은 직경부는 상기 큰 직경부의 위쪽에 연속해 있는 유전체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체 필터인 유전체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듀플렉서인 유전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공진부와, 제 1 내지 제 3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공진부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공진부의 다른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 3 단자는, 상기 공진부의 남은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유전체 장치.
KR1020020043510A 2001-07-25 2002-07-24 유전체 장치 KR100697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5102 2001-07-25
JP2001225102A JP3317404B1 (ja) 2001-07-25 2001-07-25 誘電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510A true KR20030010510A (ko) 2003-02-05
KR100697910B1 KR100697910B1 (ko) 2007-03-20

Family

ID=1905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510A KR100697910B1 (ko) 2001-07-25 2002-07-24 유전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37943B2 (ko)
EP (2) EP1280222B1 (ko)
JP (1) JP3317404B1 (ko)
KR (1) KR100697910B1 (ko)
CN (1) CN100413145C (ko)
DE (1) DE602170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2668A (ja) * 2002-09-20 2004-04-08 Toshiba Corp 共振器及びフィルタ
DE10313336A1 (de) * 2003-03-25 2004-11-18 Epcos Ag Mikrowellenkeramik-Filter mit verbesserter Ankopp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4148423B2 (ja) * 2005-10-13 2008-09-10 Tdk株式会社 誘電体装置
CN100539298C (zh) * 2006-05-11 2009-09-09 严盛喜 微波介质模块
WO2008133932A1 (en) * 2007-04-27 2008-11-06 Cts Corporation Coaxial resonator
JP5620273B2 (ja) * 2007-12-10 2014-11-05 シーティーエス・コーポレーションCts Corporation 改善された減衰を提供する窪んだ頂部パターン及びキャビティを有するrf単一ブロックフィルター
EP2144326A1 (en) * 2008-07-07 2010-01-13 Nokia Siemens Networks OY Filter for electronic sign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WO2010014231A1 (en) * 2008-08-01 2010-02-04 Cts Corporation Rf filter/resonator with protruding tabs
US8269579B2 (en) * 2008-09-18 2012-09-18 Cts Corporation RF monoblock filter having an outwardly extending wall for mounting a lid filter thereon
US9030276B2 (en) 2008-12-09 2015-05-12 Cts Corporation RF monoblock filter with a dielectric core and with a second filter dispo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core
US9030275B2 (en) 2008-12-09 2015-05-12 Cts Corporation RF monoblock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providing improved attenuation
WO2010080929A1 (en) * 2009-01-08 2010-07-15 Cts Corporation Duplex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US9030272B2 (en) 2010-01-07 2015-05-12 Cts Corporation Duplex filter with recessed top pattern and cavity
JP5409412B2 (ja) * 2010-01-26 2014-02-05 京セラ株式会社 複合フィル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機器
JP2013128232A (ja) * 2011-12-19 2013-06-27 Murata Mfg Co Ltd バンドパスフィルタ
WO2014169434A1 (zh) 2013-04-16 2014-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介质谐振器、介质滤波器和制造方法
WO2019207830A1 (ja) * 2018-04-25 2019-10-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ミリ波モジュール、および、ミリ波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EP3883050B1 (en) * 2018-12-26 2023-08-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EP3912222B1 (en) * 2019-01-15 2024-05-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iniature filter design for antenna systems
CN110137645B (zh) * 2019-07-01 2021-08-31 广东国华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波导滤波器
EP4027450A4 (en) * 2019-09-30 2022-10-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ELECTRIC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3036324A (zh) * 2021-01-26 2021-06-25 嘉兴佳利电子有限公司 一种介质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5126A (en) * 1985-03-07 1987-08-04 Robert G. Harrison Microstrip - slotline frequency halver
JPH0732321B2 (ja) 1986-03-13 1995-04-1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誘電体フィルタ
JPH0224606A (ja) 1988-07-14 1990-0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結合素子
JPH0451602A (ja) 1990-06-19 1992-02-20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US5293141A (en) * 1991-03-25 1994-03-08 Sanyo Electric Co., Ltd. Dielectric filter having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n dielectric substrate and antenna duplexer using the same
JPH06132706A (ja) * 1992-09-07 1994-05-13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部品
JP3230353B2 (ja) * 1993-11-18 2001-11-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共用器
US6060965A (en) * 1993-12-14 2000-05-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electric resonator and filter including capacitor electrodes on a non-conductive surface
JPH07249910A (ja) 1994-03-11 1995-09-26 Toko Inc 誘電体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JP3117598B2 (ja) 1994-03-15 2000-12-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平衡型誘電体フィルタ及び平衡型誘電体フィルタを用いた高周波回路
US5512866A (en) * 1994-04-29 1996-04-30 Motorola, Inc. Ceramic duplex filter
EP0688059B2 (en) * 1994-06-16 2013-07-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filter
JP3123885B2 (ja) * 1994-06-21 2001-01-1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高周波用誘電体フィルタ
KR0136334B1 (ko) * 1994-07-22 1998-06-01 이형도 유전체 필터
JPH0946108A (ja) 1995-07-28 1997-02-14 Sanyo Electric Co Ltd 誘電体共振器及び誘電体フィルタ
JP3023949B2 (ja) * 1995-12-12 2000-03-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FI99246C (fi) * 1996-01-18 1997-12-10 Lk Products Oy Fyysiseltä pituudeltaan lyhennetty dielektrinen resonaattorirakenne ja dielektrinen suodatin
FI102433B (fi) * 1996-03-22 1998-11-30 Filtronic Lk Oy Radiotaajuussuodatin sekä menetelmä sen taajuusvasteen säätämiseksi
JPH10145110A (ja) * 1996-11-05 1998-05-29 Murata Mfg Co Ltd 複合誘電体フィルタ
US5864265A (en) * 1997-06-30 1999-01-26 Motorola Inc. Bandstop filter module with shunt zero
JP3399409B2 (ja) * 1998-09-11 2003-04-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回路基板、非可逆回路素子、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通信機装置、回路モジュール、ならびに複合回路基板の製造方法と非可逆回路素子の製造方法
JP3528044B2 (ja) * 1999-04-06 2004-05-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
JP3480368B2 (ja) * 1999-06-02 2003-1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
KR20020024707A (ko) * 2000-09-26 2002-04-01 송재인 일체형 유전체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0222A2 (en) 2003-01-29
JP3317404B1 (ja) 2002-08-26
CN1399367A (zh) 2003-02-26
JP2003037404A (ja) 2003-02-07
US6737943B2 (en) 2004-05-18
US20030020566A1 (en) 2003-01-30
EP1280222A3 (en) 2003-10-15
EP1589603A3 (en) 2005-11-16
KR100697910B1 (ko) 2007-03-20
EP1280222B1 (en) 2006-12-27
DE60217022D1 (de) 2007-02-08
DE60217022T2 (de) 2007-07-05
EP1589603A2 (en) 2005-10-26
CN100413145C (zh)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10B1 (ko) 유전체 장치
JP2752048B2 (ja) 対称型ストリップライン共振器
US7561011B2 (en) Dielectric device
US5379011A (en) Surface mount ceramic filter duplexer having reduced input/output coupling and adjustable high-side transmission zeroes
KR100893644B1 (ko) 유전체장치
KR10040196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EP1777774B1 (en) Dielectric device
JP3419770B1 (ja) 誘電体装置
JP3466602B1 (ja) 誘電体装置
JP3767824B1 (ja) 誘電体装置
US6642817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JP4086167B2 (ja) 誘電体装置
JP3767825B1 (ja) 誘電体装置
JP2003110318A (ja) 誘電体装置
JP2006238432A (ja) 誘電体装置
JP2003258505A (ja) 誘電体装置
JP2007096773A (ja) 誘電体装置
JP2007124573A (ja) 誘電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