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969B1 -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969B1
KR100401969B1 KR10-2001-0080680A KR20010080680A KR100401969B1 KR 100401969 B1 KR100401969 B1 KR 100401969B1 KR 20010080680 A KR20010080680 A KR 20010080680A KR 100401969 B1 KR100401969 B1 KR 10040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ounting surface
excitation
dielectric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131A (ko
Inventor
히로시마모토하루
도다준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5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가 변화되어야 할 때 회로 기판의 설계를 변화시킬 필요성을 제거하고, 설계 자유도의 정도가 개선된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이용한 통신 장치가 구성된다. 각 내부 표면들에 형성된 내부 도체를 가진 공진기 홀들 및 여자 홀들이 유전체 블록에 형성되고, 전극들 및 외부 도체가 유전체 블록의 외부면에 형성된다. 회로 기판에 대해서 실장면에서 입력/출력 결합 전극들의 위치들은 회로 기판에서의 입력/출력 결합 전극들의 위치들과 정렬된다. 공진기 홀들의 개방면들에 형성된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실장면에 수직이지 않은 방향으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전체 필터(유전체 듀플렉서(duplexer)들을 포함하여)와 이러한 유전체 필터들을 사용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필터들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복수의 관통 홀(hole)들을 가진 직각 평행육면체 유전체 블록(block)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홀들은 내부 도체들로 도금되고, 외부 도체는 유전체 블록의 외부면에 형성되어서, 내부 도체들, 외부 도체 및 도체들 사이에 위치된 유전체 블록 부분에 의한 복수의 공진기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필터들은 마이크로파(microwave) 대역에서 작동하는 통신 장치들에사용된다.
획득되는 특성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이러한 공진기들에 대한 외부 결합의 다양한 가능 구성들이 있다. 여자 홀이 희망 공진기와 결합되는 이러한 배열의 하나는 일본 특허 제 2885119호(일본 공개 공보 No. 8-18306)에 기재되어 있다. 여자 홀은 공진기 홀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위치된 내부 도체는 개구들 중의 하나에서 외부 도체와 접속되고, 다른 개구에서 입력/출력 전극과 접속된다. 더욱이, 입력/출력 전극은 표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으로 연장된다.
여자 홀을 통한 외부 결합의 정도는 주로 여자 전극과 공진기 홀 사이의 간극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인접한 공진기들 사이의 결합 정도는 주로 인접한 공진기들 사이의 간극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유전체 블록의 크기는 필터의 요구되는 특성, 공진기들 사이의 결합 강도, 외부 결합 강도 등에 따라 순서대로 결정되는 공진기 홀들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동시에, 유전체 필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상의 접속 단자들의 위치는 유전체 필터의 입력/출력 전극들의 위치와 정렬되도록 설계된다.
유전체 필터 및/또는 유전체 듀플렉서가 다른 특성들을 가지도록 재설계되어야 할 때는, 공진기 홀들 및/또는 여자 홀들의 위치 및 간극이 일반적으로 변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필터의 입력/출력 전극들의 위치가 일반적으로 변해야한다. 이 경우에, 회로 기판 상의 접촉 단자들이 재설계된 유전체 필터 상에서 입력/출력 전극들의 새로운 위치와 확실히 정렬되도록 회로 기판을 재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교롭게도, 이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때때로 회로 기판은 변화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출력 전극들의 위치 변화 없이 필터를 재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필터의 실장면 상의 입력/출력 전극들의 패턴(pattern)은 회로 기판 상의 접속 단자들의 패턴들과 반대가 아닌 일치해야 하고, 개선점들이 치수의 제한에 기인한 필터의 특성을 최적화하게 만들어질 수 없는 가능성이 높다.
심지어 회로 기판이 재설계될 수 있는 곳에서도, 설계의 제약들(예를 들면, 회로 기판의 다른 소자들의 위치)은 여자 홀들의 위치와 접촉 전극들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도록 접촉 전극들이 자리잡힐 수 있는 위치들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여자 홀들과 관련된 입력/출력 전극들의 부분들을 상쇄하기 위해 몇 가지의 준비가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전체 필터의 설계가 변화될 때 회로 기판의 설계를 변화시킬 필요성을 제거하여 유전체 필터의 설계 자유도의 정도가 개선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목적은 이러한 유전체 필터를 이용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4a ,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를 도시한 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6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7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8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9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15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16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전체 블록 2...공진기 홀
3...여자 홀 4...외부 도체
5a, 5b...입력/출력 전극 6a, 6b, 6c...결합 전극
7a, 7b, 7c...접지 홀 8a, 8b ...입력/출력 접지 전극
10...오목 부분들 11...계단 부분들
g...갭
여자 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그와 결합된 입력/출력 전극을 가지고 있고, 입력/출력 전극은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여자 홀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가진다. 입력/출력 전극은 접촉 부분에서 여자 홀까지 연장된 접속 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양상에 따르면, 유전체 필터는 전면과 전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면들을 가지고, 둘 다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면에서부터 연장되는 여자 홀 및 공진기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여자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여자 홀 도체;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여자 홀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전면에 위치된 접속 부분 및 상기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여자 홀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입력/출력 전극과 절연되고, 복수의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에서의 여자 홀의 위치가 여자 홀 및 실장 단자의 비정렬에도 불구하고 유전체 블록에서의 여자 홀의 위치가 필터의 요구되는 필터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도록, 입력/출력 전극의 접촉 부분의 위치가 회로 기판의 실장 단자의 위치와 정렬되도록 한다. 이것은 새로운 유전체 필터가 존재하는 회로 기판 상에 사용하려고 설계될 때와 유전체 필터가 새로운 회로 기판에 대해 설계되지만 회로 기판의 설계 제약들이 회로 기판에 접촉 단자의 허용되는 위치들을 제한할 때 이 두 경우에 이득이 된다.
몇몇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오목 부분은 유전체 블록의 측면들 중의 하나에 형성되고, 여자 홀의 한 끝은 오목 부분에서 개방되고, 여자 홀의 내부면 상의 내부 도체와 실장면 상에 형성된 입력/출력 전극 사이의 전도용 전극이 오목 부분에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입력/출력 단자가 유전체 필터의 외부 주변부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또한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유전체 필터는 전면, 전면과 평행하며 간극을 두고 놓인 오목면 및 전면과 오목면들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면들을 가지고,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오목면에서부터 연장된 여자 홀 및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면에서부터 연장된 공진기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여자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여자 홀 도체;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여자 홀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오목면에 위치된 접속 부분과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여자 홀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입력/출력 전극과 절연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복수의 상기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유전체 필터는 전면 및 전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 그리고 전면과 실장면의 교차점에서 그 자체 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오목부는 실장면에 평행하며 간극을 두고 놓인 오목면을 포함하고, 둘다 전면에서부터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진기 홀 및 여자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여자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여자 홀 도체;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여자 홀 내부 도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전면에 위치된 제 1접속 부분과 오목면에 위치된 제 2접속 부분 및 실장면에 위치되는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여자 홀에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입력/출력 전극과 절연되고, 유전체 블록의 복수의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유전체 필터는 전면 및 전면과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 그리고 전면과 실장면의 교차점에서 그 자체 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오목부는 실장면과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놓인 오목면을 포함하고, 전면에서부터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공진기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진기 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결합 전극;
결합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오목면에 위치된 접속 부분 및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실장면의 평면에 따라 보이듯이 여자 홀에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입력/출력 전극으로부터 절연되고, 유전체 블록의 복수의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의 필터들을 포함하는 유전체 듀플렉서에 더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제 1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은 아래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a는 실장면(회로 기판에 실장될 필터의 표면; 20)이 위로 향하는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유전체 필터가 도 1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유전체 필터는 그의 6개의 외부면들에 형성된 외부 도체(4)를 가진 유전체 재료로 된 직각 평행육면체 블록(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공진기 관통 홀들(2a, 2b)은 유전체 블록에서 형성되어 유전체 블록의 전면(21)으로부터 후면(22)까지 연장된다. 각 내부 도체는 각 공진기 홀들의 내부면에 형성된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공진기 홀들(2a, 2b)의 각 내부 도체의 한 끝은 외부 도체(4)와 결합되어 단락단(short circuit end)을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도체들의 다른 끝은 관통 홀에 위치된 덧씌워지지 않은 갭(gap; g)에 의해 외부 도체(4)로부터 개방된다.
여자 홀들(3a, 3b)은 또한 유전체 블록을 통하여 연장되고, 공진기 홀들(2a, 2b)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내부 도체들은 각 여자 홀들의 내부면에 형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이들 내부 도체들은 유전체 블록(1)의 후면(22)에서 외부 도체(4)와 단락된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여자 홀들의 내부면에 형성된 내부 도체들의 외부 끝은 입력/출력 전극들(5a, 5b)에 각각 결합된다. 입력/출력 전극들(5a, 5b)은 유전체 블록(1)의 전면(21)에 위치된 각 접속 부분들(5a', 5b')과 유전체 블록(1)의 실장면(20)에 위치된 각 접촉 부분들(5a'', 5b'')을 포함한다. 외부 전극들(5a, 5b)은 외부 도체(4)와 간극을 두고 절연된다.
실장면(20) 상의 접촉 부분들(5a'', 5b'')의 위치들과 간극은 접속되어야 하는 회로 기판의 접촉 단자들의 해당 위치들과 간극에 따라 결정된다. 반면에, 여자 홀들(3a, 3b)의 위치는 여자 홀들(3a, 3b)과 그들의 각 공진기 홀들(2a, 2b) 사이의 희망 결합 정도를 포함하는 필터의 특성의 작용으로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촉 부분(5b'')의 위치는 실장면(20)의 평면에서 보이듯이, 결합된 여자 홀(3b)과 정렬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벗어난 것을 상쇄하기 위해서, 접속 부분(5b')은 실장면(20)과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각(더욱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에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접촉 부분들(5a'', 5b'')의 위치들과 간극은 여자 홀들(3a, 3b)의 위치와 간극들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접촉 부분들(5a'', 5b'')의 위치들이 회로 기판에서 접속 단자들과 용이하게 정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회로 기판의 구조를 재설계하지 않고 필터의 특성을 재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또한 필터와 회로 기판의 설계 제약이 접촉 단자들의 허용 가능한 위치들을 제한하는 새로운 필터와 새로운 회로 기판의 설계들을 정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조에서, 2개의 공진기 각각은 1/4파 공진기로서 기능하고, 서로 유도성으로 결합된다. 또한, 여자 홀들(3a, 3b)의 내부면에서의 내부 도체는 인터디지털(interdigital)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유전체 필터는 2단 대역 통과 필터로써 작동한다.
--제 2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의 용량성 결합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오히려, 공진기 홀들(2a, 2b)이 유전체 블록의 전면(21)에 형성된 각 결합 전극(6a, 6b)을 통하여 외부 전극(4)과 용량성으로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 제 1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 공진기 홀들에 형성된 내부 전극들에 갭들(g)을 형성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제 1실시형태에서처럼, 입력/출력 전극들의 접촉 위치들(5a'', 5b'')은 여자 홀들(3a, 3b)의 위치들과 상대적으로 변하여질 수 있고, 그에 의해, 위에 언급된 동일한 이익이 되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제 3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도체(4)는 관통 홀들(2a, 2b)의 끝을 둘러싼 영역에서 유전체 블록(1)의 후면(22)에 위치되지 않아서, 공진기의 개방된 끝을 형성한다(갭(g)의 형성 없이). 공진기 홀들(2a, 2b) 각각은 내부 지름이 공진기들의 단락단에서 더 작고 개방단에서 더 큰 계단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나머지 구조는 제 1 및 제 2실시형태와 같다.
이러한 구조로, 2개의 공진기들은 서로 용량성으로 결합된다. 처음 두 실시형태들과 같이, 입력/출력 전극들의 적어도 한 접속 부분(본 실시형태에서, 접속 부분(5b'))이 실장면(20)과 기울어진 각(더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위에 기록된 설계 유연성을 확실하게 한다.
--제 4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를 아래 도 4a, 4b 및 4c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b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실장면(20)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공진기들의 단락단에 해당하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전면(21)을 도시한 도이다. 도 4a는 공진기의 개방단에 해당하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후면(22)의 도이다. 듀플렉서는 일반적으로 평행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유전체 블록(1)에서 형성된다. 외부 도체(4)는 유전체 블록(1)의 외부면들에 형성된다. 복수의 계단 형태의 공진기 홀들(2a ~ 2i)은 전면(21)으로부터 후면(22)까지 연장되어 유전체 블록(1) 내에 형성된다. 접지 홀들(7a ~ 7c)과 여자 홀들(3tx, 3ant 및 3rx)도 또한 전면(21)에서부터 후면(22)까지 연장되어 유전체 블록(1) 내에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c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공진기 홀들(2a ~ 2i)은 유전체 블록(1)의 실장면(20)에 수직인 방향에서 길게 늘어진다. 결과적으로, 도 4a ~ 도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록의 치수들과 폭 방향은 줄어들 수 있다.
도 4b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공진기 홀들(2a ~ 2i)의 각각은 윗 부분(공진기들의 개방단에 해당하는)이 상대적으로 크고 바닥 부분(공진기들의 단락단에 해당하는)이 상대적으로 작은 계단 형태의 홀들이다.
각 내부 도체들은 공진기 홀들(2a ~ 2i)의 내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도체들은 공진기들의 단락단들을 형성하기 위해 후면(21) 상에서 외부 도체(4)와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도금되지 않은 갭(g)은 외부 도체(4)로부터 공진기 홀들의 내부 도체들을 이격하기 위해 공진기 홀들의 각각의 상부 끝에 형성되어, 공진기들의 개방단을 형성한다.
각 여자 홀들(3tx, 3ant 및 3rx)은 여자 홀들의 전 길이를 통하여 연장된 각 내부 도체로 도금된다. 여자 전극들의 한 끝은 유전체 블록(1)의 전면(22)에서 외부 도체(4)에 쇼트 회로화되고, 여자 홀들의 다른 끝은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유전체 블록의 후면(21)에 형성되고 유전체 블록(1)의 실장면(20)으로 연장된 각 입력/출력 전극들(5tx, 5ant 및 5rx)과 결합된다. 이러한 전극들은 외부 도체(4)와 절연되도록 간극을 두게 된다. 입력 전극(5rx)은 수신기 회로와 접속되는데 적합하게 되고, 전극(5ant)은 안테나와 접속되는데 적합하게 되고, 전극(5tx)은 송신기 회로와 접속되는데 적합하게 된다.
공진기들(2b ~ 2d)은 송신기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되고, 대역 통과 필터링(filtering)되어 안테나 여자 홀(3ant) 및 그리고 나서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로 인가되는 여자 홀(3tx)로 인가되는 신호를 허용하는 송신기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게 한다. 필터(2e ~ 2h)는 안테나에 의해서 수신되고 안테나 여자 홀들(3ant)에 인가된 신호를 대역 통과하여 대역 통과 신호를 수신 여자 홀(3rx)에 인가하고 나서 수신기 회로(도시되지 않음)로 인가하는 수신기 대역 통과 필터를 규정한다.
공진기(2a)는 전송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 경계 주변에서 송신기 여자 홀(3tx)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감쇠되도록 하는 트랩 필터(trap filter)로써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전송 필터부는 송신 신호가 송신 주파수를 통해 통과하도록 하고 수신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가 크게 감쇠되도록 하는 공진기들(2a ~ 2d)에 의해 형성된다.
공진기 홀(2i)은 수신 주파수 대역과 전송 주파수 대역 사이의 경계 주변에서의 신호가 감쇠되도록 하는 트래핑 필터(trapping filter)로써 작동한다. 결과적으로, 수신 필터부는 신호가 수신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과하도록 하고 송신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가 크게 감쇠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각 접지 홀들(7a, 7b, 7c)의 내부면에 형성된 내부 도체들의 반대 끝은 외부 도체(4)에 결합된다(단락된다). 접지 홀(7a)은 공진기(2a, 2b)에 의해 규정된 2개의 공진기들 사이의 결합을 막는다. 접지 홀(7b)은 공진기 홀들(2d, 2e)에 의해 규정된 2개의 공진기들 사이의 결합을 막는다. 접지 홀(7c)은 공진기 홀들(2h ~ 2i)에 의해 규정된 2개의 공진기들 사이의 결합을 막는다.
실장면(20) 상에서 입력/출력 전극들(5tx, 5ant 및 5rx)의 접촉 부분들(5tx'', 5ant'' 및 5rx'')의 위치는 회로 기판 상에서 해당 접촉 단자의 위치들과 정렬된다.
여자 홀들(3tx, 3ant 및 3rx)의 위치들은 송신기 필터 및 수신기 필터의 희망 특성들에 의해 결정된다. 회로 기판이 특정 유전체 필터에 대해 설계되지 않는다면, 또는, 회로 기판의 설계의 제약이 접촉 단자들의 위치를 제약한다면, 여자 홀들의 위치들은 회로 기판에 접속 단자들의 해당 위치들을 정합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차이에 대해서 알맞게 하기 위해, 접촉 부분들(5tx'', 5ant'' 및 5rx''; 본 실시형태에서, 모두 3개의 접촉 부분들)의 하나 이상의 위치는 그에 해당하는 여자 홀들(3tx, 3ant 및 3rx)에 대하여 벗어날 것이다. 이러한 벗어남은 그에 해당하는 여자 홀들에서부터 실장면(20) 상에 그에 해당하는 접촉 부분들(5tx'', 5ant'' 및 5rx'')까지 연장하는 방식으로 해당 접속 부분들(5tx', 5ant' 및 5rx')을 형성함에 의해 알맞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실장면(20)에 기울어진 각(더욱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에서 접속 부분들(5tx', 5ant' 및 5rx')을 연장함에 의해 달성된다.
--제 5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5a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하는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유전체 필터가 도 5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도 1a ~ 도 1b에서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단일 여자 홀(3)은 유전체 블록(1)에 형성되고, 입력/출력 전극(5a)은 유전체 블록(1)의 옆의 측면에 형성된다.나머지 구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다.
내부면에 형성된 내부 도체를 가진 여자 홀(3)은 공진기 홀(2b)에 의해 공진기와 인터디지털 방식으로 결합된다. 입력/출력 전극(5a)은 공진기 홀(2a)에 의해 규정된 공진기와 용량성으로 결합된다.
입력/출력 전극(5b)의 접속 부분(5b')은 실장면(20)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더욱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에서 배치되기 때문에, 선행 실시형태들에 대해서 기록된 설계 유연성이 달성될 수 있다.
--제 6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a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하는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유전체 필터가 도 6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여자 홀들(3a, 3b)의 축 방향에서 패인 오목 부분들(10)은 유전체 블록(1)의 전면(21)의 반대 측들에 형성되고, 각 여자 홀들(3a, 3b)의 한 끝은 각 오목 부분(10)에서 개방된다. 입력/출력 전극들(5a, 5b)의 접속 부분들(5a', 5b') 각각은 여자 홀들(3a, 3b) 각각에 형성된 도체들과 전기적인 접속으로 계단들(10)의 각 면들(10-1)에 형성된다. 접속 부분들(5a', 5b')은 실장면(20)에 기울어진 각(더욱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에서 여자 홀들(3a, 3b)에서부터 접촉 부분들(5a'', 5b'')까지 연장한다. 나머지 구조는 제 1실시형태에 도시된 것과 같다.
이러한 구조로서, 해당 여자 홀들(3a, 3b)의 간극들 및 위치들과 다른 간극들 및 위치들에서 실장면(20)에서 접촉 부분들(5a'', 5b'')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의해, 선행 실시형태들에 대하여 위에 기록된 설계 이익들을 발생시킨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오목 부분들(10)은 전면(21)의 반대 끝들에 형성될지라도, 전체 전면(21)을 따라 연장된 단일 오목 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아래 설명될 실시형태들과 등가적으로 같다.
--제 7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7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a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유전체 필터가 도 7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와는 다르게, 공진기 홀들(2a, 2b) 내에 내부 도체들과 각각 직접 결합된 결합 전극들(6a, 6b)은 유전체 블록(1)의 후면(22)에 형성된다. 결합 전극들은 외부 도체(4)와 그리고 서로 간극을 두어서 정전 용량(eletrostatic capacitance)가 그들 사이에 발생하도록 만들어진다. 나머지 구조는 제 6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진기 홀들(2a, 2b)에 해당하는 2개의 공진기들은 서로 용량성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오목부들(10)은 제 6실시형태와 같이 사용된다. 제 6실시형태에서처럼, 입력/출력 전극들(5a, 5b)의 접속 부분들(5a', 5b')은 각각실장면(20)에 기울어진 각에서 연장하여, 여자 홀들(3a, 3b)의 위치들과 간극들이 다른 위치들과 간극들에서 접촉 부분들(5a'', 5b'')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8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8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8a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유전체 필터가 도 8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 공진기 홀들(2a, 2b)의 개구들의 하나가 개방단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각 유전체 공진기들은 공진기 홀들(2a, 2b)의 내부 지름이 단락단에서 보다 작고, 개방단에서 보다 큰 계단형 구조(도 3b와 유사하게)로 형성된다. 나머지 구조는 제 6 및 제 7실시형태들의 것과 같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진기 홀들(2a, 2b)에 해당하는 2개의 공진기들은 서로 용량성으로 결합된다. 다시 한번, 입력/출력 전극들(5a, 5b)의 접속 부분들(5a', 5b')이 실장면(20)에 기울어진 각(더욱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에서 연장되어, 앞서의 실시형태들에 관하여 논의된 설계의 유연성을 형성한다.
--제 9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9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9a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유전체 필터가 도 9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계단 부분들(11)은 그의 면(11-1)이 실장면(20)에서부터 오목하도록 유전체 블록(1)에 형성된다. 입력/출력 전극들(5a, 5b)은 각 계단 부분들(11)을 통하여 전면(21)에서부터 실장면(20)까지 연장한다. 나머지 구조는 제 1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이러한 구조에서, 입력/출력 전극들(5a, 5b)의 접속 부분들(5a''', 5b''')은 실장면(20)이 회로 기판에 실장될 때 회로 기판에서부터 간극을 두어서, 계단 부분들(11)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회로 기판에 형성된 다른 회로들과 도체들의 영향을 줄인다.
--제 10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0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0a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유전체 필터가 도 10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공진기 홀들 내의 내부 전극들에 직접 접속된 결합 전극들(6a, 6b)은 유전체 블록(1)의 후면(22)에 형성된다. 결합 전극들(6a, 6b)은 정전 커패시턴스가 그들 사이에서 발생하게끔 만들어지도록 서로 그리고 외부 전극(4)과 간극을 둔다. 나머지 구조는 제 9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속 부분(5b')은 실장면(20)에 기울어진 각에서 연장되어접촉 부분(5b'')의 위치 및 접촉 부분(5a'')으로부터의 간극이 여자 홀들(3a, 3b)의 상대적인 위치들과 간극들과 다를 수 있다. 이것은 위에 논의된 설계 이점들을 달성하게 한다.
--제 11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1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1a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유전체 필터가 도 11a가 그려진 종이의 평면 내에서 180°회전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형태의 결합 커패시터들은 생략된다. 각 공진기 홀들(2a, 2b)의 개구들 중 하나는 개방단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공진기들은 공진기 홀들(2a, 2b)의 내부 지름이 공진기들의 단락단에서 보다 작고 개방단에서 보다 큰 계단형 구조(도 3b에서처럼)로 형성된다. 나머지 구조는 제 9 및 제 10실시형태들과 같은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진기 홀들(2a, 2b)에 의한 2개의 공진기들은 용량성으로 서로 결합된다.
--제 12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2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를 아래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2a 및 도 12b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2개의 유전체 필터들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 내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계단 부분들(11)의 표면(11-1)에 위치된 입력/출력 전극들(5a, 5b)의 접속 부분들(5a''', 5b''')은 여자 홀들(3a, 3b)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12a 및 도 12b(선택적이나 밀접하게 관련된 실시형태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계단 부분들(11)의 표면(11-1)에 위치된 접속 부분들(5b''')은 여자 홀들(3a, 3b)과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에서 연장된다. 도 1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자 부분(5b'')과 여자 홀(3b)의 위치들에서의 벗어남이 접속 단면(5b')과 접속 단면(5b'') 두개에 의해 상쇄되도록 접속 부분(5b')은 실장면(20)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더욱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에서 여자 홀(3b)의 개구에서부터 계단 부분(11)까지 연장된다. 대조적으로, 도 12a의 실시형태에서(접속 부분(5b')이 실장면(20)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접속 부분(5b''')은 단독으로 희망 상쇄를 달성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계단 부분(11)의 표면(11-1)에 위치된 입력/출력 전극(5a)의 접속 부분들(5a''')이 여자 홀들(3a)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지라도, 접속 부분들(5a''' 및 5b''') 모두가 여자 홀들(3a, 3b)에 대하여, 바란다면, 기울어진 각(더욱 일반적으로 수직이 아닌)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13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3실시형태에 관한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에 대해 아래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3은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실장면(20)에서부터 오목하게 된 3개의 계단 부분(11)이 유전체 블록(1)에형성된다. 각 계단 부분(11)은 계단 부분(11)에 형성된 각 접속 부분(5rx''', 5ant''' 및 5tx''')을 가진 각 입력/출력 단자(5rx, 5ant 또는 5tx)와 결합된다. 나머지 구조는 제 4실시형태와 같다.
이러한 구조에서, 접속 부분들(5rx''', 5ant''' 및 5tx''')은 각 계단 부분(11)의 표면(11-1)에 위치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과 간극을 두게 되고, 그에 의해, 계단 부분들(11)의 영역에서 회로 기판에 위치된 회로들 및/또는 도체들에 의해 듀플렉서의 필터 특성에 대한 영향을 줄어들게 한다.
--제 14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4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4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3개의 공진기 홀들(2a, 2b 및 2c)은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 유전체 블록에 형성되고 전면(21)에서 그 후면(22)까지 연장한다.
내부 도체는 각 공진기 홀들의 내부면에 형성된다. 외부 도체(4)는 유전체 블록(1)의 5개의 외부면들(전면(21)을 제외한 모든 외부면들)에 형성된다. 공진기 홀들(2a, 2b 및 2c)의 내부 도체들로부터 각각 연속적인 결합 전극들(6a, 6b 및 6c)은 정전 커패시턴스가 인접 결합 전극들 사이에 발생되도록 만들어지기 위해서 유전체 블록(1)의 전면(21)에 형성된다. 결합 전극들(6a, 6c)에 각각 용량성으로 결합된 입력/출력 결합 전극들(8a, 8b)은 유전체 블록(1)의 전면(21)에 또한 형성된다.
한 쌍의 계단 부분들(11)은 유전체 블록(1)의 실장면(20)에 형성된다. 입력/출력 단자들(5a, 5b)은 결합 전극들(8a, 8b)에서부터 각각 실장면(20)까지 연장된다. 입력/출력 단자(5a)는 좌측 계단 부분(11)에 위치된 접속 부분(5a')과 실장면(20)에 위치된 접촉 부분(5a'')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단자(5b)는 오른쪽 계단 부분(11)에 위치된 접속 부분(5b')과 실장면(20)에 위치된 접촉 부분(5b'')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가 보여주는 것처럼, 본 발명은 입력/출력이 여자 홀들을 통하여 취하여지지 않고 입력/출력 결합 전극들을 통하여 취하여지는 형태의 유전체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5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5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아래 도 15를 통하여 설명하겠다.
도 15는 실장면(20)이 위로 향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전면(21)은 전도성 도금이 되어 있지 않다. 한 쌍의 계단 부분들(11)은 전면(21)에 인접한 유전체 블록(1)에 형성된다. 공진기 홀들(2a, 2b)과 용량성으로 결합된 한 쌍의 입력/출력 단자들은 실장면(20) 상에서 계단 부분들(11)을 넘어서 연장된다. 각 단자들(5a, 5b)은 각 계단 부분에 위치된 접속 부분(5a', 5b')과 실장면(20)에 위치된 접촉 부분(5a'', 5b'')을 포함한다. 나머지 구조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공진기들의 개방단들의 주변에서 공진기들과 용량성으로 결합된 전극들이 실장면(20)과 평행하게 놓인 면들에 형성되는 형태의 유전체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6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를 아래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6을 참조하면, 참조 문자(ANT)는 송신/수신 안테나를 나타낸다. 참조 문자(DPX)는 듀플렉서를 나타낸다. 참조 문자들(BPFa 및 BPFb) 각각은 대역 통과 필터를 나타낸다. 참조 문자들(AMPa 및 AMPb) 각각은 증폭 회로를 나타낸다. 참조 문자들(MIXa 및 MIXb) 각각은 믹서(mixer)를 나타낸다. 참조 문자(OSC)는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나타낸다. 참조 문자(SYN)는 주파수 신시사이저(synthesizer)를 나타낸다.
믹서(MIXa)는 송신 신호의 중간 주파수 신호(IF)와 주파수 신시사이저(SYN)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혼합한다. 대역 통과 필터(BPFb)는 단지 믹서(MIXa)로부터의 혼합된 출력 신호 내에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하도록 한다. 증폭 회로(AMPa)는 대역 통과 필터(BPFb)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고, 송신/수신 안테나(ANT)로부터의 신호를 듀플렉서(DPX)를 통하여 송신한다. 증폭 회로(AMPb)는 듀플렉서(DPX)로부터 나온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다. 대역 통과 필터(BPFb)는 단지 증폭 회로(AMPb)로부터 수신된 신호 출력 내에서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이 통과하도록 한다. 믹서(MIXb)는 주파수 신시사이저(SYN)로부터의 주파수 신호 출력과 수신된 신호를 혼합하고, 수신 신호의 가운데 주파수 신호(IF)를 출력한다.
도 16에 도시된 듀플렉서 부분(DPX)에 대해, 도 4 또는 도 13에 도시된 구조의 유전체 듀플렉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역 통과 필터 부분들(BPFa, BPFb)에 대해서, 도 1a 및 도 1b 내지 도 3a 및 도 3b, 도 5a 및 도 5b 내지 도 12a 및 도 12b,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유전체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에 입력/출력 전극들의 위치들이 회로 기판에서 입력/출력 전극들의 위치들과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전체 블록에서의 여자 홀들의 위치는 요구되는 특성들을 만족시켜야 하는 설계에 따라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특성들이 변하여야 할 때 또는 설계가 변하여야 할 때, 회로 기판의 설계의 변화는 불필요해지고, 유전체 필터의 설계의 자유도의 정도가 증가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실장 영역에서 입력/출력 결합 전극들의 배열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실장된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고정하는 개별 회로 기판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전체적으로 저비용의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이 현재 바람직한 실시형태들로 고려되는 것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형태들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들 및 포함된 등가 배열들을 포괄하도록 만들어진다.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들과 등가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가장 폭 넓은 해석이 주어져야 한다.
기재된 본 발명에서, 입력/출력 전극들의 접속 부분을 상쇄하는 위치는 실장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 또는 여자 및/또는 공진기 홀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 중 하나에서 연장하는 곧은 부분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쇄 접속 부분(들)은 원하면 휘어진 지그재그(zig zag) 경로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서, 여자 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결합된 입력/출력 전극을 가지고, 입력/출력 전극은 실장면과 평행하게 가는 평면에서 보이면서 결합된 여자 홀의 위치로부터 나온 위치에서 유전체 블록의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가진다. 입력/출력 전극은 접속 부분에서 공진기 홀까지 연장한 접속 부분(하나 이상의 단면들을 포함할 수 있는)을 또한 가진다.
여기 사용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직각 평행육면체 형상"이란 말은 외부 표면들의 각 인접 쌍들이 서로에 대하여 75°에서 105°사이의 각에서 연장되고, 몇몇 또는 전체 주요 면들에서 노치들(notches), 오목부들 및/또는 돌출부들을 갖는 그러한 블록들을 더 포함하는 6개의 주요 면들을 포함하는 블록을 말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될지라도, 다른 많은 변형들과 수정들 등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 특정하게 기술된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직 부기된 청구항들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2)

  1. 전면과 상기 전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면들을 가지고, 둘 다 상기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전면에서부터 연장되는 여자 홀 및 공진기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여자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여자 홀 도체;
    상기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상기 여자 홀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면에 위치된 접속 부분 및 상기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상기 여자 홀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상기 입력/출력 전극과 절연되고, 복수의 상기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상기 외부면들은 상기 전면과 간극을 두고 평행한 후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홀들 및 여자 홀들은 상기 전면에서 상기 후면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전극의 접속 부분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형성하는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 홀은 제 1여자 홀이고, 상기 여자 홀 도체는 제 1여자 홀 도체이고, 상기 공진기 홀은 제 1공진기 홀이고, 그리고, 상기 공진기 홀 도체는 제 1공진기 홀 도체이고, 상기 유전체 필터는
    상기 유전체 블록에 형성되고, 둘 다 상기 실장면에 평해안 방향으로 상기 전면에서부터 연장되는 제 2여자 홀 및 제 2공진기 홀;
    상기 제 2여자 홀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2여자 홀 도체;
    상기 제 2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 2공진기 홀 도체; 및
    상기 제 2여자 홀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면에 위치된 접속 부분과 상기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제 2입력/출력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입력/출력 전극의 상기 접속 부분은 상기 실장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입력/출력 전극의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상기 제 2여자 홀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입력/출력 전극의 상기 접속 부분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을 형성하는 직선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8. 전면, 상기 전면과 평행하며 간극을 두고 놓인 오목면 및 상기 전면과 오목면들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면들을 가지고, 상기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오목면에서부터 연장된 여자 홀 및 상기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면에서부터 연장된 공진기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여자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여자 홀 도체;
    상기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상기 여자 홀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오목면에 위치된 접속 부분과 상기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상기 여자 홀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상기 입력/출력 전극과 절연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복수의 상기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9. 전면 및 상기 전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 그리고 상기 전면과 상기 실장면의 교차점에서 그 자체 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실장면에 평행하며 간극을 두고 놓인 오목면을 포함하고, 둘다 상기 전면에서부터 상기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진기 홀 및 여자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여자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여자 홀 도체;
    상기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상기 여자 홀 내부 도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면에 위치된 제 1접속 부분과 상기 오목면에 위치된 제 2접속 부분 및 상기 실장면에 위치되는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실장면의 평면을 따라 보이듯이 상기 여자 홀에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상기 입력/출력 전극과 절연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복수의 상기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10. 전면 및 상기 전면과 수직으로 연장된 평평한 실장면 그리고 상기 전면과 실장면의 교차점에서 그 자체 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실장면과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놓인 오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에서부터 상기 실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공진기 홀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공진기 홀의 내부면에 형성된 공진기 홀 도체;
    상기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진기 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결합 전극;
    상기 결합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오목면에 위치된 접속 부분 및 상기 실장면에 위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실장면의 평면에 따라 보이듯이 상기 여자 홀에서부터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출력 전극; 및
    상기 입력/출력 전극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복수의 상기 외부면들에 형성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11. 송신기 필터 및 수신기 필터를 가지고, 상기 송신기 필터 및 수신기 필터 각각은 제 1항의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2. 송신기 필터 및 수신기 필터를 가지고, 상기 송신기 필터 및 수신기 필터 각각은 제 1항의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01-0080680A 2000-12-19 2001-12-18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401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5974 2000-12-19
JPJP-P-2000-00385974 2000-12-19
JP2001140397A JP2002252503A (ja) 2000-12-19 2001-05-10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JP-P-2001-00140397 2001-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131A KR20020050131A (ko) 2002-06-26
KR100401969B1 true KR100401969B1 (ko) 2003-10-17

Family

ID=2660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680A KR100401969B1 (ko) 2000-12-19 2001-12-18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6813B2 (ko)
JP (1) JP2002252503A (ko)
KR (1) KR100401969B1 (ko)
CN (1) CN1177389C (ko)
GB (1) GB2374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454B2 (ja) * 2001-02-19 2005-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788369B2 (ja) * 2001-04-10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788384B2 (ja) * 2001-05-30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801106B2 (en) 2002-03-29 2004-10-05 Ngk Spark Plug Co., Ltd. Dielectr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adjusting input/output coupling thereof
JP2003298310A (ja) * 2002-03-29 2003-10-17 Ngk Spark Plu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4873017B2 (ja) * 2007-02-09 2012-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JP2009206506A (ja) * 2008-01-31 2009-09-10 Sanyo Electric Co Ltd 素子搭載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携帯機器
JP2013128232A (ja) * 2011-12-19 2013-06-27 Murata Mfg Co Ltd バンドパスフィルタ
KR101782948B1 (ko) 2016-08-25 2017-09-28 (주)파트론 유전체 필터
CN110224205A (zh) * 2019-05-30 2019-09-10 江苏灿勤科技股份有限公司 含有通孔型输入输出结构的表贴式介质滤波器
CN110137656A (zh) * 2019-06-11 2019-08-16 江苏利伟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双工器结构件多台阶集成加工工艺
CN110459847B (zh) * 2019-08-02 2021-04-20 成都理工大学 基于多通孔的电磁耦合交指带通滤波器及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726B1 (ko) * 1994-06-16 1998-08-17 무라따 야스따까 유전체 필터
JP3123348B2 (ja) 1994-06-28 2001-01-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JPH09312506A (ja) 1996-05-23 1997-12-02 Ngk Spark Plu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3412533B2 (ja) * 1998-10-20 2003-06-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JP2000138502A (ja) * 1998-10-29 2000-05-16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86813B2 (en) 2004-02-03
US20020075095A1 (en) 2002-06-20
GB0129860D0 (en) 2002-01-30
JP2002252503A (ja) 2002-09-06
GB2374985B (en) 2003-03-19
GB2374985A (en) 2002-10-30
CN1177389C (zh) 2004-11-24
KR20020050131A (ko) 2002-06-26
CN1360359A (zh)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5469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50146399A1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2004023567A (ja) 誘電体フィルタの実装構造、誘電体フィルタ装置、誘電体デュプレクサの実装構造および通信装置
KR10040196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12588B1 (ko) 유전체필터,유전체듀플렉서및이들을이용한통신장치
KR100397732B1 (ko)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
US6765457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longated through holes
KR10040532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51901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EP1294042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6914499B2 (en) Conductive cover f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20050874A1 (en)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20010051433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기
US6621383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6137382A (en)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uch dielectric duple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