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158A -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과 그 의복 - Google Patents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과 그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158A
KR20030008158A KR1020027016963A KR20027016963A KR20030008158A KR 20030008158 A KR20030008158 A KR 20030008158A KR 1020027016963 A KR1020027016963 A KR 1020027016963A KR 20027016963 A KR20027016963 A KR 20027016963A KR 20030008158 A KR20030008158 A KR 2003000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olenic acid
tea tree
composition
temperature heating
tre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모리 후쿠모토
다카노부 오노
요우이치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카츠모리 후쿠모토
요우이치 후쿠모토
다카노부 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츠모리 후쿠모토, 요우이치 후쿠모토, 다카노부 오노 filed Critical 카츠모리 후쿠모토
Publication of KR2003000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15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5Heterocyclic compounds
    • D06M13/3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ix-membered heterocyclic rings
    • D06M13/358Tr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1Aldehy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5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fibre, a textile, a slab or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05Compositions containing perfumes; Compositions containing deodora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188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203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Abstract

본 출원 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티트리오일과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중 1종 이상과, γ-리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피지결함병의 치료와 가려움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과 그 의복{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ENVIRONMENT AND CLOTHES THEREOF}
외용약,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의 외용약으로서, 비스테로이드의 유효성에 대해서의 재검토·재평가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종래로부터, 경증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서는 비스테로이드 외용약이 종종 사용되고 있었다. 「알레르기질환 치료 가이드라인-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야마모토 쇼소 1999년 후생과학연구「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가이드라인 작성」분담연구)를 보면,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부작용이 생기기 쉬운 얼굴, 또는 염증의 정도가 가벼운 경우에 본 제는 원칙적으로 사용된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본 제는, 스테로이드에 비해서 항염증 작용은 약하고, 접촉피부염을 발생시키는 일이 드물게 되고, 그 적용범위는 좁은 것이 현실로 되고 있다.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을 충분히 진정시킬 수 있는 약제로, 그 유효성과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는 약제는 스테로이드 외용약뿐이며, 비스테로이드 외용약이 본 증세에 유효하다고 보고되어 있는 문헌의 다수는, 주로 경증을 대상으로 하며, 경증의 다수는 보습제에 의해 충분히 제어될 수 있다고 하여, 반드시, 비스테로이드 외용약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현재의 경우, 본 증세의 염증을 신속히 또한 확실히 진정시키며, 환자의 고통을 제거하는 약제는 스테로이드 외용약 외에는 없다는 것이다(이상, 참고문헌:「아토피성 피부염」미야지 요시키(쿄도대학 의학부 피부과 교수), 나카쿠라 토시카즈(요가 알레르기클리닉 원장) 편집 발행자 / 마츠오마 미츠아키 발행소/주식회사 메디칼레뷰사 발행일 2000년 4월 10일 「제2장 매니지먼트 & 케어 제1선택의 치료 3. 외용요법(1) 외용요법의 원칙」후루카와 후쿠미(와카야마켄립 의과대학 피부과)).
상기와 같은 생각방법의 한편으로, 일본에서도 친숙함이 깊은 달맞이꽃(月見草)(정식명:오오마츠요이구사·마츠요이구사)에는 γ-리놀렌산(GLA)이 함유되어 있고, 영국, 독일, 프랑스 등에서는 아토피 질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 γ-리놀렌산을 사용하여 아토피치료약「GLA」를 개발한, 불포화지방산의 연구에 관한 세계적 권위, 데이비드·호로빈 박사(가나다·몬트리올대학 교수)는, 달맞이꽃의 종자 오일(種子油)을 경구 투여한다는 새로운 치료법을 제안하고 있다.
박사의 연구 중에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혈 중에는 γ-리놀렌산(GLA)이 건강한 사람의 50%에 미치지 않는 것이 판명되고, 또한 아토피체질의 모친의 모유중에 함유되는 γ-리놀렌산도 건강한 사람의 모친의 모유의 50%이하라는 것도 명백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박사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로부터 γ-리놀렌산의 보급을 생각하여, 달맞이꽃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달맞이꽃의 종자에 함유되는 GLA의 유출에 성공하였다.
아토피치료에 대한 γ-리놀렌산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브리스톨대학에서의임상시험에서도 입증되어 있다. 이 시험에서, 경도(輕度)로부터 중위도의 아토피환자, 127명의 어린이와 240명의 성인에게 CLA를 투여했을 때, 특히 가려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중질환자 179명에 투여한 시험에서도 116명에 개선이 보였다(THE LANCET, JANUARY31, 1981(C.R.Lovell,J.B.Burton,D.F.Horrobin)).
(이상 참고자료:일본식품기능연구회의 홈페이지
http://www.jafra.gr.jp/ganma.htm)
상기와 같이, γ-리놀렌산에 대해서, 경구 투여에 의한 효과는 보고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외용약으로서 스테로이드의 우위성이 주장되어 비스테로이드의 의의가 문제 삼아지고 있는 현상에 있어서, 그 외용에 대해서는, 완전히 주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외용약으로서조차 주목되어 있지 않은 γ-리놀렌산을, 환자의 속옷 등에 붙여서, 아토피에 대한 피부환경을 개선한다는 발상은 전무하였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한정되지 않고, 피지결핍병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은,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과 그 의복에 관한 것이다.
도 1는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의복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의 (A)는 본 출원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의 (B)는 이 가열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의 (C)는 이 가열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이외의 방법에 따른 가열장치의 저온가열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의 (B)는 이 가열장치의 고온가열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 발명의 또 다른 의복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의복의 제조 중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행거의 개방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동일한 폐쇄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기 행거의 접속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6의 (B)은 동일한 VI-VI 선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의 공정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방법에 따른 장척형상 체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본 출원 발명의 실시예의 피진(皮疹:피부에 나는 발진)에 대한 앙케이트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의 (B)는 그 소양(搔痒:긁은 상처)에 대한 앙케이트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는 상기 실시예의 건조에 대한 앙케이트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 β-시클로덱스트린에서 포섭한 약제의 개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약제를 의복에 정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가공천B에 대한 검량선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3의 (B)는 가공천G에 대한 검량선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피부환경의 개선,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피지결핍병에 대한 피부환경의 개선에 γ-리놀렌산을 이용하는 것을 상기하여, 예의연구 끝에,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Tea Tree Oil)이나 레몬센트 티트리오일(Lemon Scented Tea Tree Oil)이, 이와 같은 피부환경의 개선에 유효한 것을 발견하고, 본 출원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고, 또한 이와 같은 조성물을, 속옷이나 내의 등의 의복을 통하여, 항상 피부로 공급하는 길을 발견한 것이다.
그래서, 본 출원 제1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출원 제2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제균제(制菌劑)와,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 제3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테르피넨-4-올과 시트랄과 시트로넬랄 중 적어도 어느 일종과,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 제4발명에 따른 의복은, γ-리놀렌산, α-리놀렌산, 티트리오일 및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중 적어도 어느 일종을 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 제5발명에 따른 의복은, γ-리놀렌산, α-리놀렌산, 티트리오일 및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중 적어도 어느 일종을,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하여 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 제6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과, 제균제를 함유하고, 그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이란, 의복 등의 몸에 붙이는 것에 대하여, 아토피나 피지결핍병 등의 피부병환에 대한 약효를, 부여하기 위한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여기서 의복이란, 통상 의복 즉 의류뿐만 아니라, 잠옷, 속옷, 내의, 실내복, 가운, 코르셋, 앞치마, 수영복, 스포츠웨어, 침구(시트, 베개커버) 등의몸에 걸치는 것, 또는, 목도리, 마스크, 양말, 장갑, 모자, 포대, 서포터 등의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출원 제1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최근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구 치료에 효과가 확인된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을 함유성분으로 하고, 경구로 할 뿐만 아니라, 아토피나 피지결함병의 징후가 발현하는 피부의 주변환경에 붙여서 이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출원 제1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피부결함병의 치유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실현하였다.
또한, 본 출원 제2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상기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과 함께, 섬유상의 균의 증식이나 가려움에 대하여 유효한 제균제를 함유시키고,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피지결함병의 치유와 가려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실현할 수 있었다. 여기서 제균제란, 티트리오일 또는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등의 살균 혹은 균의 번식을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 비스테로이드계 약제를 말한다.
특히, 본 출원 제3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은, 티트리오일 중에서 특히 유효한 성분인 테르피넨-4-올 혹은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중에서 특히 유효한 성분인 시트랄 또는 시트로넬랄을 γ-리놀렌산과 함께 함유함으로써, 본 출원 제2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의 작용을 보다 현저하게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 제4발명에서는, 피부와 직접 접하는 속옷이나 내의 등의 의복에 이와 같은 γ-리놀렌산과 α-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과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중 적어도 어느 일종을 함유시킴으로써, 환부인 피부주변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아토피나 피지결함병의 치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즉, 이 제4발명으로서는, 환자에게 약제를 경구 투여하여 환부의 치료를 도모하기 때문은 아니고, 아토피나 피부결함병의 징후가 나타나는 피부와 항상 접하는 속옷이나 내의 등의 주변환경을 개선하고, 아토피성이나 피부결함병의 발진이나 거칠어짐, 가려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출원 제5발명에서는, 내(耐)세탁효과의 지속성을 가지며, 상기 본 출원 제4발명이 이루는 상기 작용을 장기에 걸쳐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출원 제6발명에서는, 상기 본 출원 제2발명에 따른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을 섬유 등 다른 것으로 정착시키는데에 내세탁효과의 지속성에 우수하고, 장기에 걸쳐 그 작용을 이룬다.
여기서, γ-리놀렌산이란, 6,9,12-옥타데카트리엔산이고, 다음의 논리식으로 나타낸다.
CH3(CH2)4CH=CHCH2CH=
CHCH2CH=CH(CH2)4COOH
또한, 그 분자식은, C8H30O2, 그 분자량은 278.43이고, 6,9,12위치에 시스이중결합을 가지는 탄소수18의 직쇄 트리엔 지방산이다.
γ-리놀렌산은, 달맞이꽃 종자 오일에 다량 함유되는 외에 다수의 식물에 존재하며, 또한 메틸 끝측의 불포화화된 6,9,12,15-옥타데카테트라엔산도 존재한다. 동물조직에도 미량검출된다. 주로 간소포체막의 효소계에 의해 리노로일-CoA로부터 γ-리노레노일-CoA가 만들어진다. 또한 쇄길이 연장에 의해 8.11.14-에이코사트리에노일-CoA로 되고 나서 5위치의 불포화화를 받아서 아라키돈산으로 된다.
α-리놀렌산은, 대두유, 유채 기름, 들기름에 함유되는 것이고, 다음 논리식으로 나타낸다.
CH3(CH2CH=CH)3(CH2)7COOH
여기서, 티트리오일이란, 메라루카 알터니포리아(Melaleuca alterniforia)를 증류하여 얻어지는 정유이다.
일반적으로, 티트리란 도금양과이고, 티트리오일이란 티트리를 증류하여 얻어지는 정유이다. 티트리는 그 학명을 상기 메라루카 알터니포리아(Melaleuca alterniforia)라 말하고, 오스트레일리아의 뉴사우스에루즈주의 북남부의 해안지대의 한정된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소목이다. 주로 그 잎으로부터, 치료효과가 있는 오일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티트리오일은, 메라루카 알터니포리아의 신선한 잎이나 작은 가지의 선단부분을 증기증류하여 얻어지는 방향성이 있는 담황색 정유이다. 메라루카속에는, 50종류 이상의 종이 있고, 현재 메라루카 알터니포리아의 잎으로부터 취한 오일만이, 연구대상으로 되어 있다.
티트리오일의 화학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티트리의 잎을 증류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티트리오일의 양은, 약 1.8%이다. 이 오일에는, 48종류 이상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만, 주로 함유되는 것은, 1-테르피넨-4-올, γ-테르피넨, p-시멘과 그외의 테르펜류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기준(AS-2782-1985)에서는, 메라루카 오일(테르피넨-4-올 타입)이라 말하는 명칭으로, 테르피넨-4-올을 30%이상 1,8-시네올을 15%이하 함유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티트리오일은 모노테르펜, 테르펜알콜 및 세스퀴테르펜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현재까지, 96종류의 성분이 함유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각 성분의 함유율은, 티트리가 채취되는 시기나 장소에 의해 매우 오차범위가 크고, 일정하지 않지만, 대체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 표 1에 나타내는 것은, 평균적인 티트리오일의 조성이다.
티트리오일의 조성
1,8-시네올 15%이하
α-테르피넨 5.0 - 13.0%
γ-테르피넨 10.0 - 28.0%
파라시멘 0.5 - 12.0%
테르피넨-4-올 30.0% 이상
α-테르피네올 1.5 - 8.0%
α-피넨 1.0 - 6.0%
테르피놀렌 1.5 - 5.0%
리모넨 0.5 - 4.0%
이 중에서, 가장 항균력이 높은 성분은, 테르피넨-4-올이다. 단, 파라시넨, α-테르피넨, γ-테르피넨 및 α-테르피네올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가지고 있다. 각각, 균의 종류에 따라 항균력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함유율35%이내의 범위에 있어서의 테르페넨-4-올의 증가는, 연농균(緣膿菌), 칸지다균, 황색 포도상구균, 흑 곰팡이균에 대한 항균력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α-테르피네올의 증가는, 대장균에 대한 항균력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티트리오일의 규격에서는, 1,8-시네올과 테르피넨-4-올의 양만이 규정되어 있다.
티트리오일은, 통상 외용의 살균제로서 외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이지만, 본 출원의 발명자는, 그 살균능력에 따라 가려움의 원인으로 되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에 착안하여,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 혹은 의복에 있어서, 티트리오일에 적어도 가려움멈춤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이란, 통상 티트리오일이 나는 메라루카 알터니포리아(Melaceuca alterniforia)와는 종류가 다른 렙토스페름 페테르소니(Leptospermum petersonii)라는 나무에서 나는 정유이다. 통상 티트리오일이 유카리오일과 같은 상쾌하고 청결한 느낌의 세련된 냄새가 있는 것에 반해서,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은, 레몬 향이 있고, 이 나무의 형상이, 티트리와 매우 비슷하므로, 「레몬 향이 있는 티트리오일」로서,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그 주성분은, 시트랄과 시트로넬랄이고, 이 2개의 정유분이 70%이상 함유되어 있고, 테르피넨-4-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통상 티트리오일과는 완전히 다른 조성을 하고 있다.
그 항균력은, 통상 티트리오일 보다 강하고, 주식회사 에어그린(오오사카후야오시 아토베혼마치 1쵸메 2반치 40고)의 시험결과에서는, 특히 대장균과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강하다는 결과가 나온다.
그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항균력을 강화할 목적과 향을 변화시키는 목적으로 통상 티트리오일에 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강하기 때문에, 메티실린(methicillin)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한 살균제로서 기능한다. 항생물질은, 세포의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세포를 죽인다. 즉, 항생물질은, 화학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내성균의 출현이 문제로 되고 있다. 그러나, 티트리오일 및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은, 그 오일이 가지는 물리적인 작용에 의해 살균하기 때문에, 내성균이 생기지 않는다. 그 작용은, 아직 충분히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오일의 막이 세균을 둘러쌈으로써, 호흡이 나오지 않게 되거나, 움직이지 않게 되거나 하는 것은 아닌가하고 생각되고 있다. 이 때문에, 내성균이 생기지 않는다. 이것이, 티트리오일 및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의 큰 특징이다.
특히,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예로부터 식품에 사용하는 향료로서 사용되고 있었지만, 그 항균력이 주목되도록 된 것은 1977년이고, 식림이 개시된 것은 이듬해 1988년부터이다. 통상 오일을 채취하는데는 최저 3년간 생육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이 상업생산되는 것은, 2000부터 된다.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의 결점은, 산화되기 쉽다는 점과 생산량이 적고 가격도 통상 티트리오일에 비해 아직 높은 점이다. 가격에 대해서는 생산량의 증가와 함께해소되지만, 산화되기 쉬운 점에서는, 티트리오일의 대부분이,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보다 유리하다.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이 산화되기 쉬운 것은, 주성분인 시트랄과 시트로넬랄이 알데히드기를 가지는 테르펜류이고, 알데히드기가 산화되기 쉽기 때문이다. 단, 주식회사 에어그린(오오사카후 야오시 아토베혼마치 1쵸메 2반치 40고)에 의해, 소량의 비타민E를 배합하는 것으로 이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해명되었다.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의 주성분은, 시트랄과 시트로넬랄이고, 이 2개의 정유분이 70%이상 함유되어 있고, 테르피넨-4-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통상 티트리오일과는 완전히 다른 조성을 하고 있다.
표 2에 일반적인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의 성분을 나타낸다.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의 성분표
성분명 함유량 경구독성 피부자극성 피부감작성
제라니알(시트랄a)(Geranial) 30.8% 없음 약한 자극성 있음
네랄(시트랄b)(Neral) 27.0% 없음 약한 자극성 있음
시트로넬랄(Citronellal) 20.0% 없음 약한 자극성 있음
시트로넬롤(Citronellol) 2.5% 없음 약한 자극성 없음
트란스이소시트랄(Trans-iso-citral) 2.4%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미르센(myrcense) 2.3% 없음 약한 자극성 없음
리날롤(linalool) 2.1% 없음 없음 없음
이소플레골(Iso-pulegol) 2.0%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시스이소시트랄(cis-iso-citral) 1.6%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레모멘(limonene) 0.5% 없음 약한 자극성 없음
α-피넨(α-pinen) 0.5% 약한 독성 없음 있음
메틸헵타논(Methyl heptanone) 0.2% 없음 약한 자극성 없음
테르피넨-4-올(terpinen-4-ol) 0.1% 독성 약한 자극성 없음
사비넨(sabinene) 0.1% 없음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테르피놀렌(Terpinolene) 0.1%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β-피넨(β-pinen) 0.1% 없음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α-튜젠(α-thujene) 미량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명확하지 않음
트란스-β-오시멘(Trans-β-ocimen) 미량 없음 없음 없음
(http://www.airgreen.co.jp/teatree/lemon.html 참조)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의복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아토피성 피부염 및 피지결합병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는 γ-리놀렌산과, 항균작용이 있는 티트리오일 또는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을 셀룰로스계의 섬유에 정착시켜 내세탁 지속성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가공된 섬유상품을 피부질환 및 아토피환자에 효용하는 것으로 증상의 개선을 한다. 또한, 상기 γ-리놀렌산을 대신하여 α-리놀렌산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여기서는, γ-리놀렌산을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 또는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을 환상 올리고당(포도당 성분)으로 포섭한다. 이 포섭물은, 구조 말단에 OH(수산기, 음이온)가 있다.
이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 또는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을 포섭한 환상 올리고당은, 셀룰로스섬유에 대하여, 공유결합, 혹은 이온결합, 또는 분자간인력으로, 고착할 수 있다.
여기서,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의 섬유(의복)로의 정착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제1정착방법)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을, 수산기, 아미노기 등과 공유결합하는 반응성을 가지는 환상 올리고당(포도당 구성)으로 포섭하여, 염소(C1)와 셀룰로스계 섬유의 OH에 반응결합시켜 내세탁 지속성을 부여한다.
(제2정착방법)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을 환상 올리고당(포도당 구성)으로 포섭하여, 아미노기계(양이온)의 유연제를 사용함으로써 이온결합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셀룰로스계 음이온기와 아미노기계 유연제 양이온기의 이온결합으로 내세탁 지속성을 부여한다.
(제3정착방법)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을 환상 올리고당(포도당 구성)으로 포섭하던지,또는 마이크로캅셀에 넣어 수지를 사용하여 섬유에 고착시켜서 내세탁 지속성을 부여한다.
또한, 티트리오일을 대신하여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을, γ-리놀렌산과 함께 의복에 정착하는 경우도, 상기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정착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 또는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은, 각각의 의복에 정착시키는 것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기 각 정착방법에 있어서, 기술한 바와 같이, γ-리놀렌산을 대신하여 α-리놀렌산을 사용하여도 동일하다.
상기 올리고당으로서, β-시클로덱스트린을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monochlorotriazininyl-β-cyclodextrin으로 알려지는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은, 수산기, 아미노기와 공유결합하는 반응성 CD유도체이다. 물에 대한 용해성 30%이상으로 높고, MCT치환도가 글루코스 1단위당 0.4개(DS=4)이다.
그 구조는, 하기와 같다.
면 등의 셀룰로스계 섬유와,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한 γ-리놀렌산, 티트리오일의 고착(흡착)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섭체(b)로서의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에, 피포섭물(a)로서의 γ-리놀렌산 또는 티트리오일이 포섭된다. 도면 중 C는 공유결합의 수(手)를 나타내고 있다. 이 C는, 상기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의, 산소원자의 공유결합 수(手), 및 O-Na+의 공유결합의 수(手)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약제(d)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복(k)(내의)인 셀룰로스계 섬유에 대하여 공유결합에 의해 흡착한다(도 12의 약제(d …d) 중, 일부는 γ-리놀렌산이 포섭된 것이고, 다른 일부는 티트리오일이 포섭된 것이다). 그리고, 이 의복(k)을 입은 사람의 피부(h)는, 피포섭물(a)인 γ-리놀렌산 또는 티트리오일을 조금씩 장기에 걸쳐서 방출한다. 방출된 γ-리놀렌산이나 티트리오일은 피부로부터 흡수된다.
이하, 상기 제1정착방법을 채용하여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의 쌍방이 정착된,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의복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은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의복의 제조방법의 일예이다(도 1은 이 방법의 블록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의 저온가열공정 및 고온가열공정에 사용하는 가열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의복에 대하여, 그 제조방법은, 봉제후의 의류 등 봉제품에,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이하 조성물이라 부른다)을 침투시켜 부착시킨 후, 탈수하고, 행거에 매다는 등 공중에 배위한 상태로, 온풍가열함으로써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하, 이 제조방법의 각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이 조성물 정착방법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제후의 의복에 대하여, 조성물 부여공정(1)과 저온가열공정(2)과 고온가열공정(3)과 마무리공정(4)에 의한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는 것이다.
조성물 부여공정(1)은, 일차침지(100)와, 이 일차침지(100) 후에 행해지는 일차짜내기(110)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일차침지(100)는, 상기 의복을 조성물(액체)이 들어간 침지조(도시하지 않음)에 투입하고, 조성물을 이 의복에 침투시키는 처리이다.
일차짜내기(110)란, 일차침지(100)후, 상기 침지조로부터 꺼낸 의복을, 교축기로 짜내는 등, 탈액(脫液)하는 처리이다.
이 교축기는, 가정용 주지의 세탁기의 탈수장치와 동일한 구조의 장치, 즉 의복을 수용하는 조와 이 조를 회전시켜서 물빼기를 행하는 구조를 갖는 기구를 구비한 장치(도시하지 않음)이다. 일차짜내기(110)는, 이와 같은 교축기에서, 의복에 침투한 여분의 조성물을 짜내는 작업이다.
일차짜내기(110)에 의해, 조성물이 침투한 의복으로부터, 여분의 조성물이 제거된다. 또 일차짜내기(110)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의복을 강하게 짜냄으로써, 조성물의 섬유로의 정착이 촉진된다.
이상, 여기서는, 상기 일차짜내기(110)라는 짜내기공정에 의해 탈액되는 것이다.
상기 제균(制菌)·항균제 부여공정(1)의 일차침지(100)에 있어서 사용하는 조성물의 용액에는, γ-리놀렌산(또는 α-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을, 수산기, 아미노기 등과 공유결합하는 반응성을 가지는 환상 올리고당(포도당 구성)으로 포섭한 것을 함유한 것을 사용한다.
저온가열공정(2)과 고온가열공정(3)은, 각각, 상기 조성물 부여공정(1)을 지난 후의 의복에 대하여, 행해지는 가열처리공정이다.
도 2는, 저온가열공정(2) 및 고온가열공정(3)을 행하는 것에 사용되는 가열장치(20)를 나타내고 있다.
가열장치(20)는, 도 2의 (A) 및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온가열공정(2)을 행하는 저온가열기(21)와, 고온가열공정(3)을 행하는 고온가열기(31)와, 저온가열기(21) 및 고온가열기(31)내에 설치된 반송장치(30)를 구비한다.
저온가열기(21)는, 내부가 의복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는 저온가열실(22)과, 저온가열실(22)과 별체에 형성된 증기히터(23)와, 증기히터(23)와 저온가열실(22)의 상부와의 사이에 끼워져 양자를 접속하는 도입관(24)(도 2의 (A), (B), (C))과, 마찬가지로 증기히터(23)와 저온가열실(22) 하부측면의 사이에 끼워져 양자를 접속하는 배출관(25)(도 2의 (C))을 갖는다.
저온가열실(22)은, 약 12.4미터의 전후폭 L1을 가지며, 약 2.5미터의 높이를 갖는 하우징이다.
증기히터(23)는, 증기의 이용에 따라 1시간당 약 3만킬로칼로리의 열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열풍을 도입관(24)에서, 저온가열실(22)내에 보내는 것이다. 도입관(24)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온가열실(22)측에서, 복수의 가지관(24a …24a)으로 갈라진다. 이 가지관(24a …24a)이 각각 저온가열실(22)의 상부에 접속되고, 상기 열풍은 가지관(24a …24a)에 의해 저온가열실(22)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저온가열실(22)내에 도입된 열풍은, 배출관(25)에서 증기히터(23)로 향해서 저온가열실(22)로부터 배출된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온가열실(22)의 앞면에는, 의복을 저온가열실(22)내에 도입하기 위한 입구(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구(22a)의 상부에는, 에어노즐(22b)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노즐(22b)은, 하방으로 향해 공기를 분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입구(22a)를 닫는 것이다. 이 에어커튼에 의해, 저온가열실(22)내부는, 외기(外氣)로부터 차단된다.
고온가열실(31)은, 저온가열기(21)의 저온가열실(22)의 후부에 연장하여 설치되고 또한 내부가 의복의 이송통로를 형성하는 고온가열실(32)과, 고온가열실(32)과 별체에 형성된 에어히터(33)와, 에어히터(33)와 고온가열실(32) 상부의 사이에 끼워서 양자를 접속하는 도입관(34)과, 마찬가지로 에어히터(33)와 고온가열실(32) 하부측면의 사이에 끼워져 양자를 접속하는 배출관(35)(도 2의 (C))을 갖는다.
고온가열실(32)은, 저온가열실(22)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약 6.2미터의 전후폭(L2)을 갖는다. 고온가열실(32)의 높이는, 저온가열실(22)과 동일하다.
에어히터(33)는, 등유를 연료로서 이용함으로써 200℃의 열풍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생한 열풍을 도입관(34)에서, 고온가열실(32)내로 보내는 것이다. 도입관(34)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가열실(32)측에서, 복수의 가지관(34a …34a)으로 갈라진다. 이 가지관(34a …34a)이 각각 고온가열실(32)의 상부에 접속되고, 상기 열풍은 가지관(34a …34a)에 의해 고온가열실(32)내에 도입된다.
또한, 고온가열실(32)내에 도입된 열풍은, 배출관(35)에서 에어히터(33)로 향하여 고온가열실(32)로부터 배출된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가열실(32)의 후면에는, 의복을 고온가열실(32) 밖으로 반출하기 위한 출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출구(32a)의 상부에는, 에어노즐(32b)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노즐(32b)은, 하방으로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출구(32a)를 닫는 것이다. 이 에어커튼에 의해서, 고온가열실(32)내부는 외기로부터 차단된다.
다음으로, 반송장치(30)는, 복수의 행거를 매다는 것이 가능한 반송체인(30a)과, 반송체인(30a)을 순환시키는 지지구동부(30b)를 구비하는 것이다.
지지구동부(30b)는, 반송체인(30a)을 지지하고, 반송체인(30a)을 순환시킨다. 반송체인(30a)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온가열실(22)의 입구(22a)로부터 저온가열실(22)내로 들어가고 고온가열실(32)내를 경유하여, 고온가열실(32)의 출구(32a)로부터 외부로 나오고, 양쪽 하우징(22,32)의 상방을 통해서 재차 저온가열실(22)의 입구(22a)에 도달한다. 반송체인(30a)은, 이와 같은 경로를 순환한다.
이 반송체인(30)을 대신하여, 반송용 봉형상 스크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반송용 봉형상 스크류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행거를 건 상태에서 나사의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거가 전방으로 보내지는 것이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거가 후퇴하는 것이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의 각 반송체인에 관해서도, 반송용 봉형상 스크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양자를 조합시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성물 부여공정(1)을 지난 후의 의복은, 순차 행거에 걸려지고, 가열장치(20)의 저온가열실(22)의 입구(22a)의 바로앞에서, 반송체인(30)에 매달려진다.
이와 같이 하여, 행거에 걸려지고 반송체인(30a)에 매달려진 의복은, 진행방향X를 따라서, 저온가열실(22) 및 고온가열실(32)의 내부를 진행한다. 의복을 매다는 것에 이용되는 행거는, 가열온도에 견디는 것을 조건으로 적당히 그 재질을 선택할 수 있지만, 예컨대, 스테인레스제의 것이 적당하다. 또, 그 형태는, 가정이나 세탁소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온가열공정(2)은, 행거에 걸려진 의복을, 반송체인(30a)에 의해, 상기 저온가열실(22)내에서 진행시키는 것이므로, 가열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저온가열실(22)의 내부는, 기술한 증기히터(23)로부터의 열풍에 의해, 섭씨 약 70도 내지 80도의 온도(저온가열실(22)내의 온도)에서, 상기 의복을 저온가열시킨다. 행거에 걸려진 의복은, 상기 온도에 지지된 저온가열실(22)내를 약 10분 전후로 걸려서 이동한 후, 고온가열실(32)내로 이행한다. 상기 가열온도와 시간은,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의복의 질 등의 변경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다.
고온가열실(3)은, 저온가열실(22)로부터 이행하여 온 상기 의복을, 반송체인(30a)에 의해, 또한 고온가열실(32)내에서 진행시키는 것에서, 열풍가열시켜서 가열건조시키는 공정이다.
고온가열실(32)의 내부에서는, 기술한 에어히터(33)로부터의 열풍에 의해, 통상 섭씨 약 120도 내지 180도 정도의 온도(고온가열실(32)내의 온도)에서, 약 2분 내지 8분 걸려서 온풍가열에 의해 상기 의복을 건조시킨다. 즉, 행거에 걸려진 의복은, 상기 온도로 유지된 고온가열실(32)내를 약 2분 내지 8분 전후 걸려서 이동한 후, 출구(32a)로부터 외부로 반출된다. 이 경우도 가열온도와 시간은, 처리의대상으로 되는 의복의 질 등의 변경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이, 의복의 소재, 품질에 따라 다르지만, 특히 의복의 섬유에 대한 조성물의 정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고온가열공정(3)에 있어서, 섭씨 약 120도 내지 180도에서 약 2분 내지 8분의 온풍가열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쪽 건조공정(2,3)에 있어서, 의복은, 행거에 매달린 상태로 가열장치(20) 중을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표면전체를 얼룩없이 열풍에 쐴 수 있고, 또, 이 한쪽에서 여분의 조성물의 용액을 치우치지 않게, 하방으로 적하할 수 있다. 따라서, 의복은 조성물이 치우치지 않게 건조된다. 또, 의복표면이 다른 것과 접촉하여 조성물의 액이 치우친다는 것이 없으므로, 의복에 대해 얼룩없이 조성물이 정착한다.
마무리공정(4)은, 주름잡기(400)와, 주름잡기(400) 후에 행해지는 포장처리(410)로 구성된다.
상기 주름잡기(400)는, 상기 저온가열공정(2) 및 고온가열공정(3)을 지난 의복을, 반송체인(30a)으로부터 분리하여, 증기다리미로 주름을 펴는 처리이다.
포장처리(410)는, 의복을 접어서 주머니에 수용하고 혹은 재차 행거에 거는 공정이다.
이 마무리공정(4)을 종료하는 것으로, 전체공정을 종료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특히, 저온가열공정(2)에서 저온가열을 행한 후, 고온가열공정(3)을 행함으로써, 조성물의 정착율을 현저하게 향상하였다.
또, 상기와 아울러 고온가열공정(3) 중, 의복을 행거에 매달아서 건조시킴으로써, 처리후의 의복에 관해서, 얼룩없이 상기 정착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상기 방법에서는, 조성물의 의복에 대한 부여는, 조성물로 직접 의복을 담가서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외, 의복에 분사하는 것이어도 실시가능하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침지한 후 짜낸다는 수단을 채용하는 쪽이, 상기 분사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보다, 정착율이 현저하게 좋다. 따라서, 이 점에 있어서, 침지한 후 짜낸다는 상기 방법의 쪽이 바람직하다.
또 의복에 부여하는 약제는, 쌍 아토피의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다른 제균ㆍ항균성, 또는 도발수성, 방충효과, 방염효과, 방향성, 대전방지효과, 형태안정 등의 각종효과를 거두는 약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성물 부여공정(1)의 일차 짜내기(110)에 관해서, 기술한 장치를 대신하여,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롤러 사이로 의복을 통함으로써, 짜내기을 행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실시가능하다(도시하지 않함).
또한, 의복을 처리의 대상물로서 설명하여 왔지만, 행거에 매다는 것이 가능한 봉제품이면 의복 이외의 것에 관해서도 실시가능하다. 예컨대, 타올, 시트나 그외의 침구, 손수건, 스카프, 카시트, 베개커버, 테이블용 천, 부엌용 천, 그 외, 천제품 구두, 천제품 가방, 흰옷, 수술복, 간호복, 슈라프(schlap), 카파(소매없는 비옷) 등의 우비, 타올 등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열장치(20)의 다른 형태에 관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의(A)의 가열장치(20)의 저온가열(21)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그 고온가열기(31)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가열장치(20)는, 저온가열기(21)와, 고온가열기(31)가,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다르고, 별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온가열기(21)의 가열실(22)은, 후부를 구비하고, 그 후부에 출구(22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출구(22c)의 상부에는, 하우징(22)내를 에어커튼으로 외기와 차단하는 에어노즐(22d)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저온가열기(21)는, 도 2의 것과 동일한 반송장치(30)를 구비한다. 즉, 반송장치(30)는, 복수의 행거를 매다는 것이 가능한 반송체인(30a)과, 반송체인(30a)을 순환시키는 지지구동부(30b)를 구비한다. 지지구동부(30b)는, 반송체인(30a)을 지지하고, 반송체인(30a)을 순환시킨다. 반송장치(30)의 반송체인(30a)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열실(22)의 입구(22a)로부터 가열실(22)내로 들어가고, 상기 출구(22c)로부터 외부로 나오고, 가열실(22)의 상방을 통과하여 재차 가열실(22)의 입구(22a)에 도달한다. 반송체인(30a)은, 이와 같은 경로를 순환한다.
이 저온가열기(21)는 상기와 같이 고온가열기(31)와 별체에 형성되고, 저온가열기(21)의 가열실(22)이 후부를 가지며, 이 후부에 출구(22c)와 에어노즐(22d)이 설치되고, 반송체인(30a)이 저온가열기(21)의 가열실(22)만을 순환한다고 하는 점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저온가열기(21)와 다르다. 그러나, 이것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 도 3의 (A)에 나타내는 저온가열기(21)는 도 2에 나타내는 저온가열장치(21)와 동일하다.
도 3의 (B)에, 상기 저온가열기(21)와 별체에 형성된 고온가열기(31)를 나타낸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가열기(31)의 가열실(32)은, 전부(前部)를 가지며, 이 전부에 입구(32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입구(32c)의 상부에는 하우징(32)내를 에어커튼으로 외기와 차단하는 에어노즐(32d)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온도가열기(31)는, 상기 저온가열기(21)가 구비하는 반송장치(30)와 별개의 반송장치(36)를 구비한다. 이 반송장치(36)는, 저온가열기(21)가 구비하는 반송장치(30)와 동일하며, 복수의 행거를 매어다는 것이 가능한 반송체인(36a)와, 반송체인(36a)을 순환시키는 지지구동부(36b)를 구비한다. 지지구동부(36b)는 반송체인(36a)를 유지하고, 반송체인(36a)를 순환시킨다. 반송장치(36)의 반송체인(36a)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열실(32)의 입구(32c)로부터 가열실(32)내로 들어가고, 상기 출구(32a)로부터 외부로 나가고, 가열실(32)의 상방을 통과하여 재차 가열실(32)의 입구(32c)에 도달한다. 반송체인(36a)은 이와 같은 결로를 순환한다.
이 온도가열기(31)는 상기와 같이 저온가열기(21)와 별체에 형성되고, 고온가열기(31)의 가열실(32)이 전부를 가지며, 이 전부에 입구(32c)와 에어노즐(32d)가 설치되고, 반송장치(36)를 별도 구비하고, 이 반송장치(36)의 반송체인(36a)이 고온가열기(21)의 가열실(32)만을 순환한다고 하는 점에서, 도 2에 나타내는 고온가열기(31)와 다르다. 그러나, 이것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 도 3의 (A)에 나타내는 고온가열기(31)는 도 2에 나타내는 고온가열장치(31)와 동일하다.
저온가열기(21)를 나온 의복의 행거는 일단 반송체인(30a)으로부터 분리되고, 고온가열기(31)로 운반된 후, 그 반송체인(36a)에 메달린다.
이와 같이 저온가열기(21)와 고온가열기(32)가 각각 형성된 가열장치(20)를 채용함으로써, 적은 공간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나는 가열장치(20)의 경우, 저온가열기(21)와 고온가열기(31)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의 길이폭 L1, L2를 합계한 약 18.6미터 이상의 직선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가열장치(20)의 경우, 각각의 장소에, 저온가열기(21)와 고온가열기(32)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직선적인 공간으로서 상기와 같은 18미터 이상의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된다.
단, 도 2에 나타나는 가열장치(20)를 사용하는 쪽이, 저온가열기(21)로 저온가열공정(2)이 끝난 후에, 행거를 반송장치(3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다음 고온가열기(31)에서의 고온가열공정(3)으로 이행할 수 있고, 행거를 걸어 바로잡는 수고가 들지 않는다. 또, 저온가열기(21)와 고온가열기(31)를 별체로 하는 한편, 반송장치를 이들 장치(21, 31)에 연속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도 4를 사용하여, 본 출원 발명에 있어서, 의복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이 처리방법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이 의복의 제조방법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제후의 의복에 대하여, 조성물 부여공정(1)과 고온가열공정(3)과 마무리공정(4)에 의한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는 것이다.
이 조성물 부여공정(1)은 일차침지(100)와, 이 일차침지(100) 후에 수행되는 일차짜내기(110)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의 일차침지(100)는 도 1에 나타낸 방법과 동일하고, 의복을 조성물이 들어가 침지조(도시하지 않음)에 투입하고, 조성물의 용액을 이 의복에 침투시키는 처리이다. 또, 일차짜내기(110)도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일차침지(100)후, 상기의 침지조로부터 꺼낸 의복을 교축기로 짜내기처리를 한다. 교축기도, 도 1에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일차짜내기(11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조성물의 용액이 침투한 의복으로부터, 여분의 조성물의 용액이 제거되고, 조성물의 섬유로의 정착이 촉진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일차짜내기(110)가 완료했을 때, 의복의 중량이 조성물 부여공정(1)전의 약 2배가 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에 있어서, 조성물 부여공정(1)후는 저온가열공정(2)을 거치지 않고, 직접 고온가열공정(3)으로 이행한다. 고온가열공정(3)과 그 후에 수행되는 마무리공정(4)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한 내용의 처리공정이다. 이 고온가열공정(3)은 도 3의 (B)의 장치로 실시하는 것이 적당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은 조성물 부여공정(1)이 일차침지(100)와 일차짜내기(110)만으로 완료하는 것, 및 고온가열공정(3)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 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방법과 동일하다.
또, 도 4로 나타내는 방법과 같이, 저온가열공정(2)은 수행되지 않게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에 나타나는 방법과 같이, 저온가열공정(2)을 거지는 것에 의하여, 고온가열공정(3)의 처리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건조를 위해 발생시키는 열에너지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고온가열공정(3) 종료 까지의 전체의 시간단축의 점에서는 저온가열공정(2)을 거치지 않고, 고온가열공정(3)만을 수행하는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의 쪽의 유리하다.
의복의 소재, 품질에 따라 다르지만, 이와 같은 저온가열공정(2)을 생략한 경우라도, 고온가열공정(3)에서, 섭씨 약120도 내지 180도에서 약 2 내지 8분의 온풍가열을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음으로, 각 반송장치에서 사용되는 행거(5)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예의 행거(5)는, 의복의 착탈시 팔목을 접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의복의 신속한 착탈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 행거(5)는 각 가열장치의 가열온도에 견디는 것을 조건으로 적당소재로 제한할 수 있지만, 이 예에서는 스테인레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 행거(5)는 훅(51)을 구비한 중앙부(52)와 이 중앙부(52)로부터 좌우에 연장되는 좌우의 아암부(53, 53)를 구비한다. 이 훅(51)은 반송체인(30, 36)에 걸려서 반송할 수 있도록 만곡한 것이지만, 반송체인(30, 36a)등의 반송수단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면, 그 구체적 형상은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좌우의 아암부(53, 53)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부(52)는 훅(51)의 기단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의 손잡이부(54, 54)로 구성되고, 이 좌우의 손잡이부(54, 54)가 아암부(53, 53)의 기단 근처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좌우의 아암부(53, 53)는 그 기단이 접속부재(55)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좌우의 손잡이부(54, 54)와 좌우의 아암부(53, 53)와 접속부재(55)에 의하여, 링크가 구성되어 있다. 즉,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손잡이부(54, 54)를 잡고, 교대로 접근시킴으로써, 좌우의 아암부(53, 53)가 닫힌다. 그리고, 이 좌우의 손잡이부(54, 54)사이에는 상시 손잡이부(54, 54)끼리를 이반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와이어스프링(56) 등의 탄성체가 배위되고, 이것에 의하여, 좌우의 아암부(53, 53)를 열리게 한다.
또한, 이 아암부(53)가 열린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접속부재(55)에는 도 6의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접속부재(55)에는 접속축(57, 57)이 설치되고, 아암부(53, 53)와 접속되어 있지만, 이 접속은 아암부(53, 53)가 열린 상태에서는 회전불능하고, 아암부(53, 53)이 닫힌 상태에서는 회전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암부(53, 53)에는 회전축(57, 57)이 통과되는 회전통 구멍(58)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회전통 구멍(58)은 회전불능부(58a)와 회전가능부(58b)의 2개의 부분이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회전불능부(58a)는 접속축(57)과 걸어맞추어 접속축(57)에 대하여 회전불능으로 하는 것이고, 회전가능부(58b)는, 접속축(57)과 걸어맞추지 않고 접속축(57)에 대하여 회전가능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접속축(57)을 단면 직사각형으로 하고, 회전불능부(58a)를 동일하게 직사각형으로 함으로써 회전불능으로 하는 것이고, 회전가능부(58b)는 접속축(57)보다 큰 원형으로 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이것 이외에도, 접속축(57)을 노치가 있는 단면 원형으로 하여, 이 노치에 걸어맞추는 돌기를 회전불능부(58a)에 형성하여 회전불능으로 하고, 회전가능부(58b)에는 이 돌기를 형성하지 않는 것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회전불능부(58a)를 회전가능부(58b) 보다 선단측에 설치함으로써, 아암부(53, 53)가 단힌 상태에서는, 회전불능부(58a)에 접속축(57)이 위치하여 회전불능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의 손잡이부(54, 54)를 잡고, 서로 접근시키면, 좌우의 아암부(53, 53)도 서로 접근하여, 접속축(57)이 회전불능부(58a)로부터 회전가능부(58b)로 이행하고, 회전가능상태로 된다. 또한, 손잡이부(54, 54)를 잡고 접근시킴으로써, 아암부(53)가 회전하여 단힌다. 개방상태로 복귀하는데는, 잡은 손을 놓음으로써, 와이어스프링(56) 등의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원래 상태로 자연적으로 복귀하여, 회전불능상태에서 아암부(53, 53)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의복의 장착에 있어서는, 좌우의 아암부(53, 53)를 닫고 의복 중에 넣은 후, 손잡이부(54, 54)로부터 손을 놓고 좌우의 아암부(53, 53)를 여는 것에 의해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그 역을 행하면 좋다. 단, 행거(5)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폐식의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폐하지 않는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출원 발명의 방법은, 천제품의 테이프에 이름 자수를 복수 실시한 방직 이름용 테이프 등의 장척(長尺)형상 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방직이름은, 단폭의 방직천제품의 테이프에, 이름 자수를 다수, 단속적으로 실시하고, 이것을 하나의 이름마다 떼어내어 사용된다. 그 때문에, 테이프와 실을 각각 제균·항균가공하면, 가공공정 및 가공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름 자수를 복수 실시한 방직 이름용 테이프의 상태로 가공함으로써, 능률적인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이 가공방법의 전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방직천에 자수를 실시한 방직 이름용 테이프 등의 장척형상 체(t)를, 권심(m)으로 감아 두고, 이를 조출하여 연속적으로 조성물 부여공정(1)과 저온 가열공정(2)과 고온 가열공정(3)의 각 공정을 행한 후, 권심(n)으로 감는 것이다.
조성물 부여공정(1)은, 일차침지(100)와, 이 일차침지(100) 후에 행해지는 일차짜내기(110)와, 일차짜내기(110) 후에 행해지는 이차침지(120)와, 이차침지(120) 후에 행해지는 이차짜내기(130)로 구성된다. 일차침지(100)와 이차침지(120)는, 일차, 이차의 각 침지조(101,121)에 채워진 조성물의 액중에, 장척형상 체(t)를 침지하는 것이다. 침지방법으로서는, 가이드 롤러(102,122)에서 장척형상 체(t)로 조성물의 액 중에 장척형상 체(t)를 안내하면 좋다. 이 경우도, 조성물은 다른 예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일차짜내기(l10)과 이차짜내기(130)는, 잉여의 조성물의 액을 교축기로 짜내어 탈액하는 처리이며, 이 예에서는, 일차, 이차의 각 침지조(101,121)의 출구부근에, 일차, 이차의 각 짜내기용 롤러(1l1,131)를 배위하고, 압접 상태의 각 짜내기용 롤러(1l1,131) 사이에 장척형상 체(t)를 통과시켜 탈액 하는 것이다.
한편, 이차침지 및 이차짜내기는 생략해서 실시할 수 있다(상술의 도 1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 조성물 부여공정(1) 중에, 상기의 이차침지(120)와 이차짜내기(130)의 공정을 부가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단, 도 1의 경우, 특히 이러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풀어낸 장척형상 체를 연속식에 처리하지 않고, 먼저의 예와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풀어낸 장척형상 체를 한번에 침지 하고, 원심탈수기를 사용해서 탈액 하여도 좋다.
또한, γ-리노렌산(α-리노렌산)과 티트리오일의 섬유(의복)로의 정착방법은, 상기를 대신하여, 상술한 제2 또는 제3의 정착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게다가, 어느 방법을 채용한 경우도, 티트리오일을 대신하여 레몬센트 티트리오일을 채용할 수 있다.
γ-리노렌산과 티트리오일의 약제배합 비율로서 바람직한 예를 제시하면, 배합약제(조성물) 100g 중, 티트리오일의 함유량은 0.2g, γ-리노렌산의 함유량은 0.066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리노렌산의 배합에 보라지유를 사용할 경우, 보라지유 0.3g 중 γ-리노렌산은 0.066g 포함되므로, 상기 배합 약제 100g 중에 보라지유를 0.3g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통상, 상기 약제(조성물)의 양은 약제를 정착시키는 섬유(의복)의 양과 1: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100g의 아동용 T셔츠에 사용하는 약제는 100g이다. 따라서, 150g의 T셔츠에 사용해야할 약제는 150g이며, 거기에 함유하는 티트리오일은 0.3g으로 되고, γ-리노렌산은 0.099g으로 된다.
γ-리노렌산과 티트리오일의 약제배합 비율은, 약제(조성물) 중, 상기의 3분의 1에서도 효과는 인정된다. 따라서, 가격의 면으로부터, 상기보다도 γ-리노렌산과 티트리오일의 배합 비율을 저감시켜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확실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γ-리노렌산과 티트리오일의 배합 비율을 상기한 것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고령자의 피지결핍병에 대해서는, 상기의 배합 비율을 확보하는 것이 적절하다.
γ-리노렌산함유 가공천(면100%, 미세탁에서 γ-리노렌산 1.06mg 함유)을 사용하여, 건강한 성인 13명에게 일괄테스트 및 광 일괄테스트를 시행하고, 접촉 피부염을 발병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천으로 소아용 「피부 알레르기 억제 내의」를 작성하였다.
2000년 1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와카야마현(和歌山縣)립 의과대학 피부과외래 진료를 받은 3세부터 7세까지의 경증, 또는 중등증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피부 알레르기 억제 내의」를 입어 보게 하여 그 결과에 대해서 검사하였다.
본 치료는, 와카야마현(和歌山縣)립 의과대학 윤리위원회에서 승인을 얻었다.
우선, 초진시, 의사의 진찰을 받고, 입어 보기에 적합한 병증세(중증도 판정)인 것을 확인하고, 보호자에게 목적, 방법을 구두로 설명한 후, 문서로 동의서를 취득했다. 입어 본 후 1주째, 2주째, 4주째에 병원에 오게 하여, 담당의가 피진의 변화를 관찰하고, 보호자 앙케이트에 의해, 피진, 소양, 피부의 건조 정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병증세에 의해 진찰을 받을 시에 경표피 수분율 증산양, 각질 수분량,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고, 환자배경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3의 병용약의 성분에 대해서, 표 4에 나타낸다. 표 5는 의사의 진찰에 의한 시착 4주째 후의 피진의 변화이다(괄호내는 전체 환자수로부터 경과를 통해서 피진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환자수(「없음」)의 수를 뺀 수에서 대한 비율이다).
도 9의 (A)는 피진에 관한 앙케이트 결과(그래프 g1)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의 (B)는 소양에 관한 앙케이트 결과(그래프 g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0은 건조에 대한 앙케이트 결과(그래프 g3)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그래프 g1, g2, g3에 있어서, 암색부분은 「양호」를 나타낸고, 반점부분은 「조금 양호」를 나타내며, 사선부분은 「변화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환자배경
항목 내역 병증상 수
성별 남여 1110
나이 2세3세4세5세6세7세 314841
중증도 경증중등증중양 10110
건조피부의 정도 없음경도중등증중도 05160
합병증 없음있음 138
병용약 없음있음 120
병용약의 성분(합계 100%)
스테로이드 단독 5%
없음 9%
프로토픽 연고 9%
보습약 단독 27%
스테로이드 + 보습약 45%
명확하지 않음 5%
피진의 개선도
개선 불변 악화 알수없음
홍진 10(66.7%) 5(33.3%) 0(0%) 6
긁은 흔적 12(63.2%) 7(36.8%) 0(0%) 2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60% 가까운 환자로 피진(붉은 반점, 긁어 판 상처)의 개선을 확인한다. 도 9의 (A), (B) 및 도 10에 의한 보호자 앙케이트에서 피진, 소양에 대해서는 2주간 입어보기를 계속한 시점에서 70% 이상이 「조금 양호」 「양호」로 개선이 확인된다. 또한, 피부의 건조에 대해서는, 피진,소양의 개선율 보다는 뒤지지만, 약 60% 가까이가 「조금 양호」 「양호」로 되어 있다.
보호자의 감촉도 거의 양호하여, 「야간에 가려움으로 눈을 뜨는 회수가 줄었다」, 「긁지 않게 되었다」, 「피부가 촉촉해졌다」등의 의견이 접수되었다. 그러나, 피진이나 소양의 정도가 강한 환자는 개선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
본 출원 발명에 따른 의복에 대해서, 건조 피부만이나, 피진이 있어도, 매우 경도한 환자에 대하여는 유효하다고 고려되었다. 경표수분 증산양, 각질 수분량, 피지량에 대해서는 데이터수가 적기 때문에 가정세탁으로 20회를 넘으면 잔류량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JIS L 1902 정량시험(통일 시험방법)에 의해, 황색 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에 대해서, 항균성시험을 행하였다(시험자 재단법인 일본 방적검사협회 긴키 사업소 / 오사카시 츄오구 우에마치 1-18-15호).
그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에서, 시험을 행한 약제에 대해서는, 약제 10Og당 γ-리노렌산을 0.066g, 티트리오일을 0.044g 배합하고 있다.
식 균 수 [A] 2.4 ×104 logA 4.4
무가공천균수[B] 1.4 ×107 logB 7.1
(무가공천에는 표준면포를 사용)
1ogB-1ogA가 1.5이상의 값을 나타내면 시험은 유효하다.
여기에서는,
logB-logA=2.7(>1.5)이 되고, 시험은 유효하다.
또한, 균수logC에 대하여, 살균 활성값은, 1ogA-1ogC로 표시되고, 정균 활성값은, logB-logC로 표시된다.
표 7에, 상기의 식균수 A 및 무가공 천균수B의 면100% 아동내의(의복)를 60회 세탁한 것에 대해서 상기 균수, 살균 활성값 및 정균 활성값을 나타낸다.
시료 균수 logC 살균 활성값 정균 활성값
면100% 아동내의 1.3 3.1 5.8
(AB 60회 세탁)
또한, 항균방취가공은, 정균 활성값이 2.2이상으로 합격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시험결과는 5.8로서, 크게 이 값을 웃돌고,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은, 환상 올리고당으로 포섭되는 것에서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한쪽이 세탁에 의해 감소하는 것이면, 다른 쪽도 마찬가지로 감소하고 있다고 고려된다. 따라서, 제균작용을 가지는 티트리오일의 존재 상황을, 상기 균수, 살균 활성값 및 정균 활성값을 조정하는 것으로 알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결과로부터, γ-리놀렌산의 존재 상황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γ-리놀렌산과 티트리오일의 쌍방에 대해서, 양호한 의복으로의 정착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에 포섭된 티트리오일을 공유결합하여 정착시킨 가공천의 세탁지속회수의 시험데이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이 100회 행해진 상기 가공천인 면100%내의에 대해서,JIS L 0217 103 정량시험(통일 시험방법/JAFET 법)에 의해,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에 대해서, 항균성시험을 행하였다(시험자 재단법인 일본 방적검사협회 긴키 사업소 / 오오사카시 츄오구 우에마치 1-18-15호). 본 시험에 있어서, 세제에는 비누거품 ·베이비분비누를 사용하였다.
그 시험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식 균 수 [A] 1.8 ×104 logA 4.3
무가공천 균수[B] 1.3 ×107 logB 7.1
(무가공천은 표준면포를 사용)
1ogB-1ogA가 1.5이상의 값을 나타내면 시험은 유효하다.
여기에서는, logB-logA=2.8(>1.5)이 되어, 시험은 유효하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균수 logC에 대하여, 살균 활성값은, 1ogA-1ogC로 표시되고, 정균 활성값은, logB-logC로 표시된다.
이 시험에서 사용한 시료는, 하기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시료 균수 logC 살균 활성값 정균 활성값
면100%내의 세탁100회 1.3 3.0 5.8
또한, 항균방취가공은, 정균 활성값이 2.2이상으로 합격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시험결과는 5.8로서, 크게 이 값을 웃돌고,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수의 세탁에 의해서도 가공천의 항균성이 높다는 것은,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과 티트리오일의 가공천에 대한 정착의 양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한 γ-리놀렌산을 공유결합하여 정착시킨, γ-리놀렌산 가공천의 내세탁 시험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다(시험자 / 주식회사 요코하마 국제 바이오연구소 연구개발부 개발과/ 요코하마시 츠르미쿠 다이코쿠쵸 13-46).
이 시험은, 1g 당 지방산 1.62mg함유의 가공천B와, 1g당 지방산 8.00mg함유의 가공천G에 대하여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비교대상으로 되는 가공천B는, 보라지오일 가공천이며, 이 시험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는 가공천G는,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한 γ-리놀렌산을 공유결합하여 정착시킨 것이다.
가공천B 및 가공천G 각각에 대해서, 세탁을 20회, 30회 행한 것을 샘플로 하였다. 그리고, 이 샘플 중의 지방산 함유를 측정하여, 내세탁성에 대해서 가공천B 및 가공천G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 표 중 및 이하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가공천B로부터 유출한 것(보라지유)을 「B오일」로 나타내고, 가공천G로부터 유출한 것을 「G오일」로 나타낸다.
그 방법으로서는, 상기 가공천 각각에 대하여, 촘촘하게 재단하고, 내부 표준물질의 베헨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유출조작을 행하였다. 디에틸에테르상을 농축후, 겔화·메틸에스테르화 조작을 행하고, GC(가스크로마토그래피)분석하였다. 가공천 1g당 오일함량을 목적성분의 γ-리놀렌산을 지표로 하여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천으로부터의 보라지오일 등의 유출을 다음 순서로 행하였다.
각 천 샘플5g을 촘촘하게 재단 후, 모두 마개가 부착된 100ml 삼각플라스크에 넣었다. 내부 표준물질로서, 베헨산 5mg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 70ml를 첨가하여 약15시간 흔들어서 유출하였다. 그후, 디에틸에테르상을 회수하여 농축 후, 상법에 따라 겔화·메틸에테르화 조작을 행하고, GC분석용 시료를 조제하였다. 상기 메틸화에 대해서는, 나사덮개부착 시험관에 유출·농축물을 수용하고, 이것에 1N의 KOH-MeOH용액 6ml, BF3-MeOH용액 7ml, 또한 톨루엔 2ml를 첨가하고, 비등욕 중에 5분간 이 시험관을 담궜다.
그후 시험관을 냉각하여, NaCl포화수용액 35ml, 에테르 5ml를 첨가하여, 흔들어서 유출하여, 에테르상과 수상(水相)으로 분리시키고, 에테르상에 무수Na2SO4를 첨가하여 GC분석을 행하였다.
그리고, 검량선의 작성을 행하였다.
상기 GC분석은 하기 표 10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행하였다. 또한, 가공천G 및 가공천B로부터 유출한 G오일 및 B오일은 각각 혼합오일이므로 목적성분인 γ-리놀렌산(메틸에스테르체)을 지표로 하였다.
GC분석조건
칼럼 TC-1(0.25mm ×60m)
칼럼 온도 240℃
주입구 온도 300℃
방출기 온도 300℃
검출기 FID
캐리어가스 He 237.8ml/분 (400.2kPa)
수소가스 47.0ml/분
AIR 400ml/분
샘플 주입량 1㎕
유지시간 γ-리놀렌산(메틸에스테르체) 5.98분베헨산(내부 표준물질) 14.59분
그 결과, 양쪽 가공천B, G의 천 1g당 지방산(오일)함량을 표 1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1의 데이터는, 가공천B에 대해서 표 12에, 또는 가공천G에 대해서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각 세탁회수에 대해서 얻은 2개의 데이터의 평균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에, 가공천B에 대해서의 검량선의 그래프 g4를 나타내고, 도 13의 (B)에 가공천G에 대해서의 검량선의 그래프 g5를 나타낸다.
상기 도 13의 각 검량선의 작성에 대해서는, G오일 또는 B오일, 베헨오일로부터, 표 14에 나타내는 검량선 작성용 시료를 조제하고, 마찬가지로 겔화·메틸에스테르화를 행하였다. 이 표 14의 B오일과 베헨오일의 중량비 및 γ-리놀렌산과 베헨오일의 면적비를 표 15에 나타낸다. 또한, 표 14의 G오일과 베헨오일의 중량비 및 γ-리놀렌산과 베헨오일의 면적비를 표 16에 나타낸다.
지방산(오일)함량(천 1g당)
세탁회수 0회 20회 30회
B 1.62mg 6.98mg 6.99mg
G 8.00mg 45.3mg 38.0mg
미가공천O n.d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천G의 대부분이, 가공천B에 대하여, 세탁회수 20회 및 30회 중 어디에 대해서도, 지방산의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즉, 세탁회수와 지방산 함유량이 비례하지 않았지만,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한 γ-리놀렌산을, 공유결합하여 정착시킨 가공천G의 대부분이 높은 지방산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탁회수 20회의 미가공천O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지만, γ-리놀렌산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았다(n.d. 즉, no data).
이것은,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한 γ-리놀렌산을 공유결합하여 정착시킨 것의 대부분이 다른 샘플에 비하여, 천에 대한 높은 정착성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6)

  1.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
  2. 제균제와,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
  3. 테르피넨-4-올과 시트랄과 시트로넬랄 중 1종 이상과,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
  4. γ-리놀렌산, α-리놀렌산, 티트리오일 및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중 1종 이상을 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5. γ-리놀렌산, α-리놀렌산, 티트리오일 및 레몬센트 티트리오일 중 1종 이상을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하여 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6. γ-리놀렌산 또는 α-리놀렌산과 제균제를 함유하며, 그 중 1종 이상을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섭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환경의개선조성물.
KR1020027016963A 2001-04-12 2002-04-12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과 그 의복 KR20030008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3621 2001-04-12
JPJP-P-2001-00113621 2001-04-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158A true KR20030008158A (ko) 2003-01-24

Family

ID=1896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963A KR20030008158A (ko) 2001-04-12 2002-04-12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과 그 의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15233A1 (ko)
JP (1) JPWO2002083121A1 (ko)
KR (1) KR20030008158A (ko)
CN (1) CN1461214A (ko)
WO (1) WO2002083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997B1 (ko) * 2004-08-16 2006-07-06 이종노 허브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0888C1 (de) * 2001-12-12 2003-07-31 Beiersdorf Ag Wirkstoffhaltige Unterwäsche und das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oder Regenerierung derselben
CN101146526B (zh) * 2005-01-20 2012-09-05 凯班股份有限公司 抗微生物药
WO2012104569A1 (en) * 2011-02-02 2012-08-09 GILHOLM, Stephen, Philip Composition of monoterpenoi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WO2012147694A1 (ja) * 2011-04-27 2012-11-01 三井化学株式会社 繊維、不織布及びその用途
US9408419B2 (en) * 2012-03-23 2016-08-09 Victoria's Secret Store Brand Management, Inc. Moisturizing fabric material, use thereof in moisturizing bras,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3843835B (zh) * 2013-04-02 2016-06-29 叶向明 一种天然植物源广谱净菌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119381B (zh) * 2017-07-05 2022-12-27 青岛雪达集团有限公司 一种保湿护肤功能性的针织织物及其织造方法
CN108385378A (zh) * 2018-04-04 2018-08-10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涤棉织物的抗菌整理方法
CN109468835A (zh) * 2018-10-11 2019-03-15 杭州创屹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损伤治疗用可穿戴麻纤维面料的制备方法
IT201900013314A1 (it) * 2019-07-30 2021-01-30 Dermophisiologique S R L Soc Benefit Composizioni per il trattamento della dermatite atopic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41826C (no) * 1972-06-29 1980-05-21 Water Jel Int Pty Ltd Brannslukningsutstyr.
DE3368377D1 (en) * 1982-04-16 1987-01-29 Nestle Sa Lipid composition for oral, enteral or parenteral feeding
US5352700A (en) * 1988-01-14 1994-10-04 Anders Frithz Use of essential fatty acids for the preparation of a drug for the treatment of infantile seborrheic eczema
GB8806737D0 (en) * 1988-03-22 1988-04-20 Efamol Holdings Therapeutic composition & method
JP2726825B2 (ja) * 1988-10-31 1998-03-11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2582738B2 (ja) * 1991-02-14 1997-02-19 鐘紡株式会社 森林浴効果を有する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90820A (ja) * 1991-03-18 1992-10-15 Idemitsu Petrochem Co Ltd 皮膚病犬の治療方法とその薬剤
JP3560290B2 (ja) * 1991-11-27 2004-09-02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メチシリン耐性黄色ブドウ球菌に対する抗菌剤
DE4429229A1 (de) * 1994-08-18 1996-02-22 Consortium Elektrochem Ind Cyclodextrinderivate mit mindestens einem stickstoffhaltigen Heterozyklus,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H11151051A (ja) * 1997-11-21 1999-06-08 Ryuji Teraoka 害虫忌避剤を保持した動物用衣料
JP2000063262A (ja) * 1998-08-19 2000-02-29 Osaka Yakuhin Kenkyusho:Kk 抗菌性化粧料組成物
JP4776058B2 (ja) * 1999-10-06 2011-09-2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皮膚改善剤
JP2001314493A (ja) * 2000-05-10 2001-11-13 Wacker Chemicals East Asia Kk 消臭剤組成物
JP2002065839A (ja) * 2000-08-31 2002-03-05 Risoo Erudesu:Kk 薬剤等を包接したモノクロロトリアジニル−β−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共有結合して有する保健衛生医療用セルロース系繊維ウェブ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997B1 (ko) * 2004-08-16 2006-07-06 이종노 허브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15233A1 (en) 2004-06-17
CN1461214A (zh) 2003-12-10
JPWO2002083121A1 (ja) 2005-01-27
WO2002083121A1 (fr)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du et al. Applications of cyclodextrins in medical textiles
US4471871A (en) Packaged dry-to-the-touch article and method of packaging the article
KR20030008158A (ko) 피부환경의 개선조성물과 그 의복
EP1129693A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body odor and uses thereof
CN109394836A (zh) 一种预防和/或缓解痛经的大麻纤维及其在卫生用品中的应用
CN1432085A (zh) 具有抗菌、防臭功能的纤维制品
CN106265295A (zh) 一种缓解痔疮症状的湿巾及其制备方法
CN105662956A (zh) 一种用于皮肤消毒的洗手液的制备方法
Chandrasekaran et al. Analysis of eco-friendly medicinal herb extracts and essential oil applications on textile products for healthcare applications
JP2001031516A (ja) ホソバヤマジソ由来成分を利用した抗菌・消臭・抗酸化性組成物および加工品
CN110433130A (zh) 一种男性基础护理液
CN106418743A (zh) 一种植物抗菌防臭袜及其制备方法
CN101328457A (zh) 含有莪术油成分的抗菌、抗病毒香皂
JP2003153945A (ja) 衛生用品
CN1129733A (zh) 百部草洗衣粉
JP3224719B2 (ja) ヒノキ属またはアスナロ属の常緑灌木より抽出した非刺激性でかつ金属腐食性を持たない芳香性中性樹脂油を主成分とする創傷治癒剤ならびに上皮形成促進剤
DE60223371T2 (de) Konjugate von polymeren natürlichen ursprungs
JP4443668B2 (ja) 繊維構造物及びその加工方法
KR102490975B1 (ko) 항균성이 우수한 섬유 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 코팅된 섬유
JP2013529229A (ja) 固体材料表面を自己集合性又は自己凝集性のシクロデキストリンで機能化する方法及びその製品
KR100955594B1 (ko) 기능성 천연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438802A (zh) 一种具有消毒杀菌功效的纯棉布料及其制备工艺
JP3626071B2 (ja) ヒノキ属またはアスナロ属の常緑灌木より抽出した非刺激性でかつ金属腐食性を持たない芳香性中性樹脂油を主成分とする育毛剤
Adivarekar et al. Application of herbal extracts for antimicrobial property
KR20110001860U (ko) 일회사용이 가능한 멸균 부직포 배냇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